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452B1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452B1
KR101287452B1 KR1020060084422A KR20060084422A KR101287452B1 KR 101287452 B1 KR101287452 B1 KR 101287452B1 KR 1020060084422 A KR1020060084422 A KR 1020060084422A KR 20060084422 A KR20060084422 A KR 20060084422A KR 101287452 B1 KR101287452 B1 KR 10128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
pattern
dot pattern
comparison
comparis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910A (ko
Inventor
정우준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452B1/ko
Priority to US11/685,883 priority patent/US8014032B2/en
Priority to CNA2007101044736A priority patent/CN101136995A/zh
Priority to EP07109417A priority patent/EP1895761B1/en
Publication of KR2008002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 H04N1/4051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producing a dispersed dots halftone pattern, the do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Abstract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엔진의 인쇄 특성이 반영된 복수의 도트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도트 패턴과 동일한 크기의 비교영역으로 분할하는 비교영역 분할부, 분할된 비교영역 각각에 대하여 비교영역 내의 도트를 도트 패턴과 비교하여 적합한 도트 패턴을 추출하는 패턴 추출부, 및 비교영역을 추출된 도트 패턴으로 변경하는 패턴 변경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최적의 하프토닝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레이저 프린터, 하프토닝, 도트 패턴, 엔진 특성, 보정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alftoning revis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복수의 도트 패턴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의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수행 결과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0 : 하프토닝부
120 : 도트패턴 생성부 130 : 저장부
140 : 비교영역 분할부 150 : 패턴 추출부
160 : 패턴 변경부 170 : 인쇄부
180 : 제어부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여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보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은 레이저 프린터(Laser Beam Printer), LPH(LED Print Head) 프린터 및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대전,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인쇄 화질을 들 수 있으며, 인쇄 화질을 결정하는 요소는 하드웨어나 미디어의 성능에 관련된 요소들과 소프트웨어에 관련된 요소들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드웨어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 엔진과 미디어의 성능에 관련된 요소에는 출력 해상도, 토너 특성, 및 엔진의 인쇄 위치 반복성 등이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나 미디어의 성능에 관련된 요소들은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나 미디어의 성능에 관련된 요소들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 보다 향상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나 미디어의 성능에 관련된 요소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화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이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여 생성한 복수의 도트 패턴들을 이용하여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최적의 하프토닝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엔진의 인쇄 특성이 반영된 복수의 도트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도트 패턴과 동일한 크기의 비교영역으로 분할하는 비교영역 분할부, 분할된 비교영역 각각에 대하여 비교영역 내의 도트를 도트 패턴과 비교하여 적합한 도트 패턴을 추출하는 패턴 추출부, 및 비교영역을 추출된 도트 패턴으로 변경하는 패턴 변경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패턴 추출부는 복수의 도트 패턴 중, 분할된 비교영역 내의 도트수와 동일한 도트수를 갖는 도트 패턴으로부터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동일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패턴 추출부는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동일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근접한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는 범위에서, 일정 크기 내에 소정 개수의 도트를 변경 배치하여 복수의 도트 패턴을 생성하는 도트패턴 생성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도트패턴 생성부는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여 스캔한 후, 스캔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엔진의 인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인쇄 특성이 반영된 복수의 도트 패턴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은,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도트 패턴과 동일한 크기의 비교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비교영역 각각에 대하여 비교영역 내의 도트를 도트 패턴과 비교하여 적합한 도트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및 비교영역을 추출된 도트 패턴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는, 복수의 도트 패턴 중, 분할된 비교영역 내의 도트수와 동일한 도트수를 갖는 도트 패턴으로부터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동일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동일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근접한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는 범위에서, 일정 크기 내에 소정 개수의 도트를 변경 배치하여 복수의 도트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도트패턴 생성부는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테스트 이미지를 스캔하는 단계, 및 스캔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엔진의 인쇄 특 성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하프토닝부(110), 도트패턴 생성부(120), 저장부(130), 비교영역 분할부(140), 패턴 추출부(150), 패턴 변경부(160), 인쇄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하프토닝부(110)는 입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하프토닝(Halftoning)을 수행한다. 통상, 하프토닝은 여러 레벨의 밝기값을 가지는 영상으로부터 흑백의 이진 영상을 만드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디더링(Dithering), 및 오차 확산법(Error Diffusion) 등이 있다.
도트패턴 생성부(120)는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도트 패턴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트패턴 생성부(120)는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는 범위에서, 일정 크기 내에 배치 가능한 도트의 개수별로 해당 개수의 도트 위치를 변경 배치하여 복수의 도트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트 패턴의 크기는 3×3일 수 있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실제로 출력하는 값 혹은 현상을 예측하는 기술을 모델링(Modeling) 기술이라고 한다. 모델링 기술은 엔진의 인쇄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된 정보를 모델링함으로써, 인쇄 동작시 발생 가능한 문제점 등을 미리 예측하여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다. 모델링 기술에 관하여는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트패턴 생성부(120)는 이러한 모델링 기술을 이용하여 엔진의 인쇄 특성을 반영한 도트 패턴을 생성한다.
도트패턴 생성부(120)는 인쇄부(170)를 통해 기설정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하고, 출력된 테스트 이미지를 스캔부(미도시)를 통해 스캔하여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분석하여 엔진의 인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도트패턴 생성부(12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저장부(130)는 도트패턴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복수의 도트 패턴을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패턴 추출부(150)의 요청이 있을 때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도트 패턴을 제공한다.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복수의 도트 패턴들은 검색이 용이하도록 각각의 인덱스값이 설정될 수 있다.
비교영역 분할부(140)는 하프토닝부(110)에 의해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도트 패턴과 동일한 크기의 비교영역으로 분할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트 패턴은 3×3 크기를 갖으므로, 비교영역 분할부(140)는 인쇄데이터를 3×3 크기의 비교영역으로 분할한다.
패턴 추출부(150)는 비교영역 분할부(140)에 의해 도트 패턴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분할된 비교영역 각각에 대하여, 분할된 비교영역 내의 도트를 도트 패턴과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패턴을 추출한다.
패턴 추출부(150)는 복수의 비교영역 각각에 대하여, 각 비교영역 내의 도트수와 동일한 도트수를 갖는 도트 패턴과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패턴을 추출하게 된 다.
패턴 추출부(150)는 각 비교영역 내의 도트수와 동일한 도트수를 갖는 도트 패턴들 중,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동일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트 패턴은 도트패턴 생성부(120)에서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여 생성한 것이 때문에, 3×3 크기에 도트가 다양하게 배치되는 모든 형태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패턴 추출부(150)에서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동일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하지 못하는 경우,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모든 도트가 정확히 일치하는 도트 패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를 살펴본다. 비교영역 내의 도트수가 3개일 경우, 패턴 추출부(150)는 복수의 도트 패턴들 중 3개의 도트수를 갖는 도트 패턴들에서 해당 도트 패턴을 추출하게 되는데, 3개의 도트수를 갖는 도트 패턴들 중에서 2개의 도트는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동일 위치에 존재하고, 하나의 도트는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변경부(160)는 패턴 추출부(150)에서 추출한 도트 패턴에 의해 인쇄데이터의 비교영역을 변경한다. 즉, 패턴 변경부(160)는 패턴 추출부(150)에서 추출한 도트 패턴들을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의 해당 비교영역에 매칭시킴으로써, 새로운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생성한다.
인쇄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부(170)는 패턴 변경부(160)에 의해 비교영역 단위로 도트 패턴과 매칭되어 생성된 새로운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인쇄한다. 또한, 인쇄부(170)는 도트패턴 생성부(120)에서 도트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테스트 이미지를 인쇄한다.
제어부(180)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하프토닝부(110), 도트패턴 생성부(120), 저장부(130), 비교영역 분할부(140), 패턴 추출부(150), 패턴 변경부(160), 및 인쇄부(170)들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복수의 도트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트패턴 생성부(120)에서 생성되는 복수의 도트 패턴을 도 2에 예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도트 패턴의 크기가 3×3이라면, 하나의 도트 패턴 내에 배치 가능한 도트의 수는 0, 1, 2, ..., 9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도트 패턴 내에 0개 및 9개의 도트가 배치될 경우는 각 하나의 형태의 패턴만이 생성되나, 1개 내지 8개의 도트가 배치될 경우는 도트의 배치 위치에 따라 여러 형태의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도트 패턴 내에 1개의 도트가 배치되는 경우는 9개의 경우의 수가 있을 수 있으나, 도트패턴 생성부(120)는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하지 않은 경우의 수는 도트 패턴으로 제외한다.
즉, 도트패턴 생성부(120)는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는 범위에서, 일정 크기 예를 들어, 3×3 크기 내에 배치 가능한 도트의 개수별로 해당 개수의 도트 위치를 변경 배치하여 복수의 테스트 패턴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도트패턴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도트 패턴은 총 512개일 수 있다.
도 3은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의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는 하프토닝부(110)에 의해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예시한 것이다. 비교영역 분할부(140)에서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3×3 크기의 비교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비교영역 중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a)에서는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 중 하나의 비교영역에 3개의 도트가 배치된 일 예를 도시하였다.
(b)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도트 패턴의 일부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도트 패턴들은 각 도트 패턴의 식별 및 검색의 용이성을 위한 인덱스값을 갖는다.
패턴 추출부(150)는 비교영역 분할부(140)에 의해 분할된 비교영역에 적합한 도트 패턴을 추출한다. (b)에서는 복수의 도트 패턴 중, 인덱스값 186을 갖는 도트 패턴이 추출된 일 예를 도시하였다.
(a)에서 도시한 비교영역에는 3개의 도트가 배치되어 있으며, (b)에서 복수의 도트 패턴들 중 추출된 하나의 도트 패턴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두 개의 도트의 배치 위치가 동일하고, 다른 하나의 도트의 위치만이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로 배치 위치가 다른 하나의 도트들도 서로 인접한 픽셀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b)에 도시한 패턴 추출부(150)에서 추출한 인덱스값 186을 갖는 도트 패턴 은 저장부(130)에 기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도트 패턴 중 (a)에서 도시한 비교영역의 도트들과 가장 유사한 형태인 것으로 판단되어 추출된 것이다.
(c)는 패턴 변경부(160)에 의해 (b)에서 추출된 인덱스값 186을 갖는 도트 패턴이 (a)의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에 매칭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비교영역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a)의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의 모든 비교영역에 대하여 도트 패턴이 매칭되면,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가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인쇄데이터로 변경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수행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한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의 변경 과정을 통해,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복수의 도트 패턴 중에서 추출된 적합한 도트 패턴으로 변경하였을 때의 결과를 종래의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원본 인쇄데이터(A)를 하프토닝부(110)에서 하프토닝을 수행하면,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는 종래의 방법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프토닝부(110)에서 하프토닝되어 생성된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를 비교영역 분할부(140)에서 비교영역으로 분할하고, 패턴 추출부(150)에서 분할된 비교영역별로 각각의 도트 패턴을 추출하며, 패턴 변경부(160)에서 각 비교영역을 추출된 도트 패턴으로 변경하면, 모델링 반영 인쇄데이터(C)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트패턴 생성부(120)에서 모델링 기술을 반영하여 도트 패턴을 생성한 것이므로, 패턴 변경부(160)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인쇄데이터를 모델링 반영 인쇄데이터(C) 라 하였다.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 및 모델링 반영 인쇄데이터(C)를 서로 비교하여 살펴보면, 종래의 방식에 의해 하프토닝만을 수행했을 경우의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에 비하여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한 모델링 반영 인쇄데이터(C)가 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b에서는 도 4a에서와 동일하게 원본 인쇄데이터(A),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의 다른 예를 도시하였다. 다만,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를 스캔하였을 때의 스캔된 인쇄데이터(D)를 더 예시하였다.
도 4b에 예시한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 스캔된 인쇄데이터(D), 및 모델링 반영 인쇄데이터(C)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 및 스캔된 인쇄데이터(D)에 비하여 모델링 반영 인쇄데이터(C)가 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인쇄데이터가 입력되면, 하프토닝부(110)는 원본 인쇄데이터(A)에 대한 하프토닝을 수행한다. 하프토닝부(110)에 의해 하프토닝이 되면, 도 4a 및 도 4b에 예시한 바와 같은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가 생성된다(S200).
비교영역 분할부(140)는 하프토닝부(110)에 의해 생성된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를 저장부(130)에 기저장되어 있는 도트 패턴과 동일한 크기 즉, 3×3 크기의 비교영역으로 분할한다(S210).
패턴 추출부(150)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도트 패턴 중에서 비교영역 분할부(140)에 의해 분할된 비교영역 내의 도트수와 동일한 도트수를 갖는 도트 패턴과 해당 비교영역을 비교한다(S220).
패턴 추출부(150)는 S220 단계의 비교 결과에 의해, 비교영역 내의 도트수와 동일한 도트수를 갖는 도트 패턴으로부터 비교영역 각각에 매칭할 적합한 도트 패턴을 추출한다(S230).
패턴 변경부(160)는 패턴 추출부(150)에 의해 추출된 도트 패턴을 비교영역 분할부(140)에서 분할된 해당 비교영역에 매칭시킨다. 이에 의해, 패턴 변경부(160)에 의해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B)가 모델링 반영 인쇄데이터(C)로 변경된다(S240).
인쇄부(170)는 패턴 변경부(160)에 의해 생성된 모델링 반영 인쇄데이터(C)를 인쇄한다(S25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출력되는 인쇄 결과물은 종래의 하프토닝만을 수행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보다 개선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은 모델링 기술에 의해 엔진의 인쇄 특성이 반영된 도트 패턴에 의해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보완함으로써, 하드웨어 특성을 최대로 반영한 최적의 하프토닝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 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엔진의 인쇄 특성이 반영된 복수의 도트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상기 도트 패턴과 동일한 크기의 비교영역으로 분할하는 비교영역 분할부;
    상기 분할된 비교영역 각각에 대하여 상기 비교영역 내의 도트를 상기 도트 패턴과 비교하여 적합한 도트 패턴을 추출하는 패턴 추출부; 및
    상기 비교영역을 상기 추출된 도트 패턴으로 변경하는 패턴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추출부는, 상기 복수의 도트 패턴 중, 상기 분할된 비교영역 내의 도트수와 동일한 도트수를 갖는 도트 패턴으로부터 상기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동일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추출부는, 상기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동일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근접한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는 범위에서, 일정 크기 내에 소정 개수의 도트를 변경 배치하여 상기 복수의 도트 패턴을 생성하는 도트패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패턴 생성부는,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여 스캔한 후, 상기 스캔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엔진의 인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6. 엔진의 인쇄 특성이 반영된 복수의 도트 패턴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에 있어서,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상기 도트 패턴과 동일한 크기의 비교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비교영역 각각에 대하여 상기 비교영역 내의 도트를 상기 도트 패턴과 비교하여 적합한 도트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영역을 상기 추출된 도트 패턴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도트 패턴 중, 상기 분할된 비교영역 내의 도트수와 동일한 도트수를 갖는 도트 패턴으로부터 상기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동일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동일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비교영역 내의 도트와 근접한 위치에 도트가 배치되어 있는 도트 패턴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는 범위에서, 일정 크기 내에 소정 개수의 도트를 변경 배치하여 상기 복수의 도트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트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테스트 이미지를 스캔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엔진의 인쇄 특성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11. 화상 형성을 위한 엔진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인쇄 특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도트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하프토닝된 인쇄데이터를 복수의 비교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비교영역 각각에 대하여 상기 비교영역 내의 도트를 상기 복수의 도트 패턴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도트 패턴을 갖는 비교 영역에 기반하여 새로운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영역 내의 도트를 상기 생성된 도트 패턴 중 유사한 도트 패턴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KR1020060084422A 2006-09-01 2006-09-0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KR10128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422A KR101287452B1 (ko) 2006-09-01 2006-09-0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US11/685,883 US8014032B2 (en) 2006-09-01 2007-03-14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alftoning correction method thereof
CNA2007101044736A CN101136995A (zh) 2006-09-01 2007-04-23 电子照相成像设备及其半色调修正方法
EP07109417A EP1895761B1 (en) 2006-09-01 2007-06-01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alftoning corre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422A KR101287452B1 (ko) 2006-09-01 2006-09-0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910A KR20080020910A (ko) 2008-03-06
KR101287452B1 true KR101287452B1 (ko) 2013-07-19

Family

ID=3856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422A KR101287452B1 (ko) 2006-09-01 2006-09-0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14032B2 (ko)
EP (1) EP1895761B1 (ko)
KR (1) KR101287452B1 (ko)
CN (1) CN1011369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4750B2 (en) * 2009-03-13 2012-03-13 Ricoh Production Print Solutions LLC Printing with alternative halftone patterns in ink jet printing to reduce ink penetration
JP5590960B2 (ja) * 2010-05-06 2014-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039065A (zh) * 2010-11-09 2013-04-10 北京中科纳新印刷技术有限公司 采用元点点阵存储、输出信息的制版方法及设备
US8848250B2 (en) * 2012-10-23 2014-09-30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Compression of halftoned digital imag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6614A (en) * 1979-12-26 1981-01-20 Xerox Corporation Binary graphic printer system having an electronic screen with shift control suited for rescreening
US5697712A (en) * 1991-12-26 1997-12-16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50113510A (ko) * 2004-05-29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하프토닝 처리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9694A (en) * 1979-08-24 1981-03-31 Xerox Corporation Electronic rescreen technique for halftone pictures
US4288821A (en) * 1980-06-02 1981-09-08 Xerox Corporation Multi-resolutio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241157B2 (ja) 1993-04-19 2001-12-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網点画像データ補正方法および補正機能を有する画像処理装置
JP4530438B2 (ja) * 1998-08-11 2010-08-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586649B2 (en) * 2004-12-27 2009-09-0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mpressing image dat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6614A (en) * 1979-12-26 1981-01-20 Xerox Corporation Binary graphic printer system having an electronic screen with shift control suited for rescreening
US5697712A (en) * 1991-12-26 1997-12-16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50113510A (ko) * 2004-05-29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하프토닝 처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36995A (zh) 2008-03-05
US8014032B2 (en) 2011-09-06
EP1895761A2 (en) 2008-03-05
EP1895761A3 (en) 2010-05-12
EP1895761B1 (en) 2012-08-08
US20080055650A1 (en) 2008-03-06
KR20080020910A (ko)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2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066037B2 (en) Threshold matrix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threshold matrix for generating threshold matrix of predetermined size used for halftone processing of multitone image data using dithering method
EP3445030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printing system, halftone process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287452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하프토닝 보정 방법
US7180625B2 (en) Printer controll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96522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rinting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printed material
JP200005652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
US2007015965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93852A (ja) 印刷装置、印刷装置制御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及び印刷装置制御方法、並びに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及び画像処理方法
US20050134921A1 (en) Multi-level error diffusion with color image data
US7315315B2 (en) Halftone processing method in laser printe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287451B1 (ko) 화질 개선을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질개선방법
US20050135674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multi-level data
JP4496897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階調補正方法
US790327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cting whether a scanned document is an original paper,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such an apparatus
JP709895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05930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dividing image data for multi-pass scans using mask based on beam deviations
EP2107791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0017733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09022537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613279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印刷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H1027834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4851593B2 (ja) 二値化用パターン作成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388024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3825134B2 (ja) 画像補正装置及び画像補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