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559B1 -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 Google Patents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559B1
KR101279559B1 KR1020100137470A KR20100137470A KR101279559B1 KR 101279559 B1 KR101279559 B1 KR 101279559B1 KR 1020100137470 A KR1020100137470 A KR 1020100137470A KR 20100137470 A KR20100137470 A KR 20100137470A KR 101279559 B1 KR101279559 B1 KR 101279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vest
light emitting
ligh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690A (ko
Inventor
홍순교
유정희
배병영
성부현
이주현
박수진
김진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엘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엘티전자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3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5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광섬유사가 혼입된 직물로 제작되거나 또는 광섬유사로 구성된 광표시부를 부착시켜 야간의 식별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쏠라셀을 이용하여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V1)는, 다수의 광섬유사(22)와 일반섬유사(24)가 혼용되어 직조되거나 또는 다수의 광섬유사로만 직조된 조끼 본체(2)와, 상기 조끼 본체(2)의 광섬유사(22)에 빛을 조사하도록 장착된 광발생장치(4) 및 상기 광발생장치(4)에 전원을 공급하고, 빛 조사의 온/오프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A VEST HAVING OPTICAL FIBER LIGHT EMITTING DISPLAY}
본 발명은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광섬유사가 혼입된 직물로 제작되거나 또는 광섬유사로 구성된 광표시부를 부착시켜 야간의 식별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쏠라셀을 이용하여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에 관한 것이다.
각종 상의 위에 가볍게 걸쳐 입도록 된 소매가 없는 조끼는, 겨울철 보온용, 근무용, 작업용, 구명용, 레저용, 여행용 등 각각의 용도에 맞는 기능과 편리성을 갖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조끼는 예를 들면 자동차가 질주하는 도로 위에서 일하는 사람들, 예를 들면 교통경찰관, 소방관, 119구조대원, 도로청소원, 등의 야간안전을 위해 차량운전자의 눈에 잘 띠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낚시나 등산 등의 여행객의 경우에도 조난시 특히 야간에 신속한 구조를 위해 눈에 잘 띠는 안전조끼를 착용케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편, 경찰관, 소방관, 경비원, 산업현장요원, 구조대원처럼 여럿이 팀을 이루어 지휘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행동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원할한 지휘통솔을 위하여 대원간 식별이 용이한 표지기능이 부여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야간안전을 위한 조끼는 야광띠를 봉착한 구조가 대부분이었다.
야광띠는 통상 형광물질이 도포된 것으로, 외부에서 광선을 투사했을 때 투사된 광선과는 다른 고유한 빛깔의 광선을 고휘도로 방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교통의 사각지대 등 외부의 불빛이 없는 장소에서는 전혀 발광하지 아니하므로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9907호 및 공개실용신안공보 1998-012842호 등에는 야광띠 위에 엘이디(LED)를 이용한 전기식 발광장치를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즉, 엘이디의 발광과 함께 야광띠의 2차적인 발광으로 확실한 야간안전에 기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엘이디를 이용한 발광 조끼도 발광장치의 부피가 크고 부분적으로 한정되게 설치되어 있어 식별성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광섬유사가 혼입된 직물로 조끼를 제작함으로써 조끼 전체를 통해 광이 표출되도록 하여 식별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를 제공하려고 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광섬유사로 직조된 발광면체를 조끼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구비시켜 야간에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를 제공하려고 한다.
그리고 광원의 전원은 배터리를 이용하거나 또는 쏠라셀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하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를 제공하려고 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는, 다수의 광섬유사와 일반섬유사가 혼용되어 직조되거나 또는 다수의 광섬유사로만 직조된 조끼 본체; 상기 조끼 본체의 광섬유사에 빛을 조사하도록 장착된 광발생장치 및 상기 광발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빛 조사의 온/오프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제시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는, 다수의 광섬유사와 일반섬유사가 혼용되어 직조되거나 또는 광섬유사로만 직조되며 조끼 본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발광면체; 상기 발광면체의 광섬유사에 빛을 조사하도록 장착된 광발생장치; 상기 광발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 및 상기 광발생장치의 빛 조사의 온/오프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면체는 광섬유사가 포함된 직물층과, 상기 직물층의 후면에 부착된 반사부재와, 상기 반사부재의 후면에 부착된 커버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광섬유사는 그 끝단이 묶여져 다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발부의 끝단이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어 광발생장치와 접촉되는 광전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면체를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은 벨크로파스너이며, 암벨크로파스너는 조끼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고, 숫벨크로파스너는 발광면체의 후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발생장치는 발광면체의 일단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으로, 방수성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광섬유사의 다발부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며 단색 또는 다색 엘이디가 다수로 부착된 기판; 상기 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엘이디의 발광시간과 발광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엘이디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섬유사의 다발부에 결합구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구가 케이스의 결합공에 결합된 것이며, 상기 결합구는, 결합공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며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형성된 환턱으로 형성되며, 상기 환턱에 다발부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며, 환턱과 다발부의 끼워진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수밀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의 통로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다발부와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턱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섬유사는 외면이 부분적으로 깍여져 스크래치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의 외부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방수성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팩은 내부에 일회용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수납되고, 일측에 잭이 구비되어 상기 광발생장치의 연결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도록 조끼의 등판에 부착된 쏠라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끼 본체의 하부에는 벨트가 더 부착되며, 상기 벨트는 광섬유사와 일반섬유사가 혼용되어 직조되거나 또는 광섬유사로만 직조된 것이며, 광발생장치와 배터리 및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끼 전체를 통해 빛이 표출되도록 하여 식별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조끼에 광섬유사로 직조된 발광면체를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어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광원의 전원은 배터리를 이용하거나 또는 쏠라셀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하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B" 선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 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V1)는, 다수의 광섬유사(22)와 일반섬유사(24)가 혼용되어 직조되거나 또는 다수의 광섬유사로만 직조된 조끼 본체(2)와, 상기 조끼 본체(2)의 광섬유사(22)에 빛을 조사하도록 장착된 광발생장치(4) 및 상기 광발생장치(4)에 전원을 공급하고, 빛 조사의 온/오프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를 포함한다.
상기 조끼 본체(2)는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소매가 없고, 착용하고 있는 상의의 외부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가벼운 소재로 제작된다.
특히 조끼 본체(2)의 소재를 직조할때 광섬유사(22)로 직조하거나 또는 광섬유사(22)와 일반섬유사(24)를 혼용하여 직조시킨다.
현재 당업계의 기술은 광섬유를 가늘게 뽑아내어 실을 만들어낼 수 있고 이를 광섬유사라고 칭하므로 이 광섬유사만으로도 직물의 직조가 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광섬유사(22)의 외면에 내수성을 갖도록 코팅처리함으로써 일반사와 마찬가지로 굽힘가공이 가능하고, 물세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내수성을 갖는 광섬유사에 관한 기술은 본 출원인이 선 등록한 국내특허등록 제0956038호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또한 광섬유사(22)는 외면이 부분적으로 깍여져 광 발산이 가능하도록 스크래치면(225)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의 외부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방수성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크래치면(225)의 형성은 부식성 용액에 침지시켜 외면을 부식시키는 에칭기법과, 모래입자를 고속 분사하여 외면을 깍아내는 블라스팅기법 또는 레이저 커팅에 의한 기법 등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조끼 본체(2)는 다수의 광섬유사(22)로 직조하거나 또는 광섬유사(22)와 일반섬유사(24)를 혼용하여 직물층, 상기 직물층의 후면에 부착되어 반사효과를 갖는 반사부재(26), 및 상기 반사부재(26)의 후면에 부착된 커버지(28)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부재(26)는 빛을 반사하여 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은박지가 적당하다.
이에 더해 상기 다수의 광섬유사(22)는 그 끝단이 묶여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발부(228)가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다발부(228)의 끝단을 커터로 절단시켜 동일 평면이 되도록 하여 광전달면이 형성된다.
상기 광전달면에 광발생장치(4)가 접촉됨으로써 빛을 조사시켜 광섬유사(22)의 스크래치면(225) 및 절단면을 통해 방사된다.
한편 상기 광발생장치(4)는 광섬유사(22)의 다발부(228)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광발생장치(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되어 방수성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광섬유사(22)의 다발부(228)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케이스(42); 상기 케이스(42) 내에 장착되며 단색 또는 다색 엘이디(43)가 다수로 부착된 기판(44)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판(44)에 제어부(6)가 장착되어 엘이디(43)의 발광시간과 발광순서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기판(4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케이스(42)의 내부에 배터리(46)가 장착되고, 케이스(42)의 외부에 스위치(48)가 장착되어 엘이디(43)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따라서 광섬유사(22)의 다발부(228)가 케이스(42)에 형성된 결합공에 통과되어 삽입된다.
상기 삽입된 광섬유사(22)의 다발부(228)에 결합구(5)가 장착되고, 이 결합구(5)가 케이스(42)의 내부에 형성된 격판(422)의 결합공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5)는 격판(422)의 결합공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바디(52)와, 상기 바디(52)의 일단에 형성된 환턱(54)으로 형성되며, 상기 환턱(54)에 다발부(228)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환턱(54)과 다발부(228)의 끼워진 부위의 수밀성을 부가하기 위해 접착제(58)가 도포되어 밀봉처리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바디(52)의 통로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턱(59)이 형성되어 다발부(228)와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59)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나 적절한 예시 형태로는 반구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이 적당하다.
한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가 채용되는데, 이 배터리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일회용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적당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조량이 풍부한 날에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조끼 본체(2)의 등판에 쏠라셀(7)이 구비된다.
현재 이러한 쏠라셀(7)은 시중에 상품화되어 보급되고 있으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더라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실시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6)는 엘이디(43)의 발광모드를 제어함으로써 동시 발광 또는 순차 발광의 발광모드를 제어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IC칩과 온/오프 제어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엘이디(43)는 고휘도 엘이디가 적용되며, 단색 또는 적,녹,청색의 RGB엘이디가 적용된다.
상기 엘이디(43)의 발광모드는 연속, 점멸 등의 모드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착용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조끼 본체(2)를 착용한 후 스위치(48)를 온시키면 엘이디(43)가 점등되고, 빛이 광섬유사(22)의 다발부(228)를 통해 광섬유사(22)로 전달된다.
이때 광섬유사(22)에 형성된 스크래치면(225)을 통해 빛이 발산됨으로써 조끼 본체(2)가 전체적으로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소수의 엘이디(43)를 사용하므로 전력소모가 적은 반면 조끼 본체(2)의 전체적으로 발광될 수 있어 조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야간의 식별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2)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B" 선 단면도이다.
도 4을 참고하여 보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V2)는, 다수의 광섬유사(22)와 일반섬유사(24)가 혼용되어 직조되거나 또는 광섬유사(22)로만 직조되며 조끼 본체(2)의 외면에 부착되는 발광면체(3); 상기 발광면체(3)의 광섬유사(22)에 빛을 조사하도록 장착된 광발생장치(4); 상기 광발생장치(4)에 전원을 공급하고, 빛 조사의 온/오프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면체(3)는 광섬유사(22)가 포함된 직물층(32), 상기 직물층(32)의 후면에 부착된 반사부재(26), 상기 반사부재(26)의 후면에 부착된 커버지(28)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부재(26)는 빛을 반사하여 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은박지가 적당하다.
상기 다수의 광섬유사(22)는 그 끝단이 묶여져 다발부(228)가 형성되고, 상기 다발부(228)의 끝단이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어 광발생장치(4)와 접촉되는 광전달면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면체(3)를 부착하는 부착수단은 벨크로파스너이며, 암벨크로파스너는 조끼 본체(2)의 외면에 형성되고, 숫벨크로파스너(34)는 발광면체(3)의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광발생장치(4)는 발광면체(3)의 일단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으로, 방수성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광섬유사(22)의 다발부(228)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케이스(42); 상기 케이스(42) 내에 장착되며 단색 또는 다색 엘이디(43)가 다수로 부착된 기판(44); 상기 기판(44)에 장착되며 상기 엘이디(43)의 발광시간과 발광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6); 상기 기판(4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엘이디(43)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48)를 포함한다.
상기 광섬유사(22)의 다발부(228)에 결합구(5)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구(5)가 케이스(42)의 결합공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5)는, 결합공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며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바디(52)와, 상기 바디(52)의 일단에 형성된 환턱(54)으로 형성되며, 상기 환턱(54)에 다발부(228)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환턱(54)과 다발부(228)의 끼워진 부위에 접착제(58)가 도포되어 수밀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바디(52)의 통로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턱(59)이 형성되어 다발부(228)와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턱(59)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광섬유사(22)는 외면이 부분적으로 깍여져 스크래치면(225)이 형성되고, 상기 외면의 외부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방수성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기판(44)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200)과, 상기 배터리팩(200)과 통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47)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팩(200)은 조끼 본체(2)에 부착되며,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는 일회용 건전지 또는 충전지이다.
그리고 배터리팩(200)에는 일정한 길이의 전원선과, 이 전원선의 단부에 형성된 잭(100)이 구비되며, 상기 잭(100)이 상기 광발생장치(4)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47)에 끼워져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잭(100)을 분리한 후 광발생장치(4)와 일체로 된 발광면체(3)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교환이 가능하여 신품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보다 큰 발광면체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조끼 본체(2)의 등판에 쏠라셀(7)이 구비된다. 상기 쏠라셀(7)은 상술한 실시 예 1에서 언급된 바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착용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조끼 본체(2)를 착용한 후 발광면체(3)를 적당한 위치에 부착시킨 다음 광발생장치(4)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47)에 배터리팩(200)의 잭(100)을 끼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후 스위치(48)를 온시키면 엘이디(43)가 점등되고, 빛이 광섬유사(22)의 다발부(228)를 통해 광섬유사(22)로 전달된다.
이때 광섬유사(22)에 형성된 스크래치면(225)을 통해 빛이 발산됨으로써 조끼 본체(2)가 전체적으로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소수의 엘이디(43)를 사용하므로 전력소모가 적은 반면 조끼 본체(2)가 발광될 수 있어 조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야간의 식별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3)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여 보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V3)는, 다수의 광섬유사(22)와 일반섬유사(24)가 혼용되어 직조되거나 또는 광섬유사(22)로만 직조되며, 조끼 본체(2)에 장착되는 벨트(9)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벨트(9)는 광섬유사(91)로 직조되고 다수의 포켓(92)이 형성된다.
또한 광섬유사(91)에 빛을 조사하는 광발생장치(93)와 배터리(94) 및 온/오프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5)가 포켓(92)에 수납된다.
벨트(9)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버클(96)이 형성되며, 상기 버클(96)은 공지된 기술 사상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의 설명은 바람직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2 …조끼 본체, 4 …광발생장치, 6 …제어부, 7 …쏠라셀, 22 …광섬유사, 24 …일반섬유사, 26 …반사부재, 28 …커버지, 43 …엘이디

Claims (12)

  1. 다수의 광섬유사(22)와 일반섬유사(24)가 혼용되어 직조되거나 또는 다수의 광섬유사로만 직조된 조끼 본체(2) 및
    상기 조끼 본체(2)의 광섬유사(22)에 빛을 조사하도록 장착된 광발생장치(4)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생장치(4)는 케이스(42)의 내부에 형성된 격판(422)의 결합공에 결합된 결합구(5)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구(5)에는 상기 다수의 광섬유사(22)의 다발부(228)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구(5)는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바디(52), 상기 바디(52)의 일단에 형성된 환턱(54)으로 구성되며,
    상기 환턱(54)에 다발부(228)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며, 상기 환턱(54)과 다발부(228)의 끼워진 부위에 접착제(58)가 도포되어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2. 다수의 광섬유사(22)와 일반섬유사(24)가 혼용되어 직조되거나 또는 광섬유사(22)로만 직조되며 조끼 본체(2)의 외면에 부착되는 발광면체(3) 및
    상기 발광면체(3)의 광섬유사(22)에 빛을 조사하도록 장착된 광발생장치(4)를 포함하고,
    상기 광발생장치(4)는 케이스(42)의 내부에 형성된 격판(422)의 결합공에 결합된 결합구(5)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구(5)에는 상기 다수의 광섬유사(22)의 다발부(228)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구(5)는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바디(52), 상기 바디(52)의 일단에 형성된 환턱(54)으로 구성되며,
    상기 환턱(54)에 다발부(228)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며, 상기 환턱(54)과 다발부(228)의 끼워진 부위에 접착제(58)가 도포되어 밀봉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본체(2)는,
    다수의 광섬유사(22)로 직조하거나 또는 광섬유사(22)와 일반섬유사(24)를 혼용하여 직물층;
    상기 직물층의 후면에 부착되어 반사효과를 갖는 반사부재(26);
    상기 반사부재(26)의 후면에 부착된 커버지(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생장치(4)는
    상기 케이스(42) 내에 장착되며 단색 또는 다색 엘이디(43)가 다수로 부착된 기판(44);
    상기 기판(44)에 장착되며 상기 다수의 엘이디(43)의 발광시간과 발광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6);
    상기 기판(4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엘이디(43)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4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광섬유사(22)는 끝단이 묶여져 다발부(228)가 형성되고, 상기 다발부(228)의 끝단이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어 광발생장치(4)와 접촉되는 광전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광섬유사(22)는 외면이 부분적으로 깍여져 빛이 발산되는 스크래치면(225)이 형성되고, 외부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방수성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체(3)는
    광섬유사(22)가 포함된 직물층(32);
    상기 직물층(32)의 후면에 부착된 반사부재(26);
    상기 반사부재(26)의 후면에 부착된 커버지(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기판(44)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200), 상기 배터리팩(200)과 통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47)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팩(200)은 조끼 본체(2)에 부착되며, 내부에 일회용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팩(200)에는 전원선과, 상기 전원선의 단부에 형성된 잭(100)이 구비되며,
    상기 잭(100)이 상기 광발생장치(4)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47)에 끼워져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도록 조끼 본체(2)에 부착되는 쏠라셀(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체(3)는 벨크로파스너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본체(2)의 하부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벨트(9)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벨트(9)는 광섬유사(91)로 직조되고 다수의 포켓(92)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92)에 빛을 조사하는 광발생장치(93)와 배터리(94) 및 온/오프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5)가 수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KR1020100137470A 2010-12-29 2010-12-29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KR101279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470A KR101279559B1 (ko) 2010-12-29 2010-12-29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470A KR101279559B1 (ko) 2010-12-29 2010-12-29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690A KR20120075690A (ko) 2012-07-09
KR101279559B1 true KR101279559B1 (ko) 2013-06-28

Family

ID=4670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470A KR101279559B1 (ko) 2010-12-29 2010-12-29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951B1 (ko) 2018-07-16 2019-04-17 효성종합(주) 발광 안전조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1885B2 (en) * 2014-05-30 2016-12-20 Apple Inc. Woven display
GB2566993B (en) * 2017-09-29 2019-10-16 Icedog Ltd Illumination apparatus
KR102319707B1 (ko) * 2018-01-17 2021-1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반응하는 광방출부를 구비한 마스크
KR102514386B1 (ko) * 2019-12-23 2023-03-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KR20220036777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엘티전자 유연 발광섬유를 이용한 직물 조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317A (ko) * 2001-05-21 2002-11-27 포토 세라퓨틱스 리미티드 방사 전달 방법 및 장치
KR100712738B1 (ko) 2006-04-13 2007-05-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밝기조절기능을 갖는 스마트의류
KR20080040815A (ko) * 2006-11-04 2008-05-09 도욱호 광섬유를 이용한 자체발광 기능 직물
KR20100101316A (ko) * 2009-03-09 2010-09-17 김동식 위치 표시용 광섬유 안전장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317A (ko) * 2001-05-21 2002-11-27 포토 세라퓨틱스 리미티드 방사 전달 방법 및 장치
KR100712738B1 (ko) 2006-04-13 2007-05-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밝기조절기능을 갖는 스마트의류
KR20080040815A (ko) * 2006-11-04 2008-05-09 도욱호 광섬유를 이용한 자체발광 기능 직물
KR20100101316A (ko) * 2009-03-09 2010-09-17 김동식 위치 표시용 광섬유 안전장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951B1 (ko) 2018-07-16 2019-04-17 효성종합(주) 발광 안전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690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559B1 (ko)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US20120033411A1 (en) Safety vest
US20100313328A1 (en) Lighted safety apparel and method
US8141174B2 (en) EL power unit
US20190350291A1 (e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Noticeability of a Hat
US20160144917A1 (en) Multi-directional bicycle lights and associated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US10393327B2 (en) Lumen wand
KR101324520B1 (ko) 광섬유 발광장치를 구비한 애완동물용 의류
CN205862754U (zh) 一种汽车停车警示牌
KR101264911B1 (ko) 발광 구명 조끼
US20160353813A1 (en) Garment assembly having light-reflective element and light-emitting element
KR101281325B1 (ko) 이엘 발광 조끼
CN217986344U (zh) 一种发光宠物胸背带
CN201365557Y (zh) 安全背心
CN207023314U (zh) 一种发光式反光服
CN201226811Y (zh) 交通安全背心
CN217657664U (zh) 宠物发光安全装置及宠物胸背带和宠物项圈
KR20090009927U (ko) 안전조끼
CN218007673U (zh) 一种发光宠物项圈
JP2009269587A (ja) 太陽光発電による発光するel付救命胴衣
KR200243462Y1 (ko) 발광표지 기능을 갖는 안전벨트
CN213428453U (zh) 一种安全环卫服
CN202184191U (zh) 一种太阳能闪光警示帽
CN207940369U (zh) 一种适用于夜间室外使用的发光服装
JP3059100U (ja) 太陽電池付き自発光型安全ベ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