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078B1 -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 - Google Patents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078B1
KR101281078B1 KR1020110105021A KR20110105021A KR101281078B1 KR 101281078 B1 KR101281078 B1 KR 101281078B1 KR 1020110105021 A KR1020110105021 A KR 1020110105021A KR 20110105021 A KR20110105021 A KR 20110105021A KR 101281078 B1 KR101281078 B1 KR 101281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erminal block
cover
block box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336A (ko
Inventor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광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광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광정밀
Priority to KR1020110105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0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6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conductor and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에 커버가 한 번의 끼워 맞춤식으로 간단하게 결합되어지게 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부에 결합홈(12)이 형성되며 측면부에 결합구(1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안착되어 본체(10) 내부를 밀폐시키며 하단부에 상기 결합홈(12) 내로 장착되어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편(21)이 형성되는 커버(2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구(14)에 장착되어지는 플러그(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Multi terminal block box}
본 발명은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커버가 한 번의 끼워 맞춤식으로 간단하게 결합되어지게 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이 이중으로 구성된 액세스 플로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전기통신용 배관, 배선의 접속을 위한 배선기구가 설치된 바닥배선용 전선박스는 배관과 배선에 있어서 초기 공사가 쉽고, 추후 증설이나 이설이 용이해야 하고, 이중바닥공사의 특성인 층고의 손실을 고려함은 물론 이중 바닥재의 설치 높이를 결정해야 하므로 공간 내부에 시설되는 모든 기구들의 높이가 최소화함이 필수이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열용 250V/15A용 배선기구에 맞는 박스높이는 46mm가 최소이며, 덮개를 박스 높이 보다 낮게 내부로 삽입되게 해야 한다.
또한, 특허등록 제10-0968529호(2010.07.09.공고) "배선용 터미널 박스"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인입 및 인출용 배선을 고정할 때 여러 가지 케이블 지지수단을 사용하나, 박스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슬림형의 건물바닥용 전선박스는 내부의 부품을 고정하는 나사 혹은 너트의 돌출이 필수적이어서 높이와 간격의 설계에 장애를 주었다.
따라서 나사체결용 구멍을 제거하여 삽입용 너트를 박스 본체 등에 일체로 박아 넣어 불필요한 구멍을 줄이고 설치 후 두께는 물론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안정된 전선박스가 필요하였다.
뿐만 아니라 특허등록 제10-0969193호(2010.07.09.공고) "바닥 배선 기구"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배선기구함과 배관 및 배선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이것들을 모두 연결하는 작업이 불가피하여 시공이 늦고 불편하며 층고의 손실이 있고 공사품질 또한 안정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바닥배선용 전선박스는 박스 상단에 케이스가 얹혀져 볼트로 고정되어짐으로써 작업자가 케이스를 일일이 볼트 조립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본체의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케이스가 한 번의 동작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짐으로써 작업성 및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체에 플러그가 외부의 충격에도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장착되어지게 됨으로써 제품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에 있어서, 상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측면부에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본체 내부를 밀폐시키며 하단부에 상기 결합홈 내로 장착되어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편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결합구에 장착되어지는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의 끝단에 상기 걸림턱에 걸려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에 커버의 결합돌편이 끼움 방식으로 장착되며 본체의 결합구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에 플러그의 장착편이 장착되어짐으로써 본체의 상부에 커버가 한 번의 동작으로 끼워져 결합되어지며 본체의 측면부에 플러그가 견고하게 장착되어 작업의 편리성 및 제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의 본체에 커버가 결합되는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의 본체에 플러그가 결합되는 평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의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의 본체에 커버가 결합되는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의 본체에 플러그가 결합되는 평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에 있어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10)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커버(20)와, 상기 본체(10)의 측면부에 결합되어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는 플러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터미널 하우징 익스텐더(40)가 장입될 수 있도록 장입부(11)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커버(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2)의 내측에는 커버(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3)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측면부에는 상기 플러그(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14)의 내벽면에는 플러그(30)가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15)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는 본체(10)를 바닥면에 볼트(B)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편(16)이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고온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커버(200는 본체(10)의 상부에 안착되어 본체(10)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며, 하단부에 상기 결합홈(12)에 결합되어 커버(20)가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편(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편(21)의 끝단에는 상기 걸림턱(13)에 걸려 본체(10)에 결합되는 커버(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30)는 본체(10)의 결합구(14)에 연통되어지며, 끝단부 양측면에는 상기 장착홈(15)에 장착되어 플러그(30)가 본체(10)에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편(3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지될 수 있도록 터미널 하우징 익스텐더(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커버(20)가 결합되어 본체(10) 내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2)으로 상기 커버(20)의 결합편(21)이 결합되어 상기 커버(20)가 본체(10)에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편(21)이 결함홈(12)에 결합되어 커버(20)가 본체(10)에 결합되어질 때 상기 결합편(21)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돌기(22)가 상기 결합홈(12) 내측면의 걸림턱(13)에 걸리게 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커버(20)가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결합구(14)에 플러그(30)가 결합되어질 때 상기 플러그(30)의 장착편(31)이 상기 결합구(14) 내측면의 장착홈(15)에 장착되면서 한 번의 동작으로 본체(10)에 플러그(3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는 상기 본체(10)의 결합홈(12)에 커버(20)의 결합편(21)이 끼워져 결합되어지되 걸림턱(13)에 걸린 이탈방지돌기(22)에 의해 커버(20)가 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되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는 상기 본체(10)의 결합구(14)에 배선이 연결되는 플러그(3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장착편(31)이 장착홈(15)에 한 번의 동작으로 장착되면서 상기 장착편(31)에 의해 플러그(30)가 본체(10)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장입부
12 : 결합홈 13 : 걸림턱
14 : 결합구 15 : 장착홈
16 : 고정편 20 : 커버
21 : 결합편 22 : 이탈방지돌기
30 : 플러그 31 : 장착편
40 : 터미널 하우징 익스텐더 B : 볼트

Claims (6)

  1.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에 있어서,
    내부에 터미널 하우징 익스텐더(40)가 장입될 수 있도록 장입부(11)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측면부에 상기 장입부(11)와 연통되어진 결합구(14)가 형성되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안착되어 본체(10)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며, 하단부에 상기 결합홈(12)에 결합되어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편(21)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2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구(14)에 결합되어 배선이 연결되는 플러그(3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2)의 내측에는 커버(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21)의 끝단에는 상기 결합홈(12) 내측에 걸려 본체(10)에 결합되는 커버(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2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14)의 내벽면에는 플러그(30)가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15)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30)의 끝단부 양측면에는 상기 장착홈(15)에 장착되어 플러그(30)가 본체(10)에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편(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는 본체(10)를 바닥면에 볼트(B)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편(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고온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
KR1020110105021A 2011-10-14 2011-10-14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 KR101281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021A KR101281078B1 (ko) 2011-10-14 2011-10-14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021A KR101281078B1 (ko) 2011-10-14 2011-10-14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36A KR20130040336A (ko) 2013-04-24
KR101281078B1 true KR101281078B1 (ko) 2013-07-09

Family

ID=4844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021A KR101281078B1 (ko) 2011-10-14 2011-10-14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0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413U (ko) * 1993-08-27 1995-03-21 분전함 덮개의 결합구조
KR200242784Y1 (ko) * 2001-03-27 2001-10-10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JP3122361U (ja) * 2006-03-31 2006-06-08 東急建設株式会社 配線装置
KR100969193B1 (ko) * 2009-12-30 2010-07-09 (주)원영이엔지 바닥 배선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413U (ko) * 1993-08-27 1995-03-21 분전함 덮개의 결합구조
KR200242784Y1 (ko) * 2001-03-27 2001-10-10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JP3122361U (ja) * 2006-03-31 2006-06-08 東急建設株式会社 配線装置
KR100969193B1 (ko) * 2009-12-30 2010-07-09 (주)원영이엔지 바닥 배선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36A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7718B2 (en) Cabinet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US8251756B2 (en) Nut holding means within a busbar housing
US9743545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7934934B2 (en) Electric junction box for motor vehicle
US9124079B2 (en) Electric junction box
JP6575821B2 (ja) 機器用コネクタ装置
KR101301250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CN103229267B (zh) 开关装置和端子侧附件
US20160020536A1 (en) Booster cable holding structure
KR101281078B1 (ko)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
JP5319471B2 (ja) 直流コンセント
JP2021087272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0880450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379322B1 (ko)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US9078356B2 (en) Electrical component device
RU2450495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с монтажным основанием
KR101261531B1 (ko) 멀티 플로어 박스
KR20170140898A (ko) 단자부 보호커버 장착 구조를 개선한 릴레이 소켓
KR20090008231U (ko) 슬리브 단자대
CN215451950U (zh) 一种可安装多种插座的工业插座箱
JP2014099977A (ja) 電気接続箱
KR101636019B1 (ko) 접지단자
JP6100537B2 (ja) 端子台装置と端子台装置を備える電気機器
JP2018194368A (ja) キャビネット
KR101281080B1 (ko) 끼워맞춤식 커버의 멀티 플로어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