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037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037B1
KR101282037B1 KR1020080021307A KR20080021307A KR101282037B1 KR 101282037 B1 KR101282037 B1 KR 101282037B1 KR 1020080021307 A KR1020080021307 A KR 1020080021307A KR 20080021307 A KR20080021307 A KR 20080021307A KR 101282037 B1 KR101282037 B1 KR 10128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ir conditioning
area
ai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998A (ko
Inventor
조수호
서국정
한정수
류오도
김성훈
한성주
최현영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0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쾌적도를 향상시키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조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 영역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감지하는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 및 사용자 활동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결과로부터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를 절감하고 사용자의 쾌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냉매가 순환되는 통상의 냉동 사이클이 적용되어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화할 때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기체상태의 냉매가 액화할 때에 그 열을 방출하는 특성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기류) 즉, 풍량 및 풍향을 제어하기 위해 송풍팬과 상/하 및 좌/우 토출 루버를 설치하여 실내온도의 변화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풍량을 변화시키거나 풍향을 조절하도록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의 자동화 요구와 인공지능기술의 발달에 따라 적외선 온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공기조화기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존재 유무 및 존재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로 기류를 제어하거나 사용자에게 바람이 직접 닿지 않도록 기류를 제어함으로써 공조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체감지기술이 적용된 공기조화기기가 대한민국 공고특허공보 제10-0244330호(공기조화기의 토출 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동 공보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인체근접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과 인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인체좌우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이러한 감지수단들에 의해 감지된 인체근접거리 및 인체좌우위치에 따라 토출공기의 풍량 및 풍향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조운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공조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활동량이 많아 위치가 자주 변경되는 경우에는 매번 수동으로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동으로 공기조화기의 기류 제어를 변경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와 관계없는 기류 제어로 인해 사용자의 쾌적도가 떨어지고 열부하가 없는 곳에 공조하게 되어 에너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시간마다 사용자가 주로 생활하는 영역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주로 생활하는 영역이라 판단되는 영역으로 자동적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저하시키고, 사용자의 쾌적도를 향상시키며,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조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 영역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감지하는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 및 사용자 활동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결과로부터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활동 감지 장치는 다수 개의 채널을 가지며 공조공간에 있 는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온도 값과 거리 값을 각 채널별로 측정하는 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제어장치는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채널별로 측정하기 위해 열감지센서를 수평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장치는 복수의 각 영역에서 사용자 활동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된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각 채널에서 감지된 온도 값과 거리 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누적하고, 누적된 결과를 분석하여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공조동작이 요구된 경우 판단부의 판단 결과로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라 판단되는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판단부는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의 각 채널별로 감지된 온도 값과 거리 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누적하여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값이 높은 영역을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라 판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조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공조동작의 요구신호를 입력받는 공조동작입력부, 공조동작입력부에 의해 공조운전이 요구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영역이 표시되고, 표시된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운전영역선택입력부 및 운전영역선택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원격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공조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리모트 컨트롤러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공조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 영역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온도 값과 거리 값을 다수 개의 채널로 이루어진 사용자 활동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채널별로 측정하여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판단단계에서는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의 각 채널별로 감지된 온도 값과 거리 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누적하여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값이 높은 영역을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라 판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의 다수 개의 채널 중 각 채널에서 감지되는 온도 값과 거리 값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을 판단하여 판단된 영역 위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쾌적도를 향상시키고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 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 이하, 공기조화기라 한다)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구(101)가 양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토출구(102)가 양측면 상부에 형성된다.
토출구(102)에는 토출구(102)를 개폐시킴은 물론,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루버(103)가 설치되고, 루버(103)의 상측에는 루버(10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104)가 설치된다.
여기서, 구동모터(104)로 회전각도 분해능이 뛰어난 가변 자기 저항형 스텝핑 모터(Variable Reluctance Type Stepping Motor)를 사용하게 되면 루버(103)의 단계적 방향 전환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방향 전환이 필요한 스윙모드를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루버(103)의 단계적 방향 전환과 연속적 방향 전환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동력장치라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루버(103)는 구동모터(104)의 구동에 따라 구동모터(104)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각도가 변화하고, 이 변화하는 회전각도에 따라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고, 그 회전각도(default angle)의 위치에 따라 토출구(102)를 개폐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내부에는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110)와 실내열교환기(11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하는 실내 팬(120)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전면 상부에는 공기조화기(100)가 설치된 공조공간 내에 사용자의 존재 유무뿐만 아니라 사용자 위치 및 이동을 파악하기 위한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130)가 설치되고,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13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130)를 통해 측정한 공조공간의 온도 정보 및 사용자의 활동량에 따른 공조운전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140)가 마련된다. 이러한 표시장치(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에도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측면 토출 방식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루버(103)를 통해 좌우로 조절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 또는 삼면 토출방식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상하 또는 좌우 루버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좌우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130)는 어떠한 공기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서 상술된 흡입구(101), 토출구(102), 루버(103), 구동모터(104), 실내열교환기(110), 실내팬(120),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130) 및 표시장치(140)외에 입력장치(150), 제어장치(160), 구동장치(17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130)는 공조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 영역 내에 있는 열원을 감지하기 위해 다수 개의 채널을 통해 적외선을 읽어 들여 출력되는 전압을 증폭시켜 온도검출전압으로 출력하는 다채널 서모파일(multi-channel thermopile)센서(131; 이하, 열감지센서라 한다)와, 각 영역의 인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하기 위해 인체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는 속도로 열감지센서(131)를 일정시간마다 수평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스텝모터(132)와, 열감지센서(131)에서 출력되는 검출전압의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A/D변환부(133)와, A/D변환부(133)에서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된 온도값과 거리값을 측정하는 센서제어부(134)와, 열감지센서(131)를 통해 전체 공조공간을 스캐닝하기 위한 측정영역과 공기조화기(100)가 이루는 각도 값의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감지센서(131)의 측정 영역과 각도 값의 정보들을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130)의 메모리부(136)에 별도로 마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감지센서(131)의 측정영역과 각도 값의 정보들을 제어장치(160)의 저장부(161)에 저장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입력장치(150)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운전의 시작/정지, 희망온도, 토출 공기의 설정풍량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공기조화기(100)의 전면 패널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다수의 키를 포함한다.
제어장치(160)는 입력장치(150)를 통해 입력된 운전모드에 따라 냉방과 난방 등 공기조화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써,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130)의 각 채널 별로 검출된 공조 공간내의 온도 정보, 거리 정보 및 각도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161)와, 저장부(161)에 저장된 내용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각 채널별로 감지되는 정보를 차례로 누적하여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값의 높고 낮음에 따라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부(162)와, 판단부(162)에 의해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라 판단되는 영역으로 자동적으로 공조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동장치(170)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구동제어부(163)을 포함한다.
구동장치(170)는 제어장치(160)의 구동제어부(163)의 제어신호에 따라 토출 풍향을 조절하기 위해 루버(10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04), 토출 풍량을 변화시키는 실내팬(120) 및 공조공간 내의 사용자 정보를 스캐닝하기 위해 열감지센서(131)를 수평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스텝모터(132)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공조 공간을 다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의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공조 공간 내의 거리 값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의 하나의 채널에서 일정한 각도 단위로 측정된 온도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입력장치(150)를 통해 공조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공조공간을 16개의 영역으로 나누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더 많은 수로 나눌 수도 있고 더 적은 수로 나 눌 수도 있다. 그러나 에너지 절감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조공간을 많은 수의 영역으로 나누는 것이 바림직할 것이다. 여기서, 공조공간이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공조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으나, 공기조화기(100)의 제어장치(160)의 저장부(161)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이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후 다수 개의 채널을 가지는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130)는 각 채널별로 실내 열 환경 분석을 위해 스텝모터(132)의 회전에 따라 일정각도 단위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열감지센서(131)를 통해 공조공간 내에 있는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되는 거리 값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00)에서 1m 떨어진 지점(A)에 서 있었다고 한다면 4개의 채널 중 3개의 채널 즉, CH1, CH2, CH3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지만 이후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00)에서 5m 떨어진 지점(A')으로 이동하였다면 4개의 채널 중 세개의 채널 즉, CH2, CH3, CH4에서 사용자가 감지된다. 이에 따라 거리 방향의 이동 값, 즉, 거리 값이 측정된다.
또한, 측정되는 온도 값은 스텝모터(132)의 회전에 따라 각 각도별로 온도 값이 측정되며 그 결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상술한 도 3에서 미리 구획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인지를 분석하여 해당 영역을 제어장치(160)의 저장부(161)에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값과 거리 값을 분석하여 온도 값과 거리 값이 가장 높은 영역에 하나씩 카운트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트된 값이 가장 높은 영역을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라 제어장치(160)의 판단부(162)에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t1, t2, t3, t4)으로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측정하면 제 1 시간(t1)동안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측정하여 분석해본 결과 각도 값이 대략 10˚이상 30˚이하의 영역과 60˚이상 80˚이하의 영역에서 온도 값이 높음을 알았다.
이러한 온도 값을 바탕으로 거리 값과 함께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영역인지 살펴본 결과 영역 9와 영역 16이였으며, 이 영역들에 대해 하나의 카운트를 시작한다(즉 해당 영역은 1이라는 값을 부여받게 된다). 같은 방법으로 제 2 시간(t2)동안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측정하여 분석해본 결과 같은 결과인 영역 9와 영역 16에서 온도 값이 가장 높았으며, 이에 대해 카운트를 또 하게 되면 해당 영역들은 카운트 값이 2가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채널별로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을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라 판단되는 영역으로 제어장치(160)의 구동제어부(163)는 자동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공조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활동 영역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기류 제어했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저하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 역을 파악하기 위한 제어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원하는 운전모드(냉방 또는 난방의 공조운전)와 설정온도, 설정풍향, 설정풍량 등의 운전정보를 입력장치(150)를 통해 입력한다.
이후, 제어장치(160)는 운전 온인가를 판단하여(610), 운전 온이면 공조공간 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입력장치(150)를 통해 제어장치(160)의 저장부(161)에 저장한다(620).
이후, 공조공간 내 사용자의 활동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하기 위해 구동장치(170)를 통해 스텝모터(132)를 일정시간마다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일정각도 단위로 감지범위 내의 온도검출전압과 거리검출전압을 출력하면, 열감지센서(131)에서 출력되는 해당 각도별 온도 및 거리검출 아날로그 전압값은 A/D변환부(134)를 통해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되어 센서 제어부(135)에 전달된다.
따라서, 센서 제어부(135)는 A/D변환부(134)에서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된 해당 각도별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측정하여 제어장치(160)의 저장부(161)에 저장한다(630).
이와 같이 온도 값과 거리 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제어장치(160)의 저장부(161)에 저장한다(640).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650)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측정된 온도 값과 거리 값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인지를 판단한다(660). 여기서, 판단하는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온도 값과 거리 값 분석에 의해 카운트된 값이 높은 것을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라 판단한다.
한편,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650) 단계640로 피드백하여 온도 값과 거리 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계속 측정한다.
이후,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라 판단되는 영역으로 공기의 풍향과 풍량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쾌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670).
또한, 사용자가 입력장치(150)를 통해 운전 오프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하여(680) 운전 오프가 아닌 경우 상기 단계670로 피드백하여 계속 기류 제어하거나, 단계620로 피드백하여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을 다시 파악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과 풍량을 최적으로 조절하는 기류 제어를 계속한다. 한편, 사용자가 운전 오프를 선택하였다면 제어장치(160)는 모든 부하의 동작을 중지하면서 운전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으로 쉽게 기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는 공기조화기(100)의 전면에 부착된 표시장치(140)와 같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공기조화기(100)의 운전정보를 입력받는 전면에 부착된 입력장치(150)와 같은 공조동작입력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100)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영역을 운전영역선택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주로 활동하는 영역을 선택하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마이컴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공기조화기(100)의 구동장치(17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공조 공간을 다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의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공조 공간 내의 거리 값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의 하나의 채널에서 일정한 각도 단위로 측정된 온도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을 파악하기 위한 제어 동작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기조화기 101 : 흡입구
102 : 토출구 103 : 루버
104 : 구동모터 110 : 실내열교환기
120 : 실내팬 130 :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
131 : 열감지센서 132 : 스텝모터

Claims (8)

  1. 다수 개 채널의 열 감지 센서를 일정 각도씩 수평으로 각각 왕복 이동시켜 공조 공간 내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감지하는 사용자 활동 감지장치; 및
    상기 다수 개 채널의 열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각도별 온도 값 및 거리 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누적하여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값이 가장 높은 영역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으로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각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활동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된 온도 값과 거리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공조동작이 요구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이라 판단되는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공조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공조동작의 요구신호를 입력받는 공조동작입력부;
    상기 표시된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을 선택 입력받는 운전영역선택입력부; 및
    상기 공조동작입력부에 의해 공조 운전이 요구된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운전영역선택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원격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조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다수 개 채널의 열 감지 센서를 일정 각도씩 수평으로 각각 왕복 이동시켜 공조 공간 내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온도 값 및 거리 값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다수 개 채널의 열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각도별 온도 값 및 거리 값을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누적하여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된 값이 가장 높은 영역을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으로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영역으로 공조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8. 삭제
KR1020080021307A 2008-03-07 2008-03-0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8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307A KR101282037B1 (ko) 2008-03-07 2008-03-0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307A KR101282037B1 (ko) 2008-03-07 2008-03-0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998A KR20090095998A (ko) 2009-09-10
KR101282037B1 true KR101282037B1 (ko) 2013-07-04

Family

ID=4129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307A KR101282037B1 (ko) 2008-03-07 2008-03-0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0203A (zh) * 2014-03-25 2014-07-0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及空调
KR20200114321A (ko) * 2019-03-28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 실내기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컨트롤러 및 공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220A (ko) * 1996-09-12 1998-07-06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26273A (ko) * 1996-10-08 1998-07-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220A (ko) * 1996-09-12 1998-07-06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26273A (ko) * 1996-10-08 1998-07-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0203A (zh) * 2014-03-25 2014-07-0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及空调
KR20200114321A (ko) * 2019-03-28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 실내기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컨트롤러 및 공조기
KR102238868B1 (ko) * 2019-03-28 2021-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 실내기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컨트롤러 및 공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998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32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836431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88182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247595B2 (ja) 空気調和機
JP6167305B2 (ja) 空気調和機
KR101397101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885333B (zh) 空调器控制方法、控制器及空调器
KR101556974B1 (ko) 공기조화기
JPH0719572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方法
CN106123239B (zh) 空调控制方法
CN108800428B (zh) 空气调节设备的控制方法、装置和空气调节设备
JP5725114B2 (ja) 空調システム
KR20120096722A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0400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97330A (ko) 공기조화기
KR10128203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642549A (zh) 基于距离实现空调制冷控制的方法和装置
KR2009000255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82036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02325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취침운전 제어방법
KR2015004920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JP2002333185A (ja) 除湿運転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JP2013120052A (ja) 空気調和機
KR101200409B1 (ko) 공기조화기
CN106556119A (zh) 变频空调频率控制方法、控制装置及变频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