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219B1 -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219B1
KR101282219B1 KR1020130011481A KR20130011481A KR101282219B1 KR 101282219 B1 KR101282219 B1 KR 101282219B1 KR 1020130011481 A KR1020130011481 A KR 1020130011481A KR 20130011481 A KR20130011481 A KR 20130011481A KR 101282219 B1 KR101282219 B1 KR 10128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rod
breakwater
binding
sof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13001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4Flat foundations in water or on quicksa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서 방파제의 각 부위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침하를 방지함은 물론 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중공 형태의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를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보강플레이트부재와, 호 형태의 안착홈이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면에 이격되게 결합되는 안착플레이트부재로 구성되어 연약지반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침하 방지부; 상기 침하 방지부의 상측에 2단 이상으로 적층되며, 외면에 결합홈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양 단면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적층봉체; 호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적층봉체 사이에 위치하는 유동방지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에 결합되는 결속봉으로 이루어져 적층된 상기 적층봉체를 결속하기 위한 봉체 결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A soft ground use sectional breakwater}
본 발명은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에서 방파제의 각 부위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침하를 방지함은 물론 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防波堤, breakwater)는 외해(外海)로부터의 파랑(波浪)을 막아서 내항(內港)을 보호하는 구조물로, 방파제의 위치결정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이런 방파제의 배치를 살펴보면, 파랑이 진행해 오는 방향에 직각으로 놓으면 짧은 연장(延長)으로 넓은 면적이 정온하게 된다. 직각인 것보다 조금 더 경사지게 하면, 방파제에 충돌하는 파력(波力)이 매우 약해진다. 모래해변에서는 모래가 항내로 유입하여 침전퇴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당히 깊은 곳까지 내밀어 방파제를 구축한다.
얕은 곳을 따라서 방파제를 만드는 경우는 공사비가 적게 든다. 항구에서 해안까지 너무 가까우면 선박이 해안에 충돌한다. 선박이 항구를 통행할 때는 지그재그가 되지 않도록 빠른 속력으로 지나가야 하므로 해안까지 800~1,000m가 필요하다.
날씨가 좋지 않을 때 1만t급 이하의 선박이 전부 들어갈 수 있을 만큼의 항내면적이 있어야 한다. 이런 방파제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첫째, 직립제(直立堤)는 밑에서 직립한 콘크리트 덩어리로, 파랑을 잘 방지하지만 지반이 약하면 침하하거나 기초부분이 세굴되는 경우가 있다. 어항 등 일반적으로 소규모의 것에 적합하다.
둘째, 경사제(傾斜堤)는 사석(捨石)이나 테트라포드(tetrapod)를 쌓아 올린 것으로, 사면에서 쇄파(碎波)되므로 월파(越波)가 많다. 지반이 약한 곳에도 축조되는데, 깊은 곳에서는 많은 재료가 필요하여 비경제적이다.
셋째, 혼성제(混成堤)는 경사제 위에 직립제를 놓은 것으로, 직립제와 경사제의 장점을 겸비하고 있으므로 한국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는 것으로, 사석(捨石) 방파제라고도 한다. 사석으로 제체(堤體)의 하부를 축조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 케이슨이나 방괴(方塊)를 설치한 구조의 방파제이다. 기본적으로는 상단의 직립제는 파도를 반사시키고 사석제는 사면에서 파도를 쇄파(碎波)시키는 기능을 가지지만, 직립제는 지반이 좋은 곳이 아니면 축조할 수 없다. 그래서 사석제와 직립제의 장점을 따서 기초지반의 조건에 관계없이 또한 제체의 단면적도 적게 축조할 수 있는 구조체로서, 방파제에는 이 혼성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석제의 상부의 높이는 설치수심, 지반조건, 공사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지만 가능한 한 낮게 하여 강렬한 쇄파를 일으키지 않게 한다.
그런데, 종래 방파제를 이루는 콘크리트블록은 해수에 소정깊이 침수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시 해수의 밀물과 썰물시간을 고려하여 썰물시간에 맞추어 시공을 하거나, 콘크리트블록이 응고될 수 있도록 해수의 유입을 막기 위한 별도의 시설물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649137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642336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연약지반에서 방파제의 각 부위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침하를 방지함은 물론 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는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중공 형태의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를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보강플레이트부재와, 호 형태의 안착홈이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면에 이격되게 결합되는 안착플레이트부재로 구성되어 연약지반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침하 방지부; 상기 침하 방지부의 상측에 2단 이상으로 적층되며, 외면에 결합홈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양 단면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적층봉체; 호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적층봉체 사이에 위치하는 유동방지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에 결합되는 결속봉으로 이루어져 적층된 상기 적층봉체를 결속하기 위한 봉체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침하 방지부를 연속되게 배열하여 고정하도록 양단부에 연결레일이 절곡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연결레일에 이웃하는 다른 침하 방지부의 연결레일이 삽입되어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봉체 결속부는 상기 볼트부재에 6각 형태의 헤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봉을 복수개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결속봉의 삽입을 위한 관통공이 상기 헤드에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에 의하면, 연약지반에서 방파제의 각 부위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침하를 방지함은 물론 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100)는 연약지반에서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침하 방지부(110)와, 이 침하 방지부(110)에 2단 이상으로 적층되는 적층봉체(120)와, 이 적층봉체(120) 사이에 구비되어 적층봉체(120)를 상호 고정하는 유동방지 플레이트부재(130)와, 모든 적층봉체(12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봉체 결속부(140)를 포함한다.
침하 방지부(110)는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재(111)와, 상기 플레이트부재(111)의 하면에 결합되어 플레이트부재(111)의 침하를 방지하는 중공 형태의 부력부재(113)와, 이 부력부재(113)를 상기 플레이트부재(111)에 고정하기 위한 보강플레이트부재(115)와, 최 하단 1단의 적층봉체(120)를 고정하기 위한 안착플레이트부재(117)를 구비한다.
플레이트부재(111)는 침하 방지부(110)를 연속되게 배열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연결레일(119)이 절곡을 통해 형성되며, 연결레일(119)에 이웃하는 다른 플레이트부재(111)의 연결레일(119)이 삽입되어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연결레일(119)은 플레이트부재(111)에서 "U"자 형태로 절곡된다.
부력부재(113)는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양단부가 커버(113a)에 의해 밀폐된다.
안착플레이트(117)는 상면에 적층봉체(120)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호 형태의 안착홈(117a)이 연속되게 형성되며, 플레이트부재(111)의 상면에 이격되게 결합된다. 이때 안착플레이트(117)는 볼트 및 너트, 용접, 리벳 등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안착플레이트(117)에 결합된다.
적층봉체(120)는 안착플레이트(117) 및 유동방지 플레이트부재(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외면에 결합홈(121)이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적층봉체(120)는 봉체 결속부(1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양단면에 결합공(123)이 형성된다.
더하여, 적층봉체(120)는 파랑이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몰부(125)가 형성된다.
유동방지 플레이트부재(130)는 상하에 위치하는 적층봉체(120)의 결합홈(1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 및 하면에 호 형태의 고정홈(131)이 각각 형성된다.
봉체 결속부(140)는 상기 결합공(123)에 삽입되는 볼트부재(141)와, 상기 볼트부재(141)에 결합되는 결속봉(143)과, 이 결속봉(143)이 삽입되는 헤드(145)로 이루어져 적층된 상기 적층봉체(120)를 상호 결속하게 된다. 이때, 볼트부재(141)와 헤드(145)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헤드(145)는 여러 방향에서 결속봉(143)을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공(143)이 복수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헤드(145)는 6각 형태 형성될 수 있다.
결속봉(143)은 너트(143a)를 통해 헤드(145)에 결합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너트(143a)를 체결하기 위한 수나사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100)는 침하 방지부(110)에 의해 연약지반에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적층봉체(120)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층봉체(120)를 유동방지 플레이트부재(130)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다.
더하여, 모든 적층봉체(120)를 봉체 결속부(140)를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침하 방지부 111 : 플레이트부재
113 : 부력부재 115 : 보강플레이트부재
117 : 안착플레이트부재 120 : 적층봉체
121 : 결합홈 130 : 유동방지 플레이트부재
140 : 봉체 결속부 141 : 볼트부재
143 : 결속봉 145 : 헤드

Claims (3)

  1. 플레이트부재(111)와, 상기 플레이트부재(111)의 하면에 결합되는 중공 형태의 부력부재(113)와, 상기 부력부재를 상기 플레이트부재(111)에 고정하기 위한 보강플레이트부재(115)와, 호 형태의 안착홈(117a)이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재(111)의 상면에 이격되게 결합되는 안착플레이트부재(117)로 구성되어 연약지반에 연속되게 배열되는 침하 방지부(110); 상기 침하 방지부(110)의 상측에 2단 이상으로 적층되며, 외면에 결합홈(121)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양 단면에 결합공(123)이 형성되는 적층봉체(120); 호 형태의 고정홈(13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31)이 상기 결합홈(121)에 삽입되도록 상기 적층봉체(120) 사이에 위치하는 유동방지 플레이트부재(130); 및 상기 결합공(123)에 삽입되는 볼트부재(141)와, 상기 볼트부재(141)에 결합되는 결속봉(143)으로 이루어져 적층된 상기 적층봉체를 결속하기 위한 봉체 결속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재(111)는 상기 침하 방지부를 연속되게 배열하여 고정하도록 양단부에 연결레일(119)이 절곡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연결레일(119)에 이웃하는 다른 침하 방지부(110)의 연결레일(119)이 삽입되어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봉체 결속부(140)는 상기 볼트부재(141)에 6각 형태의 헤드(14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봉(143)을 복수개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결속봉(143)의 삽입을 위한 관통공(145a)이 상기 헤드(145)에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2. 삭제
  3. 삭제
KR1020130011481A 2013-01-31 2013-01-31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KR10128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81A KR101282219B1 (ko) 2013-01-31 2013-01-31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481A KR101282219B1 (ko) 2013-01-31 2013-01-31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219B1 true KR101282219B1 (ko) 2013-07-09

Family

ID=4899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481A KR101282219B1 (ko) 2013-01-31 2013-01-31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2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399A (ko) * 2004-08-26 2004-09-14 김길평 폐흄관을 이용한 하천제방 보호공 설치구조
KR100720320B1 (ko) * 2007-02-23 2007-05-21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KR100745626B1 (ko) * 2007-03-08 2007-08-02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해수순환이 원활한 방파제 설치구조
KR20110034255A (ko) * 2009-09-28 2011-04-05 이현숙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399A (ko) * 2004-08-26 2004-09-14 김길평 폐흄관을 이용한 하천제방 보호공 설치구조
KR100720320B1 (ko) * 2007-02-23 2007-05-21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KR100745626B1 (ko) * 2007-03-08 2007-08-02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해수순환이 원활한 방파제 설치구조
KR20110034255A (ko) * 2009-09-28 2011-04-05 이현숙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8095B2 (en) Beach erosion inhibitor
KR10236891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KR101411348B1 (ko) 콘크리트 부잔교
CN101321918A (zh) 预制防波堤
US9624636B2 (en) Multi-stage suspended wave screen and coastal protection system
KR101266152B1 (ko) 어집 기능을 갖는 투과성 잠제블럭
AU2022397022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lock structure
KR102310131B1 (ko)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102353849B1 (ko) 콘크리트 블록 제작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100720320B1 (ko)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KR102224206B1 (ko) 해상 부유 구조물
KR100609095B1 (ko)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
KR101282219B1 (ko)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102438233B1 (ko)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KR102253127B1 (ko) 다기능 부유체
KR100715146B1 (ko) 자중앵커
CN214883387U (zh) 新型高桩码头结构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KR102445095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주차장
US10954641B2 (en) Beach erosion inhibitor
KR101052056B1 (ko) 항만의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KR102368917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방파제
KR102569126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항만구조물
KR100704171B1 (ko) 파도 흡수식 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