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221B1 -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 Google Patents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221B1
KR101287221B1 KR1020120008582A KR20120008582A KR101287221B1 KR 101287221 B1 KR101287221 B1 KR 101287221B1 KR 1020120008582 A KR1020120008582 A KR 1020120008582A KR 20120008582 A KR20120008582 A KR 20120008582A KR 101287221 B1 KR101287221 B1 KR 101287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ember
tissue
reel
rotary tub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지훈
우창억
Original Assignee
우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지훈 filed Critical 우지훈
Priority to KR102012000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4Jumbo ro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에 관한 것으로, 걸이봉을 구비하여 롤을 축 삽입하고 롤에 감긴 휴지를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회전 가능하도록 걸이봉에 축 삽입되고 롤의 내측에 접하도록 롤에 삽입됨으로써 휴지의 인출시 롤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관부재, 이 회전관부재와 별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릴, 및 휴지의 정량 인출시까지 회전되는 회전관부재에 릴이 구속되도록 하며 휴지의 인출을 위한 외력 제거시 릴을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제 1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공중화장실 등에 구비된 점보롤 휴지걸이로부터 휴지를 정량(定量)만큼만 인출할 수 있어 휴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쓰레기 처리 및 쓰레기통의 위생 청결에 이바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TISSUE FEED APPARATUS}
본 발명은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화장실 등에 구비된 점보롤 휴지걸이로부터 휴지를 정량(定量)만큼만 인출할 수 있어 휴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쓰레기 처리 및 쓰레기통의 위생 청결에 이바지할 수 있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게 되는 공중화장실에는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화장실 내부 벽면의 적정 위치에 점보롤 휴지걸이를 제공하여 휴지를 거치시킴으로서 화장실 이용객이 용무 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휴지걸이에 대해서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15863호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의 화장실용 점보롤 휴지걸이는 휴지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너무 많이 회전되어 풀리거나, 사용자의 과욕으로 필요 이상의 휴지가 인출됨에 따라 휴지의 낭비를 초래하고, 쓰레기통의 빈번한 수거가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중화장실 등에 구비된 점보롤 휴지걸이로부터 휴지를 설정길이에 해당되는 정량(定量)만큼만을 인출할 수 있어 휴지의 낭비를 방지하여 쓰레기를 줄이고자 하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지를 당기는 외력 제거시 자동 탄성 복원되어 다시 설정길이에 해당되는 정량만큼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는: 걸이봉을 구비하여 롤을 축 삽입하고 롤에 감긴 휴지를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걸이봉에 축 삽입되고 상기 롤의 내측에 접하도록 상기 롤에 삽입됨으로써 휴지의 인출시 상기 롤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관부재, 상기 회전관부재와 별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릴, 및 상기 휴지의 정량 인출시까지 회전되는 상기 회전관부재에 상기 릴이 구속되도록 하며, 상기 휴지의 인출을 위한 외력 제거시 상기 릴을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제 1구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구속부는, 상기 걸이봉과 상기 릴을 축 삽입하고 상기 회전관부재에 축 삽입되어 상기 회전관부재에 구속시 상기 회전관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구속관부재, 상기 구속관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힌지 연결된 제 1걸림부재, 상기 제 1걸림부재를 향하도록 상기 릴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휴지를 당기는 외력 작용시 상기 제 1걸림부재의 타측이 걸림으로써 상기 릴이 상기 회전관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제 1래치기어, 및 휴지를 당기는 외력 작용시 상기 제 1걸림부재가 상기 제 1래치기어에 물리도록 하고 외력 제거시 상기 제 1걸림부재가 상기 제 1래치기어에 물림 해제시키는 물림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림유도부는, 상기 구속관부재의 둘레면에 돌출된 스토퍼핀, 상기 회전관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설정회전량만큼 회전 후 상기 구속관부재를 상기 회전관부재에 구속하는 스토퍼수용홀부, 상기 제 1걸림부재의 타측과 상기 회전관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전관부재의 설정회전량만큼 회전시 상기 제 1걸림부재의 타측을 당겨 상기 제 1래치기어에 물리도록 하는 당김와이어, 및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제 1걸림부재의 타측을 연결하여 상기 당김와이어의 당김력 해제시 상기 제 1걸림부재의 타측을 탄성적으로 당겨 상기 제 1걸림부재에 대해 물림 해제시키는 제 1탄성당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관부재와 상기 구속관부재 사이에는 설정회전량만큼 회전된 상기 회전관부재의 초기 위치까지 역회전되도록 복귀탄성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봉은 롤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캡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구속부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어 휴지의 정량 인출시까지 회전된 상기 릴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둘레면에 감긴 채 상기 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관부재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릴에 설정 길이만큼 감기는 권취로프, 및 상기 권취로프를 당기는 외력 제거시 상기 보빈을 탄성적으로 감아 상기 권취로프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보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파이럴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구속관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제 2구속부에 의해 타방향 회전이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구속부는, 상기 구속관부재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링부재, 상기 링부재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힌지 연결된 제 2걸림부재,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구속관부재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제 2걸림부재와의 구속을 해제하고 상기 회전관부재의 타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걸림부재를 걸리게 하는 제 2래치기어, 및 상기 구속관부재의 타방향 회전을 막기 위해 상기 제 2걸림부재를 탄성적으로 당겨 상기 제 2래치기어에 걸리도록 상기 링부재에 연결되는 제 2탄성당김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는 종래 기술과 달리 공중화장실 등에 구비된 점보롤 휴지걸이로부터 휴지를 설정길이에 해당되는 정량(定量)만큼만을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지를 당기는 외력 제거시 자동 탄성 복원되어 다시 설정길이에 해당되는 정량만큼만 인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1구속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2구속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1구속부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1구속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1구속부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1구속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권취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2구속부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2구속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1구속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2구속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1구속부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1구속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1구속부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1구속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권취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2구속부 평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의 제 2구속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는 공중화장실 등에 구비된 휴지(4)를 설정길이만큼만 반복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케이스(10), 회전관부재(20), 릴(30) 및 제 1구속부(100)를 포함한다.
특히, 휴지(4)는 롤(2)에 감기게 되고, 롤(2)은 점보롤 휴지걸이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0)에 설치된다.
즉, 케이스(10)는 내측에 걸이봉(12)을 고정되게 구비하고, 롤(2)은 걸이봉(12)에 축 삽입된다. 이때, 케이스(10)는 걸이봉(12)에 롤(2)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덮개(14)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케이스(10)는 휴지(4)를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휴지(4)를 잡아당기게 되면, 휴지(4)는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연속되게 인출되면서 롤(2)은 걸이봉(12)에 대해 일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케이스(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걸이봉(12)은 원형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케이스(10)는 공중화장실의 벽면 등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회전관부재(20)는 걸이봉(12)에 이탈 가능하도록 축 삽입된다. 즉, 회전관부재(20)는 걸이봉(12)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관부재(20)는 케이스(10)에 고정된 걸이봉(1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회전관부재(20)는 롤(2)의 내측에 축 삽입된다. 이에 따라, 회전관부재(20)는 롤(2)의 내측면에 직접적으로 접하게 된다.
사용자가 휴지(4)를 당기게 되면, 롤(2)은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회전관부재(20)는 롤(2)과의 마찰로 인해 걸이봉(12)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회전관부재(20)는 걸이봉(1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롤(2)은 회전관부재(20)의 축 방향을 따라 회전관부재(20)의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다. 그래서, 걸이봉(12)에는 롤(2)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캡(17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캡(170)은 걸이봉(12)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한편, 릴(30)은, 후술할, 구속관부재(110)를 축 삽입한다. 그리고, 릴(30)은 회전관부재(20)에 구속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회전관부재(20)와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물론, 릴(3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휴지(4)는 일정길이에 해당되는 정량만 케이스(10)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즉, 회전관부재(20)와 롤(2) 및 구속관부재(110)는 서로 구속된 채 일정한 회전량만큼만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휴지(4)는 낭비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 1구속부(100)가 구비된다.
제 1구속부(100)는 휴지(4)의 정량 인출시까지 회전되는 회전관부재(20)에 간접적으로 릴(30)을 구속하며, 휴지(4)의 인출을 위한 외력 제거시 릴(30)을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구속부(100)는 휴지(4)의 잡아당기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관부재(20)에 간접적으로 릴(30)을 구속하여 릴(30)을 탄성적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외력 제거시 회전관부재(20)와 구속관부재(110)에 구속되지 않은 채 릴(30)을 탄성 복원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서처럼, 제 1구속부(100)는 구속관부재(110), 플랜지(120), 제 1걸림부재(130), 제 1래치기어(140), 물림유도부(150), 복귀탄성부재(160) 및 권취부(180)를 포함한다.
구속관부재(110)는 걸이봉(12)을 축 삽입한다. 그리고, 구속관부재(110)는 회전관부재(20)에 축 삽입된다. 따라서, 걸이봉(12)의 외측에는 구속관부재(110)가 구비되고, 구속관부재(110)의 외측에는 회전관부재(20)가 구비된다. 이때, 구속관부재(110)는 릴(30)을 축 삽입한다. 그래서, 구속관부재(110)의 외측에는 회전관부재(20)와 릴(30)이 함께 구비된다. 초기 상태에서, 구속관부재(110), 회전관부재(20) 및 릴(30)은 서로 구속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한편, 구속관부재(110)는 회전관부재(20)에 구속시 회전관부재(20)와 함께 회전된다. 이때, 릴(30)은 구속관부재(110)에 구속된다. 따라서, 회전관부재(20)와 구속관부재(110) 및 릴(30)은 휴지(4)의 인출을 위해 릴(2)의 회전시 서로 구속된다. 그래서, 회전관부재(20)와 구속관부재(110) 및 릴(30)은 휴지(4)의 인출 방향에 해당되는 일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플랜지(120)는 구속관부재(110)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물론, 플랜지(120)는 구속관부재(110) 자체일 수도 있고, 구속관부재(1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형성될 수도 있다. 플랜지(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제 1걸림부재(130)는 플랜지(12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된다. 이때, 제 1걸림부재(130)는 제 1피벗핀(132)에 의해 플랜지(120)에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걸림부재(130)는 제 1피벗핀(132)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 1걸림부재(130)가 플랜지(120)에 설치되는 위치는 한정하지 않으나, 편의상, 릴(30)을 향하는 플랜지(1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제 1래치기어(140)는 제 1걸림부재(130)에 대응되도록 릴(30)의 타측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1래치기어(140)는 회전관부재(20)의 일방향 회전시 제 1걸림부재(130)를 걸리게 하여 릴(30)을 구속관부재(110) 및 회전관부재(2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즉, 회전관부재(20)가 일방향으로 설정회전량만큼 회전시, 회전관부재(20)는 구속관부재(110)를 구속하고, 구속관부재(110)는 릴(30)을 구속한다.
따라서, 회전관부재(20)가 일방향으로 설정회전량만큼 회전 후, 회전관부재(20)와 구속관부재(110) 및 릴(30)은 서로 구속되어 일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일방향'은 휴지(4)의 인출을 위해 회전관부재(20)가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제 1래치기어(140)는 릴(3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속하고, 릴(3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 1걸림부재(110)와의 구속이 자동 해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타방향'은 일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그래서, 물림유도부(150)가 구비된다. 물림유도부(150)는 휴지(4)를 당기는 외력 작용시 제 1걸림부재(130)가 제 1래치기어(140)에 물리도록 하고, 외력 제거시 제 1걸림부재(130)가 제 1래치기어(140)에 물림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물림유도부(150)는 스토퍼핀(152), 스토퍼수용홀부(154), 당김와이어(156) 및 제 1탄성당김부재(158)를 포함한다.
스토퍼핀(152)은 구속관부재(110)의 둘레면에 돌출된다. 물론, 스토퍼핀(152)이 구속관부재(110) 둘레면에 형성되는 위치는 한정하지 않으나, 편의상, 스토퍼핀(152)은 구속관부재(110)의 축 방향을 따라 제 1걸림부재(130)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스토퍼핀(152)은 구속관부재(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구속관부재(11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토퍼핀(15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스토퍼수용홀부(154)는 회전관부재(2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스토퍼(152)를 삽입함으로써 설정회전량만큼 회전 후 구속관부재(110)를 회전관부재(20)에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설정회전량'은 스토퍼수용홀부(154)의 내부 일측면에 접한 스토퍼(152)가 스토퍼수용홀부(154)의 내부 타측면에 접할 때까지의 회전관부재(20)의 회전량을 말한다.
즉, 도 7 및 도 8에서처럼, 회전관부재(20)가 일방향 회전을 위한 외력을 받지 않은 초기에, 스토퍼(152)는 스토퍼수용홀부(154)의 내부 일측면에 접한 상태가 된다.
이때, 제 1걸림부재(130)는 제 1래치기어(140)에 물리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서처럼, 회전관부재(20)가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토퍼(152)는 스토퍼수용홀부(154)의 내부 타측면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설정회전량'은 스토퍼(152)가 스토퍼수용홀부(154)의 내부 일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스토퍼수용홀부(154)의 내부 타측면에 접할 때까지의 회전관부재(20)의 회전량을 말한다.
이때, 제 1걸림부재(130)는 제 1래치기어(140)에 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후, 회전관부재(20)가 정해진 회전량만큼 더 회전하게 되면, 회전관부재(20)와 릴(30) 및 구속관부재(110)는 동일하게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수용홀부(154)는 회전관부재(20)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당김와이어(156)는 제 1걸림부재(130)의 타측과 회전관부재(20)를 연결함으로써 회전관부재(20)의 설정회전량만큼 회전시 제 1걸림부재(130)의 타측을 당겨 제 1래치기어(140)에 물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회전관부재(20)와 제 1걸림부재(130)는 플랜지(12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기 때문에, 플랜지(120)는 당김와이어(156)를 삽입할 수 있도록 연통홀(157)을 통공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당김와이어(156)는 일측이 제 1걸림부재(130)의 타측에 연결된 후 플랜지(120)의 연통홀(157)을 통과하고 나서 회전관부재(20)에 연결된다. 물론, 당김와이어(156)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 1걸림부재(130)와 회전관부재(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52)가 스토퍼수용홀부(154)의 내부 타측면에 접할 때까지 회전관부재(20)가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당김와이어(156)는 회전관부재(20)의 회전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당김와이어(156)는 제 1걸림부재(130)의 타측을 당겨 제 1래치기어(140)에 물리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회전관부재(20)가 정해진 회전량만큼 더 회전하게 되면, 제 1걸림부재(130)는 제 1래치기어(140)에 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회전관부재(20)와 릴(30) 및 구속관부재(110)는 동일하게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 1탄성당김부재(158)는 플랜지(120)와 제 1걸림부재(130)의 타측을 연결하여 당김와이어(156)의 당김력 해제시 제 1걸림부재(130)의 타측을 탄성적으로 당겨 제 1걸림부재(130)에 대해 물림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탄성당김부재(158)는 일측을 플랜지(120)에 연결하고, 타측을 제 1걸림부재(130)에 연결한다. 그래서, 당김와이어(156)가 당겨질 경우, 제 1걸림부재(130)는 제 1래치기어(140)에 물리게 되고, 제 1탄성당김부재(158)는 인장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제 1탄성당김부재(158)는 압축되어 초기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을 작용하게 된다.
이 후, 회전관부재(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제 1탄성당김부재(158)는 탄성 복귀하려는 힘에 의해 제 1걸림부재(1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래서, 제 1걸림부재(130)는 제 1래치기어(140)와의 물림이 해제된다. 여기서, 제 1탄성당김부재(158)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탄성당김부재(158)가 플랜지(120)와 제 1걸림부재(130)에 연결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회전관부재(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즉, 휴지(4)를 설정량만큼 인출 후 인출된 휴지(4)를 떼어내면, 스토퍼(152)가 스토퍼수용홀부(154)의 내부 일측면에 접할 때까지, 회전관부재(20)는 역회전되어 초기화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회전관부재(20)와 구속관부재(110) 사이에는 설정회전량만큼 회전된 회전관부재(20)의 초기 위치까지 역회전되도록 복귀탄성부재(1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복귀탄성부재(160)는 일측이 회전관부재(20)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구속관부재(110)의 외측면에 연결된다. 물론, 복귀탄성부재(160)는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관부재(20)와 구속관부재(110)에 연결된다. 그래서, 회전관부재(20)가 일방향으로 설정회전량만큼 회전하게 되면, 복귀탄성부재(160)는 회전관부재(20)를 타방향으로 설정회전량만큼 회전시키려는 힘을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회전관부재(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외력이 제거되면, 회전관부재(20)는 복귀탄성부재(1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역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152)는 스토퍼수용홀부(154)의 내부 일측면에 접하게 된다.
한편, 제 1구속부(100)는 케이스(10)에 연결되어 휴지(4)의 정량 인출시까지 회전된 릴(3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권취부(180)를 더 포함한다.
도 2, 도 4 및 도 11에서처럼, 권취부(180)는 케이스(10)에 고정 설치되어 릴(30)의 일방향 회전시 릴(30)에 탄성적으로 감기도록 이루어져, 외력 제거된 상태에서 탄성 복원됨에 따라 릴(30)을 자동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 복귀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권취부(180)는 보빈(182), 권취로프(184) 및 스파이럴스프링(186)을 포함한다.
보빈(182)은 권취로프(184)를 감고, 스파이럴스프링(186)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빈(182)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우징이 케이스(10)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보빈(18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권취로프(184)는 일측이 보빈(182)에 연결되고, 타측이 릴(30)에 연결된다.
그래서, 권취로프(184)는 보빈(182)의 둘레면에 감긴 채, 릴(30)에 연결되어 회전관부재(20)의 일방향 회전시 릴(30)에 설정 길이만큼 감기게 된다. 그래서, 권취로프(184)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릴(30)은 둘레면에 감기는 권취로프(184)의 길이만큼만 회전관부재(2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롤(2)은 릴(30)과 동일한 회전량만큼만 회전됨에 따라, 휴지(4)는 롤(2)에 감기는 권취로프(184)의 길이만큼 인출된다. 여기서, 권취로프(184)의 길이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케이스(10) 외측으로 휴지(4)를 당기면, 롤(2)이 일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롤(2)과 접하는 회전관부재(20)는 마찰력에 의해 롤(2)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연동되어, 회전관부재(20)는 스토퍼핀(152)에 의해 구속관부재(110)를 구속하고, 제 1걸림부재(130)가 제 1래치기어(140)에 걸림으로써 릴(30)은 구속관부재(110)에 구속된다.
그래서, 회전관부재(20)와 구속관부재(110) 및 릴(30)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릴(30)이 권취로프(184)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권취로프(184)는 설정길이만큼 릴(30)에 감기게 된다. 이때, 보빈(182)은 권취로프(184)의 풀리는 방향인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권취로프(184)가 설정길이만큼 릴(30)에 감기게 되면, 릴(30)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휴지(4)는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정량 인출된 휴지(4)를 뜯게 되면, 롤(2)에 감긴 휴지(4)에 가해진 당기는 외력이 제거된다.
이로 인해, 권취로프(184)는 차후 휴지(4)의 정량 인출을 위해 보빈(182)에 감겨짐과 동시에 회전관부재(20)는 복귀탄성부재(1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초기 위치'는 스토퍼(152)가 스토퍼수용홀부(154)의 내부 일측면에 접한 상태를 말한다.
아울러, 권취로프(184)를 당기는 외력 제거시, 보빈(182)을 탄성적으로 감아 권취로프(184)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보빈(18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파이럴스프링(186)이 구비된다.
즉, 스파이럴스프링(186)은 보빈(182)의 내측에 구비되어 보빈(182)의 일방향 회전시 탄성적으로 풀려지게 되고, 외력 제거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감겨지면서 보빈(182)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스파이럴스프링(186)은 일반적인 태엽스프링이다.
물론, 스파이럴스프링(186)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단이 보빈(182)에 연결되고, 타단이 케이스(10)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케이스(10) 외측으로 정량 인출된 휴지(4)를 뜯게 되면, 롤(2)에 감긴 휴지(4)에 외력이 제거된다.
그러면, 풀려진 스파이럴스프링(186)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감겨지고, 이에 연동되어, 보빈(182)이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릴(30)에 감긴 권취로프(184)는 보빈(182)에 감기게 된다.
이때, 회전관부재(20)가 복귀탄성부재(1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당김와이어(156)의 당김력이 해제되고, 제 1걸림부재(130)는 제 1래치기어(140)와 구속 해지된다. 그래서, 릴(30)은 회전관부재(20)와 구속관부재(110)에 구속 해지된 상태로 독립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릴(30)에 감겨진 양만큼의 권취로프(184)가 보빈(182)에 감겨지게 되면, 릴(30)은 회전을 정지하게 되어 초기화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지(4)를 케이스(10)로부터 인출하게 되면, 롤(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회전관부재(20)가 롤(2)과 마찰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관부재(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구속관부재(110)의 스토퍼핀(152)은 회전관부재(20)의 스토퍼수용홀부(154) 내부 일측면 접한 상태에서 스토퍼수용홀부(154)의 내부 타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일측이 회전관부재(20)에 연결된 당김와이어(156)가 당겨지면서, 당김와이어(156)의 타측이 연결된 제 1걸림부재(130)의 타측이 제 1래치기어(140)에 물리게 된다.
그래서, 휴지(4)가 정량 인출될 때까지, 회전관부재(20)는 구속관부재(110)와 릴(30)을 구속하여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특히, 릴(30)이 일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보빈(182)에 감긴 권취로프(184)의 정해진 길이만큼이 릴(30)의 둘레면에 감기게 된다.
이때, 권취로프(184)의 허용길이가 릴(30)에 감기게 되면, 회전관부재(20)는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량 인출된 휴지(4)를 뜯게 된다.
여기서, 회전관부재(20)와 구속관부재(110)에 연결되는 복귀탄성부재(160)는 탄성 복원되려는 힘을 작용하게 되고, 제 1탄성당김부재(158)는 인장되어 압축되려는 힘을 받게된다.
이 후, 회전관부재(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외력이 제거됨으로써, 권취로프(184)의 스파이럴스프링(18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보빈(182)에 다시 감기게 된다. 즉, 릴(30)은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복귀탄성부재(160)가 탄성 복원됨으로써, 회전관부재(2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아울러, 당김와이어(156)는 당기는 외력이 제거됨으로써, 제 2걸림부재(130)는 제 1탄성당김부재(15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물려있는 제 1래치기어(140)로부터 물림 해제된다.
그래서, 릴(30)은 타??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릴(30)이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 1걸림부재(130)가 제 1래치기어(140)와 마찰이나 간섭을 받을 경우, 구속관부재(110)는 자연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핀(152)에 의해, 회전관부재(20)도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2)에 감긴 휴지(4)의 단부는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케이스(10)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휴지(4)를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구속관부재(110)는 케이스(10)에 연결된 제 2구속부(200)에 의해 타방향 회전이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12에서처럼, 제 2구속부(200)는 링부재(210), 제 2걸림부재(220), 제 2래치기어(230) 및 제 2탄성당김부재(240)를 포함한다.
링부재(210)는 구속관부재(11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링부재(210)는 구속관부재(110)의 둘레면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링부재(210)는 구속관부재(11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제 2걸림부재(220)는 링부재(210)의 둘레면에 힌지 연결된다. 이때, 제 2걸림부재(220)는 제 2피벗핀(222)에 의해 링부재(210)에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구속관부재(110) 자체가 제 2피벗핀(222)에 의해 제 2걸림부재(220)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형상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걸림부재(220)는 제 2피벗핀(222)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 2걸림부재(220)는 링부재(210)에 설치되는 위치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 2래치기어(230)는 제 2걸림부재(220)에 대응되는 케이스(10)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2래치기어(230)는 구속관부재(110)의 일방향 회전시 제 2걸림부재(220)와의 구속을 해제한다. 즉, 구속관부재(110)가 릴(30)을 구속한 채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 2래치기어(230)는 제 2걸림부재(220)와의 구속을 해지함으로써 구속관부재(110)의 일방향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제 2래치기어(230)는 구속관부재(110)의 타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 2걸림부재(220)를 걸리게 한다.
즉, 도 13에서처럼, 릴(30)이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 1걸림부재(130)와 제 1래치기어(140)의 마찰 등으로 인해, 구속관부재(110)가 자연적으로 타방향 회전되려고 하는데, 구속관부재(110)의 타방향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된 케이스(10)에 구비되는 제 2래치기어(230)가 링부재(210)의 제 2걸림부재(220)를 걸게 된다.
이에 따라, 구속관부재(110)는 타방향으로 회전 방지되고, 이로 인해, 릴(30)만 단독으로 타방향 회전된다.
즉, 제 2래치기어(230)는 기어의 형상을 제 1래치기어(140)의 기어 형상과 반대로 되게 배열된다.
아울러, 제 2래치기어(23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케이스(10)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2탄성당김부재(240)는 구속관부재(110)의 타방향 회전을 막기 위해 제 2걸림부재(220)를 탄성적으로 당겨 제 2래치기어(230)에 걸리도록 링부재(2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제 2걸림부재(2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2걸림부재(220)는 제 2탄성당김부재(24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제 2피벗핀(222)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제 2래치기어(230)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제 2걸림부재(220)는 제 2래치기어(230)에 걸려 구속관부재(110)의 타방향 회전을 방지한다.
반대로, 도 14에서처럼, 구속관부재(110)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 2걸림부재(220)는 제 2래치기어(23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 2탄성당김부재(240)는 인장되면서 탄성 복원력을 갖게 된다. 즉, 구속관부재(110)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 2걸림부재(220)는 제 2래치기어(230)로부터 구속 해지된다.
여기서, 제 2탄성당김부재(240)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링부재(210)와 제 2걸림부재(21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롤 4: 휴지
10: 케이스 12: 걸이봉
14: 덮개 20: 회전관부재
30: 릴 100,200: 제 1,2구속부
130,220: 제 1,2걸림부재 132,222: 제 1,2피벗핀
140,230: 제 1,2래치기어 158,240: 제 1,2탄성당김부재
180: 권취부 182: 보빈
184: 권취로프 186: 스파이럴스프링

Claims (9)

  1. 걸이봉을 구비하여 롤을 축 삽입하고, 상기 롤에 감긴 휴지를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걸이봉에 축 삽입되고, 상기 롤의 내측에 접하도록 상기 롤에 삽입됨으로써 휴지의 인출시 상기 롤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관부재;
    상기 회전관부재와 별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릴; 및
    상기 휴지의 정량 인출시까지 회전되는 상기 회전관부재에 상기 릴이 구속되도록 하며, 상기 휴지의 인출을 위한 외력 제거시 상기 릴을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제 1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속부는,
    상기 걸이봉과 상기 릴을 축 삽입하고, 상기 회전관부재에 축 삽입되어 상기 회전관부재에 구속시 상기 회전관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구속관부재;
    상기 구속관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힌지 연결된 제 1걸림부재;
    상기 제 1걸림부재를 향하도록 상기 릴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휴지를 당기는 외력 작용시 상기 제 1걸림부재의 타측이 걸림으로써 상기 릴이 상기 회전관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제 1래치기어; 및
    휴지를 당기는 외력 작용시 상기 제 1걸림부재가 상기 제 1래치기어에 물리도록 하고, 외력 제거시 상기 제 1걸림부재가 상기 제 1래치기어에 물림 해제시키는 물림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유도부는,
    상기 구속관부재의 둘레면에 돌출된 스토퍼핀;
    상기 회전관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를 삽입함으로써 설정회전량만큼 회전 후 상기 구속관부재를 상기 회전관부재에 구속하는 스토퍼수용홀부;
    상기 제 1걸림부재의 타측과 상기 회전관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전관부재의 설정회전량만큼 회전시 상기 제 1걸림부재의 타측을 당겨 상기 제 1래치기어에 물리도록 하는 당김와이어; 및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제 1걸림부재의 타측을 연결하여 상기 당김와이어의 당김력 해제시 상기 제 1걸림부재의 타측을 탄성적으로 당겨 상기 제 1걸림부재에 대해 물림 해제시키는 제 1탄성당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부재와 상기 구속관부재 사이에는 설정회전량만큼 회전된 상기 회전관부재의 초기 위치까지 역회전되도록 복귀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은 롤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캡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속부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어 휴지의 정량 인출시까지 회전된 상기 릴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둘레면에 감긴 채, 상기 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관부재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릴에 설정 길이만큼 감기는 권취로프; 및
    상기 권취로프를 당기는 외력 제거시, 상기 보빈을 탄성적으로 감아 상기 권취로프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보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파이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8.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관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제 2구속부에 의해 타방향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속부는,
    상기 구속관부재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링부재;
    상기 링부재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힌지 연결된 제 2걸림부재;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구속관부재의 일방향 회전시 상기 제 2걸림부재와의 구속을 해제하고, 상기 회전관부재의 타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걸림부재를 걸리게 하는 제 2래치기어; 및
    상기 구속관부재의 타방향 회전을 막기 위해 상기 제 2걸림부재를 탄성적으로 당겨 상기 제 2래치기어에 걸리도록 상기 링부재에 연결되는 제 2탄성당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KR1020120008582A 2012-01-27 2012-01-27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KR101287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582A KR101287221B1 (ko) 2012-01-27 2012-01-27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582A KR101287221B1 (ko) 2012-01-27 2012-01-27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221B1 true KR101287221B1 (ko) 2013-07-23

Family

ID=4899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582A KR101287221B1 (ko) 2012-01-27 2012-01-27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2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210B1 (ko) * 2013-09-17 2015-08-06 이상국 매립형 점보롤 화장지케이스
KR20170040066A (ko) * 2015-10-01 2017-04-12 (주)아이리녹스 페이퍼 공급 장치
KR101973905B1 (ko) 2018-08-22 2019-04-2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휴지걸이용 휴지 과잉공급 방지장치
KR102250840B1 (ko) * 2019-11-14 2021-05-10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인출 장치
KR102411570B1 (ko) 2021-12-16 2022-06-22 서한나 합성수지용 열풍용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291U (ja) * 1991-03-19 1993-04-16 コンビ株式会社 トイレツ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H0975258A (ja) * 1995-09-14 1997-03-25 Masamichi Tsukagoshi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自動繰出式ホルダー
KR200418028Y1 (ko) 2006-03-14 2006-06-07 김현우 공중 화장실용 화장지 케이스
KR20110020697A (ko) * 2009-08-24 2011-03-03 이소학 휴지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291U (ja) * 1991-03-19 1993-04-16 コンビ株式会社 トイレツ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H0975258A (ja) * 1995-09-14 1997-03-25 Masamichi Tsukagoshi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自動繰出式ホルダー
KR200418028Y1 (ko) 2006-03-14 2006-06-07 김현우 공중 화장실용 화장지 케이스
KR20110020697A (ko) * 2009-08-24 2011-03-03 이소학 휴지 케이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210B1 (ko) * 2013-09-17 2015-08-06 이상국 매립형 점보롤 화장지케이스
KR20170040066A (ko) * 2015-10-01 2017-04-12 (주)아이리녹스 페이퍼 공급 장치
KR101850595B1 (ko) * 2015-10-01 2018-06-01 (주)아이리녹스 페이퍼 공급 장치
KR101973905B1 (ko) 2018-08-22 2019-04-2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휴지걸이용 휴지 과잉공급 방지장치
KR102250840B1 (ko) * 2019-11-14 2021-05-10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인출 장치
KR102411570B1 (ko) 2021-12-16 2022-06-22 서한나 합성수지용 열풍용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221B1 (ko) 휴지의 정량 사용 가능한 점보롤 휴지걸이
US8683960B2 (en) Retractable leash
US20140238314A1 (en) Retractable Leash
JPH0385125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ロール装着用軸棒及びトイレットペーパーロールの装着方法
US10442655B2 (en) Inertia braking payout device and package system
JPWO2002060785A1 (ja) 巻き取り式収納容器
EP2605935B1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up and storing a belt-like object, in particular a tightening strap
US6409120B1 (en)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JP6147383B2 (ja) 隠蔽型ラインストッパー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US8684178B1 (en)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US6302352B1 (en) Warning tape dispenser and carrier
KR102657143B1 (ko) 휴대용 비닐롤 수납장치
EP0309208A1 (en) Improved web-dispensing apparatus
KR20160077690A (ko) 케이블 권취장치
CN209019009U (zh) 一种可多次使用的便携式牙线用具
US20160194139A1 (en) Bag or Treat Dispenser for Waste Collector
US20070029430A1 (en) Removable and reusable device for extracting and retracting a length of material
KR101258992B1 (ko) 휴지케이스
KR100986645B1 (ko) 두루말이 휴지 걸이
JP6419682B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CN212650768U (zh) 一种生活用纸存取盒
KR200232517Y1 (ko) 두루마리 휴지용 휴지케이스
KR20110006615U (ko) 권취 기능을 갖는 이어폰장치
KR200338975Y1 (ko) 먹통의 릴 제동장치
JP2016131606A (ja) 歯間清掃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