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796B1 -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 Google Patents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796B1
KR101279796B1 KR1020087005997A KR20087005997A KR101279796B1 KR 101279796 B1 KR101279796 B1 KR 101279796B1 KR 1020087005997 A KR1020087005997 A KR 1020087005997A KR 20087005997 A KR20087005997 A KR 20087005997A KR 101279796 B1 KR101279796 B1 KR 101279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network
strip line
radiator
coupled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144A (ko
Inventor
미하엘 보스
슈테판 히른뵈크
요한 오버마이어
막시밀리안 괴틀
Original Assignee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filed Critical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8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2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invariable factor of coupling
    • H01P5/022Transitions between lines of the same kind and shape, but with different dimensions
    • H01P5/028Transitions between lines of the same kind and shape, but with different dimensions between 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01Q21/0075Stripline fed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01Q21/26Turnstile or like antennas comprising arrangements of three or more elongated elements disposed radially and symmetrically in a horizontal plane about a common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급 네트워크(13)에는 용량성 커플링 장치(18)가 구비되고, 상기 커플링 장치를 통해서 하나의 커플링 된 라인(17)에 대하여 용량성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커플링 된 라인(17) 섹션은 후속 장치 혹은 방사기(1)와 고정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장치 혹은 방사기(1)의 부분이며,
상기 용량성 커플링 장치의 영역에서 상기 공급 네트워크(13)는 제 1 커플링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 된 라인(17)은 제 2 커플링 섹션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커플링 섹션 및 제 2 커플링 섹션이 하나의 클램핑 및 홀딩 장치(27)에 의해서 서로 상대적인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1 커플링 섹션 및 제 2 커플링 섹션 두 개의 커플링 섹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대 운동은 커플링 면(13b, 17b)과 평행하게 실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SUPPLY NETWORK OR ANTENNA WITH AT LEAST ONE RADIATOR AND WITH A SUPPLY NETWORK}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와 관련이 있다.
예컨대 다이폴(dipole) 방사기(radiator)를 사용하는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s)는 예를 들어 DE 197 22 742 A호, DE 196 27 015 A1호 또는 예를 들어 EP 1 057 224 B1호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다이폴 방사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고정식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설비의 기지국에 내장될 수 있는 소위 패치(patch) 안테나의 사용도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방사기를 구비한 안테나 어레이는 다수의 동축 케이블을 사용해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동축 케이블 공학 기술은 연결 변환부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이 경우에는, 전기적인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만 하고, 전자 기계적인 그리고 열적인 응력이 계속 유지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동축의 공급 시스템 대신에 스트립 라인(Stripline) 공학 기술을 사용하는 공급 시스템도 또한 예를 들어 EP 0 994 524 B1호 또는 US 6 697 029 B2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공급 시스템에서는 방사기로 유도된 라인이 공급 네트워크(supply network)에 견고히 연결되어 있다. 상기 US 6 697 029 B2호에는, 박판으로부터 펀칭 공정에 의해서 제조된 스트립 라인 공급 시스템이 유전체로서 반사기 위에 배치된 후에 클립 구조물에 견고히 연결되고, 그 다음에 나사에 의하여 교차 다이폴에 고정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에 비해 EP 0 994 524 B1호에는, 스트립 라인 공학 기술로 설계된 공급 시스템에 연결된 공급 클립이 상기 교차 다이폴과 전도 [(電導, electrically conductively)]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용량성으로 결합(coupled)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도 마찬가지로, 안테나 구조물의 크기가 더 큰 경우에도 비교적 작은 제조 허용 오차가 요구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충격 작용 또는 진동으로 인해, 공급 라인과 방사기 간의 연결부에서는 충격을 주는 힘이 발생할 수 있다. 그라운드 플레인 (ground plane=반사체)의 벤딩(bending)은 스트립 라인의 간격이 일정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스트립 라인을 세로 방향으로 유동시키고, 인장력 변동 또는 압력 변동을 야기한다.
그밖에, 상기와 같은 유형의 공급 시스템에서는 열적인 팽창에 의한 유동 또는 기계적인 응력을 야기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변형되거나 결국에는 파괴될 수도 있다. 그럼으로써 상황에 따라서는 전기적 특성이 전체 시스템의 고장에 이르기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공급 시스템은 실제로 동축 도체 공급 시스템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이 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선행 기술의 미비점을 개선하고 저렴하게 구성된 공급 시스템, 특히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장치(antenna element device) 및 상기 장치와 연관된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antenna)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인 또는 열적인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전기적인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는 공급 시스템이 설치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립 라인(stripline) 기술을 이용하는 평탄(flat)한 용량성 라인 결합이 제안된다. 이 경우 공급 네트워크는 하나의 커플링 면(coupling surface=결합면)을 가지며, 상기 커플링 면과 평행한 위치에서 진행하도록, 제 2의 평탄(flat)한 커플링 면과 커플링 된 하나의 라인이 위치 설정된다. 상기 제 2 커플링 면은 연속으로 커플링 된 하나의 라인을 형성하여 납땜 점 또는 기타의 접촉점을 피하면서, 안테나 또는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의 후속 배치(down stream)된 전기 장치, 특히 방사기의 공급부 또는 공급 파이프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후속 배치된 전기 장치 또는 특히 방사기 또는 후속 배치된 방사기 장치의 공급부 또는 공급 파이프는 상기 방사기 장치의 부분이다. 달리 말하자면, 특히 접촉점 또는 납땜 점을 피하는 상기와 같은 커플링 장치를 구비한 상응하는 방사기 장치는 원하는 용량성 내부 도체 커플링을 제조하는 중에 반사체 상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공급 네트워크의 그라운드 커런트(ground current)는 본 발명에 틀 안에서는 바람직하게 반사체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그라운드 커런트(ground current)는 추후에 접촉점을 통해서 방사기 구조물까지 계속 흘러갈 수 있다.
스트립 라인은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그라운드 플레인(ground plane) 및 도체를 사용하여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스트립 라인은 정확히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두 개의 그라운드 플레인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도체를 사용하여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급 네트워크의 커플링 면은 고정된 유전체를 피하도록 위치 설정되는데, 달리 말해서 공기가 유전체로서 사용된다. 단지 유전성 고정장치나 또는 브래킷(bracket) 및 홀딩장치에 의해서만, 두 개의 커플링 면들이 원하는 상호 상대적인 위치에 바르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공급 네트워크는 또한 한 측에 기판의 형태로, 예를 들어 연속 기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판은 프린트 회로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반사체를 형성하는 그라운드 플레인은 상기 기판 또는 프린트 회로의 마주 놓인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변형 예들도 가능하다.
그에 비해 지금까지의 동축 공급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기계적인 응력이 연결점 또는 납땜 점에 미치지 않고 유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동축 라인 또는 공급 라인이 스트립 라인이나 공학 기술로 루우프(loops) 내부에 설치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선행 기술에 따른 스트립 라인은 지금까지는 평면 방향으로의 변형을 허용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라, 전기 장치가 방사기의 형태로 또는 안테나의 방사기 장치의 형태로 공급 네트워크에 결합됨으로써, 예를 들어 다이폴 형태의 방사기의 공급 라인에서는 그라운드 플레인(ground plane)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이나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는 일이 전혀 발생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에서는, 공급 네트워크와 커플링 된 라인이 상기 공급 네트워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파수가 960 MHz인 경우에 1 mm의 이동은 단지 약 1.2°의 위상 이동을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방사기의 위상 에러는 방사 다이어그램에 단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영향만을 미친다. 다이폴 임피던스가 공급 네트워크에 상호 접속되는 경우에 2.4°의 임피던스 위상 이동을 발생시키는 것 또한 통상적인 허용 오차 범위 안의 무시해도 될 영향이다.
이에 비해, 선행 기술의 경우처럼 다이폴 풋(dipole foot) (ground plane)으로부터 다이폴에 있는 하나의 공급 라인을 끌어내는 것은 특징적인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를 심하게 변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다른 변환을 야기하게 된다. 결국 이로 인해 전체 안테나의 접합(matching)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가장 큰 열적 팽창(strain)이 한 구조물의 가장 큰 팽창의 방향으로 항상 발생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적용 예에서 예를 들어, 적용된 이 장치가 열적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세로로 설치된 공급 네트워크의 스트립 라인의 세로 방향 팽창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한 방사기의 상응하는 결합점이 고정적으로 결합이 되면, 이와 같은 결합은 연결점 또는 납땜 점에서 상당한 열적 응력(stress)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또는 충격 또는 열적 부하에 의해서 야기되는 상기 스트립 라인 형태로 된 공급 네트워크의 위치 변동이나 또는 길이 변동을 저지하거나 억제하지 않고, 오히려 허용하기 위하여, 고유한 용량성 커플링이 고유한 형상 및 배열 상태로 구비되며, 더욱이 상기 용량성 커플링은 후속 배치(down stream)된 전기 장치, 이동 무선 통신 기지국의 안테나의 방사기 또는 방사기 장치와 예를 들어 일체로 또는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커플링 된 라인이 함께 이동할 수 없는 커플링 섹션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선행 기술에서 확인된 불리한 위치 변동 또는 길이 변동은 본 발명에 따라 더 이상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장점들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열적 팽창(strain) 그리고 충격이나 또는 진동과 같은 변수들은 부품에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은 장점은 신뢰성을 더 높여준다.
기계적인 변위는 후속 배치된 장치, 특히 후속 배치된 안테나의 전기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불리한 변화도 야기하지 않으면서, 규정된 장소에서 보상된다.
상기와 같은 보상을 통해서 길이 팽창을 보상하기 위하여, 공급 네트워크 자체는 구부러진 섹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히려, 공급 네트워크는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평면(planar)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 네트워크의 제조원가도 보다 저렴해지며, 이어지는 취급과정도 훨씬 더 간단해진다.
후속 배치된 장치 또는 방사기의 공급 구조물이 방사기와 일체로 또는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관련 부품들의 보다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접속된 장치 또는 방사기의 다양한 사용 조건들에서 유연성을 높여준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제조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다. 납땜, 나사 결합, 프레싱 등과 같은 특수한 연결 기술이 필요치 않다. 또한, 표면에 대해서도 특별한 요구 조건들이 제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이중으로 편광되는 방사기로서, 수직으로 서있는 두 개의 편광 평면에서 방사 작용하는 단일 칼럼 및 두 개의 방사기 장치,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용량성 커플링 장치를 구비한 안테나 어레이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플링 장치의 확대 상세도이며,
도 3은 커플링 라인을 구비한 공급 네트워크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공급 네트워크 및 그 위에 간격을 두고 커플링 된, 분기 커플러 모양의 스트립 라인의 한 섹션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상세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서 해당 커플링 섹션을 갖는 방사기 장치를 축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7은 커플링 장치(coupling device)의 한 변형 실시예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예를 들어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장치(mobile radio antenna device)의 한 기지국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단일 칼럼(single-column) 형태의 안테나 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방사기 장치 [또는 antenna element device]를 구비한 단 하나의 비교적 짧은 단일 칼럼 형태의 안테나가 도시되고, 상기 두 개의 방사기 장치들 중에서 단 하나의 방사기(1)의 장치가 완전하게 재현되어 있는 반면에, 도 1의 좌측에 배치된 방사기(1)의 장치는 소위 대칭을 형성하는 자체의 장착 장치(3)와 함께 단지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중으로 편광되는 방사기(1)의 장치가 사용되고, 상기 방사기 장치는 서로 직각으로 서있는 두 개의 분극면(分極面)에서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분극면들은 평면도로 볼 때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방사기(1)의 장치의 모서리 점(corner points)을 거의 대각으로 관통한다. 상기 방사기 장치는 소위 벡터 다이폴(vector dipole)이다. 상기 벡터 다이폴은 기본적으로 EP 1 057 224 B1호에 공지되어 있다. 전기적인 관점에서는, 서로 수직각으로 서있는 상기 두 개의 분극면에서 방사 작용하는 십자 모양의 방사기가 사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구조 및 기능 방식과 관련해서는 상기 공개문헌이 참조 된다.
통상적으로 반사기(7)의 앞쪽에 방사기 장치를 배치하는 경우, 수직으로 배치하거나 거의 수직으로 배치해서 상기 방사기(1)의 장치는 수직으로 된 단일 칼럼 안에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반사기(7)는 예를 들어 반사기(7)의 좌우 양측 외곽의 가장자리, 또는 중앙부 쪽으로 변위된 장소에 웨브(boundary web) 또는 세로 웨브(longitudinal web)(9)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웨브는 가로로, 다시 말해 반사기(7)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각으로 또는 각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분극마다 하나의 공급 네트워크(13)가 사용되고, 상기 공급 네트워크(13)는 간략히 공급 스트립 라인(13a)으로 표시되는 스트립 라인(13a)을 구비한다.
상기 스트립 라인(13a)은 전도성 반사기(7)와 전도성 접촉 없이 상기 반사기 앞에 배치되어 있다. 반사기(7)는 방사기(1)의 장치가 장착되는 상기 스트립라인(13a)의 측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스트립 라인(13a)의 측면이 비전도성 재료로 되어 있거나 비전도성 표면으로 되어 있을 때 (예컨대, 방사기의 후면 또는 저면에 전도성 표면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상기 스트립 라인(13a)은 반사기(7)의 표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공급 네트워크가 프린트 회로(회로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하나의 공급 네트워크에 마주 놓인 면에 비전도성 기판상에는 반사기를 형성하는 그라운드 플레인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스트립 라인(13a)은 서로 평행한 간격을 두고 수직 중앙 대칭 평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 대칭 평면은 도 1에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반사기(7)의 중앙에서 반사기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다시 말해 세로 웨브(longitudinal web)(9)와 평행하게 되어있다. 이 경우 도 1은, 예를 들어 공급 네트워크를 기준으로는 분기의 방식을 따라 분기 커플러(118')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한 공급 라인의 단부, 즉 한 스트립 라인(13a)의 단부에서는 최종 커플러(118")로 형성될 수 있는 용량성 커플러(118)가 구비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나머지 구조가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스트립 라인(13a)의 한 부분 길이 위로 하나의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이 배치됨으로써, 용량성 커플링 장치(18)가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13a)도 커플링 면(13b 및 17b)을 각각 하나씩 가지며, 상기 커플링 면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평탄(flat)하게 형성되었고, 작은 간격을 두고 위·아래로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도 3)의 폭은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13a)의 폭보다 약간 더 좁다. 상기 두 개 커플링 면(13b 및 17b)의 간격은 상기 스트립 라인(13a) 또는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두께와 대략 일치한다. 하지만 이 간격은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본 실시예와 일치하는 스트립 라인의 두께보다 더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강력한 커플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을 가급적 작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 및 도3에서는,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이 유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유전성 수용부(receptacle) 또는 홀더(holder)(21) 안에 지지 되어있고, 상기 홀더는 하나의 베이스(base)(21a), 상기 커플링 면(coupling surface)(17b)의 자유단부에 있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측면 브리지 또는 측면 웨브 (sides web)(21b), 그리고 마주놓인 단부에 있는 하나의 가로 브리지(bridge) 또는 횡방향 웨브(transverse web)(21c)와 후속되는(subsequent) 브리지 또는 웨브 섹션(21d)을 구비하고, 상기 후속되는 브리지 또는 웨브 섹션(21d)의 높이가 상기 커플링 면(17b)보다 위로 돌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로 면, 연관된 측면 웨브(21b) 또는 베이스(21a)는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13a)의 인접하는 세로면(13c) 위로 돌출하고, 반사기(7)의 상부면(7a)까지 뻗어 형성된 지지 풋(supporting foot) 또는 지지 스트립(21e)을 구비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수용부 또는 홀더(21)는 상기 지지 스트립(21e)의 단부측 하부 면(21f)에 의해서 반사기(7)의 상부 면(7a)에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브래킷 및 홀딩 장치(bracket or holding devices)(27)가 더 사용되며, 상기 장치의 상부 레그(upper leg 또는 upper limb)(27a)는 상기 커플링 된 공급 스트립 라인(13a)의 상부면(17c)에 아래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장치의 하부 레그(lower leg 또는 lower limb)(27b)는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13a)의 하부 면(13e)에 아래로부터 결합되며, 이 경우 서로를 향하고 있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레그(27a, 27b)의 내부면은 바람직하게 완전히 평탄(flat)하게, 상기 커플링 면(17b)의 상부면에 또는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13a)의 하부 면(13e) 전체에 걸쳐서 평탄하게 놓인다. 두 개의 상하부 레그(27a, 27b)는 횡단면도로 볼 때는 오히려 구부러졌거나 또는 원 형상부분을 갖는 클램핑 섹션(27c)을 통해 압축 응력 하에서 지지 및 고정된다.
상기 레그들이 전 표면에 걸쳐서 놓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receptacle) 또는 홀더(21)의 측면 브리지 또는 측면 웨브(21b)들은 각각 걸림부(interruption)인 지지 스트립(21e)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인 지지 스트립(21e)을 통해서 상기 클램핑 및 홀딩 장치(27)의 상부 레그(27a)가 돌출한다.
도 3에 따른 세부 단면도를 참조하여서 볼 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전성(dielectric) 중간층, 즉 공급 네트워크(13)의 공급 라인에 대하여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간격 유지 부재로서 이용되는 소위 전기 홀딩 장치(electrical holding device)(27)의 베이스(21a)가 해당 도체 위로 양 방향으로 돌출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상기 폭은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폭보다 더 크고, 공급 라인 자체와 같은 공급 네트워크(13)의 폭보다 더 크다. 그럼으로써, 내전압(withstand voltage)의 상승은 말하자면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의 연장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두 개의 도체(conductors)를 연결하기 위해서 오염 층(a layer of dirt) 또는 물방울의 우회로가 있어야 한다. 이 경우 유전성 절연체(dielectric isolator)는, 상응하는 돌출부를 가짐으로써 양쪽 측면 에지(side edges)에서 도전성 구조물들[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및 공급 네트워크(13)] 위로 명확하게 돌출하는 하나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가상의 프린트 회로와 같은 프린트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유전성 절연체는 플라스틱, 플라스틱 박막, 바니시층 또한 매우 얇게 코팅하여 형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납땜되지 않는 래커(lacquer)나 합성수지를 베이스로 하는 코팅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자유 단부의 대향측에서, 상기 스트립 라인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90°측면으로 돌출하는 연결 섹션(17d)과 일체로 된다. 상기 연결 섹션(17d)의 단부에는 하나의 장치나 또는 방사기 라인의 지지 섹션(17e)이 연결되며, 상기 라인은 방사기(1)의 장치의 전체 높이의 50% 이상, 특히 70% 또는 80% 이상에 걸쳐서 위쪽으로 가이드 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사기 평면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공급 라인 섹션(17f)에 있는 상단부에서 끝난다.
도면에 도시된 구조를 통해 볼 때, 커플링 면(17b), 상기 면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하는 연결 섹션(17d), 상기 연결 섹션에 연결하는 방사기 라인의 지지 섹션(17e)과 위에서 끝나는 공급 라인 섹션(17f)을 포함한 상기 커플링 된 전체 스트립 라인(17)은 일체형의 금속 또는 일체형의 금속 합금, 특히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절단 또는 펀칭, 후속하는 휨 공정, 주름 잡음 공정 또는 에지 처리 공정에 의해서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 된 전체 스트립 라인(17)은 자신의 전체 프로파일 중에 걸림부인 지지 스트립(21e)을 전혀 갖지 않고, 두 개의 분리된 전도성 가공품으로부터 용접, 납땜 또는 그 밖의 방식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그럼으로써, 명백하게 재생 가능한 전기적 상태가 구현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스트립 라인은 상기 공급 라인 섹션(17f)의 단부에서 비로소, 그곳에 구비된 방사기 구조물의 공급 지점에 납땜 되거나 또는 방사기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이 예를 들어 단 하나의 금속 스트립 또는 그와 유사한 재료로부터 제조되지 않고, 오히려 원래부터 다수의 섹션, 즉 두 개 이상의 섹션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장점들은 실현될 수 있다. 적어도 이 경우에는 다수의 구성 부품들이 견고하게 그리고 전기 전도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결국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특히 재료 결합 방식의 또는 물질 결합(본딩, 솔더링 또는 용접) 방식의 연결에 의해서 연속하는 것으로 재차 언급될 수 있다.
도 4에는 커플러(118)가 확대 상세도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커플러(118)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5에 따른 횡단면도에는 상응하는 용량성 커플링 장치(18)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시로부터 나타나는 사실은, 공급 네트워크(13)와 상기 커플러(118)의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사이에는 전도성 접촉, 다시 말해 전기 전도 방식의 접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각각의 구성을 사용하여, 도전(導電) 방식의 접촉을 피하면서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된 해결책은 단지 가능한 한 가지 구현 예에 불과하다. 또한 예를 들어 유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E자 형상을 갖는 측면 홀더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에 의하여 스트립 라인 공급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반사기의 대향측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공급 네트워크(13)의 공급 라인 위에 지지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홀더는 좌측으로부터 또는 우측으로부터, 다시 말해 측면 에지(edges)로부터 라인 섹션 상에 부착될(plugged) 수 있다. 또한, 개별 라인 섹션들 또는 커플링 섹션들 서로 간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핀 또는 그와 유사한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세로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이동, 다시 말해 특히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과 상기 공급 네트워크의 공급 라인 사이에서 상대적인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홀 또는 세로 방향 홀을 개별 부품들 안에 형성할 수 있다. 적절하게 변형된 홀딩 장치들은 별도의 스프링 장치 또는 탄성력에 의해서 상호 작용하도록 또는 통합된 스프링 압축 응력이 발생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압축 응력은 예를 들어 위로부터 커플링 구조물 상에 가압되고, 두 개의 라인 섹션들(다시 말해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및 이에 따른 공급 네트워크의 공급 라인)은 간극 없이 서로 밀착되어 지지되거나 서로 겹쳐진 상태로 지지된다.
도 6에는 하부 측에 벤딩축(bending axis) 즉 에지 라인(edge line)(31)이 표시되어 있고 상부 측에 벤딩축 에지 라인(33)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벤딩축(bending axis) 또는 에지 라인상에서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이 도시된 실시예로, 각각 90°만큼 휘어져 있음으로써, 주변을 휘어 둘러싸는 공급 라인 섹션(17f)은 재차 상기 커플링 면(17b)의 아래에 놓인 커플링 섹션과 평행하게 놓이게 된다.
단지 완벽을 기하기 위해서 더 언급할 사항은, 연결 섹션(17d)으로부터 방사기 라인 지지 섹션(17e)으로 이행(transition)하는 영역에서 상기 지지 섹션(17e)에는 짧은 길이의 협착(tapered) 섹션(17e')이 형성되어 있다.
진동에 의해서, 기계적인 또는 그 밖의 변형 또는 영향에 의해서 또는 열적인 영향에 의해서도, 공급 스트립 라인(13a)의 위치 또는 길이는 세로 방향으로 변동이 일어날 수 있으며, 그럴 경우에,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13a)은 세로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커플링 면(17b)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구조가 디자인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 기계적인 또는 전기적인 의미에서의 손상 또는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악영향이 야기되지 않는다.
단지 스트립 라인 공급 네트워크의 관련 포인트에만 절연 수용부 또는 홀더(21)가 배치되고, 그 다음에 상기 수용부 또는 홀더 내부에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이 삽입되어 브래킷 및 홀딩 장치(27)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조립은 납땜 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브래킷 및 홀딩 장치(27)의 지지 섹션(17e)은 방사기(1)의 한 구성 부품이다.
도 6 및 도 7에 표시된 단면도는 상기 장치 또는 방사기 라인 지지 섹션(17e)의 면을 직각으로 절단한 도면이기 때문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커플링 면(17b)과 상기 커플링 면으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연결 섹션(17d) 사이의 절단 선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자유 모서리 영역(35) 내부를 통과하게 되며, 이런 이유로 인해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자유 모서리 영역(35)에서는 단지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한쪽 측면도만을 볼 수 있는 반면에, 도 4 및 도 5에서는 이와 인접한 단면의 형태(음선(shading)형태)로 스트립 라인(17)이 표시되어 있다.
도 7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재차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었고, 위에 놓인 공급라인 지지 섹션(17f)과 대향하여 재차 추가의 중립 축 또는 에지 라인(37)을 따라 90°만큼 구부러진 라인 지지 섹션(17g)을 형성하며, 상기 구부러진 라인 지지 섹션(17g)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방사기(1)의 마주 놓인 측에 배치된 방사기 라인 지지 섹션(17e)과 평행하게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서는, 교차 다이폴로서 작용하는 방사기 장치에 할당된 한 다이폴 절반에 상응하는 라인 섹션과의 용량성 커플링(41)이 형성된다.
일부분은, 용량성 커플링 장치가 또한 센터링 또는 센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도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센터링 또는 센터링 장치는, 예를 들어 스트립 라인(13a)과 상기 스트립 라인에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섹션 사이에서 상응하는 센터링 부재가 작용함으로써, 두 개의 부분이 하나의 사전 설정된 위치에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온도 변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적어도 소정의 범위에서 상기 두 개 부분의 상대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스트립 라인(13a)과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사이에서 효력을 발휘하는, 예컨대 돌기 또는 핀의 형태로 된 수용부 또는 홀더(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돌기는 홀더(21)와 함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 경우에 상기 스트립 라인(13a) 및 그 위에 있는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중심에 배치될 섹션들 내부에 상응하는 리세스(recess), 이 리세스 내부에는 상기 홀더(21)와 연결된 상응하는 돌출부가 결합되게 구성되면, 이에 의해서 원하는 센터링이 구현된다. 상기 돌출부가 고무 탄성적인 핀 형태를 갖기 때문에, 커플링 장치(18)에서는 공급 스트립 라인(13a) 및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과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이 서로 적어도 소정의 상대 운동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와 같은 상대 운동에 대해서는 큰 힘이 저항하지 않는다(물론 상대 운동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힘은 적어도 약간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홀더(21)를 오히려 단단하고 변형되지 않는 재료로부터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역시 예를 들어 핀 형상, 돌기 형상 등으로 형성된 상응하는 돌출부가 위로 그리고 아래로 돌출하게 되는데, 상기 돌출부는 한편으로는 공급 스트립 라인 섹션(13a) 안에 있는 상응하는 리세스에 결합 되거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섹션과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안에 결합 된다. 이 경우에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13a) 및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 및 두 개의 섹션에는 확대된 하나의 리세스, 상기 스트립 라인(17)의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슬롯 리세스가 형성되어야만 한다. 그럼으로써, 상기 스트립 라인(17) 또는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13a)의 세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대 운동이 가능하다. 최초 조립시에는 돌출부들이 오히려 상기 리세스의 중앙에 결합 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대적인 변위는 양 방향으로 가능해진다. 전술한 상대적인 변위 가능성은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차단되지 않으며, 오히려 계속 존재한다. 하지만 전술된 확장에 의해서는, 언급되고 있는 부분들의 상대 운동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와 동시에 다른 한 부분, 즉 저널(journal), 고무 탄성적인 돌출부, 탄성적이거나 또는 휘어질 수 있는 부분 등의 변형도 야기된다. 이때 상기 센터링 장치는 심지어 간극 없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온도 팽창 시에 높은 기계적 응력이 발생할 수 없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센터링 장치는 완전히 강성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배열 상태는,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두 개의 부분을 위하여 기능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초기 또는 출발 위치로부터 소정의 상대적인 조정 경로가 두 가지 방향으로(팽창이 발생할 때 또는 수축이 발생할 때) 존재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조치들에 의해서는 최초 조립도 용이하게 된다.

Claims (27)

  1. 공급 네트워크, 또는 상이한 위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상 이동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1) 및 공급 네트워크(13)를 구비한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공급 네트워크(13)는 접속장치 또는 방사기(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트립 라인(13a)을 구비하며,
    상기 공급 네트워크(13) 또는 상기 공급 네트워크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은 반사기(7)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공급 네트워크(13)에는 용량성 커플링 장치(18)가 구비되고, 상기 커플링 장치(18)를 통해서 하나의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에 대하여 용량성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 네트워크(13)의 스트립 라인(13a)은 용량성 커플링 장치(18)에서 상기 반사기(7)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방사기(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또는 방사기(1)의 한 부분이며,
    상기 용량성 커플링 장치(18)에서, 상기 공급 네트워크(13)의 스트립 라인(13a)은 커플링 면(13b)을 갖는 제 1 커플링 섹션과 해당 커플링 면(17b)을 갖는 제 2 커플링 섹션이 구비되며, 상기 두 개의 커플링 면(13b, 17b)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며,
    상기 제 1 커플링 섹션 및 제 2 커플링 섹션은 홀더(21) 또는 브래킷 및 홀딩 장치(27)에 의해서 상호 상대적인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커플링 섹션 및 제 2 커플링 섹션은 기계적인 또는 열적인 영향에 의해서 서로 평행하게 유동되며,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상기 공급 네트워크(13)에 속하는 스트립 라인(13a)의 폭보다 더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급 네트워크(13)에 있는 커플링 면(13b)과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에 있는 커플링 면(17b)은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커플링 면(17b) 뒤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 섹션(17e)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섹션은 그 뒤에 배치된 장치 또는 상기 뒤에 배치된 방사기(1)와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기 위한 지지 섹션(17e)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 섹션(17e)은 각진 모양의 연결부 또는 벤딩 에지 라인(31)을 통해서 상기 커플링 면(17b)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홀더(21)는 유전성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21)는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과 공급 네트워크(13)의 공급 스트립 라인(13a) 사이에 하나 또는 다수의 간격 유지 부재를 구비하며,
    클램핑 및 홀딩장치(27)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핑 및 홀딩장치(27)를 통해 커플링 장치(18)에서는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및 상기 공급 네트워크(13)의 커플링 된 공급 스트립 라인(13a)의 상응하는 섹션이 적어도 하나의 유전성 간격 유지 부재의 중간 접속에 의해, 평행 이동을 가능케 하는 압축 응력(prestressed) 하에서 상호 인접하여 지지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21)는 베이스(21a)의 형태로 된 적어도 하나의 간격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스트립 라인(13a) 또는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서로를 향하고 있는 커플링 면(13b, 17b) 사이에 배치되어 미리 설정된 상호 간격이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7. 제 1 항에 있어서,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세로 측에는 홀더(21)의 측면 웨브(21b)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웨브는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높이 위로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21)는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개방된 단부에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횡방향 웨브(21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상기 커플링 장치(18)에 인접하면서 상기 커플링된 스트립 라인에 대하여 가로로 형성된 연결 섹션(17d)은 90°의 각으로 상기 커플링 장치(18)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10. 제 9 항에 있어서,
    홀더(21)는 연결 섹션(17d)의 영역에 웨브 섹션(21d)을 구비하고, 상기 웨브 섹션은 상기 연결 섹션(17d)의 측면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섹션 방식으로 둘러싸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21)의 치수는, 상기 홀더가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에 대하여 또한 커플링 장치(18)에 있는 공급 스트립 라인(13a)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과 상기 공급 네트워크(13)의 공급 스트립 라인(13a)보다 길게 위로 높게 돌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21)는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2배의 두께보다 더 작거나 커플링 장치(18)에 있는 스트립 라인(13a)의 2배의 두께보다 더 작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과 커플링 장치(18)에 있는 해당 스트립 라인(13a) 사이에서 홀더(21)의 두께는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또는 상기 스트립 라인(13a)의 두께보다 더 작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14. 제 4 항에 있어서,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과 커플링 장치(18)에 있는 공급 네트워크(13)의 공급 스트립 라인(13a) 사이의 유전성 재료는 프린트 회로나 가요성 프린트 회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15. 제 4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과 공급 네트워크(13)의 공급 스트립 라인(13a) 사이의 유전성 재료(dielectric material)는 플라스틱, 플라스틱 박막, 바니시 층(varnish layer), 또는 합성 수지(synthetic resin)를 베이스로 하는 납땜이 되지 않는(solder resist) 래커(lacque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1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이거나 두 개의 브래킷 및 홀딩 장치(27)가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 및 홀딩 장치는 가로 방향으로 스트립 라인(13a)의 영역에서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위에 부착되거나 배치되며,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과 상기 스트립 라인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트립 라인(13a)은 그 사이에 있는 홀더(21)의 베이스(base)(21a)의 형태로 된 유전성 간격 유지 부재와 함께, 평행 이동 가능하게 상호간 압축 응력 하에서 접촉되고 지지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1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 네트워크(13)는 공기를 유전체로 하여 전도성 반사기(7) 또는 그라운드 플레인(ground plane)에 마주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1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 네트워크(13)는 기판상에, 프린트 회로의 형태로 배치되며, 전도성 그라운드 플레인(conductive ground plane)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의 다른 면들 중에서 한 면에 마주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1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21)는 반사기(7)의 표면(7a)의 방향으로 또는 그라운드 플레인(ground plane)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풋(supporting foot) 또는 상기 반사기(7)의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인 지지 스트립(21e)을 구비하여, 상기 반사기(7)의 표면(7a)과 상기 홀더(21) 사이의 최소 간격이 제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2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하나 또는 다수의 휨(bend) 부분 또는 에지 라인(edges line)(31, 33, 37)을 가지며,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각각 후속하는 지지 섹션(17e, 17f, 17g)은 접속 장치(downstream appliance) 또는 방사기(1)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접속 장치 또는 방사기(1)의 부분을 형성하는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공급라인 지지 섹션(17f)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라인 지지 섹션(17f)의 단부는 상기 접속 장치 또는 방사기, 다이폴의 절반에 도전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접속 장치 또는 방사기의 부분을 구성하는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공급라인 지지 섹션(17f)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라인 지지 섹션은 추가의 용량성 커플링 지지 섹션(17g)을 형성하며, 상기 추가의 용량성 커플링 지지 섹션을 통하여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상기 접속 장치 또는 방사기(1) 또는 상기 방사기(1)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폴 절반과 전기 용량성으로 커플링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23. 제 1 항에 있어서,
    센터링 장치가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센터링 장치를 통하여 공급 스트립 라인(13a)과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과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은 상대적인 변위를 허용하며 상호 센터링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24. 제 23 항에 있어서,
    홀더(21)는 한편에 공급 스트립 라인(13a)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다른 한편에 상기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13a)의 상응하는 리세스(recess) 내부에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과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의 상응하는 리세스 내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25. 제 24 항에 있어서,
    돌출부와 홀더(21)는 위로 아래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변형이 불가능한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관통된, 공급 스트립 라인(13a) 안에 있는 또는 공급 스트립 상기 라인과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안에 있는 리세스는 상기 라인 섹션의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슬롯 형태로 형성된 하나의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에 의하여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13a)과 상기 공급 스트립 라인에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제한된 상대적인 유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26. 제 23 항에 있어서,
    돌출부와 홀더(21)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돌출부에 의해서 관통된 공급 스트립 라인(13a) 안에 있는, 또는 공급 스트립 상기 라인과 커플링 된 스트립 라인(17) 안에 있는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의 크기가 상기 돌출부의 횡단면 형상에 맞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2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 라인(13a)은 상기 라인과 평행하게 형성된 반사기(7)를 사용하여 비대칭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두 개의 반사기(7) 사이에 구비되어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KR1020087005997A 2005-10-06 2006-10-05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KR101279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7975A DE102005047975B4 (de) 2005-10-06 2005-10-06 Antenne mit zumindest einem Strahler und einem Speisenetzwerk
DE102005047975.8 2005-10-06
PCT/EP2006/009653 WO2007039303A1 (de) 2005-10-06 2006-10-05 Speisenetzwerk bzw. antenne mit zumindest einem strahler und einem speisenetzwe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144A KR20080081144A (ko) 2008-09-08
KR101279796B1 true KR101279796B1 (ko) 2013-06-28

Family

ID=3751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997A KR101279796B1 (ko) 2005-10-06 2006-10-05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279796B1 (ko)
CN (1) CN2927346Y (ko)
DE (1) DE102005047975B4 (ko)
ES (1) ES2367495B2 (ko)
WO (1) WO2007039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686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에 사용되며 공기(또는 유전체) 급전 구조 가지는 방사체 및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분배기
KR101711150B1 (ko) * 2011-01-31 2017-03-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용 이중편파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다중대역 안테나 시스템
DE102011122037A1 (de) 2011-12-22 2013-06-27 Kathrein-Werke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Hochfrequenz-Verbindung zwischen zwei Plattenabschnitten sowie eine zugehörige elektrische Hochfrequenz-Verbindung
DE102011122371A1 (de) 2011-12-22 2013-06-27 Kathrein-Werke Kg Elektrische Anschlussein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Lötverbindung
US9780431B2 (en) 2013-02-12 2017-10-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Dual capacitively coupled coaxial cable to air microstrip transition
US10211506B2 (en) 2013-02-12 2019-02-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Dual capacitively coupled coaxial cable to air microstrip transition
WO2020194188A2 (en) * 2019-03-26 2020-10-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rasera antenna radiator (far) for 5g array antennas
CN116458010A (zh) * 2020-11-19 2023-07-18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移相器和天线设备
US20240055780A1 (en) * 2021-03-08 2024-0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pole radiator, a dual-polarized cross dipole comprising two dipole radiators and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comprising a plurality of dual-polarized cross dipo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7254A1 (de) 2000-07-18 2002-01-24 Kathrein-Werke Kg Antenne für mehrfrequenzbetrieb
WO2003088413A2 (en) 2002-04-05 2003-10-23 E-Tenna Corporation Low-cost trombone line beamform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4649A (en) * 1998-10-14 2000-03-07 Andrew Corporation Dual polarized based station antenna
US6697029B2 (en) * 2001-03-20 2004-02-24 Andrew Corporation Antenna array having air dielectric stripline fee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7254A1 (de) 2000-07-18 2002-01-24 Kathrein-Werke Kg Antenne für mehrfrequenzbetrieb
WO2003088413A2 (en) 2002-04-05 2003-10-23 E-Tenna Corporation Low-cost trombone line beam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927346Y (zh) 2007-07-25
DE102005047975A1 (de) 2007-04-12
DE102005047975B4 (de) 2012-03-22
KR20080081144A (ko) 2008-09-08
ES2367495B2 (es) 2012-05-10
WO2007039303A1 (de) 2007-04-12
ES2367495A1 (es)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796B1 (ko) 공급 네트워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기 및 공급 네트워크를 구비한 안테나
US7358924B2 (en) Feed network, and/or antenna having at least one antenna element and a feed network
CN101479888B (zh) 天线装置
US6512491B2 (en) Antenna device and its assembly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ir assembly method
KR101095139B1 (ko) 무선 이동 통신 안테나용 반사기
US8674787B2 (en) Plural phase shifter assembly having wiper PCBs movable by a pivot arm/throw arm assembly
KR100795485B1 (ko)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US9054410B2 (en) Dipole strength clip
JP4819153B2 (ja) 偏波共用アンテナ
KR19980063815A (ko) 안테나 상호 결합 중화기
CN101490902A (zh) 特别是用于移动式无线电基站的天线装置
JPH11355033A (ja) アンテナ装置
US9559418B2 (en) Phase shifter having dielectric members inserted into a movable support frame
CN102415223A (zh) 印刷电路板安排
US7679568B2 (en) Feeding clip
JP5514779B2 (ja) 偏波共用アンテナ
KR100834838B1 (ko) 자동화 제조가 가능한 소형 pifa 안테나
CN110323558B (zh) 一种宽带偶极子
CN113517550B (zh) 5g双极化天线辐射单元及基站天线
US20180108975A1 (en) Antenna module and transceiver
CN112864592A (zh) 天线及其所采用的辐射单元
CN116995427B (zh) 辐射单元及基站天线
CN211126052U (zh) 双极化振子及其振子固定夹
JP2002064315A (ja)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JP4974189B2 (ja) チップアンテ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