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269B1 -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 Google Patents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269B1
KR101285269B1 KR1020120118318A KR20120118318A KR101285269B1 KR 101285269 B1 KR101285269 B1 KR 101285269B1 KR 1020120118318 A KR1020120118318 A KR 1020120118318A KR 20120118318 A KR20120118318 A KR 20120118318A KR 101285269 B1 KR101285269 B1 KR 101285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storage device
box
protection memb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종호
Original Assignee
(주)삼성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포장 filed Critical (주)삼성포장
Priority to KR102012011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B65D2585/88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되어 저면부와 측면부로 구성된 하부박스와, 하면이 개방되어 상면부와 측면부로 구성된 상부박스와, 상기 하부박스의 저면부 위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며, 평평한 완충지지판과, 상기 완충지지판의 하단 양쪽에 나란하게 돌출 고정된 한 쌍의 완충받침대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완충받침대 사이로 투입된 전력저장장치를 완충 지지하는 장치보호부재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상기 장치보호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하부박스와 상부박스 각각의 측면부 내측으로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하부박스와 상부박스 사이에 위치되는 몸통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 및 분리해체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함께 다수 개를 통합하여 포장할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향상되며, 전력저장장치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한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Package structure for power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력저장장치의 출고 및 입고에 따른 포장 및 분리해체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함께 복수의 전력저장장치를 적층시켜 포장할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향상되며, 전력저장장치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한 운반 및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저장장치는 전력을 저장하고 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통칭하여 말하는 것으로서,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와,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는 관련 모듈들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러한 전력저장장치는 제조사로부터 출고되어 사용처로 운반이 되는데, 전력저장장치의 구성적 특성상 그 무게가 대략 40∼50kg에 이르므로 이를 포장 및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에, 종래에는 전력저장장치를 구성부품별로 분리한 상태에서 파우치 형태로 포장을 하여 운반을 하고, 이를 사용처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운용이 되었는 바, 구성부품별로 각각 포장을 하고, 또한 이를 조립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만 하므로 포장 및 운반에 따른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에서는 전력저장장치를 완제품 형태로 포장하기도 하였는데, 이 경우 상부만이 개방된 일체형 포장박스에 전력저장장치를 넣고 내부에 스티로폼과 같은 완충부재를 끼워 넣은 상태로 포장이 이루어지는 바, 전력저장장치를 포장박스 내에 넣어 포장하거나 포장을 분리하여 전력저장장치를 포장박스로부터 인출하는 작업이 쉽지 않으며, 하나의 전력저장장치만 포장이 가능하므로 많은 양의 전력저장장치를 운반할 경우 포장 및 분리에 따른 과다한 시간이 소요됨과 함께 많은 포장박스의 사용으로 인해 재료비 및 물류비 등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저장장치를 완제품 상태로 간편하게 포장 및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전력저장장치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한 운반 및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전력저장장치를 적층시켜 단일 포장구조체 내에 포장하고 이를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 및 해체시간의 단축을 통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투자되는 재료비 및 물류비 등을 절감시킬 수 있는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 해체 후에도 재조립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상면이 개방되어 저면부와 측면부로 구성된 하부박스와, 하면이 개방되어 상면부와 측면부로 구성된 상부박스와, 상기 하부박스의 저면부 위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며, 평평한 완충지지판과, 상기 완충지지판의 하단 양쪽에 나란하게 돌출 고정된 한 쌍의 완충받침대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완충받침대 사이로 투입된 전력저장장치를 완충 지지하는 장치보호부재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상기 장치보호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하부박스와 상부박스 각각의 측면부 내측으로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하부박스와 상부박스 사이에 위치되는 몸통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보호부재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적층되되, 상측 장치보호부재의 받침대 한 쌍이 하측 장치보호부재의 완충지지판 위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적층되며, 상기 하부박스의 저면부에는 완충받침판이 고정되고, 하부박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통과가 가능한 절개부가 형성되는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가 개시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완충받침판과 상기 완충지지판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받침대 하단부가 삽입되면서 각각 안착이 될 수 있는 한 쌍의 안착홈부가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받침판의 표면에는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발포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박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통과가 가능한 전방입구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몸통박스의 전면부 내측에는 상기 전방입구를 개폐시키는 전방도어판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박스의 후면부에는 전력저장장치에 검사도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후방입구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몸통박스의 후면부 내측에는 상기 후방입구를 개폐시키는 후방도어판이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에 의하면,
장치보호부재 내에 전력저장장치가 투입되어 완충 지지됨과 함께 장치보호부가 상하부박스 및 몸통박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2중 완충구조로 조립되어 안정적으로 포장이 되므로, 전력저장장치의 파손 및 손상의 염려없이 안전한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전력저장장치의 출고에 따른 포장작업과 입고에 따른 포장의 해체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력저장장치의 포장 및 분리해체에 따른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전력저장장치를 적층시켜 단일 포장구조체 내에 포장하고 이를 편리하게 분리해체시킬 수 있으므로, 포장 및 해체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운반대상 전력저장장치의 갯수에 비해 사용되거나 운반되는 포장박스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재료비나 물류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포장의 해체시에도 포장구조체 자체에는 전혀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일회성이 아니라 계속적인 조립을 통해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인 장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복수의 장치보호부재가 적층되어 하부박스 위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에 전력저장장치가 투입되어 포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포장구조체를 분리해체하여 전력저장장치를 인출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또는 “결합되어”,또는 “고정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또는 결합되어,또는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이하, “포장구조체”라 함.)는 하부박스(10)와, 상부박스(20)와, 장치보호부재(30)와, 몸통박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부박스(10)는 포장구조체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부분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이 개방되어 저면부(11)와, 전후좌우의 측면부(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박스(10)의 측면부(12) 중 전면부에는 포장대상물인 전력저장장치(P)의 통과가 가능하게 절개부(13)가 절개 형성이 되며, 이러한 절개부(13)는 필요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후면부에도 함께 형성이 될 수 있다.
또한, 하부박스(10)의 저면부(11) 위에는 완충받침판(14)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받침판(14)의 상면 양쪽에는 상측으로부터 안착되는 후술할 장치보호부재(30)의 받침대(32) 한쌍이 유동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안착이 될 수 있도록, 받침대(32) 한쌍의 하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안착홈부(14a)가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박스(20)는 상기한 하부박스(10)와는 대칭을 이루어 포장구조체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부분으로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면이 개방되어 상면부(21)와 측면부(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보호부재(30)는 포장되는 대상물인 전력저장장치(P)를 완충 지지하여 보호하는 부분으로서, 평평한 형태의 완충지지판(31)과, 상기 완충지지판(31)의 하단 양쪽에서 나란하게 하향 돌출되도록 고정이 되는 한 쌍의 완충받침대(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보호부재(30)는 상기 하부박스(10)의 저면부(11) 위에 안착되는 바, 완충받침대(32) 한쌍의 하단부가 저면부(11) 위에 고정된 상기 완충받침판(14)의 안착홈부(14a) 한쌍에 각각 삽입이 되면서 안정적으로 안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완충받침대(32)가 안착홈부(14a)에 삽입만 되면서 안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장치보호부재(30)는 하부박스(1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분리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구성의 장치보호부재(30)가 하부박스(1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완충받침대(32)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러한 한 쌍의 완충받침대(32) 사이 공간으로 포장대상물인 전력저장장치(P)가 전방으로부터 수평하게 투입이 될 수 있으며, 장치보호부재(30)는 투입된 전력저장장치(P)를 완충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력저장장치(P)가 한 쌍의 완충받침대(32) 사이에서 지지가 되는 것이므로, 전력저장장치의 투입시 또는 운반 중에 전력저장장치(P)와 완충받침대(32) 한쌍의 접촉으로 인해 전력저장장치(P)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완충받침대(32)의 표면에는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토이론(toilon)이나 스펀지와 같은 발포시트(33)가 부착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발포시트(33)를 전력저장장치와 접촉 가능성이 있는 상기 완충지지판(31)의 저면이나 상기 완충받침판(14)의 상면에도 추가적으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장치보호부재(30)는 단수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다수 개의 전력저장장치(P)를 동시에 포장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도면들에는 일 예로서 4개의 장치보호부재(30)를 구비한 것이 예시되어 있는 바, 복수 개로 구비되는 상기 장치보호부재(30)는 상하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에 위치되는 장치보호부재(30)의 완충받침대(32) 한쌍이 하측에 위치되는 장치보호부재(30)의 완충지지판(31) 위에 안착이 되는 구조로 상하 적층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측 장치보호부재(30)의 완충받침대(32) 한쌍이 하측 장치보호부재(30)의 완충지지판(31) 위에 안착되면서 적층이 되는 것이므로, 완충받침대(32) 한쌍이 유동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안착이 될 수 있도록, 상기한 완충받침판(14)의 안착홈부(14a)와 동일하게, 완충지지판(31)의 상면 양쪽에는 완충받침대(32) 한쌍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안착홈부(31a)가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지지판(31)에 형성되는 안착홈부(31a)는 상측에서 안착되는 완충받침대(32)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도시된 것처럼, 적층되는 다수 개의 장치보호부재(30) 중에서 최상측에 위치되는 장치보호부재(30)의 완충지지판(31)에는 상기 안착홈부(31a)가 형성되지 않아도 됨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수 개의 장치보호부재(30)가 상하 적층이 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보호부재(30) 각각의 한 쌍의 완충받침대(32) 사이로 다수 개의 전력저장장치를 독립적으로 투입하여 각각의 장치보호부재(30)에 의해 완충 지지가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통박스(40)는 상기 하부박스(10)와 상부박스(20) 사이에 위치되면서 내부에 상기 장치보호부재(30)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이 되어 전후좌우 측면부만으로 구성이 된다.
이러한 몸통박스(40)는 상하부가 모두 개방된 구조이므로 상기 장치보호부재(30)의 외측으로 삽입이 되면서 내부공간에 상기 장치보호부재(30)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통박스(40)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박스(10)의 측면부(12) 내측으로 삽입이 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부박스(20)의 측면부(22) 내측으로 삽입이 됨으로써 하부박스(10) 및 상부박스(20)와 함께 포장구조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몸통박스(40)가 상기 장치보호부재(30)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전력저장장치(P)를 장치보호부재(30) 내측으로 투입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실시예가 도 5와 도 6(도 6에서 몸통박스(40) 내측에 수용된 장치보호부재(30)는 편의상 도시를 생략했음.)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상기 몸통박스(40)의 전면부(41)에는 전력저장장치(P)의 통과가 가능한 크기로 전방입구(42)를 절개 형성시키고, 상기 몸통박스(40)의 전면부(41) 내측에는 상기 전방입구(42)를 개폐시킬 수 있는 전방도어판(50)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도어판(50) 또한 전력저장장치와의 접촉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력저장장치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해 전방도어판(50)의 후면에도 발포시트(도면 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상기 전방도어판(50)이 몸통박스(40)의 전면부(41)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전방입구(42)를 폐쇄하게 되고, 전력저장장치(P)를 투입하는 경우에는 몸통박스(40) 자체를 분리할 필요없이 전방도어판(50)만을 잡고 들어올려주게 되면 몸통박스(40)의 전방입구(42)가 개방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전력저장장치(P)의 투입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저장장치를 모두 투입하고 포장이 된 상태에서 출고 전에 최종적으로 전력저장장치의 정상 작동여부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바,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러한 테스트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전력저장장치의 전압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전력저장장치의 후단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박스(40)의 후면부(43)에는 후방입구(44)를 절개 형성시키고, 상기 몸통박스(40)의 후면부(43) 내측에는 상기 후방입구(44)를 개폐시킬 수 있는 후방도어판(60)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입구(44)는 전력저장장치 자체가 통과할 필요는 없으며, 전원부 등만이 외부로 노출되면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방입구(42)보다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상기 후방도어판(60)이 몸통박스(40)의 후면부(43)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후방입구(44)를 폐쇄하게 되고, 테스트를 수행할 경우에는 몸통박스(40) 자체를 분리할 필요없이 후방도어판(60)만을 잡고 들어올려 몸통박스(40)의 후방입구(44)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검사도구를 전력저장장치와 연결하여 편리하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요소인 상기 하부박스(10), 상부박스(20), 장치보호부재(30), 몸통박스(40), 전방도어판(50), 후방도어판(60)은 모두 종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포장된 전력저장장치에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각 요소의 내부에는 완충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구조로서, 전력저장장치(P)를 1차적으로 완충 보호하는 상기 장치보호부재(30)의 경우에는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완충지지판(31)과 완충받침대(32) 각각의 내부에 종이가 벌집 형태로 배열되어 완충력을 제공하는 하니콤완충부(a)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보호부재(30)를 감싸면서 2차적으로 완충을 하는 나머지 하부박스(10), 상부박스(20), 몸통박스(40), 전방도어판(50), 후방도어판(60)은 상대적으로 상기 하니콤완충부(a)보다는 두께가 얇으면서도 추가적인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골판지가 적층 배열이 된 골판지완충부(b)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포장구조체의 전체적인 작용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장구조체는 도 1과 같이 내부에 장치보호부재가 수용되면서 하부박스(10)와 상부박스(20) 사이에 몸통박스(40)가 삽입되어 조립된 상태로 제조사에 제공이 된다.
이 상태에서 출고를 위해 전력저장장치(P)를 포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부박스(20)를 분리한 후, 전방도어판(50)을 몸통박스(40)로부터 상승 분리시켜 전방입구(42)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적층된 장치보호부재(30)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물론, 전방입구(42)가 형성되지 않은 구성의 몸통박스(40)인 경우에는 몸통박스(40) 자체를 분리시켜 적층된 장치보호부재(30)를 완전히 노출시키게 된다.
이렇게 장치보호부재(30)가 노출되면 제조사의 출고시스템(도면 미도시)에 의해서 장치보호부재(30) 내측으로 포장대상물인 전력저장장치(P)의 투입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때, 다수의 장치보호부재(30)가 적층된 경우 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대응하는 갯수의 전력저장장치가 투입되게 된다.
그리고, 적층된 장치보호부재(30)의 내측으로 전력저장장치(P)의 투입이 완료되고 나면, 역으로 분리했던 전방도어판(50)을 몸통박스(40)에 삽입시켜 개방되었던 전방입구(42)를 폐쇄시킨 후, 몸통박스(40) 위에 다시 상부박스(20)를 안착시켜 준다. 물론, 전방입구(42)가 형성되지 않은 구성의 몸통박스(40)인 경우에는 분리했던 몸통박스(40) 자체를 장치보호부재(30)의 외측으로 삽입한 후, 상부박스(20)를 안착시켜 주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포장구조체 내에 전력저장장치(P)가 포장되면 최종 출고지로 이동된 후, 포장구조체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밴드로 외부를 결속함으로써 운반이 가능하도록 포장이 완료된다.
여기서, 최종 출고 전 포장된 전력저장장치(P)의 작동여부에 대한 테스트가 필요한 경우에는 포장구조체의 결속 전에 먼저 상부박스(20)를 분리시킨 후, 후방도어판(60)을 몸통박스(40)로부터 상승 분리시켜 후방입구(44)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최종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테스트가 완료되면, 다시 분리했던 후방도어판(60)을 삽입하고 상부박스(20)를 안착시킨 후에 결속을 함으로써 운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포장구조체에 의해 포장된 상태에서 운반이 되면, 대상물인 전력저장장치(P)는 1차적으로 장치보호부재(30)에 의해 완충 보호가 됨과 함께 그 외부를 감싼 박스들(10, 20, 40)에 의해 2차적으로 완충 보호가 되므로 파손 등의 염려없이 안전하게 운반이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포장구조체가 운반되어 사용처에 입고되면, 포장구조체를 분리해체하여 전력저장장치(P)를 인출해야 하는 바, 이 때에는 먼저 외부를 결속하고 있는 고정밴드를 제거하며, 상부박스(20)를 분리시킨 후, 몸통박스(40)를 분리시켜 수용된 장치보호부재(30)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한다.
물론, 전방도어판(50)과 후방도어판(60)이 구성된 경우에는 몸통박스(40)의 분리시에 전방도어판(50)과 후방도어판(60)도 함께 분리시켜 준다.
이렇게 장치보호부재(30)가 완전히 노출되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적층된 장치보호부재(30) 중 최상측의 장치보호부재(30)를 들어올려 하측의 장치보호부재(30)로부터 분리시킨 후 내측에 지지되던 전력저장장치(P)를 인출하면 되고, 이러한 과정을 최하측까지 순차적으로 계속 진행하면서 모든 전력저장장치(P)를 인출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포장구조체를 완전히 해체하여 전력저장장치(P)를 모두 인출시킨 후에는, 재사용을 위하여 해체되었던 포장구조체의 요소들을 다시 원래대로 조립시켜 다시 제조사로 배송하거나 사용처에서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에 의하면, 출고시의 포장이나 입고시의 분리 및 인출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단수만이 아니라 복수의 전력저장장치를 적층시켜 포장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재료비 및 배송비 등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2중 구조의 완충력 제공을 통해 안전성 또한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 및 해체시 포장구조체 자체에는 전혀 변형내지는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계속적으로 재사용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에서는 포장대상물로 전력저장장치만을 예시하였으나, 전력저장장치 이외에도 전력저장장치와 유사한 형태나 기능을 갖는 다양한 전기장치나 제품 등에 본 발명에 따른 포장구조체가 널리 활용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하부박스 13: 절개부
14: 완충받침판 20: 상부박스
30: 장치보호부재 31: 완충지지판
32: 완충받침대 14a,31a: 안착홈부
40: 몸통박스 42: 전방입구
44:후방입구 50: 전방도어판
60: 후방도어판

Claims (8)

  1. 상면이 개방되어 저면부(11)와 측면부(12)로 구성된 하부박스(10);
    하면이 개방되어 상면부(21)와 측면부(22)로 구성된 상부박스(20);
    상기 하부박스(10)의 저면부(11) 위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며, 평평한 완충지지판(31)과, 상기 완충지지판(31)의 하단 양쪽에 나란하게 돌출 고정된 한 쌍의 완충받침대(32)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완충받침대(32) 사이로 투입된 전력저장장치(P)를 완충 지지하는 장치보호부재(30);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상기 장치보호부재(30)를 수용하면서 상기 하부박스(10)와 상부박스(20) 각각의 측면부(12, 22) 내측으로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하부박스(10)와 상부박스(20) 사이에 위치되는 몸통박스(40);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보호부재(3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적층되되, 상측 장치보호부재의 완충받침대(32) 한 쌍이 하측 장치보호부재의 완충지지판(31) 위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적층되며,
    상기 하부박스(10)의 저면부(11)에는 완충받침판(14)이 고정되고, 하부박스(10)의 전면부에는 상기 전력저장장치의 통과가 가능한 절개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받침판(14)과 상기 완충지지판(31)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한 쌍의 완충받침대(32) 하단부가 삽입되면서 각각 안착이 될 수 있는 한 쌍의 안착홈부(14a, 31a)가 요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완충받침판(32)의 표면에는 상기 전력저장장치(P)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발포시트(33)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박스(40)의 전면부(41)에는 상기 전력저장장치(P)의 통과가 가능한 전방입구(42)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몸통박스(40)의 전면부(41) 내측에는 상기 전방입구(42)를 개폐시키는 전방도어판(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박스(40)의 후면부(43)에는 전력저장장치(P)에 검사도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후방입구(44)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몸통박스(40)의 후면부(43) 내측에는 상기 후방입구(44)를 개폐시키는 후방도어판(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8. 삭제
KR1020120118318A 2012-10-24 2012-10-24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KR101285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18A KR101285269B1 (ko) 2012-10-24 2012-10-24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18A KR101285269B1 (ko) 2012-10-24 2012-10-24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269B1 true KR101285269B1 (ko) 2013-07-15

Family

ID=4899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318A KR101285269B1 (ko) 2012-10-24 2012-10-24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2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753A (zh) * 2013-09-10 2013-12-11 潍坊瑞驰汽车系统有限公司 铅酸蓄电池包装装置及其包装方法
CN108502329A (zh) * 2018-06-04 2018-09-07 安徽艾伊德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动力电池转运箱
KR20200131015A (ko) * 2019-05-13 2020-11-23 김주민 하니콤 부재를 이용한 포장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095Y1 (ko) * 2002-05-24 2002-08-21 박열 포장박스용 하니콤 보강재
KR200338641Y1 (ko) * 2003-10-27 2004-01-16 김재홍 건전지 포장케이스
KR20120039977A (ko) * 2010-10-18 2012-04-26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포장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095Y1 (ko) * 2002-05-24 2002-08-21 박열 포장박스용 하니콤 보강재
KR200338641Y1 (ko) * 2003-10-27 2004-01-16 김재홍 건전지 포장케이스
KR20120039977A (ko) * 2010-10-18 2012-04-26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포장 박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753A (zh) * 2013-09-10 2013-12-11 潍坊瑞驰汽车系统有限公司 铅酸蓄电池包装装置及其包装方法
CN108502329A (zh) * 2018-06-04 2018-09-07 安徽艾伊德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动力电池转运箱
KR20200131015A (ko) * 2019-05-13 2020-11-23 김주민 하니콤 부재를 이용한 포장 용기
KR102224514B1 (ko) * 2019-05-13 2021-03-08 김주민 하니콤 부재를 이용한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509B2 (e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CN202072064U (zh) 太阳能光伏组件的分体式包装箱
KR101302256B1 (ko) 글라스 컨테이너
KR101285269B1 (ko) 전력저장장치용 포장구조체
KR101124703B1 (ko) 과일포장박스
KR20110002494U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US9546031B2 (en) Method of packaging and package of fixed-temple eyewear
JP5406863B2 (ja) リユースコンテナ
KR20150052985A (ko) 포장 트레이
KR101225468B1 (ko) 판재 형상의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JP2008254752A (ja) 商品包装体
JP2008056251A (ja) トレイ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テナ
CN212125832U (zh) 一种用于易碎物品运输的固定式包装纸箱
JP2010254370A (ja) 位置決め板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の梱包装置
KR101815280B1 (ko) 물품 포장박스
CN110789813B (zh) 一种装配式木质包装盒
KR101049637B1 (ko) 멀티 보관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US20060260975A1 (en) Packaging assembly
JP2011031891A (ja) 梱包箱及び積載方法
CN204822691U (zh) 包装箱
JP5171160B2 (ja) 梱包用具及び前記梱包用具により梱包された空気調和機
CN110562605A (zh) 包装结构和空调器包装套装组
KR20130006300U (ko) 포장용 박스
KR101622744B1 (ko) 책꽂이 겸용 도서 포장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05203U (ko) 포장용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