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661B1 -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661B1
KR101283661B1 KR1020110099094A KR20110099094A KR101283661B1 KR 101283661 B1 KR101283661 B1 KR 101283661B1 KR 1020110099094 A KR1020110099094 A KR 1020110099094A KR 20110099094 A KR20110099094 A KR 20110099094A KR 101283661 B1 KR101283661 B1 KR 10128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creatives
advertisement
advertising
cre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922A (ko
Inventor
권기오
김석영
유광진
김유진
조수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1009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6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7Calculate past, present or future reven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광고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광고 소재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광고 등록부, 광고 기간의 일부 기간인 측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제1 성과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성과 측정부, 그리고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광고 기간의 나머지 기간인 노출 기간 동안 상기 제1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본 발명은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자는 포털 사이트(portal site) 등에서 관심 있는 업체 등을 검색하고, 검색된 업체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검색은 관심 있는 업체와 관련된 검색어(keyword)를 입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업체에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하면, 포털 사이트를 운영하는 검색 시스템 등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 결과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포털 사이트 등의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어를 이용하여 관련 업체의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 광고 기법인 검색어 광고(keyword advertising)를 영업에 활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검색어 광고에 있어서 광고주는 하나의 광고 대상에 대해서 복수의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는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광고 중 성과가 좋은 광고를 선택하여 노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광고 대상에 대해서 복수의 광고 소재를 노출할 수 있는 광고 구조에서, 각 광고 소재의 성과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그에 따라 성과가 우수한 광고 소재를 노출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광고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광고 소재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광고 등록부, 광고 기간의 일부 기간인 측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제1 성과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성과 측정부, 그리고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광고 기간의 나머지 기간인 노출 기간 동안 상기 제1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성과 측정부는, 상기 측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을 균등 노출하여 상기 제1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성과 측정부는, 노출 대비 클릭수인 클릭률(click through rate, CTR)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은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이 일정한 기준 이상의 노출수를 갖는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은 상기 제1 성과가 1위인 광고 대상과 2위인 광고 대상의 성과 차이가 일정한 기준 이상인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은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간 노출수 차이가 일정한 기준 이하인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성과 측정부는,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누적 성과를 제2 성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성과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은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이 일정한 기준 이상의 노출수를 갖는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와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를 균등하게 노출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방법은 광고 시스템이 광고주 단말의 광고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광고 소재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을 균등 노출하여 제1 성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은,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이 일정한 기준 이상의 노출수를 갖는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은 상기 제1 성과가 1위인 광고 대상과 2위인 광고 대상의 성과 차이가 일정한 기준 이상인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은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간 노출수 차이가 일정한 기준 이하인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누적 성과를 제2 성과로서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와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를 균등하게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광고 대상에 대해서 복수의 광고 소재를 노출할 수 있는 광고 구조에서, 각 광고 소재의 성과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성과가 우수한 광고 소재를 노출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에 등록된 광고 구조의 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에 등록되는 광고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광고 시스템(100)은 광고주가 사용하는 광고주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광고주가 제공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 소재를 포함하는 광고를 접수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소재 각각의 성과를 측정하여 성과 측정 결과에 따라 광고 소재를 사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함으로써 광고를 수행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광고주 단말(200)은 광고주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광고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통신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텔레비전(television, TV)등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광고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통신하는 장치이며, 광고주 단말(200)과 마찬가지로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텔레비전 등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광고 시스템(100)은 광고 등록부(110), 성과 측정부(130)및 광고 노출부(150)를 포함한다.
광고 등록부(110)는 광고주 단말(200)로부터 광고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고, 광고주 단말(200)의 광고를 등록하여 저장한다. 광고 등록부(110)에 등록되는 광고주 단말(200)의 광고는 도 3과 같을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광고주 단말(200)은 하나의 광고 대상에 대해서 복수의 광고 그룹을 등록할 수 있다. 하나의 광고 그룹은 '아이패드', '아이폰' 및 '갤럭시'와 같은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한다. 또한 광고 그룹은 'AAA', 'BBB', 'CCC' 및 'DDD'와 같이 복수의 광고 소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고 소재는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대해서 노출되는 광고 내용으로서 광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광고 소재는 예를 들어, 텍스트 광고를 구성하는 제목 및 설명(title & description, T&D),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복수의 키워드 중 한 키워드에 대하여 광고가 노출되기로 결정된 경우 각 키워드에 대해서 노출될 광고 소재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광고주 단말(200)이 광고 그룹에 등록한 복수의 광고 소재(AAA, BBB, CCC, DDD)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성과 측정부(130)는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성과를 측정한다. 성과 측정부(130)는 도 4와 같이 전체 광고 기간, 예를 들어 24시간인 하루 동안의 일부 기간인 측정 기간 동안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성과를 측정한다.
측정 기간은 성과 이력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통계적으로 일정한 기간 동안의 성과가 나머지 기간에서의 성과와 유사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일정한 기간을 측정 기간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기간은 전체 광고 기간 중 연속하지 않는 적어도 두 개의 기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중 오전 10:00부터 2시간 동안의 성과는 정오부터 오후 10:00까지 10시간 동안 유사하게 유지되며, 오후 10:00부터 2시간 동안의 성과가 자정부터 다음날 오전 10:00까지 10시간 동안 유사하게 유지되는 경우, 오전 10:00부터 2시간 및 오후 10:00부터 2시간 동안이 측정 기간이 될 수 있다.
성과 측정부(130)는 측정 기간 동안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을 균등하게 노출하여 성과를 측정하며, 예를 들어, 복수의 광고 소재는 노출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한번씩 번갈아 가며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성과 측정부(130)는 노출 대비 클릭수인 클릭률(click through rate, CTR)을 기준으로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성과 측정부(130)는 측정 기간 동안의 성과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만 성과로 인정할 수 있다.
측정 기간 동안 성과의 유효성은 모든 광고 소재가 일정한 기준 이상의 노출수를 갖는지 여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광고 소재가 100회 이상 노출된 경우에만 성과의 유효성을 인정할 수 있다. 이는 모든 광고 대상이 성과를 측정할만한 최소 기준을 갖추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측정 기간 동안 성과의 유효성은 성과가 1위인 광고 대상과 2위인 광고 대상의 성과 차이가 일정한 기준 이상인지 여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릭률이 1위인 광고 대상과 클릭률이 2위인 광고 대상의 차이가 20% 이상인 경우에는 성과의 유효성을 인정할 수 있다. 이는 1위인 광고 소재가 다른 광고 소재에 비해 충분히 우수한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또한 측정 기간 동안 성과의 유효성은 복수의 광고 소재 간 노출수의 차이가 일정한 기준 이하인지 여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광고 소재의 노출수가 다른 광고 소재의 노출수보다 10% 이상 많은 경우에는 특정 광고 소재만 지나치게 많이 노출된 것으로 보아 성과의 유효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성과 측정부(130)는 측정 기간 동안 성과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누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성과 측정부(130)는 일정한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는 광고 소재 중에서 가장 클릭이 많은 광고 소재를 성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은 일정한 기준 이상의 노출수를 갖는지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과 측정부(130)는 노출수가 1000회 이상인 광고 소재만을 누적 성과의 측정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이는 누적 성과를 비교할 만큼 충분히 노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광고 노출부(150)는 성과 측정부(130)에서 측정한 성과를 기초로 노출할 광고 소재를 결정하여 노출 기간 동안 결정한 광고 소재를 노출한다.
광고 노출부(150)는 먼저 측정 기간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노출한다. 만일 광고 노출부(150)는 측정 기간 성과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성과 측정부(130)에서 측정한 누적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다음 성과 측정 기간 전까지 노출한다. 이때 광고 노출부(150)는 누적 성과 비교 조건을 만족하는 광고 소재 중에서 누적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노출하며, 만일 누적 성과 비교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누적 성과 비교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와 누적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한다. 이는 노출수가 적은 광고 소재에 대해서 추후 유의미한 비교를 위해서 부분 노출 우선권을 주는 것이다.
만일 누적 성과에서도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가 선정되지 않으면, 광고 노출부(150)는 다음 성과 측정 기간까지 모든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한다.
이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광고 시스템(100)은 광고주 단말(200)이 등록한 하나의 광고 그룹에 두 개 이상의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510). 판단 결과 하나의 광고 소재가 등록된 경우에는 광고 시스템(100)은 등록된 광고 소재를 노출한다(S520).
광고 시스템(100)은 단계(S510)에서 판단 결과 두 개 이상의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측정 기간 동안 모든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함으로써, 측정 기간 동안의 성과를 제1 성과로서 측정한다(S530).
이어서, 광고 시스템(100)은 측정 기간 성과에 유효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40). 판단 결과 측정 기간 성과에 유효성이 있는 경우에는, 제1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다음 성과 측정 기간 전까지 노출한다(S550).
광고 시스템(100)은 단계(S540)에서 판단 결과 측정 기간 성과에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광고 시스템(100)은 모든 광고 소재가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60).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은 누적 노출수가 일정한 기준 이상인지를 여부로 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모든 광고 소재가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누적 성과인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61). 판단 결과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 경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다음 성과 측정 기간 전까지 노출한다(S562).
단계(S561)에서 판단 결과 제2 성과가 가장 우수한 광고 소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광고 소재가 균등하게 노출된다(S563).
단계(S560)에서 판단 결과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70). 판단 결과 누적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와,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한다(S571).
단계(S570)에서 판단 결과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한다(S563).
이와 같이 하나의 광고 대상에 대해서 복수의 광고 소재를 노출할 수 있는 광고 구조에서, 측정 기간과 노출 기간을 나누어 광고를 수행하며, 측정 기간 동안 성과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에 따라 광고를 수행하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측정 기간 성과의 유효성을 판별하여 유효성에 따라 누적 성과를 부가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노출에 반영함으로써 각 광고 소재의 성과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광고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광고 소재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광고 등록부,
    광고 기간의 일부 기간인 측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제1 성과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성과 측정부, 그리고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광고 기간의 나머지 기간인 노출 기간 동안 상기 제1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노출하는 광고 노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은,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이 일정한 기준 이상의 노출수를 갖는지 여부, 상기 제1 성과가 1위인 광고 대상과 2위인 광고 대상의 성과 차이가 일정한 기준 이상인지 여부 및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간 노출수 차이가 일정한 기준 이하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광고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성과 측정부는,
    상기 측정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을 균등 노출하여 상기 제1 성과를 측정하는 광고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성과 측정부는,
    노출 대비 클릭수인 클릭률(click through rate, CTR)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성과를 측정하는 광고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재1항에서,
    상기 성과 측정부는,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누적 성과를 제2 성과로서 측정하는 광고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성과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측정하는 광고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은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이 일정한 기준 이상의 노출수를 갖는지 여부로 결정되는 광고 시스템.
  10. 제8항에서,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와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하는 광고 시스템.
  11. 제8항에서,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를 노출하는 광고 시스템.
  12. 제8항에서,
    상기 광고 노출부는,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하는 광고 시스템.
  13. 광고 시스템이 광고주 단말의 광고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광고 소재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을 균등 노출하여 제1 성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은,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이 일정한 기준 이상의 노출수를 갖는지 여부, 상기 제1 성과가 1위인 광고 대상과 2위인 광고 대상의 성과 차이가 일정한 기준 이상인지 여부 및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은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간 노출수 차이가 일정한 기준 이하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광고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3항에서,
    상기 제1 성과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 각각의 누적 성과를 제2 성과로서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와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19. 제17항에서,
    상기 누적 성과 비교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광고 소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20. 제17항에서,
    상기 제2 성과가 가장 좋은 광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 소재를 균등하게 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KR1020110099094A 2011-09-29 2011-09-29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KR10128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094A KR101283661B1 (ko) 2011-09-29 2011-09-29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094A KR101283661B1 (ko) 2011-09-29 2011-09-29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922A KR20130034922A (ko) 2013-04-08
KR101283661B1 true KR101283661B1 (ko) 2013-07-08

Family

ID=4843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094A KR101283661B1 (ko) 2011-09-29 2011-09-29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19B1 (ko) * 2022-08-09 2023-08-29 엘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사용자가 제작한 광고들 중에서 주요 광고를 결정하는 온라인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685A (ko) * 2006-03-28 2007-10-05 엔에이치엔(주) 점수 분포에 따른 광고리스트의 생성 방법 및 광고리스트생성 시스템
KR20090000611A (ko) * 2007-03-08 2009-01-08 엔에이치엔(주) 클릭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최적의 노출용 광고 정보를노출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17271A (ko) * 2007-08-14 2009-02-18 엔에이치엔(주) Ctr을 보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685A (ko) * 2006-03-28 2007-10-05 엔에이치엔(주) 점수 분포에 따른 광고리스트의 생성 방법 및 광고리스트생성 시스템
KR20090000611A (ko) * 2007-03-08 2009-01-08 엔에이치엔(주) 클릭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최적의 노출용 광고 정보를노출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17271A (ko) * 2007-08-14 2009-02-18 엔에이치엔(주) Ctr을 보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922A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2133B2 (en) Estimating off-line advertising impressions
US113864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ertising on content-screened web pages
US20170017986A1 (en) Tracking digital design asset usage and performance
US20180315060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estimate media impression frequency distributions
KR20090084965A (ko) 광고의 효율성 결정
US20150154632A1 (en) Determining a number of view-through conversions for an online advertising campaign
KR20070111350A (ko) 문맥광고/정보의 맵핑 적중률 향상을 위한 광고/정보 노출방법 및 그를 이용한 문맥광고/정보 추천 서비스 시스템
US91914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election of a content format
US11010786B1 (en) Predicting advertisement impact for audience selection
US20130066709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ntextually relevant advertisements to be provided to a web page
US98118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user interests based on mobile call logs
JP4948573B2 (ja) 広告課金装置及び方法
US20190251601A1 (en) Entity detection using multi-dimensional vector analysis
JP2012525654A (ja) 多くの視聴者を開発すると予測されるビデオを広告のターゲットとする技術
CN109034867B (zh) 点击流量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283661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US10776815B1 (en) Predicting advertisement impact for campaign selection
KR101305526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JP6105313B2 (ja) インターネット広告の効果測定方法、効果測定装置及び効果測定システム
KR20100033723A (ko)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95338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EP2941749A1 (en) User-based analysis of advertisement pools
US202303514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targeted creative from multi-dimensional testing
KR101689758B1 (ko) 광고 노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687366B1 (ko) 인터넷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