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323B1 -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323B1
KR101280323B1 KR1020110078848A KR20110078848A KR101280323B1 KR 101280323 B1 KR101280323 B1 KR 101280323B1 KR 1020110078848 A KR1020110078848 A KR 1020110078848A KR 20110078848 A KR20110078848 A KR 20110078848A KR 101280323 B1 KR101280323 B1 KR 10128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ing element
passage assembly
ship
plana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067A (ko
Inventor
송재원
김현준
한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1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는, 선체에 체결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에 체결되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에 체결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션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선박{Marine fever passage unit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행로 어셈블리 및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구비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체의 일측에는 선원들이 이동하는 통행로가 형성될 수 있다. 통행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선체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통행로의 하측에는 폴리우레탄 폼이 배치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폼의 사이에는 히팅 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히팅 코일에는 전기가 인가되어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히팅 코일에는 고온수가 유동하여 열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선박이 운항하는 환경에 따라 선체에는 눈이 쌓일 수 있다. 또한, 선체에 유입되는 물이 기온 등에 의하여 얼음으로 변할 수 있다. 이때, 선체에 쌓인 눈이나 형성된 얼음은 선원들의 이동을 불편하게 하고, 선원들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을 운항할 때, 히팅 코일을 가동하여 눈이나 얼음을 녹여 선원들의 통행로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히팅코일 형태의 경우, 히팅코일이 지나가는 부분에 한정되어 눈이나 얼음을 녹였다. 따라서 통행로의 눈이나 얼음이 전부 제거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상기의 문제가 잔존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의 상측에 균일한 열을 공급함으로써 눈이 쌓일 때, 효과적으로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확보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선체에 체결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에 체결되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에 체결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션박스를 포함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선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면상발열체의 양측면에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구리 재질로 형성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션박스는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정션박스들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는 일면에 단열체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체는 실란트에 의해 상기 면상발열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체는 상기 면상발열체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체는 상기 선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단열체와 상기 선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면상발열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 하방으로 ㄴ자 형상의 고정부가 설치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면상발열체를 삽입하고,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바가 삽입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바는 상기 고정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공간에 단열체가 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면상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균일하게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의 상측으로 전달시킨다. 따라서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에 눈이 쌓이는 경우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쌓인 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쌓인 눈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3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100)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100)는 선체에 체결되는 플레이트(11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10)는 선체의 다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110)는 상부 갑판(Upper deck)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외벽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선박은 자항능력을 가지고 추진할 수 있는 모든 선박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LNG-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ding), FPU(Floating Production Unit) 등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상측에 선원들이 보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10)는 선원들이 보행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논-스키드(Non-skid) 도료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선원들이 보행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면으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양측면이 소정각도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10)는 상면이 선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플레이트(110)를 선체(S)에 고정시키도록 체결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10a)는 플레이트(110)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0a)의 일부는 선체(S)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0a)는 체결부재(170)가 결합하도록 체결홀(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10a)의 일부는 선체(S)의 일면과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체 거주구 또는 선체 일면 상부로 돌출된 다른 구조물에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17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170)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70)는 볼트(171)와 너트(17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100)는 플레이트(110) 일면에 체결되는 면상발열체(120)를 포함한다. 면상발열체(120)는 플레이트(11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면상발열체(120)는 실버 및 카본 페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면상발열체(120)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면상발열체(120)는 얇은 필름 위에 실버와 카본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100)는 면상발열체(120)에 체결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부(130)를 포함한다. 단자부(130)는 한쌍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면상발열체(120)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단자부(130)는 다양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부(130)는 구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자부(130)는 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단자부(130)는 상기 재질로 한정되지 않고 전기에너지를 면상발열체(120)로 공급하는 모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100)는 단자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션부(150)는 전기를 공급하는 정션박스(151)를 포함한다.
또한, 정션부(150)는 정션박스(151)와 단자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15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정션부(15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정션부(150)들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플레이트(110)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정션부(150)들은 플레이트(110)의 양측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100)는 면상발열체(120)의 일면에 체결되는 단열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체(140)는 플레이트(110)와 반대편에 배치되어 면상발열체(120)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단열체(140)는 선체(S)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체(140)와 선체(S)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을 통하여 선체에서 발생하는 물이 플레이트(110)의 내측에 침투하는 경우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물이 면상발열체(120)에 접촉하여 누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물이 플레이트(110)의 내측에서 결빙되는 경우에도 상기 공간으로 인하여 단열체(140) 및 면상발열체(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100)는 단열체(140) 및 면상발열체(120)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6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60)는 단열체(140)에 직교하도록 체결되어 단열체(140), 면상발열체(120) 및 플레이트(1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100)의 조립순서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자는 플레이트(110)에 면상발열체(120)를 체결시킨다. 이때, 조립자는 면상발열체(120)를 플레이트(110)에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립자는 면상발열체(120)를 플레이트(110)에 나사 등에 의하여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조립자는 면상발열체(120)를 플레이트(110)에 접착물질을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접착물질은 고온에서도 접착이 가능한 실란트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립자는 자석 등을 사용하여 면상발열체(120)를 플레이트(110)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립자는 면상발열체(120)의 양측면에 단자부(130)를 배치한다. 이때, 단자부(130)는 면상발열체(12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체결된다.
한편, 조립자는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면상발열체(120)의 일면에 단열체(140)를 체결시킨다. 이때, 조립자는 단열체(140)를 면상발열체(120)에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립자는 단열체(140)를 나사 등과 같이 체결부재(미도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온에서도 접착이 가능한 실란트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단열체(140)를 면상발열체(120)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조립자는 자석 등을 사용하여 단열체(140)를 면상발열체(120)와 함께 플레이트(110)에 고정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면상발열체(120)와 단열체(140)는 제품의 공급시부터 일체로 제작되어 플레이트(11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립자는 면상발열체(120) 및 단열체(140)가 고정된 플레이트(110)를 체결부(110a)의 일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조립자는 플레이트(110)의 일측과 체결부(110a)에 체결부재(170)를 삽입하여 플레이트(110)를 선체(S)에 고정시킨다.
조립자는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정션박스(151)를 선체(S)에 고정시킨다.
이 때, 정션박스(151)는 별도의 프레임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은 플레이트(110)와 같이 선체(S)로부터 상면이 이격되고 양측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체(S) 상면으로 흐르는 물이 정션박스(151)와 닿지 않고 흐를 수 있다.
조립자는 정션박스(151)와 단자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선박이 운항하는 동안 눈이 쌓이거나 얼음이 플레이트(110) 상측에 존재하는 경우, 선원들은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100)를 작동시킨다.
이때, 정션박스(151)를 통하여 단자부(130)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된다. 상기 전기에너지는 단자부(130)를 통하여 면상발열체(120)로 공급된다.
면상발열체(120)는 상기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면상발열체(120) 전부가 발열한다. 이때, 면상발열체(120)의 저항 등을 고려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정션박스(150)들에서는 각각 연결된 면상발열체(120)에 전기에너지를 계속해서 공급한다.
상기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면상발열체(120)에서 발생하는 열은 플레이트(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쌓인 눈이나 얼음은 상기 열에 의하여 녹게된다.
따라서 선원들이 플레이트(110)의 상측을 이동할 때, 쌓인 눈이나 얼음에 의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의 전면을 가열하므로 플레이트(110) 상측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100)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Ⅲ-Ⅲ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플레이트(110)에 면상발열체(120)와 단열체(140)를 고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10)의 양단에 하방으로 ㄴ자 형상의 고정부(190)를 설치한다. 고정부(190)는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플레이트(110)와 별도로 형성되어 플레이트(110)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190)는 플레이트(110)에 면상발열체(120)와 단열체(140)를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ㄴ자로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부(190)와 플레이트(110) 사이의 공간에는 면상발열체(120)와 단열체(140)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플레이트 바(180)가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면상발열체(120)와 단열체(140)를 플레이트(110)에 고정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자는 면상발열체(120)와 단열체(140)를 플레이트(110)에 보다 간단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플레이트 바(180)는 면상발열체(120)와 단열체(140)를 플레이트(110)에 적절히 고정할 수 있는 크기와 두께로 형성되며, 그 수 역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도 1의 100)를 포함하는 선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박에 배치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도 1의 100)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시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도 1의 100)의 구체적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도 1의 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110 : 플레이트
110a : 체결부
120 : 면상발열체
130 : 단자부
140 : 단열체
150 : 정션박스
160 : 지지부
180 : 플레이트 바
190 : 고정부

Claims (15)

  1. 양측면이 소정각도로 굴곡지게형성되어 선체에 체결되며, 상면은 선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내측에 체결되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에 체결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션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면상발열체는 일면에 단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체는 상기 선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단열체와 상기 선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면상발열체의 양측면에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구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는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정션박스들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체는 실란트에 의해 상기 면상발열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체는 상기 면상발열체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면상발열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 하방으로 ㄴ자 형상의 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면상발열체를 삽입하고,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바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바는 상기 고정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공간에 단열체가 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15. 삭제
KR1020110078848A 2010-08-20 2011-08-09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280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0586 2010-08-20
KR1020100080586 2010-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067A KR20120018067A (ko) 2012-02-29
KR101280323B1 true KR101280323B1 (ko) 2013-07-01

Family

ID=4583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848A KR101280323B1 (ko) 2010-08-20 2011-08-09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538B1 (ko) * 2018-01-24 2018-07-11 삼우 주식회사 발열 발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크웨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321B1 (ko) * 2012-04-19 2013-07-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Junction Box를 이용한 해상 또는 육상 구조물의 모듈간 케이블 설치방법
KR101244449B1 (ko) * 2012-06-13 2013-03-18 (주)이테크 선박 갑판용 하부 발열장치
WO2016114417A1 (ko) * 2015-01-13 2016-07-21 (주)이테크 단열블럭 고정식 발열통행로
CN113167035A (zh) 2018-12-05 2021-07-23 恩文特服务有限责任公司 带聚合物支撑物的防冰表面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517A (ko) * 2008-10-06 2010-04-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발열기능을 갖는 선박의 통행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8517A (ko) * 2008-10-06 2010-04-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발열기능을 갖는 선박의 통행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538B1 (ko) * 2018-01-24 2018-07-11 삼우 주식회사 발열 발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워크웨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067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323B1 (ko) 선박용 발열 통행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EP2853478B1 (en) Heating device for use below ship decks
US5004190A (en) Rail heating apparatus
US9538581B2 (en) Heating unit for warming fluid conduits
KR20150004141A (ko) 계단의 발열장치
KR101107093B1 (ko) 선박용 발열그레이팅
KR101484691B1 (ko) 단열블럭 고정식 발열통행로
JP6475950B2 (ja) 流体制御器用加熱装置および流体制御装置
WO2016017140A1 (ja) 車両用暖房装置
KR101878834B1 (ko) 전기차용 배터리 히터
JP2009004232A (ja) リボンヒータ
KR20150004142A (ko) 선박 갑판에 설치되는 발열통행로
JP2008050842A (ja) 融雪すのこ
US11505899B2 (en) Anti-icing surface with polymeric supports
US20080156931A1 (en) Cable support for aeronautic construction
JP2008275213A (ja) ヒータマット
JP2019085697A (ja) フィルム型太陽電池設置架台
KR101263803B1 (ko) 난방장치가 내장된 책상
CN109580694B (zh) 一种热防护结构测试夹具
CN206865777U (zh) 便于安装的搪瓷加热管
JP3210365U (ja) 屋根用融雪ヒーター
US20170227449A1 (en) Corrosion test chamber
JP3141702U (ja) 屋根用融雪パネル
JP5661010B2 (ja) 防汚パネル部材の連結構造、防汚パネル、それを設置した構造物、および防汚パネル用の連結部材
KR102629209B1 (ko) 극지 운항 선박의 윈도우 프레임 결빙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