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972B1 -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972B1
KR101287972B1 KR1020120049910A KR20120049910A KR101287972B1 KR 101287972 B1 KR101287972 B1 KR 101287972B1 KR 1020120049910 A KR1020120049910 A KR 1020120049910A KR 20120049910 A KR20120049910 A KR 20120049910A KR 101287972 B1 KR101287972 B1 KR 101287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patch plate
support structur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희재
박영창
Original Assignee
박영창
남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창, 남희재 filed Critical 박영창
Priority to KR102012004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2Protecting metallic construction elements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패치플레이트를 투과성 재료로 변경함과 함께 강도 강화를 위해 폴리카보네이트가 구비된 복층형 구조를 이루도록 항 외장유리 구조물의 투시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른 건축물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장유리(10)와 수직방향으로 리브유리(20)가 구성되고, 상기 리브유리(20)와 외장유리(10)는 금속지지체(30)에 의해 결합 지지되어지며, 상기 리브유리(20) 하부에는 건축물의 지지보 구조물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40)에 일체로 구성된 지주판(41)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지주판(41)과 리브유리(20)는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패치플레이트(50)와 스터드볼트(55)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패치플레이트(50)는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유리판(51)과 폴리카보네이트(52)가 적층 결합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OUTER GLASS SUPPORT STRUCTURE FOR ARCHITECTURE}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장유리 지지부의 투시성을 개선함과 함께 폴리카보네이트가 적용된 복층형 구조를 이루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고층화 추세와 더불어 건물외벽 마감방식은 의장ㆍ구조ㆍ시공면 등에서의 잇점을 최대로 살려 커튼-벽(Curtainwall) 방식을 중심으로 한 전면 혹은 부면 유리건물들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건물들은 대부분 유리자체가 경쾌하고 아름다운 외관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 미관을 한층 깨끗하고 생동감 있게 해준다.
최근의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는 전면 외장유리를 자세히 살펴보면, 종래의 창틀방식에서 눈에 띄던 창틀(Metal Frame)들의 개수나 크기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창틀을 가능한 한 유리배면에 은폐시키려는 시도(Metal Back-mullion 방식)들도 엿보인다. 이러한 노력은 SPG(Special Point Glazing), SSG(Structural Sealant Glazing System). SGS(Structural Glazing System) 등으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구미ㆍ일본에서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활발히 보급되고 있는 추세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유리 지지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외장유리(1)의 지지를 위해 실내측에 지지보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 프레임(4)에 수직으로 리브유리(2)를 결합시키고, 상기 리브유리(2)와 외장유리(1)가 금속 지지체(3)에 의해 연결 지지되어지며, 상기 리브유리(2)는 패치플레이트(5)를 통해 건축물의 지지보 구조물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4)에 일체로 결합되어져 있는 지주판(4a)과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를 살펴보면, 리브유리(2)를 지지하고 있는 패치플레이트(5)가 지지강도 보강을 위한 금속재질로 구비되어짐으로 투시성이 저하되어 외장유리의 외관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리브유리를 지지하는 패치플레이트의 투시성을 개선함과 함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외관이 향상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외장유리와 수직방향으로 리브유리가 구성되고, 상기 리브유리와 외장유리는 금속지지체에 의해 결합 지지되어지며, 상기 리브유리 하부에는 건축물의 지지보 구조물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에 일체로 구성된 지주판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지주판과 리브유리는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패치플레이트와 스터드볼트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패치플레이트는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유리판과 폴리카보네이트가 적층 결합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외장유리 지지구조는, 기존 패치플레이트를 투과성 재료로 변경함과 함께 강도 강화를 위해 폴리카보네이트가 구비된 복층형 구조를 이룸으로서 외장유리 구조물의 투시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른 건축물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패치플레이트를 유리와 폴리카보네이트의 복층 구조를 이룸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한 유리파손시 폴리코보네이트가 계속적인 구조물의 지지역할을 수행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강화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외장유리 설치구조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장유리 설치 구조도.
도 4는 도 3의 A-A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패치플레이트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재 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유리 지지구조를 도 3 및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외장유리(10)와 수직방향으로 리브유리(20)가 구성되고, 상기 리브유리(20)와 외장유리(10)는 금속지지체(30)에 의해 결합 지지되어지며, 상기 리브유리(20) 하부에는 건축물의 지지보 구조물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40)에 일체로 구성된 지주판(41)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지주판(41)과 리브유리(20)는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패치플레이트(50)와 스터드볼트(55)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패치플레이트(50)는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유리판(51)과 폴리카보네이트(52)가 적층 결합되어지게 된다.
즉, 패치플레이트(50)는 2개의 투명유리판(51) 사이에 폴리카보네이트(52)가 삽입되어진 3층형태의 적층 구조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의 화대도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지주판(41)의 두께(d)는 리브유리(20)의 두께(D) 보다 감소된 구조를 이룸으로서 지주판(41)과 패치플레이트(50) 상호간에 직접 접촉이 방지되며, 지주판(41)과 패치플레이트(50)간 이격공간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재질의 완충재(60)가 삽입 구성되어 스터드볼트(55)의 관통 체결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2는 스터드볼트(55)가 관통되어지는 볼트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설치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에서의 외장유리 설치 구조에서는 패치플레이트(50)가 기존의 금속재질에서 투시가 가능한 투명재질로 변경되어짐으로 건축물의 외관 투시성이 개선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투명유리판(51) 사이에 강도보강을 위한 폴리카보네이트(52)가 구성된 복층형 적층구조를 이룸으로서 리브유리(20)에 대한 지지강도 저하가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투명유리판(51) 만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이 발생될 수 있게 되어 구조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52)가 최후의 지지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건축물 구조물의 붕괴전 징후를 갖고 충분한 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도 측면이 크게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의 지주판(41)과 패치플레이트(50)가 일정 이격거리를 이루어 완충재(60)에 의해 지지되어짐으로서, 상호간에 직접 접촉에 따른 충격력 전달이 방지되고 진동 흡수가 이루어짐으로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시성 패치플레이트(50)가 적용되어지게 되면 외장유리(10)를 지지하고 있는 구조물의 투명성이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되어 건축물의 외관을 향상시킴과 함께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되어지는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재(60)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완충재(60)는 스터드볼트(55)의 관통 체결을 위한 볼트공(60)이 형성되어진 가운데, 패치플레이트(5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일면에는 패치플레이트(50)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윤활성의 테프론 코팅층(61)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윤활성의 테프론 코팅층(61)은 테프론 테이프를 부착시키거나 또는 통상의 코팅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테프론 코팅층(61)이 형성되어지게 되면 패치플레이트(50)의 외층을 이루는 투명유리판(51)과의 접촉면에서 윤활성이 증대되어 유리판에 스크래치 또는 크랙 발생이 더욱 저감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패치플레이트 적층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3층의 적층형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폴리카보네이트가 복층형태로 구성되어지는 5층이나 7층의 적층형태로 제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외장유리 20 : 리브유리
30 : 금속지지체 40 : 베이스프레임
41 : 지주판 50 : 패치플레이트
51 : 투명유리판 52 : 폴리카보네이트
55 : 스터드볼트 60 : 완충재
61 : 테프론 코팅층 62 : 볼트공

Claims (4)

  1. 외장유리(10)와 수직방향으로 리브유리(20)가 구성되고, 상기 리브유리(20)와 외장유리(10)는 금속지지체(30)에 의해 결합 지지되어지며, 상기 리브유리(20) 하부에는 건축물의 지지보 구조물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40)에 일체로 구성된 지주판(41)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지주판(41)과 리브유리(20)는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패치플레이트(50)와 스터드볼트(55)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패치플레이트(50)는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유리판(51)과 폴리카보네이트(52)가 적층 결합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치플레이트(50)는 2개의 투명유리판(51) 사이에 폴리카보네이트(52)가 삽입되어진 적층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판(41)의 두께(d)는 리브유리(20)의 두께(D) 보다 감소된 구조를 이룸으로서 지주판(41)과 패치플레이트(50) 상호간에 직접 접촉이 방지되며, 지주판(41)과 패치플레이트(50)간 이격공간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완충재(60)가 삽입 구성되어 스터드볼트(55)의 관통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60)는 스터드볼트(55)의 관통 체결을 위한 볼트공(6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패치플레이트(5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일면에는 패치플레이트(50)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테프론 코팅층(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KR1020120049910A 2012-05-10 2012-05-10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KR101287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910A KR101287972B1 (ko) 2012-05-10 2012-05-10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910A KR101287972B1 (ko) 2012-05-10 2012-05-10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972B1 true KR101287972B1 (ko) 2013-07-19

Family

ID=4899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910A KR101287972B1 (ko) 2012-05-10 2012-05-10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105B1 (ko) * 2015-08-10 2017-07-11 (주)국영에스윈 스파이더 브래킷
CN113107121A (zh) * 2021-04-14 2021-07-13 刘毅 一种玻璃幕墙肋拼接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141B1 (ko) * 1983-09-12 1993-02-18 필킹턴 부라더스 피.엘.씨 유리 조립체
JP2000087924A (ja) 1998-09-11 2000-03-28 Pilkington United Kingdom Ltd ガラスパネルの固定方法
JP2001303702A (ja) 2000-02-16 2001-10-31 Asahi Glass Co Ltd 板ガラスの支持構造
KR20100030407A (ko) * 2008-09-10 2010-03-18 주식회사동양강철 방폭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141B1 (ko) * 1983-09-12 1993-02-18 필킹턴 부라더스 피.엘.씨 유리 조립체
JP2000087924A (ja) 1998-09-11 2000-03-28 Pilkington United Kingdom Ltd ガラスパネルの固定方法
JP2001303702A (ja) 2000-02-16 2001-10-31 Asahi Glass Co Ltd 板ガラスの支持構造
KR20100030407A (ko) * 2008-09-10 2010-03-18 주식회사동양강철 방폭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105B1 (ko) * 2015-08-10 2017-07-11 (주)국영에스윈 스파이더 브래킷
CN113107121A (zh) * 2021-04-14 2021-07-13 刘毅 一种玻璃幕墙肋拼接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972B1 (ko) 투시성이 개선된 건축용 외장유리 지지구조
CN103290953B (zh) 具有缓冲功能的防暴透明隔断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A2964047C (en) Improved acoustic performance of timber frame partitions
CN104769195A (zh) 一种组合式墙体及其施工方法
JP2016075098A (ja) 断熱構造
CN204753907U (zh) 双层防震隔音玻璃幕墙
CN205976139U (zh) 一种全玻幕墙
KR100835633B1 (ko) 복층유리 볼트 체결구조
KR20090053038A (ko) 유리판재가 장착된 난간대의 구조
CN217601929U (zh) 一种轻质防火板材结构
CN218116898U (zh) 一种幕墙横梁用铝型材
CN205272744U (zh) 一种契合型高强度铝塑板
CN218716236U (zh) 一种夹层中空玻璃
CN210948359U (zh) 一种质轻且防火等级高的防火门结构
KR20110027093A (ko) 창호 시스템
KR101270182B1 (ko) 고밀도 목재패널을 이용한 커튼월 프레임
CN218779725U (zh) 一种防坠落内倾隐框玻璃幕墙
KR102566185B1 (ko) 불연기능이 향상된 내외장 마감패널재 및 그 제조방법
CN211447572U (zh) 一种具有减震缓冲功能的集成墙板
CN213622826U (zh) 一种支撑架结构
CN214302388U (zh) 一种减震墙体结构
CN210659763U (zh) 一种便于安装的钢化玻璃
CN215402422U (zh) 一种观光电梯井道用于固定玻璃的支撑架
CN210940760U (zh) 一种复合结构的轻型夹芯蜂窝板材
CN208396092U (zh) 一种适用于高层建筑的防风幕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