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830B1 -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830B1
KR101287830B1 KR1020110041087A KR20110041087A KR101287830B1 KR 101287830 B1 KR101287830 B1 KR 101287830B1 KR 1020110041087 A KR1020110041087 A KR 1020110041087A KR 20110041087 A KR20110041087 A KR 20110041087A KR 101287830 B1 KR101287830 B1 KR 101287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pump
container
fixing fram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748A (ko
Inventor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원
Priority to KR1020110041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83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9/00Lubricant containers for use in lubricators or lubrication systems
    • F16N19/003Indicating oil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50/00Measuring
    • F16N2250/18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리스 펌프가 별도의 고정 구조물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로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에 고정됨에 따라, 그리스 펌프 및 그 고정 구조물이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의 진동 시 동일 방향으로 함께 진동하고, 따라서 그리스 펌프의 진동이 최소화되면서 그리스의 에어 발생 및 그리스 토출 이상 현상이 방지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그리스 용기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는, 고정 기능의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포스트를 포함하는 메인 고정프레임과, 상기 포스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고정프레임의 유동 시 동일 방향으로 연동되고, 그리스 토출구가 구비되는 펌프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부에 하부가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에 상부가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그리스 용기와,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그리스 용기에 담긴 그리스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그리스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Preventing vibration type grease ejecting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grease container}
본 발명은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리스 펌프가 별도의 고정 구조물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로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에 고정됨에 따라, 그리스 펌프 및 그 고정 구조물이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의 진동 시 동일 방향으로 함께 진동하고, 따라서 그리스 펌프의 진동이 최소화되면서 그리스의 에어 발생 및 그리스 토출 이상 현상이 방지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리스(grease)는 윤활유에 유지를 가하여 반고체 형태로 만든 윤활제로서, 윤활유의 주입이 어려운 부분에 주로 사용되며, 각종 기계장치나 설비 등의 윤활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급유된다. 이러한 그리스는 윤활부위의 규모나 사용빈도, 중요성 등에 따라 적절량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초기에는 수작업을 통한 그리스 공급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고, 근래에 다양한 형태의 그리스 공급용 펌프(이하 ‘그리스 펌프’라 약칭 함)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그리스 펌프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그리스 펌프는 그리스가 저장되어 있는 그리스통으로부터 그리스를 자동으로 펌핑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에어펌프 형태의 그리스 펌프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에어펌프 형태의 그리스 펌프(10: 이하 ‘에어펌프형 그리스 펌프’라 함)는 로드가 일측에서 연장되는 펌프 본체(11), 중앙부를 관통하는 로드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펌프 홀더(12), 중앙부가 로드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펌프 홀더(12)와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외각 테두리를 따라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그리스 밀착판(13), 그리스 밀착판(13)이 그 실링부재를 용기 측면에 밀착시키는 상태로 수용되고 그 내부에 그리스가 채워지는 그리스 용기(1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에어펌프형 그리스 펌프(10)는 압축공기의 공급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따라서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건설장비 등에는 에어펌프형 그리스 펌프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 에어펌프형 그리스 펌프(10)는 그리스 공급 대상설비의 진동이 그리스 용기에 직접 전달되면서 그리스에 다량의 에어를 발생시키며, 안정감 있게 고정되지 못한 관계로 그 진동시 펌핑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면서 정상적인 그리스 토출 기능을 하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그리스 용기의 그리스 잔량을 전혀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도 2는 종래 그리스 펌프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서, 그리스 공급 대상 설비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전기식 그리스 펌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고정형의 전기식 그리스 펌프(20: 이하 ‘고정형 그리스 펌프’라 함)는 그리스 보충구(24)를 구비한 펌프 본체(21), 펌프 본체(21)의 상부에 위치하여 고정 브라켓(23)을 매개로 펌프 본체(21)에 결합되는 그리스 보충용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정형 그리스 펌프는 그리스 보충용기의 잦은 교환 및 그리스 배출 관로의 막힘 현상 등에 기인한 고압 현상 및 그 해소를 위한 제어 문제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리스 펌프가 별도의 고정 구조물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로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에 고정됨에 따라, 그리스 펌프 및 그 고정 구조물이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의 진동 시 동일 방향으로 함께 진동하여 그 진동을 최소화하면서 에어 발생 및 그리스 토출 이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리스 펌프의 사용 과정에서 그리스 용기의 그리스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리스 펌프를 그리스 공급 대상설비에 견고히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그리스 용기의 교환 또는 그리스 용기에 대한 그리스의 재충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리스 토출구 및 그와 연결된 관로의 막힘 등에 의해 발생되는 그리스의 비정상적인 토출 현상 및 그에 기인한 그리스 펌프의 오작동 및 고장 발생을 자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그리스 펌프에 의한 그리스 토출이 항상 정상적인 조건에서만 이루어져, 그리스 펌프의 기능 및 토출 효율이 항상 최고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는, 고정 기능의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포스트를 포함하는 메인 고정프레임과, 상기 포스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고정프레임의 유동 시 동일 방향으로 연동되고, 그리스 토출구가 구비되는 펌프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부에 하부가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에 상부가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그리스 용기와,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그리스 용기에 담긴 그리스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그리스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그리스 펌프는 피스톤로드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되는 중공(中空)형이고, 확장된 내경의 제1실, 제2실, 제3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실과 통하는 그리스 배출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실과 통하는 그리스 유입구가 타측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로드는 실린더의 내면에 밀착되는 지름의 대경부 및 상기 대경부보다 축소된 지름으로 형성되어 실린더의 내면과 간극을 형성하는 소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경부에는 그리스 통과를 위한 유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일단에는 유로보다 확장된 지름의 제4실이 상기 제1실과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타단에는 상기 소경부와 실린더 내면 간의 간극과 통하는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의 선단에는 상기 제1실에 수용되는 피스톤이 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1 내지 제4실 및 유로를 포함하는 그리스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수단과, 상기 실린더의 제3실에 수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피스톤 상부에 설치되며, 관통구가 형성되는 평판밸브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제3실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stroke) 변화에도 그리스를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부유체크밸브와, 상기 그리스 용기의 내면에 그 둘레를 밀착하는 상태로 삽입되어 그리스 수위에 따라 이동되면서 그리스 상부에 밀착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판에 상기 그리스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리스 용기 내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벤트는 그 하단이 상기 덮개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이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통해 상기 그리스 용기의 그리스 량 측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그 내측에 상기 그리스 용기의 하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하부 홀더와,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되어 그 내측에 상기 그리스 용기의 상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상부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는 중공(中空)형으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고정홀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은 그 양단에 상기 포스트를 끼우는 삽입관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에 제 2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홀 및 제 2 고정홀에 차례로 끼워져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을 상기 포스트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는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평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홀의 좌우측 직각 방향에 한 쌍의 지지홀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지지홀은 상기 그리스 용기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지지홀에 차례로 끼워져 그 일단이 상기 그리스 용기의 상단을 지지하여 그리스 용기의 상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의 그리스 토출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되는 그리스 토출압력이 사전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날 시 상기 그리스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의 그리스 토출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의 그리스 토출압력이 사전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때, 토출되는 그리스가 상기 그리스 용기에 복귀되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개방되는 고압 역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는, 실린더 및 피스톤로드를 포함하여 그리스 용기 내의 그리스를 토출시키며, 내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되는 그리스 펌프와, 상기 그리스 펌프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전환하고, 상기 모터의 속도 및 기능들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PCU)와, 상기 그리스 펌프의 토출구 또는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토출라인 상에 설치되어 그리스 토출 압력을 감지하며, 그리스의 실제 토출 압력이 사전 설정된 임계 토출 압력보다 높거나 낮을 시 해당 신호를 상기 모터 제어부에 입력하는 고압 감지센서 및 저압 감지센서와, 상기 그리스 펌프의 그리스 토출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와, 상기 토출라인 상에 설치되어 그리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토출라인의 선단에 결합되어 그리스의 배출을 조정하는 그리스 건과, 상기 토출라인과 그리스 용기를 연결하는 회수라인 상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라인의 그리스 압력이 허용 압력 이상일 때 개방되는 고압 역류밸브와, 그리스가 채워진 상기 그리스 용기의 내부 에어를 외부에 배출하는 에어벤트와, 상기 토출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분배기 연결라인 상에 설치되며, 둘 이상의 분배구를 형성한 그리스 토출 분배기와, 상기 그리스 토출 분배기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구들의 개폐 횟수를 감지하는 분배구 개폐 감지센서와, 상기 분배구 개폐 감지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분배구들을 통한 그리스 주입량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리스 펌프가 별도의 고정 구조물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로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에 고정됨에 따라, 그리스 펌프 및 그 고정 구조물이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의 진동 시 동일 방향으로 함께 진동하고, 따라서 그리스 펌프의 진동이 최소화되면서 그리스의 에어 발생 및 그리스 토출 이상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리스 펌프의 사용 과정에서 그리스 용기의 그리스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그리스 보충시기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리스 펌프를 그리스 공급 대상설비에 견고히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그리스 용기의 교환 또는 그리스 용기에 대한 그리스의 재충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리스 토출구 및 그와 연결된 관로의 막힘 등에 의해 발생되는 그리스의 비정상적인 토출 현상 및 그에 기인한 그리스 펌프의 오작동 및 고장 발생을 자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그리스 펌프에 의한 그리스 토출이 항상 정상적인 조건에서만 이루어져, 그리스 펌프의 기능 및 토출 효율이 항상 최고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그리스 펌프를 사용하여 복수의 그리스 공급 대상설비에 개별적인 그리스 주입을 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관리자는 메인 제어부를 통해 각각의 그리스 공급 대상설비에 대한 그리스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복수의 그리스 공급 대상설비에 대한 그리스 중앙 집중식 공급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펌프 형태의 그리스 펌프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그리스 펌프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 용기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 용기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의 그리스 용기 교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 토출장치 중 그리스 펌프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따른 그리스 펌프에서 구동수단을 보인 정면도와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에 따른 그리스 펌프의 작동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100 : 이하, 그리스 토출장치라 약칭 함)는 메인 고정프레임(110), 펌프 고정프레임(120), 그리스 용기(150), 그리스 펌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그리스 토출장치(100)는 덮개판(142), 탄성부재(170), 에어벤트(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고정프레임(110)은 베이스부(111)와 한 쌍의 포스트(11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베이스부(111)는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즉 베이스부(111)는 메인 고정프레임(110)을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베이스부(111)가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베이스부(111)는 정사각형, 원형,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등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에 고정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 쌍의 포스트(112)는 베이스부(111)로부터 나란히 연장되며, 도면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포스트(112)가 베이스부(111)의 상면 양단으로부터 나란히 연장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11)의 상면 양단으로부터 한 쌍의 포스트(112)가 나란히 연장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쌍 이상의 포스트(112)가 베이스부(111)의 상면 양단으로부터 나란히 연장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펌프 고정프레임(120)은 한 쌍의 포스트(1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펌프 고정프레임(120)은 포스트(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고정프레임(111)의 유동 시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의 진동이 베이스부(111) 및 포스트(112)를 거쳐 펌프 고정프레임(120) 및 그에 고정된 그리스 펌프(140)에 동시에 전달되므로, 펌프 고정프레임(120) 및 그에 고정된 그리스 펌프(140)는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 및 메인 고정프레임(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진동한다. 이에 따라,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의 진동 여파로 인해, 그리스 펌프(140)가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의 진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따로 진동하여 발생되는 과도한 유동 현상 및 그에 기인한 그리스 토출의 불량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펌프 고정프레임(120)에 그리스의 토출구(123)가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포스트(112)와 펌프 고정프레임(120)의 탈착 가능한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포스트(112)는 중공(中空)형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고정홀(112a)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펌프 고정프레임(120)은 그 양단에 포스트(112)의 상부를 끼우기 위한 삽입관(121)이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관(121)에 제 1 고정홀(112a)과 대응되는 제 2 고정홀(121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머리부(131)와 삽입부(132)를 갖는 결합부재(130)가 그 삽입부(132)를 제 1 고정홀(112a)과 제 2 고정홀(121a)에 차례로 삽입하므로서, 펌프 고정프레임(120)은 포스트(112)에 탈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스 용기(150)는 그 하부를 베이스부(111)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그 상부를 펌프 고정프레임(120)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11)와 펌프 고정프레임(120)에 그리스 용기(150)의 지지를 위한 홀더(113,122)가 설치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베이스부(111)의 상면에 그리스 용기(150)의 하부를 삽입시켜 지지하는 하부 홀더(113)가 형성되고, 펌프 고정프레임(120)의 하면에 그리스 용기(150)의 상부를 삽입시켜 지지하는 상부 홀더(1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그리스 용기(150)는 하면과 하부 둘레면을 하부 홀더(113)의 바닥면과 측면에 지지시키고, 상면과 상부 둘레면을 상부 홀더(122)의 상면과 측면에 지지시켜 베이스부(111)와 펌프 고정프레임(120)의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스 펌프(140)는 펌프 고정프레임(120)에 설치되어 그리스 용기(150)에 담긴 그리스를 토출구(123)를 통해 토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리스 펌프(140)가 실린더의 구성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스 펌프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키로 한다.
덮개판(146)은 그리스 용기의 내면에 그 둘레를 밀착하는 상태로 삽입되어 그리스 수위에 따라 이동되면서 그리스 상부에 밀착된다.
탄성부재(170)는 펌프 고정프레임(120)과 덮개판(146)의 사이에 설치되며, 이때 탄성부재(170)의 탄성방향은 그리스 용기에 덮개판(146)을 삽입시키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펌프 고정프레임(120)과 덮개판(146)의 간격이 좁으면 탄성부재(170)를 통해 덮개판(146) 및 펌프 고정프레임(120)에 가해지는 탄성이 상대적으로 크고, 펌프 고정프레임(120)과 덮개판(146)의 간격이 넓으면 탄성부재(170)를 통해 덮개판(146) 및 펌프 고정프레임(120)에 가해지는 탄성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러한 탄성부재(170)에 의해서, 펌프 고정프레임(120)은 포스트(111)에 보다 강한 결합력으로 고정될 수 있고, 동시에 덮개판(146)은 그리스에 보다 강하게 접촉되어 덮개판(146)과 그리스 사이의 에어 발생 현상을 더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에어벤트(160)는 그리스 용기 내의 에어를 외부에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벤트(160)가 그 하단은 덮개판(1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은 펌프 고정프레임(120)을 관통하여 펌프 고정프레임(120) 상부에 돌출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에어벤트(160)는 그 하단의 회전 기능에 의해 덮개판(146)의 상하 이동시에도 제자리에서 상하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펌프 고정프레임(120)의 상부로 노출되는 에어벤트(160)의 길이를 통해 그리스 용기(150)의 그리스량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에어벤트(160)는 그리스 용기(150)의 그리스 수위를 외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그리스 토출장치의 그리스 용기 교체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 용기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의 그리스 용기 교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먼저, 제 1 고정홀(112a) 및 제 2 고정홀(121a)로부터 결합부재(130)를 분리하며, 이에 따라 펌프 고정프레임(120)은 메인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분리된 결합부재(130)를 포스트(111)의 지지홀(112b)에 삽입하는 것으로서, 지지홀(112b)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포스트(112)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평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포스트(112)에는 제 1 고정홀(112a)의 좌우측 직각 방향에 한 쌍의 지지홀(112b)이 각각 형성되며, 이때 지지홀(112b)의 높이는 그리스 용기(150)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4를 기준으로 좌측 포스트(112)의 지지홀(112b)에 결합부재(130)를 좌측 방향에서 삽입하고, 우측 포스트(112)의 지지홀(112b)에 결합부재(130)를 우측 방향에서 삽입하면, 좌우측 결합부재(130)의 선단이 그리스 용기(15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펌프 고정프레임(120)이 메인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그리스 용기(150)는 그 내면에 밀착된 덮개판(146)의 둘레로부터 힘이 전달되더라도 결합부재(130)의 스토퍼 기능에 의해 상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는 현상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어서, 그리스가 채워진 그리스 용기(150)를 하부 홀더(113)에 지지시킨 후, 그리스 용기(150)가 그 상부를 상부 홀더(122)에 지지시키는 상태로 펌프 고정프레임(120)을 메인 고정프레임(110)에 고정한다. 다시 말해, 도 3의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도 3 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펌프 고정프레임(120)의 설명에서 이미 게시한 것처럼, 그리스 펌프(150)가 별도의 펌프 고정프레임(120)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로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에 고정됨에 따라, 그리스 펌프(150) 및 펌프 고정프레임(120)이 그리스 공급대상 설비의 진동 시 동일 방향으로 함께 진동하고, 따라서 그리스 펌프(150)의 진동이 최소화되면서 그리스의 에어 발생 및 그리스 토출 이상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에어 벤트(160)의 그리스 수위 표시 기능을 통해 그리스 용기(150)의 그리스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그리스 보충시기를 신속히 파악한 후 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리스 펌프(140)를 그리스 공급 대상설비에 견고히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그리스 용기(150) 교환이나 그리스 보충시 그 분리 작업을 결합부재의 용이한 탈부착 조작을 통해 할 수 있어, 메인 고정프레임(110)과 펌프 고정프레임(120)을 용이하게 분리 및 재결합하면서 그리스 용기(150)를 교환할 수 있다.
다음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그리스 펌프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그리스 펌프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스 펌프(140)는 실린더(141)와, 실린더(141)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피스톤로드(142) 및 피스톤(142a)과, 피스톤로드(142)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그리스의 유통경로 상에 설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역류방지수단과, 피스톤로드(142)에 설치된 평판밸브(143)를 포함한다.
실린더(141)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이러한 실린더(141)의 상부에는 플랜지(141a)가 형성된다. 플랜지(141a)에는 피스톤로드(142)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141b)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141a)의 일측에는 실린더(140)의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구(141c. 펌프 고정프레임의 토출구와 연통됨)가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141)의 내부에는 실린더(14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의 제1실(141d), 제2실(141e) 및 제3실(141f)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실(141d)은 배출구(141c)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141)의 하부에 형성된 제3실(141f)에는 실린더(141)의 지름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으로 천공되는 복수의 유입구(141g)가 형성된다. 여기서 유입구(141g)의 테두리부에는 실린더(141)의 지름을 기준으로 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141h)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실린더(141)는 하부에 형성된 개구(141i)와 제3실(141f)에 형성된 유입구(141g)를 통하여 그리스가 유입되고 실린더(141)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여 배출구(141c)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피스톤로드(142)는 실린더(141)의 내측을 따라 상하 이동(도면 기준)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피스톤로드(142)의 상부에는 구동수단이 형성된다. 피스톤로드(142)는 실린더(141)의 내면에 밀착되는 대경부(142a)와, 대경부(142a)의 하부에 형성되어 실린더(141)의 내면과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는 소경부(142b)로 이루어진다. 대경부(142a)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그리스가 유통될 수 있도록 유로(142c)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142c)의 상단에는 실린더(141)의 제1실(141d)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유로(142c)보다 내경이 큰 제4실(142d)이 형성된다. 제4실(142d)과 제1실(141d) 사이에는 서로 유통될 수 있도록 유통구(142e)가 형성된다. 또한 유로(142c)의 중간에는 유로(142c)보다 내경이 큰 제5실(142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로(142c)의 하단에는 소경부(142b)와 실린더(141) 내주면 사이의 간극과 연통되는 연통구(142g)가 형성된다. 아울러 소경부(142b)는 하단에 피스톤(142h)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피스톤(142h)는 실린더(141)의 제3실(141f)에 수용되고, 또한 피스톤(142h)은 후술하는 평판밸브(143)의 관통구(143a)를 밀폐하게 된다.
구동수단(144))은 디스크형상의 캠(144a)과, 캠(144a)의 일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동시에 피스톤로드(142)의 걸림단(142i)이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원주 방향을 따라 요입부(144b)가 형성된 캠링(144c)과, 캠(144a)의 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된 위치에 축(144d)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두 개의 구멍(144e,144f)과, 두개 의 구멍(144e,144f) 중 하나의 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축(144d)과, 축(144d)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평판밸브(143)는 피스톤로드(142)의 걸림단(142i) 상부에 설치되어 실린더(141)의 제3실(141f)에 수용되고, 이러한 평판밸브(143)의 상하방향으로 관통구(143a)가 형성된다. 이러한 평판밸브(143)는 피스톤로드(142)의 피스톤(142h)이 상승하면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143a)를 밀폐함으로 더 이상 그리스가 실린더(14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실린더(141) 내부에 있는 그리스를 가압하여 상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역류방지수단은 피스톤로드(142)의 유로(142c) 중간에 상기 유로(142c)보다 내경이 큰 제5실(142f)이 형성되고, 또한 역류방지수단은 피스톤로드(142)의 제4실(142d)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145a)와, 피스톤로드(142)의 제5실(142f)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145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역류방지수단은 그리스의 유통경로 상에 설치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됨에 따라 피스톤로드(142)의 왕복동작의 회수와 속도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그리스의 흡입 및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체크밸브(145a) 및 제2체크밸브(145b)는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볼에 의해 유로가 차단되는 방식이다.
부유체크밸브(145c)는 실린더(100)의 제2실(141e)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부유체크밸브(145c)는 피스톤로드(142)의 스크로크가 변화하더라도 부유체크밸브(145c)가 승강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므로 그리스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부유체크밸브(145c)는 상부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자중뿐만 아니라 탄성력이 작용하여 부유체크밸브(145c)가 상승 후 신속하게 귀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펌프의 작동을 도 7a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펌프의 피스톤로드가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펌프의 피스톤로드(142)가 상승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그리스가 배출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펌프의 피스톤로드가 상승하여 피스톤로드가 정점에 도달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펌프의 피스톤로드가 하강한 후 배출구를 통하여 그리스가 본격적으로 배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142)는 상승하면서 평판밸브(143)의 관통구(143a)를 밀폐시킨다. 이때 평판밸브(143)의 관통구(143a)가 밀폐되면 개구(141i)를 통하여 유입되던 그리스의 공급은 차단되고 측면의 유입구(141g)를 통해서만 그리스가 유입된다.
다음으로 피스톤로드(142)가 계속 상승하면 도 7b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면서 평판밸브(143)가 실린더(141)의 유입구(141g)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141h)를 지나서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한 평판밸브(143)는 더 이상 개구(141i)나 유입구(141g)를 통하여 그리스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실린더(141)의 내부가 외부와 밀폐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피스톤로드(142)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평판밸브(143)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그리스는 가압되고, 가압된 그리스는 부유체크밸브(145c)를 위로 밀어올려 그리스가 부유체크밸브(145c)를 지나서 소경부(142b)와 실린더(141) 내주면의 간극을 따라 상승하도록 한다. 소경부(142b)와 실린더(141) 내주면의 간극을 따라 상승한 그리스는 유로(142c)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구(141c)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가압된 그리스는 제2체크밸브(145b), 제1체크밸브(145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또한, 피스톤로드(142)는 상사점을 지난 후 도 7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여도 부유체크밸브(145c)로 인하여 실린더(141)의 제3실(141f)로 유입되지 않는다. 물론 제1체크밸브(145a) 및 제2체크밸브(145b) 또한 그리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여러 단계의 역류방지수단으로 인하여 그리스가 역류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해 준다.
다음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 토출장치의 기타 구성 및 그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스 토출장치(100)는 고압 감지센서(191), 저압 감지센서(192), 압력게이지(193), 역류밸브(194)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리스 토출장치(100)는 체크밸브(196), 그리스 건, 그리스 토출 분배기(198), 분배구 개폐 감지센서(199)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제어부(180) 및 모터 제어부(195)가 별도의 구성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제어부(195)가 메인 제어부(180)에 포함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고압 감지센서(191)는 토출구(123)의 그리스 토출압력을 감지하며, 감지되는 압력 값이 사전 설정된 최고 압력 값을 초과시 해당 신호를 메인 제어부(180)에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80)는 이렇게 고압 감지센서(191)에서 토출구(123)의 고압 신호가 입력되면, 그리스 펌프(14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와 반대로, 저압 센서(192)는 토출구(123)의 그리스 토출압력이 사전 설정된 최저 압력 값 미만 시 해당 신호를 메인 제어부(180)에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180)는 토출구(123)의 고압 신호 입력시와 마찬가지로 그리스 펌프(14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압 감지센서(191)와 저압 감지센서(192)가 별도로 장착되는 구성을 예로 하였으나, 이와 다른 구성으로 하나의 압력센서가 토출구(123)의 그리스 토출압력을 감지 후 이를 메인 제어부(180)에 입력하고, 제어부(180)는 토출구(123)의 그리스 토출압력에 대한 임계범위를 사전 설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80)가 압력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사전 설정된 임계범위를 기준으로 고압 신호 또는 저압 신호인지 판단하여 고압 또는 저압 신호시 그리스 펌프(14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압력게이지(193)는 토출구(123)의 그리스 토출압력을 표시하여 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토록 하는 기능을 한다.
고압 역류밸브(194)는 토출구(123)와 그리스 용기(150)를 연결하는 관로 상에 설치되며, 평소에는 폐쇄 상태로 있다가 토출구(123)의 그리스 토출압력이 사전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일 때 개방되어 토출된 그리스를 다시 그리스 용기로 흘려 보내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고압 역류밸브(194)는 기계식 밸브일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전자식 밸브 일 수도 있다.
체크밸브(196)는 그리스 펌프(140)와 연결되는 그리스의 토출라인(200) 상에 설치되며, 이러한 체크밸브(196)는 토출라인(200)을 따라 토출되는 그리스가 그리스 펌프(140)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토출라인(200)의 선단에는 그리스의 배출을 조정하는 그리스 건이 설치된다.
그리스 토출 분배기(198)는 토출라인(200)으로부터 분기되는 분배기 연결라인 상에 설치되며, 이러한 그리스 토출 분배기(198)는 둘 이상의 분배구를 형성하고 있다.
분배구 개폐 감지센서(199)는 그리스 토출 분배기(198)에 설치되어 분배구들의 개폐 횟수를 감지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180)는 분배구 개폐 감지센서(199)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그리스 토출 분배기(198)의 분배구별 그리스 주입량을 제어한다.
도 8을 참조한 상기 구성에 의해서, 그리스의 토출구(123) 및 그와 연결된 관로의 막힘 등에 의해 발생되는 그리스의 비정상적인 토출 현상 및 그에 기인한 그리스 펌프(140)의 오작동 및 고장 발생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리스 펌프(140)가 항상 그리스를 정상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상태에서만 작동하며, 이는 그리스 펌프(140)의 기능 및 토출 효율이 항상 최고의 상태를 유지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또한, 하나의 그리스 펌프를 사용하여 복수의 그리스 공급 대상설비에 개별적인 그리스 주입을 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관리자는 메인 제어부(180)를 통해 각각의 그리스 공급 대상설비에 대한 그리스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복수의 그리스 공급 대상설비에 대한 그리스 중앙 집중식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 메인 고정프레임 111 : 베이스부
112 : 포스트 112a : 고정홀
112b : 지지홀 113 : 하부 홀더
120 : 펌프 고정프레임 121 : 삽입관
121a : 제 2 고정홀 122 : 상부 홀더
130: 고정부재 131 : 머리부
132 : 삽입부 140 : 그리스 펌프
141 : 실린더 142 : 피스톤로드
143 : 평판밸브 144 : 구동수단
146 : 덮개판 146a : 결합부
150 : 그리스 용기 160 : 에어 벤트
170 : 탄성부재 180 : 제어부
191 : 고압 감지센서 192 : 저압 감지센서
193 : 압력게이지 194 : 고압 역류밸브
195 : 펌프 제어부 196 : 체크밸브
197 : 볼 밸브 198 : 그리스 토출 분배기
199 : 분배구 개폐 감지센서

Claims (12)

  1. 고정 기능의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나란히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포스트를 포함하는 메인 고정프레임; 상기 포스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고정프레임의 유동 시 동일 방향으로 연동되고, 그리스 토출구가 구비되는 펌프 고정프레임; 상기 베이스부에 하부가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에 상부가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그리스 용기;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그리스 용기에 담긴 그리스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그리스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스 펌프는,
    피스톤로드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되는 중공(中空)형이고, 확장된 내경의 제1실, 제2실, 제3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실과 통하는 그리스 배출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실과 통하는 그리스 유입구가 타측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로드는 실린더의 내면에 밀착되는 지름의 대경부 및 상기 대경부보다 축소된 지름으로 형성되어 실린더의 내면과 간극을 형성하는 소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경부에는 그리스 통과를 위한 유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일단에는 유로보다 확장된 지름의 제4실이 상기 제1실과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타단에는 상기 소경부와 실린더 내면 간의 간극과 통하는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의 선단에는 상기 제1실에 수용되는 피스톤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제1 내지 제4실 및 유로를 포함하는 그리스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는 역류방지수단;
    상기 실린더의 제3실에 수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피스톤 상부에 설치되며, 관통구가 형성되는 평판밸브;
    상기 피스톤로드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제3실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stroke) 변화에도 그리스를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부유체크밸브;
    상기 그리스 용기의 내면에 그 둘레를 밀착하는 상태로 삽입되어 그리스 수위에 따라 이동되면서 그리스 상부에 밀착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과 상기 덮개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판에 상기 그리스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스 용기 내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는 그 하단이 상기 덮개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이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통해 상기 그리스 용기의 그리스 량 측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그 내측에 상기 그리스 용기의 하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하부 홀더;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되어 그 내측에 상기 그리스 용기의 상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상부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중공(中空)형으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고정홀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은 그 양단에 상기 포스트를 끼우는 삽입관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에 제 2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홀 및 제 2 고정홀에 차례로 끼워져 상기 펌프 고정프레임을 상기 포스트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수평 방향으로 절단한 평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홀의 좌우측 직각 방향에 한 쌍의 지지홀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지지홀은 상기 그리스 용기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홀에 차례로 끼워져 그 일단이 상기 그리스 용기의 상단을 지지하여 그리스 용기의 상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그리스 토출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되는 그리스 토출압력이 사전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날 시 상기 그리스 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그리스 토출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그리스 토출압력이 사전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때, 토출되는 그리스가 상기 그리스 용기에 복귀되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개방되는 고압 역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12. 삭제
KR1020110041087A 2011-04-29 2011-04-29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KR101287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87A KR101287830B1 (ko) 2011-04-29 2011-04-29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87A KR101287830B1 (ko) 2011-04-29 2011-04-29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748A KR20120122748A (ko) 2012-11-07
KR101287830B1 true KR101287830B1 (ko) 2013-08-13

Family

ID=4750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087A KR101287830B1 (ko) 2011-04-29 2011-04-29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38Y1 (ko) * 2013-12-20 2015-07-07 주식회사 아원 차량의 전원을 이용한 윤활유 자동주입 건
CN107532773B (zh) 2015-04-23 2020-02-11 固瑞克明尼苏达有限公司 储存器过度填充保护
KR101881588B1 (ko) * 2016-12-23 2018-07-24 정준교 잔류 구리스의 토출이 용이한 가압판을 갖는 자동 구리스 토출기
KR102040921B1 (ko) * 2019-03-13 2019-11-05 (주)케이엔디시스템 유체 공급 펌프의 잔량 누출 방지 밸브
CN110043784A (zh) * 2019-05-21 2019-07-23 广州海同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数控压力调节油脂加注机
KR102264243B1 (ko) * 2019-11-26 2021-06-10 이종호 드럼통용 그리스 주유장치
KR102658338B1 (ko) * 2021-11-09 2024-04-17 주식회사 아원 복합기능 그리스 레벨 팔로우형 전기식 그리스 베럴 펌프 및 그 배관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599U (ja) * 1983-08-09 1985-03-04 日本鋼管株式会社 給油装置
KR0158082B1 (ko) * 1995-07-07 1999-02-01 김현태 그리스 공급장치
KR20040006581A (ko) * 2002-07-12 2004-01-24 평화정공 주식회사 그리스 잔량 확인 장치
KR100458179B1 (ko) 2002-07-12 2004-11-26 평화정공 주식회사 그리스 통의 안착 유도용 가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599U (ja) * 1983-08-09 1985-03-04 日本鋼管株式会社 給油装置
KR0158082B1 (ko) * 1995-07-07 1999-02-01 김현태 그리스 공급장치
KR20040006581A (ko) * 2002-07-12 2004-01-24 평화정공 주식회사 그리스 잔량 확인 장치
KR100458179B1 (ko) 2002-07-12 2004-11-26 평화정공 주식회사 그리스 통의 안착 유도용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748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830B1 (ko)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US20200363011A1 (en) Pump having diagnostic system
US9222618B2 (en) Stepper motor driving a lubrication pump providing uninterrupted lubricant flow
KR102306481B1 (ko) 시린지 착탈 기구 및 상기 기구를 구비하는 장치
US9388940B2 (en) Variable speed stepper motor driving a lubrication pump system
JP5129150B2 (ja) シリンダ潤滑油の回分供給システムのための潤滑装置およびシリンダ潤滑油の回分供給方法
US9086186B2 (en) System having removable lubricant reservoir and lubricant refilling station
JP2011067756A (ja) 気泡混入防止機構および該機構を備える液体材料吐出装置並びに液体材料吐出方法
EP2713092A2 (en) Stepper motor driving a lubrication pump providing uninterrrupted lubricant flow
LT3482B (en) Device for lubrikation several lubrikation point of knitting mashine,particulary in oil
EP2713091A2 (en) Variable speed stepper motor driving a lubrication pump system
US6622824B2 (en) Lubrication supply system for a machine
AU754930B2 (en) Lubricant supply device
JP2018011944A (ja) ミシンの潤滑剤供給装置
KR200201377Y1 (ko) 그리스 주입기
KR101274073B1 (ko) 액정병 뚜껑
JP6496779B2 (ja) レーザ加工ヘッドに対する冷却水の供給方法及び装置並びに冷却水の製造方法
KR20240053341A (ko) 오일 자동 공급장치
KR20110006132U (ko) 유체 토출장치
KR200283053Y1 (ko) 자동주유기
JP2005067817A (ja) マンコンベアの給油装置
MXPA00004570A (en) Lubricant supply device
KR20130001445A (ko) 균일 유면 형성을 위한 그리스 공급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