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804B1 - Retrieval system and method of horizontal field with the ground based meteorological data - Google Patents

Retrieval system and method of horizontal field with the ground based meteorological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804B1
KR101285804B1 KR1020120009556A KR20120009556A KR101285804B1 KR 101285804 B1 KR101285804 B1 KR 101285804B1 KR 1020120009556 A KR1020120009556 A KR 1020120009556A KR 20120009556 A KR20120009556 A KR 20120009556A KR 101285804 B1 KR101285804 B1 KR 10128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meteorological
field
module
lat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병혁
강동환
김광호
김박사
김민성
진광호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8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8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PURPOSE: A horizontal field calculation system of weather observation data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onvert a transverse Mercator (TM) coordinate into a latitude longitude coordinate, express weather field contour on a map, and extract the same latitude weather variable change of constant intervals. CONSTITUTION: A weather field topography generation module (100) generates topography data of a domain by reprocessing a weather field which is extracted from a geo statistical (GS) program. A weather field generation module (200) generates a weather field by using the extracted weather field and the topography data. The weather field topography generation module includes a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odule (110) and a topography data generation module (120). The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odule converts TM coordinate information of an X axis and a Y axis for a grid in a domain which is included in a file of the GS program from a TM coordinate system to a latitude longitude coordinate system. The topography data generation module generates topography data corresponding to latitude longitude coordinate information by using topographic maps (TOPO)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s] (100) Weather field topography generation module; (110)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odule; (120) Topography data generation module; (200) Weather field generation module; (210) 2D weather material extraction module; (220)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ion module; (230) Weather field boundary storage module; (300) Weather variable extraction module; (310) Equivalent interval setting module; (320) Same latitude lattice setting module; (330) Same latitude lattice point weather variable extraction module; (340)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generation module; (350)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storage module

Description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RETRIEVAL SYSTEM AND METHOD OF HORIZONTAL FIELD WITH THE GROUND BASED METEOROLOGICAL DATA}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and its method of terrestrial meteorological data {RETRIEVAL SYSTEM AND METHOD OF HORIZONTAL FIELD WITH THE GROUND BASED METEOROLOGICAL DATA}

본 발명은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변수를 재가공하여 표출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and displaying weather variables extracted from a geostatistical analysis program. .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은 기상장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GS(Geo Statistical)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GS 프로그램은 다양한 지구통계분석 방법을 통해서, 위치 정보를 갖는 자료간의 공간적인 상관성을 추정하고, 공간적으로 불연속적인 자료로부터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공간 분포 자료를 생성한다. GS 프로그램의 지구통계분석 모듈은 반분산 분석 기법인 베리오그램 모듈(linear model, spherical model, exponential model, gauss model, nugget model)과 내삽기법인 크리깅(Kriging), 역거리가중(Invers Distance Weighting, IDW) 모듈로 구성된다.The geostatistics analysis program is used to extract the meteorological field, and the GS (Geo Statistical) program is used. The GS program estimates th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data with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various geo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nd generates statistically continuous spatial distribution data from spatially discontinuous data. The geostatistics module of the GS program consists of semi-variance analysis techniques such as linear model, spherical model, exponential model, gauss model, nugget model, and interpolation kriging and invers distance weighting. IDW) module.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 내에는 지구통계분석 결과에 대한 후처리 과정이 포함된다. 그러나 기존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의 후처리는 TM 좌표에서 위경도 좌표로의 변환, 지도상에 기상장 Contour의 표출,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 변동 추출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즉, 사용자의 연구목적에 맞는 후처리 시스템이 요구된다.The geostatistical analysis program includes post-processing of geostatistics results. However, the post-processing of the existing geostatistics analysis program cannot perform functions such as conversion from TM coordinates to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display of weather field contours on a map, and extraction of fluctuations in uniform latitude and longitude of weather variables. In other words, a post-processing system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of the user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TM 좌표에서 위경도 좌표로의 변환, 지도상에 기상장 Contour의 표출,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 변동 추출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lculate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of grou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capable of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conversion from TM coordinates to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display of weather field contours on a map, and extraction of fluctuations in uniformly uniform latitude latitude variables.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thereof.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을 재가공하여 도메인의 지형 자료를 생성하는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과, 상기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과, 상기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지형 자료로 기상장을 생성하는 기상장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eorological field terrain generation module for reprocessing a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a geostatistics analysis program to generate topographic data of a domain, a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eostatistics analysis program, and the meteorological field topography. It provides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for terrestrial meteorological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meteorological field with the terrain data generated by the generation module.

상기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은, 상기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POS 파일에 포함된 도메인 내의 격자에 대한 X축과 Y축의 TM 좌표 정보를 TM 좌표계에서 위경도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계 변환 모듈과, 상기 좌표계 변환 모듈에서 도메인 내의 재격자화된 위경도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지형 자료를 TOPO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지형자료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기상장 생성 모듈은, 상기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GRD 파일의 헤더 정보에 기록된 도메인의 격자수 정보에 대한 2차원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2차원 기상자료 추출 모듈과, 상기 2차원 기상 자료 추출 모듈에서 추출된 2차원 기상변수를 상기 지형자료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도메인의 지형 자료 상에 2차원 기상장 경계로 표출하는 기상장 경계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2차원 기상변수는 상기 GRD 파일의 헤더에 기록된 도메인의 전체 격자 분포를 통해서 2차원 기상변수가 저장되는 배열을 할당하고, 해당 배열에 순차적으로 각 격자점의 기상 변수를 기록하여 추출한다.The meteorological field topography generating module includes: a coordinate system transformation module for converting TM coordinate information of X and Y axes of a grid in a domain included in the POS file generated by the geostatistic analysis program from a TM coordinate system to a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The coordinate system transformation module includes a terrain data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terrain data corresponding to the relatte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domain using the TOPO terrain information.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includes a two-dimensional weather data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a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for the grid number information of the domain recorded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GRD file generated by the geostatistic analysis program, and the two-dimensional weather data. And a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ion module for expressing the 2D weather variables extracted by the extraction module as the 2D weather field boundary on the terrain data of the domain generated by the terrain data generation module. The 2D meteorological variable allocates an array in which the 2D weather variable is stored through the entire grid distribution of the domain recorded in the header of the GRD file, and extracts and records the weather variable of each grid point sequentially in the array.

상기 기상장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기상장의 동위도 격자점의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기상변수 추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상변수 추출 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를 추출하기 위해 등간격의 크기를 변수로 설정하는 등간격 크기 설정 모듈과, 일정한 간격에 대한 동위도의 X, Y 격자 정보를 계산하는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과, 상기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에서 도출된 각 격자점에 대한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동위도 격자점 기상변수 추출 모듈, 및 동위도의 Y축 경도에 따른 기상변수 변동을 그래프로 표출하는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a meteorological variable of the latitude lattice point of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ed by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The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ng module comprises: an equal interval siz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size of the equal intervals as a variable in order to extract the constant latitude and longitude latitude weather variables desired by the user, and the X and Y grid information of the latitude for the constant interval; The latitude lattice setting module for calculating, the latitude lattice point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for each lattice point derived from the latitude lattice setting module, and the variation of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Y-axis hardness of the latitude It includes a weather variable change graph generation module to display the graph.

상기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에서 표출된 그래프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storage module configured to store the graph expressed by the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generation module as an image file.

또한, 본 발명은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을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로 재가공하여 도메인의 지형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과, 상기 지형 자료를 기반으로, 기상장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기상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processing the weather field extracted from the geostatistics analysis program to the meteorological field topography generating module to generate the topographic data of the domain, the weather field extracted from the geostatistics analysis program, and based on the topographical data, It provides a method for calculating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of the grou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meteorological field using a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을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로 재가공하여 도메인의 지형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POS 파일로부터 좌표계 변환 모듈을 이용하여 X축과 Y축의 TM 좌표 정보를 읽고, 해당 TM 좌표 정보를 TM 좌표계에서 위경도 좌표계로 변환하며, 변환된 위경도 좌표계로부터 도메인 내의 모든 격자는 위경도 좌표계로 재격자화하는 단계, 및 상기 위경도 좌표계로 재격자화된 위경도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지형 자료를 TOPO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자료 생성 모듈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processing the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eostatistics analysis program with the meteorological field topography generating module to generate the topographic data of the domain, using the coordinate system transformation module from the POS file generated by the geostatistical analysis program using the TM of the X-axis and Y-axis. Reading coordinate information, converting the corresponding TM coordinate information from a TM coordinate system to a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and relatifying all lattices in the domain from the converte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to a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and relatifying the lattice diameter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And generating terrain data corresponding to the degree coordinate information by the terrain data generation module using the TOPO terrain information.

상기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과, 상기 지형 자료를 기반으로, 기상장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기상장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GRD 파일의 헤더 정보에 기록된 도메인의 격자수 정보에 대한 2차원 기상변수를 2차원 기상자료 추출 모듈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2차원 기상변수를, 상기 지형 자료 상에 기상장 경계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2차원 기상장 경계로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2차원 기상변수는 상기 GRD 파일의 헤더에 기록된 도메인의 전체 격자 분포를 통해서 2차원 기상변수가 저장되는 배열을 할당하고, 해당 배열에 순차적으로 각 격자점의 기상 변수를 기록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Generating the meteorological field using the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eo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d the geographic data, using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the domain recorded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GRD file generated by the geostatistical analysis program Extracting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s for the grid number information of the two-dimensional weather data extraction module, and extracting the extracted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s using a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ion module on the terrain data; Expressing to. The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is assigned to an array in which the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is stored through the entire grid distribution of the domain recorded in the header of the GRD file, and to record and extract the weather variable of each grid point sequentially in the array. desirable.

상기 추출된 2차원 기상변수를, 상기 지형 자료 상에 기상장 경계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2차원 기상장 경계로 표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지형 자료 상에 생성된 2차원 기상장 경계를 기상장 경계 저장 모듈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expressing the extracted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as a two-dimensional weather field boundary using a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ion module on the terrain data, storing the two-dimensional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ed on the terrain dat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module.

상기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과, 상기 지형 자료를 기반으로, 기상장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기상장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기상장의 동위도 격자점의 기상변수를 기상변수 추출 모듈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Based on the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eo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d the terrain data, generating a meteorological field by using a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using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of the latitude lattice points of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ed in the meteorological field as a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상기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과, 상기 지형 자료를 기반으로, 기상장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기상장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기상장의 동위도 격자점의 기상변수를 기상변수 추출 모듈로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를 추출하기 위해 등간격 크기 설정 모듈로 등간격의 크기를 변수로 설정하는 단계와,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로 일정한 간격에 대한 동위도의 X, Y 격자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로 일정한 간격에 대한 동위도의 X, Y 격자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각 격자점에 대한 기상변수를 동위도 격자점 기상변수 추출 모듈로 추출하는 단계, 및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로 동위도의 Y축 경도(거리)에 따른 기상변수 변동을 그래프로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Based on the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eo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d the terrain data, generating a meteorological field by using a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using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of the latitude lattice points of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ed in the meteorological field as a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The extracting step may include setting the size of the equal intervals as a variable with an equal interval size setting module to extract a constant interval latitude weather variable desired by the user, and using the latitudinal lattice setting module as a variable for the same interval. Computing the X, Y grid information, and calculating the X, Y grid information of the same latitude with respect to a constant interval with the latitude lattice setting module The variable extraction module extracts the weather variable and the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generation module displays the weather variable variation according to the Y-axis longitude (distance) of the latitude. And a step.

상기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로 동위도의 Y축 경도(거리)에 따른 기상변수 변동을 그래프로 표출하는 단계에서 표출된 그래프를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저장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expressing the change in weather variable according to the Y-axis longitude (distance) of the latitude with the weather variable change graph generation module, storing the graph as an image file using the weather variable change graph storage module. It may include.

본 발명은 TM 좌표에서 위경도 좌표로의 변환, 지도상에 기상장 Contour의 표출,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 변동 추출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conversion from TM coordinates to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expression of weather field contours on a map, extraction of fluctuations in uniformly uniform latitude latitude variables, and The method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을 이용한 기상장의 후처리 결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출한 동위도의 경도에 따른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의 순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of terrestr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ost-treatment result of the meteorological field using the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of the grou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graph of the variation of weather parameters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latitude derived by using the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of the grou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of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method of terrestr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of terrestr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100)과, 기상장 생성 모듈(200), 및 기상변수 추출 모듈(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for terrestr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includes a meteorological field topography generation module 100, a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200, and a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300. Include.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100)은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을 재가공하여 도메인의 지형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표계 변환 모듈(110)과 지형자료 생성 모듈(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은 기상장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GS(Geo Statistical)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GS 프로그램은 다양한 지구통계분석 방법을 통해서, 위치 정보를 갖는 자료간의 공간적인 상관성을 추정하고, 공간적으로 불연속적인 자료로부터 통계적으로 연속적인 공간 분포 자료를 생성한다. GS 프로그램의 지구통계분석 모듈은 반분산 분석 기법인 베리오그램 모듈(linear model, spherical model, exponential model, gauss model, nugget model)과 내삽기법인 크리깅(Kriging), 역거리가중(Invers Distance Weighting, IDW) 모듈로 구성된다.The meteorological field topography generating module 100 is to generate a terrain of a domain by reprocessing a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a geostatistics analysis program, and includes a coordinate system transformation module 110 and a terrain data generation module 120. Here, the geostatistics analysis program is for extracting the meteorological field, and a GS (Geo Statistical) program is used. The GS program estimates th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data with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various geo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nd generates statistically continuous spatial distribution data from spatially discontinuous data. The geostatistics module of the GS program consists of semi-variance analysis techniques such as linear model, spherical model, exponential model, gauss model, nugget model, and interpolation kriging and invers distance weighting. IDW) module.

좌표계 변환 모듈(110)은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GRD 파일과 POS 파일 중, POS 파일을 이용하여 좌표를 변환한다. 이때, POS 파일에는 도메인 내의 격자에 대한 X축과 Y축의 TM 좌표 정보가 각각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좌표계 변환 모듈(110)은 POS 파일로부터 X축과 Y축의 TM 좌표 정보를 읽고, 해당 TM 좌표 정보를 TM 좌표계에서 위경도 좌표계로 변환한다. 또한, 변환된 위경도 좌표계로부터 도메인 내의 모든 격자는 위경도 좌표계로 재격자화한다.The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odule 110 converts the coordinates using a POS file among the GRD file and the POS file generated by the geostatistics analysis program. At this time, the TM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axis and Y-axis for the grid in the domain is recorded,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odule 110 reads TM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 and Y axes from the POS file and converts the corresponding TM coordinate information from the TM coordinate system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In addition, all lattice in the domain from the transforme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are re-latticed in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지형자료 생성 모듈(120)은 좌표계 변환 모듈(110)에서 도메인 내의 재격자화된 위경도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지형 자료를 TOPO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다.The terrain data generation module 120 generates terrain data corresponding to the relatte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domain by the coordinate system transformation module 110 using the TOPO terrain information.

기상장 생성 모듈(200)은 GRD 파일과 지형자료 생성 모듈(120)에서 생성된 지형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장을 생성한다. 이러한 기상장 생성 모듈(200)은 2차원 기상자료 추출 모듈(210)과, 기상장 경계 생성 모듈(220)을 포함한다.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200 generates a meteorological field using the GRD file and the geographic data generated by the geographic data generation module 120. The weather field generation module 200 includes a 2D weather data extraction module 210 and a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ion module 220.

2차원 기상자료 추출 모듈(210)은 GRD 파일의 헤더 정보에 기록된 도메인의 격자수 정보에 대한 2차원 기상변수를 추출한다. 이때, GRD 파일의 헤더에는 도메인의 격자수, 도메인의 좌측 하단과 우측 상단의 각 가장자리의 좌표가 기록된다. 2차원 기상변수는 GRD 파일의 헤더에 기록된 도메인의 전체 격자 분포를 통해서 2차원 기상변수가 저장되는 배열을 할당하고, 해당 배열에 순차적으로 각 격자점의 기상변수를 기록하여 추출한다.The two-dimensional weather data extraction module 210 extracts a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for the grid number information of the domain recorded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GRD file. At this time, in the header of the GRD file, the number of grids of the domain and the coordinates of each edge of the lower left and upper right of the domain are recorded. 2D meteorological variables are allocated an array that stores 2D weather variables through the entire grid distribution of domains recorded in the header of the GRD file, and the weather variables of each grid point are sequentially recorded in the corresponding array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을 이용한 기상장의 후처리 결과이다.2 is a post-processing result of a meteorological field using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of terrestr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기상장 경계 생성 모듈(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기상자료 추출 모듈(210)에서 추출된 2차원 기상변수를 지형자료 생성 모듈(120)에서 생성된 도메인의 지형자료 상에 2차원 기상장 경계(Contour)로 표출한다.As shown in FIG. 2, the meteorological field boundary generation module 220 displays the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extracted by the two-dimensional weather data extraction module 210 on the terrain data of the domain generated by the terrain data generation module 120. Expressed as a two-dimensional weather field contour.

한편, 본 발명은 기상장 경계 생성 모듈(220)에서 지형 자료 상에 생성된 2차원 기상장 경계를 저장하는 기상장 경계 저장 모듈(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상장 경계 저장 모듈(230)에 저장되는 지형 자료 상에 생성된 2차원 기상장 경계는 JPG 파일 등과 같은 이미지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teorological field boundary storage module 230 for storing the two-dimensional meteorological field boundary generated on the terrain data in the meteorological field boundary generating module 220. In this case, the 2D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ed on the terrain data stored in the weather field boundary storage module 230 may be stored as an image file such as a JPG fi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출한 동위도의 경도에 따른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이다.3 is a graph of changes in weather parameters according to the longitude of the latitude derived from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for terrestr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기상변수 추출 모듈(300)은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를 추출한다. 이때, 기상변수 추출 모듈(3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를 추출하기 위해 등간격의 크기를 변수로 설정하는 등간격 크기 설정 모듈(310)과, 일정한 간격에 대한 동위도의 X, Y 격자 정보를 계산하는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320),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320)에서 도출된 각 격자점에 대한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동위도 격자점 기상변수 추출 모듈(330), 및 동위도의 Y축 경도(거리)에 따른 기상변수 변동을 도 3과 같이 그래프로 표출하는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340)을 포함한다. 이때,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340)에서 표출된 그래프는 JPG 파일 등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저장 모듈(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eather variable extraction module 300 extracts the uniform latitude weather variables at regular intervals. At this time, the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300 and the equal interval size setting module 310 for setting the size of the equal interval to the variable to extract the uniformity of the uniform interval desired by the user, and the latitude of the uniform interval Latitude lattice setting module 320 for calculating X and Y lattice information latitude lattice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330 for extracting weather variables for each lattice point derived from latitude lattice setting module 320, And a meteorological variable variation graph generation module 340 for expressing a meteorological variable variation according to the Y-axis longitude (distance) of the latitude as shown in FIG. 3. In this case, the graph expressed by the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generation module 340 may be stored as an image file such as a JPG fi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eather variable change graph storage module 350 for this purpo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M 좌표에서 위경도 좌표로의 변환, 지도상에 기상장 Contour의 표출,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 변동 추출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rizontal surface of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that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conversion from TM coordinates to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display of the weather field contour on the map, extraction of fluctuations in the uniform latitude and longitude of weather variabl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horizontal weather field calculation method for terrestr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later,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for terrestr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의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alculating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of terrestr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상장 지형을 생성하는 단계(S1)와, 기상장을 생성하는 단계(S2), 및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in the horizontal weather field calculation method of terrestr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ing a weather field topography (S1), generating a weather field (S2), and extracting weather parameters. Step S3 is included.

기상장 지형을 생성하는 단계(S1)는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을 재가공하여 도메인의 지형을 생성한다. 이러한 기상장 지형을 생성하는 단계(S1)는 좌표계를 변환하는 단계(S1-1)와 지형자료를 생성하는 단계(S1-2)를 포함한다.Generating the weather field topography (S1) generates the topography of the domain by reprocessing the weather field extracted from the geostatistics analysis program. The generating of the weather field terrain (S1) includes converting a coordinate system (S1-1) and generating terrain data (S1-2).

좌표계를 변환하는 단계(S1-1)는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GRD 파일과 POS 파일 중, POS 파일을 이용하여 좌표계 변환 모듈로 좌표를 변환한다. 이때, 좌표계 변환 모듈은 POS 파일로부터 X축과 Y축의 TM 좌표 정보를 읽고, 해당 TM 좌표 정보를 TM 좌표계에서 위경도 좌표계로 변환하며, 변환된 위경도 좌표계로부터 도메인 내의 모든 격자는 위경도 좌표계로 재격자화한다.Step (S1-1) of transforming the coordinate system converts the coordinates to a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odule using a POS file among the GRD file and the POS file generated by the geo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t this time, the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odule reads the TM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 and Y axes from the POS file, and converts the corresponding TM coordinate information from the TM coordinate system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and from the converte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all grids in the domain ar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s. Regrid

지형자료를 생성하는 단계(S1-2)는 좌표계를 변환하는 단계(S1-1)에서 도메인 내의 재격자화된 위경도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지형 자료를 TOPO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자료 생성 모듈로 생성한다.In the generating of the terrain data (S1-2), the terrain data corresponding to the relatte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domain in the transforming coordinate system (S1-2) is generated by the terrain data generation module using the TOPO terrain information. do.

기상장을 생성하는 단계(S2)는 지구통계분석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GRD 파일과 지형자료를 생성하는 단계(S1-2)에서 생성된 지형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장 생성 모듈로 기상장을 생성한다. 이때, 기상장을 생성하는 단계(S2)는 2차원 기상자료를 추출하는 단계(S2-1)와 기상장 경계를 생성하는 단계(S2-2)를 포함한다.Generating the meteorological field (S2) generates a meteorological field with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using the GRD file generated by the geo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d the geographic data generated in the step (S1-2). At this time, the step of generating the weather field (S2) includes the step of extracting the two-dimensional weather data (S2-1) and the step of generating a weather field boundary (S2-2).

2차원 기상자료를 추출하는 단계(S2-1)는 GRD 파일의 헤더 정보에 기록된 도메인의 격자수 정보에 대한 2차원 기상변수를 2차원 기상자료 추출 모듈로 추출한다. 이때, 2차원 기상변수는 GRD 파일의 헤더에 기록된 도메인의 전체 격자 분포를 통해서 2차원 기상변수가 저장되는 배열을 할당하고, 해당 배열에 순차적으로 각 격자점의 기상변수를 기록하여 추출한다.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2D weather data (S2-1), the 2D weather variable for the grid number information of the domain recorded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GRD file is extracted by the 2D weather data extraction module. At this time, the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is assigned to the array to store the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through the entire grid distribution of the domain recorded in the header of the GRD file, and extracted by recording the weather variable of each grid point sequentially in the array.

기상장 경계를 생성하는 단계(S2-2)는 2차원 기상자료를 추출하는 단계(S2-1)에서 추출된 2차원 기상변수를, 전술된 지형자료를 생성하는 단계(S1-2)에서 생성된 도메인의 지형자료 상에 기상장 경계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2차원 기상장 경계로 표출한다.Generating the boundary of the weather field (S2-2) generates the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extracted in the step (S2-1) of extracting the two-dimensional weather data, in the step (S1-2) of generating the above-mentioned terrain data. On the topographical data of the extracted domain, the weather boundary boundary generation module is used to display the two-dimensional weather boundary.

한편, 본 발명은 기상장 경계를 생성하는 단계(S2-2)에서 지형 자료 상에 생성된 2차원 기상장 경계를 기상장 경계 저장 모듈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two-dimensional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ed on the terrain data in the weather field boundary storage module at step S2-2.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단계(S3)는 기상장 경계를 생성하는 단계(S2-2)에서 생성된 기상장 경계에서 기상변수 추출 모듈로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를 추출한다. 이러한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단계(S3)는 등간격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S3-1)와, 동위도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S3-2)와, 동위도 격자점의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단계(S3-3), 및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S3-4)를 포함한다.The step S3 of extracting the weather variables extracts the uniform latitude weather variables from the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at the meteorological field boundary generated in the step S2-2 of generating the meteorological field boundary. The step (S3) of extracting such weather variables includes setting an equal interval size (S3-1), setting a latitude lattice (S3-2), and extracting weather variables of the latitude lattice point. (S3-3), and generating a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S3-4).

등간격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S3-1)는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를 추출하기 위해 등간격 크기 설정 모듈로 등간격의 크기를 변수로 설정한다.In the step S3-1 of setting the size of the equal intervals, the equal interval size setting module sets the size of the equal intervals as a variable in order to extract the uniform latitude and longitude weather variables desired by the user.

동위도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S3-2)는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로 일정한 간격에 대한 동위도의 X, Y 격자 정보를 계산한다.In step S3-2, the latitude lattice setting module calculates the X and Y lattic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동위도 격자점의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단계(S3-3)는 동위도 격자를 설정하는 단계(S3-2)에서 도출된 각 격자점에 대한 기상변수를 동위도 격자점 기상변수 추출 모듈로 추출한다.Extracting the weather variables of the latitude lattice point (S3-3) is to extract the weather variables for each lattice point derived in the step of setting the latitude lattice (S3-2) to the latitude lattice weather variable extraction module do.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S3-4)는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로 동위도의 Y축 경도(거리)에 따른 기상변수 변동을 그래프로 표출한다.The step S3-4 of generating a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is a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generation module that displays the weather variable variation according to the Y-axis longitude (distance) of the same latitude as a graph.

한편, 본 발명은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S3-4)에서 표출된 그래프를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저장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graph expressed in the step S3-4 of generating the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as an image file using the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storage modu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M 좌표에서 위경도 좌표로의 변환, 지도상에 기상장 Contour의 표출,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 변동 추출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rizontal surface of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that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conversion from TM coordinates to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display of the weather field contour on the map, extraction of fluctuations in the uniform latitude and longitude of weather variabl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method.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100: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 110: 좌표계 변환 모듈
120: 지형자료 생성 모듈 200: 기상장 생성 모듈
210: 2차원 기상자료 추출 모듈 220: 기상장 경계 생성 모듈
230: 기상장 경계 저장 모듈 300: 기상 변수 추출 모듈
310: 등간격 크기 설정 모듈 320: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
330: 등위도 격자점 기상 변수 추출 모듈
340: 기상 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
350: 기상 변수 변동 그래프 저장 모듈
100: weather station terrain generation module 110: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odule
120: terrain data generation module 200: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210: two-dimensional weather data extraction module 220: meteorological field boundary generation module
230: meteorological field boundary storage module 300: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310: equal interval size setting module 320: latitude lattice setting module
330: latitude lattice point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340: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generation module
350: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storage module

Claims (15)

GS(Geo Statistical)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을 재가공하여 도메인의 지형 자료를 생성하는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과,
상기 GS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과, 상기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지형 자료로 기상장을 생성하는 기상장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A meteorological field topography generating module for reprocessing the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S (Geo Statistical) program to generate the topographic data of the domain;
And a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meteorological field from the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S program and the terrain data generated by the meteorological field topography generating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은,
상기 GS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POS 파일에 포함된 도메인 내의 격자에 대한 X축과 Y축의 TM 좌표 정보를 TM 좌표계에서 위경도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계 변환 모듈과,
상기 좌표계 변환 모듈에서 도메인 내의 재격자화된 위경도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지형 자료를 TOPO(topographic maps)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지형자료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eorological field terrain generation module,
A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TM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 and Y axes of the grid in the domain included in the POS file generated by the GS program from a TM coordinate system to a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And a topographic data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topographic data corresponding to the relatte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domain using the topographic maps topographical information in the coordinate system transformation module. Listing output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상장 생성 모듈은,
상기 GS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GRD 파일의 헤더 정보에 기록된 도메인의 격자수 정보에 대한 2차원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2차원 기상자료 추출 모듈과,
상기 2차원 기상 자료 추출 모듈에서 추출된 2차원 기상변수를 상기 지형자료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도메인의 지형 자료 상에 2차원 기상장 경계로 표출하는 기상장 경계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A two-dimensional meteorological data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s for the grid number information of the domain recorded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GRD file generated by the GS program;
And a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ion module for expressing the 2D weather variable extracted by the 2D weather data extraction module as a 2D weather field boundary on the terrain data of the domain generated by the terrain data generation module.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for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차원 기상변수는 상기 GRD 파일의 헤더에 기록된 도메인의 전체 격자 분포를 통해서 2차원 기상변수가 저장되는 배열을 할당하고, 해당 배열에 순차적으로 각 격자점의 기상 변수를 기록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2D weather variable allocates an array to store the 2D weather variable through the entire grid distribution of the domain recorded in the header of the GRD file, and records and extracts the weather variable of each grid point sequentially in the corresponding array.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system for terrestrial meteorological dat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상장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기상장의 동위도 격자점의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기상변수 추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And a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a meteorological variable of the latitude lattice point of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ed by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상변수 추출 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를 추출하기 위해 등간격의 크기를 변수로 설정하는 등간격 크기 설정 모듈과,
일정한 간격에 대한 동위도의 X, Y 격자 정보를 계산하는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과,
상기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에서 도출된 각 격자점에 대한 기상변수를 추출하는 동위도 격자점 기상변수 추출 모듈, 및
동위도의 Y축 경도에 따른 기상변수 변동을 그래프로 표출하는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comprises: an equal interval siz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size of the equal interval as a variable in order to extract the uniform latitude meteorological variables desired by the user;
A latitudinal lattice setting module for calculating X and Y lattic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for a given interval;
A latitude lattice point weather variable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latitude variables for each lattice point derived from the latitude lattice setting module, and
And a meteorological variable variation graph generating module for graphically expressing a meteorological variable variation according to the Y-axis longitude of the latitud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에서 표출된 그래프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And a meteorological variable variation graph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graph expressed by the meteorological variable variation graph generation module as an image file.
GS(Geo Statistical)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을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로 재가공하여 도메인의 지형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GS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과, 상기 지형 자료를 기반으로, 기상장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기상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
Reprocessing the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S (Geo Statistical) program with the meteorological field topography generating module to generate the topographic data of the domain;
And generating a meteorological field using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based on the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S program and the topographical data.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GS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을 기상장 지형 생성 모듈로 재가공하여 도메인의 지형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GS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POS 파일로부터 좌표계 변환 모듈을 이용하여 X축과 Y축의 TM 좌표 정보를 읽고, 해당 TM 좌표 정보를 TM 좌표계에서 위경도 좌표계로 변환하며, 변환된 위경도 좌표계로부터 도메인 내의 모든 격자는 위경도 좌표계로 재격자화하는 단계, 및
상기 위경도 좌표계로 재격자화된 위경도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지형 자료를 TOPO(topographic maps)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자료 생성 모듈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Reprocessing the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S program with a meteorological field topography generating module to generate the topographic data of the domain,
Read the TM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 and Y axes from the POS file generated by the GS program using the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odule, convert the corresponding TM coordinate information from the TM coordinate system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and from the converte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Relatticing the grid to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and
And generating terrain data correspon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information re-latticed in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system using a topographic maps (Topo) topographic information to generate a terrain data generation module. Listing output metho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GS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과, 상기 지형 자료를 기반으로, 기상장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기상장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GS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GRD 파일의 헤더 정보에 기록된 도메인의 격자수 정보에 대한 2차원 기상변수를 2차원 기상자료 추출 모듈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2차원 기상변수를, 상기 지형 자료 상에 기상장 경계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2차원 기상장 경계로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Based on the weather field extracted from the GS program and the terrain data, generating the weather field using the weather field generation module,
Extracting a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for the grid number information of the domain recorded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GRD file generated by the GS program with a two-dimensional weather data extraction module, and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as a two-dimensional weather field boundary using a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ion module on the terrain data.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차원 기상변수는 상기 GRD 파일의 헤더에 기록된 도메인의 전체 격자 분포를 통해서 2차원 기상변수가 저장되는 배열을 할당하고, 해당 배열에 순차적으로 각 격자점의 기상 변수를 기록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2D weather variable allocates an array to store the 2D weather variable through the entire grid distribution of the domain recorded in the header of the GRD file, and records and extracts the weather variable of each grid point sequentially in the corresponding array.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method for abovegrou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2차원 기상변수를, 상기 지형 자료 상에 기상장 경계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2차원 기상장 경계로 표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지형 자료 상에 생성된 2차원 기상장 경계를 기상장 경계 저장 모듈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tep of expressing the extracted two-dimensional weather variable as a two-dimensional weather field boundary using a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ion module on the terrain data,
And storing the two-dimensional weather field boundary generated on the terrain data as a weather field boundary storage modul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GS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과, 상기 지형 자료를 기반으로, 기상장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기상장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기상장의 동위도 격자점의 기상변수를 기상변수 추출 모듈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Generating a meteorological field by using a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based on the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S program and the terrain data, and extracting a meteorological variable of the latitude lattice point of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ed in the meteorological field using a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method of the above-mentioned meteorological data further comprising the step.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GS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기상장과, 상기 지형 자료를 기반으로, 기상장 생성 모듈을 이용하여 기상장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기상장의 동위도 격자점의 기상변수를 기상변수 추출 모듈로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간격의 동위도 기상변수를 추출하기 위해 등간격 크기 설정 모듈로 등간격의 크기를 변수로 설정하는 단계와,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로 일정한 간격에 대한 동위도의 X, Y 격자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동위도 격자 설정 모듈로 일정한 간격에 대한 동위도의 X, Y 격자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각 격자점에 대한, 기상변수를 동위도 격자점 기상변수 추출 모듈로 추출하는 단계, 및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로 동위도의 Y축 경도(거리)에 따른 기상변수 변동을 그래프로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Generating a meteorological field by using a meteorological field generation module based on the meteorological field extracted from the GS program and the terrain data, and extracting a meteorological variable of the latitude lattice point of the meteorological field generated in the meteorological field using a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The steps are,
Setting an equal interval size to a variable with an equal interval size setting module in order to extract a constant interval latitude weather variable desired by the user;
Calculat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lattic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for a given interval with the latitude lattice setting module;
Extracting weather variables for each lattice point derived in the step of calculating X and Y lattice information of latitudes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latitude lattice setting module, using latitude lattice meteorological variable extraction module, and
A weather variable variation graph generation module is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expressing the change in the weather variable according to the Y-axis longitude (distance) of the latitud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생성 모듈로 동위도의 Y축 경도(거리)에 따른 기상변수 변동을 그래프로 표출하는 단계에서 표출된 그래프를 기상변수 변동 그래프 저장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기상관측 자료의 수평 기상장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In the step of expressing the change in weather variable according to the Y-axis longitude (distance) of the latitude with the weather variable change graph generation module, storing the graph as an image file using the weather variable change graph storage module. A horizontal meteorological field calculation method of terrestr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comprising a.
KR1020120009556A 2012-01-31 2012-01-31 Retrieval system and method of horizontal field with the ground based meteorological data KR1012858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556A KR101285804B1 (en) 2012-01-31 2012-01-31 Retrieval system and method of horizontal field with the ground based meteorological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556A KR101285804B1 (en) 2012-01-31 2012-01-31 Retrieval system and method of horizontal field with the ground based meteorological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804B1 true KR101285804B1 (en) 2013-07-12

Family

ID=4899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556A KR101285804B1 (en) 2012-01-31 2012-01-31 Retrieval system and method of horizontal field with the ground based meteorological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80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36A1 (en) * 2013-11-14 2015-05-21 대한민국(기상청장) High resolution topographical data generating method and system
CN112148265A (en) * 2020-09-29 2020-12-29 华能新能源股份有限公司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format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696A (en) * 2007-12-18 2009-06-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grd file to geomania gcd f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696A (en) * 2007-12-18 2009-06-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grd file to geomania gcd fi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36A1 (en) * 2013-11-14 2015-05-21 대한민국(기상청장) High resolution topographical data generating method and system
CN112148265A (en) * 2020-09-29 2020-12-29 华能新能源股份有限公司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format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CN112148265B (en) * 2020-09-29 2023-06-30 华能新能源股份有限公司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format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9707B2 (en) Automated gener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s
Leemans Possible changes in natural vegetation patterns due to global warming
Zhu et al. Land-use change simulation and assessment of driving factors in the loess hilly region—a case study as Pengyang County
CN105550784A (en) Distribution point optimizing method of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Zeng et al. Global land mapping of satellite-observed CO2 total columns using spatio-temporal geostatistics
CN102147479A (en) Modelling method of reservoir space physical property parameters
CN110232471A (en) A kind of precipitation sensing net node layout optimization method and device
Moudrý et al. Potential pitfalls in rescaling digital terrain model-derived attributes for ecological studies
Huber et al. Comparing simulations of three conceptually different forest models with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CN115630567A (en) Coastal zone soil organic carbon reserve simulation and prediction method
Ekström Metrics to identify meaningful downscaling skill in WRF simulations of intense rainfall events
KR101285804B1 (en) Retrieval system and method of horizontal field with the ground based meteorological data
KR20120101949A (en) System and method for wind field realizing of weather diagnostic model and diffusion model
He et al. Potential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its multi-factor analysis of Pinus massoniana in China based on the maxent model
Schlager et al. A spatial evaluation of high-resolution wind fields from empirical and dynamical modeling in hilly and mountainous terrain
RU116663U1 (en) GEOINFORMATION DATABASE SYSTEM
CN104463924B (en) Digital elevation terrain model generation method based on scattered point elevation sample data
KR20120101952A (en) Processing system for temperature field of diffusion model using weather diagnostic model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Schlager et al. Generation of high-resolution wind fields from the WegenerNet dense meteorological station network in southeastern Austria
Green et al. The application of probabilistic climate change projections: A comparison of methods of handling uncertainty applied to UK irrigation reservoir design
CN102646196A (en) SNESIM (single normal equation simulation) multi-point simulation result uncertainty assessment method
Zhao et al. Regional application of the site-specific biochemical process-based crop model DNDC for rice in NE-China
Mubea et al. Simulating urban growth in Nakuru (Kenya) using Java-based modelling platform XULU
Gmur et al. Effects of different sampling scales and selection criteria on modelling net primary productivity of Indonesian tropical forests
CN112632206B (en) Lightning feature analysis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