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313B1 -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313B1
KR101283313B1 KR1020110033786A KR20110033786A KR101283313B1 KR 101283313 B1 KR101283313 B1 KR 101283313B1 KR 1020110033786 A KR1020110033786 A KR 1020110033786A KR 20110033786 A KR20110033786 A KR 20110033786A KR 101283313 B1 KR101283313 B1 KR 10128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control
dtv
command data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192A (ko
Inventor
김대한
이병헌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한국방송공사
Priority to KR1020110033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31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DTV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은,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중계기 탑재모듈은 DTV중계기들의 정상 작동 여부를 모니터링하되, 이벤트에 의한 제어를 위해 DTV중계기에 고장 발생에 따라 상태 신호를 출력하고, TS 데이터 에러가 발생됨에 따라 에러 유형을 판별하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조합하여 전송한다. 스마트폰은 중계기 탑재모듈에서 전송되는 송신전화번호 및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및 상태를 표시하고, 원격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DTV중계기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원격지에 위치한 DTV중계기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DTV중계기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스마트폰에 탑재하고, 제어상태정보의 송수신, 방송 송신 상태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하므로써, 양질의 방송 송신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SYSTEM AND METHOD OF MULTI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DIGITAL TV REPEATER, AND SMART PHONE AND REPEATER EMBODIED MODULE EMPLOYED THEREON}
본 발명은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질의 방송 송신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방송시스템은 본격적인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방송사들은 국가 시책에 맞추어 디지털화에 힘을 기울여 왔으며, 방송환경의 디지털화는 송출장비의 디지털화 이외에도 프로그램 제작, 편집 등의 디지털화를 통해 전체적인 운영인력 및 경비의 절감, 운영의 편이성, 화질의 개선 등의 효과를 얻고 있다.
이처럼 방송시스템의 디지털화가 진행됨에 따라 방송운영자에게 더욱 절실한 문제는 방송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에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얼마나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다수의 장비들이 복합적으로 운용되는 방송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한 장비의 신속한 복구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 기간급 송신소와 달리 DTVR(TV 간이중계소)은 각 지역총국에서 상당한 거리에 산재해 있으며, 원격제어와 송신상태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중계소 대다수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중계소의 운용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더해 DTV 확장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과도기적인 기간동안 한 개소당 보통 6매체씩을 관리 및 제어해야 하는 등 시스템 운용 및 관리에 따르는 어려움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간이 TV 중계소의 DTV중계기에 적합한 원격제어 프로그램과 모듈을 통한 원격지 제어 관리 및 전송 정보인 MPEG-2 TS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분석해 방송 송신 환경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할 수 있는 장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역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TV 간이중계소와 원격지 스마트폰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 접속하여 TV 간이중계소에 배치된 DTV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방송 송신 상태를 MPEG-2 TS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니터링 및 전송함으로써, 양질의 방송 송신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양질의 방송 송신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에 채용되는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은,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은 디지털티브이(이하, DTV)중계기들 의 정상 작동 여부를 모니터링하되, 이벤트에 의한 제어를 위해 상기 DTV중계기에 고장 발생에 따라 상태 신호를 출력하고,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 데이터 에러가 발생됨에 따라 에러 유형을 판별하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조합하여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에서 전송되는 송신전화번호 및 상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및 상태를 표시하고, 원격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DTV중계기를 제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은, 스마트폰 및 중계기 탑재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 신호를 근거로 디지털티브이중계기(이하, DTVR)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의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DTV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방법은, 이벤트에 의한 제어를 위해, DTV중계기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TS 데이터 에러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DTV중계기에 근접 배치된 중계기 탑재모듈이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조합하여 원격지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에 대응하는 송신전화번호 및 상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사이트 및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팝업으로 상기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사이트 및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방법은, 디지털티브이(이하, DTV)중계기의 원격제어를 위해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됨에 따라, 원격관리자에 의한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및 채널 선택후 업데이트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원격지 연결대상 통신부 전화번호를 제어명령어 데이터에 조합하는 단계와, 오토버튼 클릭후 매뉴얼 전환 여부를 체크하여,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제어불가를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면 매뉴얼 조합 선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매뉴얼 조합 선택으로 체크되면, 제어명령어 데이터 조합을 완성하는 단계와, 원격관리자에 의해 연결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중계기 탑재모듈에 상기 제어명령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프로그램이 저장된 스마트폰에는 디지털티브이(이하, DTV)중계기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TS 데이터 에러가 발생되어 상기 DTV중계기에 근접 배치된 중계기 탑재모듈로부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에 대응하는 송신전화번호 및 상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사이트 및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사이트 및 상태를 표시하는 과정과, 임의 원격제어를 위해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되거나, 상기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사이트 및 상태가 표시되는 화면에서 원격관리자에 의해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및 채널 선택후 업데이트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원격지 연결대상 통신부 전화번호를 제어명령어 데이터에 조합하는 과정과, 오토버튼 클릭후 매뉴얼 전환 여부를 체크하여,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제어불가를 통지하는 과정과, 상기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면 매뉴얼 조합 선택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매뉴얼 조합 선택으로 체크되면, 제어명령어 데이터 조합을 완성하는 과정과, 원격관리자에 의해 연결버튼이 클릭됨에 따라, 중계기 탑재모듈에 상기 제어명령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탑재모듈은 방송신호 모니터링부,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디지털티브이중계기(이하, DTVR)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온-에어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에어 신호를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TS 신호를 근거로 한 외부 장치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DTVR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TS 신호 및 명령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은 원격 모니터링부 및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 모니터링부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 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티브이중계기(이하, DTVR)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DTVR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DTVR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에 의하면, 원격지에 위치한 DTV중계기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DTV중계기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스마트폰에 탑재하고, 제어상태정보의 송수신, 방송 송신 상태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하므로써, 양질의 방송 송신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TVR 통합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계기 탑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중계기 탑재모듈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3b는 중계기 탑재모듈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며, 도 3c는 중계기 탑재모듈이 중계기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는 사진이다.
도 4a는 중계기 탑재모듈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b는 중계기 탑재모듈에 채용되는 거버파일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4c는 도 4b의 거버파일에 의해 제작되는 PCB 기판의 일례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DTVR 통합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6a는 헥사코드 형식의 경고(alert) 명령어 데이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헥사코드 형식의 제어명령어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는 중계기제어용 통신프로토콜 및 중계기응답용 통신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d는 헥사코드 형식의 상태(status) 명령어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e는 온-에어 수신 상태 통지용 할당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f는 Transport Error만 발생한 경우, 온-에어 수신 상태 통지용할당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g는 TS sync Loss 및 Sync Byte Error가 발생한 경우, 온-에어 수신 상태 통지용 할당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DTVR 고장 및 온-에어 불량시 통보이미지들이다.
도 8a는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의 초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고, 도 8b는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의 실행에 따른 DTVR 접속전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고, 도 8c는 팝업창 형태로 표시되는 상태LED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에 제어결과 및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TVR 통합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간이중계소(1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200)에 무선채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2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2 간이중계소(300) 및 제3 간이중계소(400)와도 무선채널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스마트폰은 휴대전화기능과 컴퓨팅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칭한다.
현재 KBS에서 설치하고 있는 DTV중계기는 제품 발주 사양에 통신과 관련된 통신프로토콜과 중계기 컨트롤러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기반으로 제어 및 통신할 통신수단과 제어프로그램의 구축을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환경이 마련되었다. 또한, 스마트폰은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 오픈 소스(open source) 환경으로 응용프로그램 개발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이러한 기술 환경적 기반을 바탕으로 KBS DTV중계기에 적합한 원격 제어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간이중계소들(100, 300, 400) 각각에는 복수의 DTV중계기들이 구비된다. 예를들어, 하나의 DTV중계기는 KBS1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신호를 중계하고, 다른 하나의 DTV중계기는 KBS2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신호를 중계하며, 또 다른 하나의 DTV중계기는 EBS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 하나의 간이중계소에 구비되는 복수의 DTV중계기들에 연결되어 DTV중계기들 각각의 방송 송신상태(또는 온-에어(On-Air)상태)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에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스마트폰(200)의 제어에 응답하여 특정 DTV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계기 탑재모듈이 구비된다. 상기한 중계기 탑재모듈에 대해서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200)은 원격지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DTV중계기들에 접속하여 상기 DTV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고, 그의 응답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들을 근거로 특정 DTV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에 위치한 DTV중계기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 탑재된다. 또한, DTV간이중계소에는 DTV중계기의 제어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고, 방송 송신 상태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하는 중계기 탑재모듈(DTVR Embedded Module)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DTV간이중계소에 배치된 DTV중계기의 동작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동작 불능 등의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이를 동작 불능의 DTV간이중계소까지 이동하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DTV중계기를 제어하여 방송신호의 중계 불능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계기 탑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중계기 탑재모듈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3b는 중계기 탑재모듈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며, 도 3c는 중계기 탑재모듈이 중계기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는 사진이다. 도 4a는 중계기 탑재모듈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b는 중계기 탑재모듈에 채용되는 거버파일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4c는 도 4b의 거버파일에 의해 제작되는 PCB 기판의 일례이다.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탑재모듈(110)은 간이중계소에 구비되어 스마트폰(200)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해당 간이중계소에 배치된 제1 DTV중계기(120), 제2 DTV중계기(130) 및 제3 DTV중계기(140)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110)은 통신부(112), 제어부(114), 방송신호 모니터링부(116) 및 저장부(11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112)는 CDMA 모뎀이고, 상기 제어부(114)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114, 이하 MCU)이며, 상기 방송신호 모니터링부(116)는 DTV튜너(116)이고, 상기 저장부(118)는 버퍼 메모리(118)인 것을 그 일례로 설명한다.
상기 CDMA 모뎀(112)은 상기 MCU(114)와 RS-23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200)과 무선 채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200)과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MCU(114)는 입력받은 제어 명령, 응답 및 MPEG-2 TS(Transport Stream) 신호에 대한 분석 및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DTV튜너(116)의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DTV튜너(116)는 상기 MCU(114)와 I2C 방식으로 연결되어, 방송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온-에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온-에어 신호를 상기 MCU(114)에 제공한다.
상기 버퍼 메모리(118)는 상기 DTV튜너(116)로부터 받은 MPEG-2 TS 데이터를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저장한다.
동작시, 상기 DTV 튜너(116)에서 RF 신호를 받으면, TS 스트림데이터가 8개의 튜너 핀을 통해 1바이트(8비트) 값으로 19.39Mbit/s 속도로 출력된다. 19.39Mbit/s 속도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에는 상기 MCU(114)가 고성능이어야 하므로 버퍼 메모리(118)로 8 비트 입력으로 수용한다.
상기 버퍼 메모리(118)에서는 FIFO 방식으로 이를 일정 시간 저장한 후 상기 MCU(114)에서 요구시 순서대로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MCU(114)에 전송한다.
상기 MCU(114)에서는 일정시간 받은 TS 스트림데이터 중 싱크 바이트를 찾아 전송바이트를 제외한 여러 개의 연속된 TS 패킷 데이터로 분류하고, 이중 TS Header에서 필요한 Sync Byte, Continuity counter error, Transport error indicator 값들을 분석한다. ETR290 표준상, Sync Byte는 연속된 TS 패킷 3~5개에서 188 바이트마다 존재하여야 하며, Continuity counter 역시 패킷에서 그 값이 연속된 값이어야 하고, 또한, Transport error는 그 값이 1 이 아니어야 한다.
상기 DTV 튜너(116)의 채널 변경은 상기 MCU(114)에서 I2C 방식으로 명령어를 라이트하는 방식이다.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110)은 상기 CDMA 모뎀(112)과 상기 제1 내지 제3 DTV중계기들(120, 130, 140)과의 통신을 위한 RS-485 IC(115)나 RS-232 I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서, RS-485 IC(115)는 상기 MCU(114)와 커넥터(115a)간에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115a)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DTV중계기들(120, 130, 140) 각각이 병렬 연결된다.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110)은 DC 5V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한 로우패스필터(LP)와, DC 5V를 DC 3.3V로 또는 DC 5V를 DC 1.8V로 전압을 강하시키기 위한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에 배치된 DTV중계기는 이벤트 발생시 등록된 원격관리자의 스마트폰에게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즉, DTV중계기 고장이나, 절체, MPEG-2 TS 에러 등의 이벤트 발생시 기등록된 원격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자동으로 해당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MPEG-2 TS 에러는 TS 헤더 정보 중 TS Sync Loss, Sync Byte error, Continuity Counter Error, Transport Error 등과 같이 DTV 온-에어 방송 품질과 관련된 중요 항목에 대한 에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태 정보 확인 및 원격제어를 통해 긴급으로 조치할 수 있다. 즉, 전송된 상태 정보 확인 후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 실행을 통한 DTV중계기의 기동 및 절체, 고장에 따른 리셋(Fault Reset) 등의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주기적인 원격 접속을 통한 원격지 DTV중계기의 운용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즉, 일정한 스케줄을 설정해 원격지 DTV중계기에 접속하여 방송 운용 상태와 송출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DTVR 통합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먼저, 도 1,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여, 이벤트에 의한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즉, 중계기의 제어를 위해 스마트폰 어플에서 원하는 명령어 조합을 선택하여 도 6b에 해당하는 헥사코드 형식의 명령어 세트를 원격제어대상으로 송신하면, MCU(114)는 중계기가 인식할 수 있는 중계기제어용 프로토콜인 도 6c에 나타낸 형식으로 변환하여 중계기로 명령어를 전송하여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MCU(114)에는 상기한 명령어 조합을 해석 및 재구성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도 6b에 나타낸 통신프로토콜과 도 6c에 나타낸 통신프로토콜 사이의 변환을 담당한다.
Status1에 대응하는 아스키 코드는 다음과 같다.
&H02, &H4B, &H42, &H53, &H5F, &H44, &H54, &H56, &H52, &H5F, &H43, &H4F, &H4E, &H54, &H52, &H4F, &H4C, &H4C, &H45, &H52, &H3A, &H3A, &H05, &H46, &H46, &H30, &H31, &H52, &H44, &H00, &H53, &H54, &H41, &H54, &H55, &H53, &H30, &H36, &H03 'Address : 01, 'BCC : 06
여기서, Address는 장비구분용 아이디(ID)이고, BCC는 바이너리 체크 코드(Binary Check Code)이다.
한편, Status2에 대응하는 아스키 코드는 다음과 같다.
&H02, &H4B, &H42, &H53, &H5F, &H44, &H54, &H56, &H52, &H5F, &H43, &H4F, &H4E, &H54, &H52, &H4F, &H4C, &H4C, &H45, &H52, &H3A, &H3A, &H05, &H46, &H46, &H30, &H32, &H52, &H44, &H00, &H53, &H54, &H41, &H54, &H55, &H53, &H30, &H35, &H03 'Address : 02 'BCC : 05
한편, Analog1에 대응하는 아스키 코드는 다음과 같다.
&H02, &H4B, &H42, &H53, &H5F, &H44, &H54, &H56, &H52, &H5F, &H43, &H4F, &H4E, &H54, &H52, &H4F, &H4C, &H4C, &H45, &H52, &H3A, &H3A, &H05, &H46, &H46, &H30, &H31, &H52, &H44, &H00, &H41, &H4E, &H41, &H4C, &H32, &H32, &H31, &H30, &H03 'Address : 01 'BCC : 10
한편, Auto1에 대응하는 아스키 코드는 아래와 같다.
&H02, &H4B, &H42, &H53, &H5F, &H44, &H54, &H56, &H52, &H5F, &H43, &H4F, &H4E, &H54, &H52, &H4F, &H4C, &H4C, &H45, &H52, &H3A, &H3A&H05, &H46, &H46, &H30, &H31, &H43, &H4D, &H00, &H41, &H55, &H54, &H4F, &H43, &H4D, &H30, &H42, &H03 'Address : 01, 'BCC : 0B
한편, Manual1에 대응하는 아스키 코드는 아래와 같다.
&H02, &H4B, &H42, &H53, &H5F, &H44, &H54, &H56, &H52, &H5F, &H43, &H4F, &H4E, &H54, &H52, &H4F, &H4C, &H4C, &H45, &H52, &H3A, &H3A, &H05, &H46, &H46, &H30, &H31, &H43, &H4D, &H00, &H4D, &H41, &H4E, &H43, &H4D, &H44, &H30, &H32, &H03 'Address : 01 'BCC : 02
각 중계기별(중계기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각기의 중계기를 구별하기 위한 Address 구분자가 포함) 제어용 프로토콜 형식의 명령어 전부는 문자상수에 할당된다.
제어 명령 시 발생하는 명령어 조합은 헥사코드에 할당된다.
즉, Manual + ExcA + On의 명령어 조합은 MAO라는 헥사코드로 할당되고, Manual + ExcA + Off의 명령어 조합은 MAX라는 헥사코드로 할당된다.
또한, Manual + Reset의 명령어 조합은 MRZ라는 헥사코드로 할당되고, Manual + Change의 명령어 조합은 MCZ라는 헥사코드로 할당되며, Manual + Change + Rset의 명령어 조합은 MCR라는 헥사코드로 할당된다.
예를들어, 모 사이트 1TV 중계기를 Manual 전환 후 Exciter A를 TX-On할 경우, Manual1 + Exciter A1 + TX-On1 명령어의 조합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마트폰(200)에서 “MAO”라는 이름의 헥사코드 명령어 조합을 MCU(114)로 전송하면, MCU(114)에서는 순차적으로 Manual1, Exciter A1, TX-On1의 순으로 제어용 프로토콜 형식의 명령어를 해당 중계기로 전송하여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MCU(114)는 중계기 탑재모듈(110)에 연결된 DTV중계기(Digital Television Repeater, 이하, DTVR)에 고장(fault)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0). 도 2에 따르면, MCU(114)는 RS-485 통신 방식으로 제1 내지 제3 중계기들(120, 130, 140)에 연결된다.
단계 S100에서 해당 DTVR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MCU(114)에 상태 신호가 전달된다(단계 S102).
이어, 상기 MCU(114)는 MPEG-2 TS 데이터 에러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4).
단계 S104에서 MPEG-2 TS 데이터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MCU(114)는 발생된 에러 유형을 판별한다(단계 S106).
이어, 상기 MCU(114)는 판별된 에러 유형을 근거로 헥사코드 형식의 경고(alert) 명령어 데이터를 조합한다(단계 S108).
도 6a는 헥사코드 형식의 경고(alert) 명령어 데이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헥사코드 형식의 경고(alert) 명령어 데이터는 4스트링의 문자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경고명령어 데이터는 경고 정보임을 알려주는 제1 구분자와,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구분을 위한 제2 구분자와, DTV중계기 고장 발생 여부를 알려주는 제3 구분자와, 온-에어 상태 정보를 알려주는 제4 구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DTV중계기 고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3 구분자는 0이 매핑되고, DTV중계기 고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3 구분자는 1이 매핑될 수 있다.
도 5a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상기 MCU(114)는 CDMA 모뎀(112)을 통해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스마트폰(200)에 전송한다(단계 S110). 상기 경고명령어 데이터는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 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방식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스마트폰(200)에서는 송신전화번호 및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분석한다(단계 S112). 이러한 분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200)에서는 어느 CDMA 모뎀에 대응하는 중계기 탑재모듈이 배치된 간이중계소에서 어느 중계기에 고장이 발생되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유형의 고장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스마트폰(200)은 이벤트 발생된 원격 간이중계소(DTVR)의 사이트 및 상태를 확인한 후(단계 S114), 상기 스마트폰(200)의 대기화면에 팝업으로 이벤트 발생된 원격 간이중계소(DTVR)의 사이트 및 상태를 표시한다(단계 S116).
도 7a 내지 도 7c는 DTVR 고장 및 온-에어 불량시 통보이미지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200)의 대기화면에는 팝업창을 통해 삼천포 간이중계소(TVR)의 2DTV중계기가 고장(Fault)이고, 온-에어 수신 상태는 정상이라는 정보가 표시된다. 해당 정보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고에 대응해서는 빨간색이, 정상에 대응해서는 녹색이 표시된다. 부가적으로, 해당 정보의 하단의 일측에는 어플을 실행할지 아니면 나중에 확인할지에 대한 정보까지 더 표시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200)의 대기화면에는 팝업창을 통해 삼천포 간이중계소(TVR)의 1DTV중계기가 DTV중계기가 고장이고, 온-에어 수신상태 역시 비정상이라는 정보가 표시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200)의 대기화면에는 팝업창을 통해 삼천포 간이중계소(TVR)의 1DTV중계기가 정상이고, 온-에어 수신 상태는 비정상이라는 정보가 표시된다.
이처럼, 원격지에서 스마트폰의 표시창을 통해 어느 간이중계소의 어느 DTV중계기가 고장인지에 대한 정보와 해당 DTV중계기에 의한 온-에어 수신 상태가 정상인지 아니면 비정상인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어,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의 실행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18),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원격관리자는 이벤트 내용을 확인한 후 조치를 결정한다. 즉, 원격지에 배치되어 고장이 발생된 DTV중계기의 동작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고 오프라인상에서 원격관리자가 직접 해당 DTV중계기의 보수 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러면, 도 5b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원격관리자에 의한 임의의 원격제어 필요시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5b를 참조하면,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된다(단계 S120).
도 8a는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의 초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고, 도 8b는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의 실행에 따른 DTVR 접속전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고, 도 8c는 팝업창 형태로 표시되는 상태LED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에는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의 실행을 위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표시되는 아이콘을 원격관리자가 클릭함에 따라,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되어 도 8b와 같은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 8b에는 삼천포 DTVR의 1DTV중계기(CH23)에 대한 접속전 상태가 표시된다. 해당 1DTV중계기(CH23)에는 제1 엑시터(Exciter-A)와 제2 엑시터(Exciter-B)가 배치된 것이 도시된다. 이처럼, 2개의 엑시터들이 구비되는 것은 하나의 엑시터에 고장이 발생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더라도 다른 하나의 엑시터를 가동시켜 정상적으로 방송신호를 중계하기 위함이다. 도 8b에서, 화면 하단에 표시되는 <Forward>, <Reflect>, <Fault>, <On-Air>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b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도 5a의 단계 S118에서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의 실행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120에서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된 후,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및 채널 선택화면에서 원격관리자에 의해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및 채널 선택후 업데이트 버튼이 클릭된다(단계 S122).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및 채널 선택후 버튼이 클릭되면, 도 8e와 같은 이미지가 스마트폰의 표시창에 표시된다.
원격지 연결대상 CDMA 모뎀(112)의 전화번호를 제어명령어 데이터에 조합한다(단계 S124).
오토버튼 클릭후 매뉴얼 전환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6).
단계 S126에서 오토버튼 클릭후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제어불가를 원격관리자에게 알린 후(단계 S128), 단계 S126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126에서 오토버튼 클릭후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면 매뉴얼 조합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송신단(TX) 온이 선택되었는지 송신단(TX) 오프가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하여(단계 S130a), 송신단(TX) 온 또는 오프가 미선택된 것으로 체크되면, 중계기 리셋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30b).
단계 S130b에서 중계기 리셋이 미선택된 것으로 체크되면, 엑시터 A가 선택되었는지 엑시터 B가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30c).
단계 S130c에서 엑시터 A나 엑시터 B가 미선택된 것으로 체크되면, 중계기의 절체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30d).
단계 S130d에서 중계기 절체가 미선택된 것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단계 S126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130a에서 송신단(TX) 온 또는 오프가 선택된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130b에서 중계기 리셋이 선택된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130c에서 엑시터 A나 엑시터 B가 선택된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130d에서 중계기 절체가 선택된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중계기 절체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어 데이터 조합을 완성한다(단계 S132).
도 6b는 헥사코드 형식의 제어명령어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헥사코드 형식의 제어명령어 데이터는 5 스트링의 문자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명령어 데이터는 제어명령임을 알려주는 제4 구분자와, 제어대상 간이중계소 구분 번호로 해당 사이트의 CDMA 전화번호를 각각 넘버링하여 구분하기 위한 제5 구분자와, 명령어 종류 판별을 위한 제6 구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첫번째 스트링에는 제어명령임을 알려주는 제4 구분자로서 C 가 기재되고, 두번째 스트링에는 제어대상 원격 간이중계소(DTVR)의 사이트 구분 번호로서 해당 사이트의 CDMA 전화번호를 각각 넘버링하여 구분하기 위한 제5 구분자가 기재된다. 세번째, 네번째 및 다섯번째 스트링에는 명령어 조합을 미리 만들어 그에 맞는 세문자를 조합한 형식으로 명령어 종류 판별을 위한 제6 구분자가 기재된다. 예를들어, DTV중계기 오토인 경우, AZZ라는 구분자가 기재되고, DTV중계기는 매뉴얼(또는 수동)이고, Exciter가 A이며, TX가 온인 경우, MAO라는 구분자가 기재되며, DTV중계기는 메뉴얼이고, 리셋인 경우, MRZ라는 구분자가 기재될 수 있다.
도 5b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단계 S132에서 제어명령어 데이터 조합이 완성됨에 따라,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 8f는 제어명령 선택후 연결에 따른 명령 전송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이어,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연결버튼의 클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34).
단계 S134에서 연결버튼의 클릭으로 체크되면 해당 CDMA 모뎀(112)으로 제어명령어를 전송한다(단계 S136). 이상에서 설명된 단계 S120 내지 단계 S136은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프로그램 형태(일종의 어플형태)로 구현되어 스마트폰에 저장될 수 있다.
해당 CMDA 모뎀(112)은 제어명령어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제공받음에 따라, 상기 CMDA 모뎀(112)과 RS-23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MCU(114)에 해당 제어명령어를 전달한다(단계 S138).
도 1, 도 2 및 도 5c를 참조하면, MCU(114)에서 중계기제어용 통신프로토콜로 제어명령어를 변환한다(단계 S140).
도 6c는 중계기제어용 통신프로토콜 및 중계기응답용 통신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중계기제어용 통신프로토콜과 중계기응답용 통신프로토콜 각각은 39바이트 및 18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중계기제어용 통신프로토콜에는 국번호 정보와, 장비번호 정보와, 제어명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중계기응답용 통신프로토콜에는 국번호 정보와, 장비번호 정보와, 제어명령 정보와, 상태 코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c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중계기제어용 통신프로토콜로 변환된 중계기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어는 RS-485 통신 방식으로 MCU(114)에 출력된다(단계 S142).
상기 MCU(114)는 상기 중계기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어를 근거로 DTV중계기를 제어한다(단계 S144). 상기한 DTV 중계기 제어는 송신단(TX)의 온 또는 오프 제어 동작, 하나의 중계기내에 구비되는 2개의 엑시터들중 하나를 다른 하나로 절체시키는 동작, 고장에 따른 DTV 중계기 리셋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MCU(114)는 DTV중계기의 제어 성공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46).
단계 S146에서 DTV중계기의 제어 성공으로 체크되면, DTV중계기에서 액크(ACK)신호가 전송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48).
DTV중계기에서 액크신호가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136으로 피드백한다.
DTV중계기에서 액크신호가 전송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MCU(114)에서 상태(Status) 명령어 데이터를 조합한다(단계 S150).
도 6d는 헥사코드 형식의 상태(status) 명령어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헥사코드 형식의 상태(status) 명령어 데이터는 9스트링의 문자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태 명령어 데이터는 상태 정보임을 알려주는 제7 구분자와,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번호를 위한 제8 구분자와, 제어기응답용 통신프로토콜에 정의된 상태 코드중 RF 출력파워값의 할당 정보와, 제어기응답용 통신프로토콜에 정의된 상태 코드중 RF 리플렉트 파워값의 할당 정보와, 제어기응답용 통신프로토콜에 정의된 상태 모드중 DTV중계기 선택 동작 상태 및 고장 관련 각 자리 비트값 조합으로 상태 판별을 위한 정보와 헥사코드 조합으로 온-에어 수신 상태 제9 구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에어 수신 상태를 위한 할당자는 1바이트의 코드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6e는 1바이트의 코드값으로 정의되는 온-에어 수신 상태 통지용 할당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e를 참조하면, 1바이트의 코드값은 HSB부터 TS Sync Loss, Sync Byte Loss, Transport Error, Continuity count Error 순으로 LSB까지 2비트씩 할당하여 각각의 에러가 발생할 경우 해당 비트를 1로 치환하여 에러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Transport Error만 발생한 경우, 온-에어 수신 상태를 위한 할당자는 도 6f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TS sync Loss, Sync Byte Error가 발생한 경우, 온-에어 수신 상태를 위한 할당자는 도 6g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6f 및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자가 매핑되면, 매핑된 값은 헥사코드 형식으로 상태 명령어 세트에 조합되어 현재 발생된 에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c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CDMA 모뎀(112)을 통해 SMS전송한다(단계 S152).
이어,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에 제어결과 및 상태를 후술되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 형태로 표시한다(단계 S154).
도 9a 내지 도 9d는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에 제어결과 및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9a를 통해 원격관리자는 특정 간이중계소의 특정 DTV중계기가 정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9b를 통해 원격관리자는 특정 간이중계소에 배치된 특정 DTV중계기에서 제2 엑시터(Exciter-B)에 이상이 발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9c를 통해 원격관리자는 TS-Sync 손실 발생 및 온-에어 수신 장애가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9d를 통해 원격관리자는 리플렉트(Reflect)가 발생되었고, TS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d를 참조하면, 채널 확인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56).
채널 확인으로 체크되면 MPEG-2 TS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58).
MPEG-2 TS 데이터의 수신으로 체크되면, TS 데이터를 버퍼메모리(118)에 저장한다(단계 S160).
이어, TS 데이터를 분석한다(단계 S162).
이어, 분석된 TS 데이터를 근거로 TS 동기신호의 분실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64). 단계 S164에서, 동기신호의 분실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비트를 <0>으로 처리하고(단계 S166), 동기신호의 분실이 발생된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비트를 <1>로 처리한다(단계 S168).
이어, 분석된 TS 데이터를 근거로 동기 바이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70). 단계 S170에서, 동기 바이트가 발생된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비트를 <0>으로 처리하고(단계 S172), 동기 바이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비트를 <1>로 처리한다(단계 S174).
이어, 분석된 TS 데이터를 근거로 연속 카운터의 발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76). 단계 S176에서, 연속 카운터가 발생된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비트를 <0>으로 처리하고(단계 S178), 연속 카운터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비트를 <1>로 처리한다(단계 S180).
이어, 분석된 TS 데이터를 근거로 전송 에러의 발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82). 단계 S182에서, 전송 에러의 미발생으로 체크되면 해당 비트를 <0>으로 처리하고(단계 S182), 전송 에러의 발생으로 체크되면 해당 비트를 <1>로 처리한다(단계 S184).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이 TV 중계소(TVR)의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예를들어, 진주국을 기준으로, 전체 17개소 DTVR에 대해 8명의 모니터요원 운용 비용이 연간 480만원(월5만원X8명X12개월)에 달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월 5천원(TVR 1개소 기준)의 예산만으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모니터링과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간단하고 단순한 조치만으로 해결되는 문제에도 현장에 출동하여 해결해야 하는 불필요한 출장을 줄일 수 있어 이에 부수되는 인건비 및 유류비 등의 추가적인 절감 효과도 상당하며, 신속한 대처와 방송장애 최소화를 통한 방송 품질 향상으로 이어져 KBS 이미지 제고에도 이바지할 것이다. 특히, 전국 300여개의 원격 간이중계소(DTVR)의 사이트로 확장 적용 시 그에 수반되는 순수 절감 비용은 연간 약 6천만원으로 책정되며, 디지털 전환 시점 대비 사전에 DTVR 원격 제어 시스템의 표준을 마련함으로써 향후 DTVR 전사 관리 및 제반 업무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DTV중계기 운용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즉, 온-에어(On-Air) 방송 송출 상태를 직접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모니터와 그 외 부수적인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장비의 추가없이도 방송 송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제어와 상태 모니터링에 필요한 모드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100, 300, 400 : 간이중계소 110 : 중계기 탑재모듈
114 : 제어부, MCU 116 : 방송신호 모니터링부
118 : 저장부, 버퍼 메모리 120 : 제1 DTV중계기
130 : 제2 DTV중계기 140 : 제3 DTV중계기
112 : 통신부, CDMA 모뎀 200 : 스마트폰

Claims (20)

  1. 디지털티브이(이하, DTV)중계기들의 정상 작동 여부를 모니터링하되, 이벤트에 의한 제어를 위해 상기 DTV중계기에 고장 발생에 따라 상태 신호를 출력하고,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 데이터 에러가 발생됨에 따라 에러 유형을 판별하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조합하여 전송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에서 전송되는 송신전화번호 및 상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및 상태를 표시하고, 원격관리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DTV중계기를 제어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채널 연결된 상기 스마트폰과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CDMA 모뎀;
    상기 DTV중계기들 각각의 방송 송신상태(또는 온-에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온-에어 신호의 TS 데이터를 추출하는 DTV튜너;
    상기 추출된 TS 데이터가 저장되는 버퍼 메모리; 및
    상기 TS 데이터를 전송받아 싱크 바이트를 검색하여 상기 TS 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DTV중계기에 고장 발생에 따라 상태 신호를 출력하고, TS 데이터 에러가 발생됨에 따라 에러 유형을 판별하며, 상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되거나 임의 원격제어를 위해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및 채널 선택화면에서 원격관리자가 업데이트버튼을 클릭하여 원격지 연결대상 CDMA 모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제어명령어 데이터에 조합하며, 오토버튼 클릭 후 매뉴얼 전환 여부를 체크하여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어불가를 통지하거나 제어명령어 데이터 조합을 완성하여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에 상기 제어명령어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입력받은 제어 명령, 응답 및 TS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처리 동작과 상기 DTV튜너의 채널 변경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은,
    상기 제어명령어 데이터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명령어 데이터를 중계기제어용 통신프로토콜로 변환하여 DTV중계기를 제어하고, 상기 DTV중계기의 상태명령어 데이터를 조합하여 전송하며,
    상기 상태명령어 데이터는 상태 정보임을 알려주는 구분자와,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번호를 위한 구분자와, 제어기응답용 통신프로토콜에 정의된 상태 코드중 RF 출력파워값의 할당 정보와, 제어기응답용 통신프로토콜에 정의된 상태 코드중 RF 리플렉트 파워값의 할당 정보와, 제어기응답용 통신프로토콜에 정의된 상태 모드중 DTV중계기 선택 동작 상태 및 고장 관련 각 자리 비트값 조합으로 상태 판별을 위한 정보와 헥사코드 조합으로 온-에어 수신 상태 구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제어용 통신프로토콜은, 국번호 정보와, 장비번호 정보와, 제어명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어 데이터는 제어명령임을 알려주는 구분자와, 제어대상 간이중계소 구분 번호로 해당 사이트의 CDMA 전화번호를 각각 넘버링하여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와, 명령어 종류 판별을 위한 구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명령어 데이터는 경고 정보임을 알려주는 구분자와,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구분자와, DTV중계기 고장 발생 여부를 알려주는 구분자와, 온-에어 상태 정보를 알려주는 구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이벤트에 의한 제어를 위해, 디지털티브이(이하, DTV)중계기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TS) 데이터 에러가 발생되면 상기 DTV중계기에 근접 배치된 중계기 탑재모듈이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조합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방식으로 원격지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에 대응하는 송신전화번호 및 상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사이트 및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팝업으로 상기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사이트 및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사이트 및 상태를 표시하는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되거나 임의 원격제어를 위해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및 채널 선택화면에서 원격관리자가 업데이트버튼을 클릭하면, 원격지 연결대상 CDMA 모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제어명령어 데이터에 조합하는 단계; 및
    오토버튼 클릭후 매뉴얼 전환 여부를 체크하여,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면 제어불가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매뉴얼 조합 선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매뉴얼 조합 선택으로 체크되면, 제어명령어 데이터 조합을 완성하는 단계; 및
    원격관리자에 의해 연결버튼이 클릭되면 중계기 탑재모듈에 상기 제어명령어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의 제어부에 제어명령어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는 중계기제어용 통신프로토콜로 제어명령어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어를 근거로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에 연결된 DTV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DTV중계기의 동작 제어 성공 여부를 체크하여, 제어 성공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상기 DTV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로 피드백하고, 제어 성공으로 체크되면, 상기 DTV중계기로부터 액크신호의 전송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DTV중계기로부터 상기 액크신호가 전송된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태명령어 데이터를 조합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어 데이터를 전송한 후, 원격관리자에 의해 채널 확인을 요청받고, TS 데이터가 수신되면 TS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TS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TS 동기신호 분실 여부, 동기신호 바이트 에러 발생 여부, 지속 카운터 에러 발생 여부 및 전송 에러 여부에 따라 해당 비트를 0 또는 1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방법.
  13. 디지털티브이(이하, DTV)중계기의 원격제어를 위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및 채널 선택화면에서 원격관리자가 업데이트버튼을 클릭하면, 원격지 연결대상 CDMA 모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제어명령어 데이터에 조합하는 단계;
    오토버튼 클릭후 매뉴얼 전환 여부를 체크하여,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제어불가를 통지하는 단계;
    상기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면 매뉴얼 조합 선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매뉴얼 조합 선택으로 체크되면, 제어명령어 데이터 조합을 완성하는 단계;
    원격관리자에 의해 연결버튼이 클릭되면 중계기 탑재모듈에 상기 제어명령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의 제어부에 제어명령어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는 중계기제어용 통신프로토콜로 제어명령어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어를 근거로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에 연결된 DTV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DTV중계기의 동작 제어 성공 여부를 체크하여, 제어 성공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상기 DTV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로 피드백하고, 제어 성공으로 체크되면 상기 DTV중계기로부터 액크신호의 전송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DTV중계기로부터 상기 액크신호가 전송된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태명령어 데이터를 조합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어 데이터를 전송한 후, 원격관리자에 의해 채널 확인을 요청받고,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TS)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TS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TS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TS 동기신호 분실 여부, 동기신호 바이트 에러 발생 여부, 지속 카운터 에러 발생 여부 및 전송 에러 여부에 따라 해당 비트를 0 또는 1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방법.
  16. 디지털티브이(이하, DTV)중계기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TS) 데이터 에러가 발생되어 상기 DTV중계기에 근접 배치된 중계기 탑재모듈로부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중계기 탑재모듈에 대응하는 송신전화번호 및 상기 경고명령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사이트 및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이벤트 발생된 DTV중계기 사이트 및 상태를 표시하는 과정;
    임의 원격제어를 위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통합관제 시스템용 어플이 실행되어 표시되는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및 채널 선택화면에서 원격관리자가 업데이트버튼을 클릭하면, 원격지 연결대상 CDMA 모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제어명령어 데이터에 조합하는 과정;
    오토버튼 클릭후 매뉴얼 전환 여부를 체크하여,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제어불가를 통지하는 과정;
    상기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면 매뉴얼 조합 선택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
    상기 매뉴얼 조합 선택으로 체크되면, 제어명령어 데이터 조합을 완성하는 과정; 및
    원격관리자에 의해 연결버튼이 클릭되면 중계기 탑재모듈에 상기 제어명령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프로그램이 저장된 스마트폰.
  17. 삭제
  18. 삭제
  19.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 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티브이(이하, DTV)중계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원격 모니터링부; 및
    상기 DTV중계기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DTV중계기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제어대상 간이중계소의 사이트 및 채널 선택후 업데이트버튼이 클릭되면 채널 변경 클릭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채널 변경 클릭으로 체크되면 원격지 연결대상 CDMA 모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제어명령어 데이터에 조합하며, 오토버튼 클릭후 매뉴얼 전환 여부를 체크하여,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면 제어불가를 통지하고,
    매뉴얼 전환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매뉴얼 조합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 매뉴얼 조합 선택으로 체크되면 제어명령어 데이터 조합을 완성하며,
    연결버튼의 클릭에 따라 해당 CDMA 모뎀으로 제어명령어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20. 삭제
KR1020110033786A 2011-04-12 2011-04-12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 KR101283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786A KR101283313B1 (ko) 2011-04-12 2011-04-12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786A KR101283313B1 (ko) 2011-04-12 2011-04-12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192A KR20120116192A (ko) 2012-10-22
KR101283313B1 true KR101283313B1 (ko) 2013-07-09

Family

ID=4728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786A KR101283313B1 (ko) 2011-04-12 2011-04-12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2476B2 (en) 2016-12-02 2019-04-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eering operation
KR102157568B1 (ko) * 2019-12-11 2020-09-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vws 기반 무선 통신 모뎀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099A (ko) * 2003-03-26 2004-10-06 (주)넥스트 링크 위성 방송 중계기 관리 시스템
KR200388297Y1 (ko) 2005-04-14 2005-06-29 디브이테크놀로지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젼 중계기 무선감시시스템
JP2005191904A (ja) * 2003-12-25 2005-07-14 Nippon Hoso Kyokai <Nhk> 監視制御装置および被監視制御装置
JP2009004987A (ja) 2007-06-20 2009-01-08 Tokyo Fm Broadcasting Co Ltd 監視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099A (ko) * 2003-03-26 2004-10-06 (주)넥스트 링크 위성 방송 중계기 관리 시스템
JP2005191904A (ja) * 2003-12-25 2005-07-14 Nippon Hoso Kyokai <Nhk> 監視制御装置および被監視制御装置
KR200388297Y1 (ko) 2005-04-14 2005-06-29 디브이테크놀로지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젼 중계기 무선감시시스템
JP2009004987A (ja) 2007-06-20 2009-01-08 Tokyo Fm Broadcasting Co Ltd 監視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192A (ko)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53491B (zh) 远程观察系统及其方法
CN101095354B (zh) 用于弥补卫星网关故障的系统和方法
US20140376359A1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CN102939726A (zh) 通过频谱分析的信号干扰检测及避免
CN103369593B (zh) 一种压缩和解压缩以太网报文的方法及网元设备
CN102307122A (zh) EoC链路故障检测系统和方法
CN101794320A (zh) 智能信号采集方法
CN109548057A (zh) 一种基站监控和维护的方法及系统
CN102572531A (zh) 一种iptv网络丢包故障定界方法及系统
KR101283313B1 (ko) 디지털티브이 간이중계소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이에 채용되는 중계기 탑재모듈 및 스마트폰
CN105321320A (zh) 一种基于vpn构架的4g lte网络在线预警系统及方法
US201502295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passive monitoring and reporting of network content on usb cables
CN104079396A (zh) 网络冗余结构
CN108183825B (zh) 一种视讯终端设备的故障提示系统及方法
WO2016163455A1 (ja) 統合監視制御装置および統合監視制御システム
US20220216916A1 (en) Fiber network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CN102474434B (zh) 通信量控制设备和包括其的数据通信系统
CN107580014A (zh) 光伏电站清扫系统和光伏电站清扫系统的故障检测方法
CN103840974A (zh) 一种基于c-cmts固化地址实现本地零配置的方法
CN102083104B (zh) 直放站监控的方法、系统及综合分析服务器
CN104869025A (zh) 一种ptn网络业务配置参数检测方法及系统
EP3301833A1 (en) Radio frequency (rf) sensing method for diagnosing and anticipating reception problems based on failure modeling
CN107896155A (zh) 一种基于以太网的智能终端交互系统
CN105846888B (zh) 多模式vsat卫星通信信令解析系统及解析方法
CN105611312A (zh) 影院直播监控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