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711B1 - 조직 절단 겸자 - Google Patents

조직 절단 겸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711B1
KR101284711B1 KR1020110109061A KR20110109061A KR101284711B1 KR 101284711 B1 KR101284711 B1 KR 101284711B1 KR 1020110109061 A KR1020110109061 A KR 1020110109061A KR 20110109061 A KR20110109061 A KR 20110109061A KR 101284711 B1 KR101284711 B1 KR 101284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arm
tissue
forceps
biological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808A (ko
Inventor
전병희
이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이즈
Priority to KR1020110109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7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겸자에 있어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하며 길게 연장된 제1암과, 제3단부과 제4단부을 구비하고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4단부는 상기 제1암의 제2단부와 결합하는 제2암과, 상기 제1암의 제1단부의 둘레에, 상기 제2암을 향해 형성된 복수의 제1톱니와, 상기 제1톱니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생체 조직 수용부와, 상기 제2암의 제3단부의 둘레에, 상기 제1암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제1톱니와 맞물리는 제2톱니와, 상기 제2톱니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생체 조직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 겸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절단 겸자는 톱니에 의해서 절단된 조직이 생체 조직 수용부에 저장되어 겸자의 암에 의해서 눌리지 않기 때문에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겸자의 앞 부분이 뾰족하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생체 조직 덩어리 내부를 파고들어 생체 조직 내부에서 생체 조직 샘플을 채취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Description

조직 절단 겸자{Tissue Cutting Forcep}
본 발명은 생체 조직을 잘라낼 수 있는 겸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조직을 잘라내는 과정에서 연한 생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직 절단 겸자에 관한 것이다.
겸자(forcep)는 외과 또는 다른 의료 시술 동안 피부와 같은 조직을 파지하거나 절단하여 채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디자인의 겸자가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인 겸자는 생체 조직을 잡을 수 있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턱과, 턱에서 연장된 한 쌍의 아암을 갖는다. 한 쌍의 아암의 끝 단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한다. 미국특허 제4,509,517호와 제3,140,715호에는 이와 같은 생체 조직 겸자가 개시되어 있다(도 1과 2 참조).
이러한 종래의 겸자가 부드러운 생체 조직에 이용될 때, 다수의 톱니에 의해서 생체 조직의 손상을 일으킨다. 이러한 손상은 조직 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미세한 톱니를 사용하는 겸자가 사용되고 있으나, 조직 위의 톱니 자국을 남기고, 조직의 분쇄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동안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선된 조직 절단 겸자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특허 제4,509,517호 미국특허 제3,140,715호
본 발명은 사용하는 동안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선된 조직 절단 겸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며, 생체 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겸자에 있어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하며 길게 연장된 제1암과, 제3단부과 제4단부을 구비하고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4단부는 상기 제1암의 제2단부와 결합하는 제2암과, 상기 제1암의 제1단부의 둘레에, 상기 제2암을 향해 형성된 복수의 제1톱니와, 상기 제1톱니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생체 조직 수용부와, 상기 제2암의 제3단부의 둘레에, 상기 제1암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제1톱니와 맞물리는 제2톱니와, 상기 제2톱니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생체 조직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 겸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겸자는 톱니에 의해서 절단된 조직이 생체 조직 수용부에 저장되어 겸자의 암에 의해서 눌리지 않기 때문에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톱니와 상기 제2톱니 중 일부에는 바깥쪽으로 연장된 첨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 조직 덩어리에 쉽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생체 조직 덩어리 내부의 생체 조직 샘플을 채취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톱니와 상기 제2톱니 중 중심부에 위치하는 톱니에 첨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톱니와 제2톱니의 단면은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절단 겸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톱니에 의해서 절단된 조직이 생체 조직 수용부에 저장되어 겸자의 암에 의해서 눌리지 않기 때문에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겸자의 앞 부분이 뾰족하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생체 조직 덩어리 내부를 파고들어 생체 조직 내부에서 생체 조직 샘플을 채취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도 1과 2는 종래의 조직 절단 겸자의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절단 겸자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와 5는 도 3에 도시된 조직 절단 겸자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직 절단 겸자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절단 겸자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4와 5는 도 3에 도시된 조직 절단 겸자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직 절단 겸자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절단 겸자의 일실시예는 제1암(10), 제2암(20), 제1암(10)에 형성된 제1톱니(13)와 제1생체 조직 수용부(14)와 제3톱니(15), 제2암(20)에 형성된 제2톱니(23)와 제2생체 조직 수용부(24)와 제4톱니(25)를 포함한다.
제1암(10)과 제2암(20)은 길게 연장된 판 형태로서, 제1암(10)과 제2암(20)의 중심부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이용하여 겸자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돌기(17, 27)가 형성되어 있다.
제1암(10)의 제2단부(11)와 제2암(20)의 제4단부(21)는 용접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해서 결합된다. 제1암(10)과 제2암(20)은 금속 등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사용자가 제1암(10)과 제2암(20)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기 전에는 탄성에 의해서 제1암(10)의 제1단부(11)와 제2암(20)의 제3단부(21)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면, 제1암(10)의 제1단부(11)의 둘레에는 제1톱니(13)가 형성된다. 제1톱니(13)는 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삼각형의 뾰족한 모서리 부분이 제2암(20)을 향한다. 이 뾰족한 모서리 부분이 생체 조직을 관통하여 생체 조직을 절단함으로써, 생체 조직 덩어리에서 생체 조직 샘플을 분리할 수 있다.
제1톱니(13)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의 내부에는 반구 형상으로 오목한 제1생체 조직 수용부(14)가 형성된다. 제1생체 조직 수용부(14)는 제1톱니(13)에 의해서 절단된 생체 조직이 보관되는 부분으로서, 오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암(10)과 제2암(20)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해서, 제1암(10)의 제1톱니(13)과 제2암(20)의 제2톱니(21)를 밀착시켜도, 제1생체 조직 수용부(14)에 저장된 생체 조직에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세포의 손상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제1생체 조직 수용부(14)의 제1톱니(13)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은 반대쪽은 제3톱니(15)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톱니(15)는 2열로 형성되어 있다. 제3톱니(15)는 제1암(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톱니(13)와 마찬가지로 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날까로운 모서리 방향이 제2암(20)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3톱니(15)는 제1톱니(13)와 함께 생체 조직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제1톱니(13) 중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톱니에는 바깥쪽을 향하는 첨단(16)이 형성된다. 이 첨단(16)은 생체 조직 덩어리의 표면이 아닌 생체 조직 덩어리의 내부에서 표본을 채취하기 위해서 겸자를 생체 조직 덩어리의 내부에 밀어넣을 때, 겸자가 쉽게 파고들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암(20)의 제3단부(21)의 둘레에는 제2톱니(23)가 형성된다. 제2톱니(23)는 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삼각형의 뾰족한 모서리 부분이 제1암(10)을 향한다. 제2톱니(23)는 제1톱니(13)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톱니(23)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의 내부에는 반구 형상으로 오목한 제2생체 조직 수용부(24)가 형성된다. 제2생체 조직 수용부(24)는 제1생체 조직 수용부(14)와 함께 구형 공간을 형성하여 절단된 생체 조직이 보관한다. 제1생체 조직 수용부(14)와 제2생체 조직 수용부(24)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은 지름이 3㎜정도인 구형공간이다.
제2생체 조직 수용부(24)의 제2톱니(23)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은 반대쪽은 제4톱니(25)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제4톱니(25)는 제3톱니(15)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톱니(23) 중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톱니에는 제1톱니(13)와 마찬가지고 바깥쪽을 향하는 첨단(26)이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세포 겸자를 이용하여, 생체 조직 덩어리의 내부에서 생체 조직 샘플을 채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겸자를 벌린 상태에서 생체 조직 덩어리의 내부를 향해서 겸자를 밀어넣는다. 겸자의 첨부가 생체 조직 덩어리를 절개하면서 파고들어가므로 용이하게 생체 조직 덩어리의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다.
다음, 사용자가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이용하여 제1암(10)과 제2암(20)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겸자에 압력을 가한다. 겸자의 제1톱니(13)와 제2톱니(23), 제3톱니(15)와 제4톱니(25)가 가까워지면서 생체 조직이 절단된다.
절단된 생체 조직 샘플은 제1생체 조직 수용부(14)와 제2생체 조직 수용부(24)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손상되지 않고 수용된다.
다음, 겸자를 생체 조직 덩어리에서 분리한 후 겸자를 개방하여 생체 조직 샘플을 획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겸자는 이와 같이 생체 조직 덩어리 내부의 생체 조직 샘플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으며, 생체 조직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3톱니(15)와 제4톱니(25)는 2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1열로 형성되거나, 3열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10: 제1암 13: 제1톱니
14: 제1생체 조직 수용부 15: 제3톱니
16, 26: 첨부 20: 제2암
23: 제2톱니 24: 제2생체 조직 수용부
25: 제4톱니

Claims (5)

  1. 생체 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겸자에 있어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하며 길게 연장된 제1암과,
    제3단부와 제4단부를 구비하고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4단부는 상기 제1암의 제2단부와 결합하는 제2암과,
    상기 제1암의 제1단부의 둘레에, 상기 제2암을 향해 형성된 복수의 제1톱니와,
    상기 제1톱니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생체 조직 수용부와,
    상기 제2암의 제3단부의 둘레에, 상기 제1암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제1톱니와 맞물리는 제2톱니와,
    상기 제2톱니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생체 조직 수용부를 포함하며,
    생체 조직 내에 침투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제1톱니와 상기 제2톱니 중 일부에는 바깥쪽으로 연장된 첨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 겸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톱니와 상기 제2톱니 중 중심부에 위치하는 톱니에 첨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 겸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톱니와 제2톱니의 단면은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 겸자.
  5. 생체 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겸자에 있어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하며 길게 연장된 제1암과,
    제3단부와 제4단부를 구비하고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4단부는 상기 제1암의 제2단부와 결합하는 제2암과,
    상기 제1암의 제1단부의 둘레에, 상기 제2암을 향해 형성된 복수의 제1톱니와,
    상기 제1톱니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생체 조직 수용부와,
    상기 제2암의 제3단부의 둘레에, 상기 제1암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제1톱니와 맞물리는 제2톱니와,
    상기 제2톱니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생체 조직 수용부와,
    상기 제1생체 조직 수용부의 상기 제2단부 방향을 감싸며, 상기 제1암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3톱니와,
    상기 제3톱니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2암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4톱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절단 겸자.

KR1020110109061A 2011-10-25 2011-10-25 조직 절단 겸자 KR10128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061A KR101284711B1 (ko) 2011-10-25 2011-10-25 조직 절단 겸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061A KR101284711B1 (ko) 2011-10-25 2011-10-25 조직 절단 겸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808A KR20130044808A (ko) 2013-05-03
KR101284711B1 true KR101284711B1 (ko) 2013-07-16

Family

ID=4865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061A KR101284711B1 (ko) 2011-10-25 2011-10-25 조직 절단 겸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3407A (ko) 2021-12-31 2023-07-07 (의) 삼성의료재단 다기능 의료용 포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7385A (en) * 1983-04-29 1986-07-01 Watson Trevor F Biopsy instrument
US4955897A (en) * 1988-08-22 1990-09-11 Ship Arthur G Tissue forceps
US5667526A (en) * 1995-09-07 1997-09-16 Levin; John M. Tissue retaining clam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7385A (en) * 1983-04-29 1986-07-01 Watson Trevor F Biopsy instrument
US4955897A (en) * 1988-08-22 1990-09-11 Ship Arthur G Tissue forceps
US5667526A (en) * 1995-09-07 1997-09-16 Levin; John M. Tissue retaining c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3407A (ko) 2021-12-31 2023-07-07 (의) 삼성의료재단 다기능 의료용 포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808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2925B2 (en) Dermal punch device
KR100685695B1 (ko) 란셋, 란셋 세트, 란셋 매거진 및 절개 장치의 란셋 구동 방법
US6730043B2 (en) Bone marrow biopsy needle
US7311674B2 (en) End effector assembly cap and tissue remov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4494542A (en) Suture cutter, extractor and method to cut and remove sutures
JP5686448B2 (ja) 回動保持部材を有する毛包単位の除去器具
US20120130274A1 (en) Tissue sampling tool, in particular for adipose tissue
JP5643742B2 (ja) 縫合針
KR101284711B1 (ko) 조직 절단 겸자
WO2016054501A1 (en) Sharps blade applicator and storage device
WO2011158669A1 (ja) ランセ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穿刺デバイス
JPH07100140A (ja) 義毛の植毛用針
EP2043523B1 (en) Lancet
KR101862482B1 (ko) 세포 채취용 주사바늘이 구비된 주사기
KR102244503B1 (ko) 생검용 니들셋
KR102384813B1 (ko) 생검용 니들셋
JP2022510423A (ja) 骨片を削り取り採取する外科用器具
US9615823B2 (en) Tools and methods for removing anchors from medical leads
KR20100045025A (ko) 피부 조직 채취용 펀칭 장치
WO2015159845A1 (ja) ランセット
RU2466691C1 (ru) Скальпель
JP5783509B2 (ja) 観察用カッタおよび観察用カッタの製造方法
WO2016196913A1 (en) Biopsy needle
US20190380731A1 (en) Method and Article for Removing Splinters with a Disposable Lancet
EP1418846B1 (en) Bone marrow biopsy nee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