KR101288341B1 -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 - Google Patents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341B1
KR101288341B1 KR1020110137532A KR20110137532A KR101288341B1 KR 101288341 B1 KR101288341 B1 KR 101288341B1 KR 1020110137532 A KR1020110137532 A KR 1020110137532A KR 20110137532 A KR20110137532 A KR 20110137532A KR 101288341 B1 KR101288341 B1 KR 10128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pitch
rear plate
glass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289A (ko
Inventor
정지호
Original Assignee
내일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일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일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3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생산 공정에서 액정 패널의 전면이 되는 그라스를 공정간에 운반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세트 내에 로딩되는 그라스의 하중 중 약 80%를 담당하는 써포트 바를 성형한 다음 기준 점을 중심으로 평탄도가 유지되게 가공하여 선단의 피치가 절대 값(약 2mm)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리어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피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써포트 바(7)의 제조 시 금형 내에 지지부재(9)를 인써트하여 지지 바(10)를 사출 성형하고 난 다음 지지 바(10)의 최 선단 및 최 끝단에 고정된 팁(8)을 수평면(11)에 맞닿도록 한 후 리어 플레이트(4)에 접속되는 지지부재(9)의 접속 면(9b)을 수직으로 가공하는 단계와, 가공된 써포트 바(7)를 리어 플레이트(4)에 차례로 가 체결하는 단계와, 써포트 바(7)를 구성하는 지지 바(10)의 선단 피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피치 값에 따라 써포트 바(7)의 지지부재(9)와 리어 플레이트(4)의 사이에 필러(12)를 대고 피치를 재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 {Method of Adjusting Pitch for Support Bar of Cassette for Loading Glass}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생산 공정에서 액정 패널의 전면이 되는 그라스를 공정간에 운반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카세트 내에 로딩되는 그라스의 하중 중 약 80%를 담당하는 써포트 바를 성형한 다음 기준 점을 중심으로 평탄도가 유지되게 가공하여 선단의 피치가 절대 값(약 2mm)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리어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피치를 조절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 luminescent) 등 평판디스플레이(Flat display)의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는 유리기판은 유리 용해로(Glass melting furnace)에서 용해된 유리물을 성형공정과 절단공정을 거쳐 소정의 크기로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리기판에는 두께, 휨도, 평탄도, 투과율, 기포, 이물, 긁힘, 요철, 오염, 직선성 및 크기 오차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많은 결함이 발생되고 있어 고품질의 평판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생산 완료된 유리기판의 운반 과정에 많은 주의를 요한다.
이에 따라, 유리물의 성형공정과 절단공정을 거쳐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유리기판은 사각틀 형태를 갖는 카세트 내에 차례로 로딩(loading)하여 공정간에 운반하게 된다.
상기한 그라스가 로딩되는 카세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판(1)(2) 그리고 상기 상·하판의 사이에 고정된 복수 개의 싸이드 플레이트(3) 및 리어 플레이트(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싸이드 플레이트(3)의 내 측에는 로딩되는 그라스(5)의 양단이 접속되어 그라스 하중의 20%를 지지하는 로딩 바(6)가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리어 플레이트(4)에는 로딩되는 그라스(5)의 전체 무게 중 8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써포트 바(7)가 나란히 고정되어 있어 카세트 내에 그라스(5)를 로딩하면 그라스의 저면은 써포트 바(7)에 고정된 팁(8)에 접속되고 양단은 로딩 바(6)에 접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딩되는 그라스(5)의 하중 중 80%를 지지하는 써포트 바(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케스팅(die casting)으로 성형되어 금형 내에 인써트(insert)되는 지지부재(9)와, 상기 지지부재와 일체로 성형되는 탄소섬유 계통의 지지 바(10)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지지 바의 상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그라스의 저면이 맞닿는 팁(8)이 고정되어 있다.
이 때, 리어 플레이트(4)에 접속 고정되는 지지부재(9)의 접속 면(9a)은 써포트 바(7)를 리어 플레이트(4)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피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라운딩(rounding)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를 갖는 써포트 바()를 리어 플레이트()에 가 장착한 상태에서 써포트 바()의 선단 피치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피치 조절방법은 써포트 바(7)의 지지부재(9)를 금형 내에 인써트한 상태에서 지지 바(10)를 사출 성형하고 나면 지지 바(10)의 원재료인 탄소섬유의 배합비율을 정확히 일치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지지 바(10)가 임의의 형태로 각각 변형을 일으키는데, 이 때지지 바(10)의 변형된 정도는 각각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써포트 바(7)를 리어 플레이트(4)에 가 체결한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피치(써포트 바의 상면과 이웃하는 써포트 바의 상면까지 거리 : P1, P2)를 조절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기준점이 없어 임의의 형태로 변형된 써포트 바(7)의 피치를 조절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어 숙련도가 떨어지는 작업자는 피치 조절작업을 할 수 없게 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나타낸다.
설령, 숙련자가 써포트 바(7)의 피치를 정확히 조절하였다 하더라도 리어 플레이트(4)와 지지부재(9)의 접속 면(9a)이 라운딩되어 점 접촉을 하므로 인해 로딩되는 그라스의 전체 무게 중 80%를 감당하는 과정에서 특정 써포 트 바(7)가 약 2-3mm 정도 처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써포트 바(7)의 고정부위에서 2-3mm 정도가 처지면 그라스(5)의 삽입부위에서는 변위가 약 8-12mm 정도가 되어 로봇에 의해 카세트 내에 그라스(5)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로봇이 써포트 바(7)에 충돌하여 로딩되었던 그라스(5)가 파손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적재되는 그라스의 전체 무게 중 80%를 지지하는 써포트 바를 정밀 가공하여 써포트 바의 지지부재를 리어 플레이트에 면 접촉되도록 한 다음 필러를 이용하여 지지 바의 선단 피치를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신속하고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써포트 바의 제조 시 금형 내에 지지부재를 인써트하여 지지 바를 사출 성형하고 난 다음 지지 바의 최 선단 및 최 끝단에 고정된 팁을 수평면에 맞닿도록 한 후 리어 플레이트에 접속되는 지지부재의 접속 면을 수직으로 가공하는 단계와, 가공된 써포트 바를 리어 플레이트에 차례로 가 체결하는 단계와, 써포트 바를 구성하는 지지 바의 선단 피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피치 값에 따라 써포트 바의 지지부재와 리어 플레이트의 사이에 필러를 대고 피치를 재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리어 플레이트와 접속되는 써포트 바의 지지부재가 기준점이 되는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면을 이루도록 정밀 가공되어 있어 리어 플레이트와 면 접촉을 하게 되므로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고 그라스의 자중에 의해 써포트 바가 처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이고 다양한 두께를 갖는 필러(feeler)에 의해 지지 바의 선단 피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지 바의 선단 피치를 허용 오차(2mm) 범위 내에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카세트의 내부에 그라스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로봇이 써포트 바의 선단에서 충돌함에 따른 그라스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카세트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리어 플레이트에 써포트 바가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써포트 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성형된 써포트 바의 지지 바를 수평면에 대고 지지부재의 접속 면을 가공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써포트 바를 리어 플레이트에 고정하여 필러에 의해 피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플러우 챠트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써포트 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성형된 써포트 바의 지지 바를 수평면에 대고 지지부재의 접속 면을 가공하는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써포트 바를 리어 플레이트에 고정하여 필러에 의해 피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에서 써포트 바(7)를 구성하는 지지부재(9)를 다이케스팅으로 성형한 다음 이를 금형(도시는 생략함) 내에 인서트한 후 지지 바(10)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다.
그러나 금형 내에 지지부재(9)를 인써트하여 지지 바(10)를 사출 성형하고 나면 지지 바(10)의 원재료인 탄소섬유의 배합비율에 따라 지지 바(10)의 변형 정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바(10)의 최 선단 및 최 끝단에 고정된 팁(tip)(8)을 수평면(11)에 맞닿도록 하면 리어 플레이트(4)에 접속되는 접속 면(9b)의 기울기가 지지 바(10)의 변형정도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써포트 바(7)의 지지부재(9)를 가공기(도시는 생략함)에 클램핑(clamping)한 다음 리어 플레이트(4)에 접속되는 지지부재(9)의 접속 면(9b)을 수직으로 가공하면 카세트에 수평으로 로딩되는 그라스(5)와 리어 플레이트(4)에 접속되는 지지부재(9)의 접속 면(9b)이 항상 직각을 유지하게 된다.(S100)
이와 같이 써포트 바(7)를 구성하는 지지부재(9)의 접속 면(9b)을 수직으로 가공하고 나면 상기 써포트 바(7)를 차례로 리어 플레이트(4)에 장착 고정하게 된다.(S200)
상기한 바와 같이 써포트 바(7)를 리어 플레이트(4)에 차례로 장착 고정하고 난 다음 써포트 바(7)를 구성하는 지지 바(10)의 선단 피치를 측정하면 탄소섬유의 배합비율이 다름에 따라 약간의 오차를 갖지만, 리어 플레이트(4)에 접속되는 지지부재(9)의 접속 면(9b)이 기준면인 수평면과 직각을 유지하고 있어 지지 바(10)의 선단에서 피치를 종래의 다이캐스팅 또는 후 가공하여 인써트하는 지지부재(9) 보다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아래 표 1을 보면 알 수 있다.(S300)
지지 바의 선단 기준 피치 값 다이캐스팅 후 가공하여 인서트 본 발명 다이캐스팅 후 가공하여 인써트 본 발명
75 66.85 67.97 69.52 8.15 7.03 5.48
139 126.99 133.45 133.75 12.01 5.55 5.25
203 192.46 193.38 197.78 10.54 9.62 5.22
267 254.90 256.37 261.75 12.10 10.63 5.25
331 340.40 320.33 325.75 -9.40 10.67 5.25
따라서 본 발명은 측정된 피치 값에 따라 써포트 바(7)의 지지부재(9)와 리어 플레이트(4)의 사이에 필러(12)를 대고 피치를 재 조절하면 리어 플레이트(4) 및 지지부재(9)의 사이에 끼워지는 필러(12)의 두께가 1mm 인 경우에 지지 바(10)의 선단에서 변위량이 4mm 정도가 되므로 지지 바(10)의 선단에서 피치를 허용오차인 2mm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S400)
이는, 도 7에 나타낸 그래프에서와 같이 종래의 발명은 써포트 바(7)의 피치가 넓은 오차 범위에 산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써포트 바(7)의 피치가 조절 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보더라도 피치 조절작업이 신속하고도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4 : 리어 플레이트 7 : 써포트 바
9 : 지지부재 9b : 접속 면
10 : 지지 바 11 : 수평면
12 : 필러

Claims (1)

  1. 써포트 바(7)의 제조 시 금형 내에 지지부재(9)를 인써트하여 지지 바(10)를 사출 성형하고 난 다음 지지 바(10)의 최 선단 및 최 끝단에 고정된 팁(8)을 수평면(11)에 맞닿도록 한 후 리어 플레이트(4)에 접속되는 지지부재(9)의 접속 면(9b)을 수직으로 가공하는 단계와, 가공된 써포트 바(7)를 리어 플레이트(4)에 차례로 가 체결하는 단계와, 써포트 바(7)를 구성하는 지지 바(10)의 선단 피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피치 값에 따라 써포트 바(7)의 지지부재(9)와 리어 플레이트(4)의 사이에 필러(12)를 대고 피치를 재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
KR1020110137532A 2011-12-19 2011-12-19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 KR101288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532A KR101288341B1 (ko) 2011-12-19 2011-12-19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532A KR101288341B1 (ko) 2011-12-19 2011-12-19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289A KR20130070289A (ko) 2013-06-27
KR101288341B1 true KR101288341B1 (ko) 2013-07-22

Family

ID=4886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532A KR101288341B1 (ko) 2011-12-19 2011-12-19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3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294A (ko) * 2002-07-15 2004-01-2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용 카세트
KR200378724Y1 (ko) 2004-12-28 2005-03-18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사이드 바
KR20080054061A (ko) * 2006-12-12 2008-06-17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서포트바 연결장치
KR20130027159A (ko) * 2011-09-07 2013-03-15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서포트바 및 그 서포트바 조립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294A (ko) * 2002-07-15 2004-01-2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용 카세트
KR200378724Y1 (ko) 2004-12-28 2005-03-18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사이드 바
KR20080054061A (ko) * 2006-12-12 2008-06-17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서포트바 연결장치
KR20130027159A (ko) * 2011-09-07 2013-03-15 효창산업 주식회사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서포트바 및 그 서포트바 조립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289A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928B1 (ko) 유지부 부착 유리 기판, 유리 기판의 열처리 방법, 및 유리 기판 지지 유닛
KR102638514B1 (ko) 유리 기판군 및 그 제조 방법
KR101288341B1 (ko)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피치조절방법
JP2008007364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の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88340B1 (ko)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제조방법
KR20050044989A (ko) 액정 패널용 유리기판 운반용 트레이
KR101979315B1 (ko) 사각형금속관 제조용 롤러배열방법
KR102002379B1 (ko)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써포트 바 진동방지장치
JP7418512B2 (ja) ガラスシートを分離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80103788A (ko) 유리기판 유무감지용 반사판이 구비된 유리기판 운반용트레이
KR100719689B1 (ko) 평판 표시장치 제조용 엔드 이펙터
KR100875847B1 (ko) 액정 패널용 유리기판 운반용 트레이의 써포트 바 처짐량보정장치
KR102282666B1 (ko)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KR100958787B1 (ko) 스테이지 이송장치용 크로스빔
KR102568434B1 (ko)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KR102282669B1 (ko) 플랙시블 필름 적재용 카세트
KR20160131618A (ko) 판 소재의 휨 교정 시스템
KR20190132008A (ko)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및 그 조립방법
KR20230168398A (ko) 유리기판 적재용 카세트의 서포트 바
KR20190132007A (ko)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서포트 바 진동 감쇄장치
KR101354445B1 (ko) 마스크프레임어셈블리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934445B1 (ko) 글라스용 카세트의 간격 자동 조절장치
KR102353653B1 (ko) 개선된 이송 구조를 갖는 마루패널 제조장치
TW201829257A (zh) 柔性薄膜裝載盒
KR20190132006A (ko)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서포트 바 진동 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