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386B1 -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 Google Patents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386B1
KR102514386B1 KR1020200165811A KR20200165811A KR102514386B1 KR 102514386 B1 KR102514386 B1 KR 102514386B1 KR 1020200165811 A KR1020200165811 A KR 1020200165811A KR 20200165811 A KR20200165811 A KR 20200165811A KR 102514386 B1 KR102514386 B1 KR 102514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composite
electrical energy
firefighting suit
firefighting
identif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2072A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8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3Fire-resistant or fire-fighter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8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에 관한 것으로, 소방복 본체와, 소방복 본체에 직조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와, 섬유 복합체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발광 식별부와, 섬유 복합체에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도록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FIRE FIGHTING GARMENT WITH IDENTIFICATION USING FIBER COMPOSITE CAPABLE OF PERFORMANCE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하는 식별부를 소방복에 설치하고, 소방복에 직조된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통해 식별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소방관의 생존률이 높아질 수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에 관한 것이다.
소방복은 화재진압 및 재난구조 현장에서 소방관이 착용하는 의복으로서, 내열성과 방수성이 우수하도록 형성되어 화재진압 및 재난구조에 용이한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화재진압이나 재난구조시 소방관은 생존자 구조를 우선순위로 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소방관이 화재현장이나 재난현장에서 부상 등의 이유로 고립되거나 실종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고립되거나 실종된 소방관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소방복에 반사 필름 등을 붙이거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송수신 장치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반사 필름의 경우 빛이 없는 환경에서는 식별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송수신 장치의 경우 빛이 차단된 환경에서 구조자가 육안을 통해 고립되거나 실종된 소방관을 구조해야 하는 근접 상황에서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4760호(2014.12.15. 등록, 발명의 명칭 : 소방 작업자용 송수신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광 식별부를 소방복에 설치하고, 소방복에 직조된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통해 발광 식별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소방관의 생존률이 높아질 수 있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은: 소방복 본체와, 소방복 본체에 직조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와, 섬유 복합체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발광 식별부와, 섬유 복합체에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도록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충전부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충전하는 일반 충전부와,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에너지 변환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반 충전부는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해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는 소방복에 코일 형태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광 식별부에는 발광 식별부로부터 발광된 빛을 확산하는 발광 확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광 확산부는 광섬유이고, 소방복에 코일 형태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방복 본체는, 상의 소방복과 하의 소방복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 복합체는, 적어도 상기 상의 소방복의 위팔 영역에 마련되거나, 상기 하의 소방복의 넙적 다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방복 본체에 마련되고, 빛의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빛의 광량 차이에 따라 상기 발광 식별부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방복 본체에 마련되고,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발광 식별부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은 발광 식별부를 소방복에 설치하고, 소방복에 직조된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통해 발광 식별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소방관의 생존률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에 적용된 발광 확산부와 충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에 적용된 섬유 복합체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다른 형태의 소방복에 적용된 발광 확산부와 충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에 적용된 발광 확산부와 충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에 적용된 섬유 복합체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다른 형태의 소방복에 적용된 발광 확산부와 충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은 소방복 본체(100)와, 소방복 본체(100)에 직조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200)와, 섬유 복합체(200)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발광 식별부(300)와, 섬유 복합체(200)에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도록 충전하는 충전부(400)를 포함한다.
소방복 본체(100)는 화재진압 및 재난구조 현장에서 소방관이 착용하는 의복으로서, 내열성과 방수성이 우수하도록 형성되어 화재진압 및 재난구조에 용이한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1에는 소방복 본체(100)의 상의 소방복(110)과 하의 소방복(120)이 도시되며, 도 2에는 소방복 본체(100)의 상의 소방복(11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소방복 본체(100)의 구조는 겉감, 중간층, 안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겉감 및 안감은 아라미드계 섬유로 된 직물 또는 이와 동등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중간층은 투습 및 방수성능이 있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고, 화염이나 외부의 뜨거운 열기가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차단하는 공지된 소방복 구조가 적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소방복 본체(100)는, 다른 소방대원은 물론 구조자에게 식별이 용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주황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만 소방복 본체(100)가 식별이 용이한 색상을 이루더라도, 작업환경이 밀폐에 가까운 공간을 이루면서 정전 등과 같이 화재 발생 장소의 특성상 빛이 차단될 수 있어, 소방대원들 사이는 물론 구조자는 소방대원을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어, 본 실시예의 소방복을 적용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는 후술하겠으나 간략하게는, 화재와 같은 특수 상황에서도 소방대원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소방복 본체(100) 자체에서 발광을 이루도록 하면서도 자체적으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빛이 없이 사용이 어려운 반사 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어두운 장소의 긴급 상황에서 소방대원을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섬유 복합체(200)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며,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한다. 그래핀은 여러 개의 탄소층으로 된 그라파이트(graphite)에서 하나의 탄소층에 원자들이 얽혀 있는 소재이며, 탄소 원자 한 층으로 되어 있기에 아토믹(atomic) 단층 물질이면서도 구조적,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뛰어난 전기전도성을 가지며, 우수한 열 차단 기능을 갖는다.
섬유 복합체(200)는 소방복 본체(100)에 직조되기 위해 실 형태로 제조되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전극 활물질로서 그래핀 플레이크(GF)와 탄소나노튜브(CNT)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다발 형태로 배치되는 마이크로섬유(210)와, 마이크로섬유(210)의 외부를 감싸면서, 마이크로섬유(210)로 전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표면에 금속이 증착되고 다발 형태로 배치되는 나노섬유(220)와, 마이크로섬유(210)의 표면과 나노섬유(220) 사이의 미세기공에 충진되는 전해질(230)과, 나노섬유(220)와 전해질(230)을 감싸는 절연막(240)을 포함한다.
섬유 복합체(200)는 그래핀 플레이크(GF)와 탄소나노튜브(CNT)가 결합되어 형성된 마이크로섬유(210)의 다발이 코어를 이루고, 다발의 마이크로섬유(210) 외측 둘레를 나노섬유(220)가 감싸고 있는 코어-쉬드(core-sheath) 구조로 되어 있다.
나노섬유(220)의 외부는 절연막(240)이 감싸져 외부 환경을 차단함으로써, 섬유 복합체(200) 자체를 보호하여 섬유 복합체(20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기에너지에 의한 소방대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마이크로섬유(210) 다발은 높은 전기전도성과 비표면적을 가져 슈퍼캐패시터의 전극 활물질로 이용된다. 전극 활물질인 마이크로섬유(210) 다발의 표면과 마이크로섬유(210)와 나노섬유(220) 사이의 미세기공에는 전해질(230)이 충진되어 있어 높은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게 된다.
섬유 복합체(200)는 소방복 본체(100)의 상의 소방복(110)의 팔 부분과 하의 소방복(120)의 다리 부분에 코일 형태로 직조될 수 있다. 코일 형태로 직조되는 경우,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200)가 소방복 본체(100)에 높은 밀도로 직조되기 때문에, 전기에너지 저장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코일 형태로 직조되는 경우,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더라도 쉽게 끊어지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례로 섬유 복합체(200)의 코일 형태는, 상의 소방복(110) 팔(또는 하의 소방복(120)의 다리)의 원통 구조를 따라 감겨진 구조를 이룰 수도 있고, 다수의 링 구조가 일렬로 배치된 후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더불어 섬유 복합체(200)는, 팔이 접히는 영역과 같이 반복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의 소방복(110)에서 팔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경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아래팔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위팔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어, 섬유 복합체(200)의 접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섬유 복합체(200)는, 상의 소방복(110)뿐만 아니라, 하의 소방복(120)에서 접힘이 최소화되는 영역에 마련되도록, 다리 접힘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무릎 부위의 간섭이 최소화 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종아리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될 수 있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넙적 다리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어, 섬유 복합체(200)의 접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발광 식별부(300)는 섬유 복합체(200)에 연결되어 발광하며,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광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자가 적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저전력으로 보다 밝은 빛을 낼 수 있는 LED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광 식별부(300)는, 섬유 복합체(20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발광될 수 있으므로, 화재 등에 의해 정전 등이 발생하여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어두운 장소에서, 다른 소방대원이나 구조자가 소방복을 착용한 소방대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발광 식별부(300)를 이루는 LED의조명 기능으로 인해 주변환경이 밝아질 수 있으므로, 인명구조 등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식별부(300)는, 복수 개가 섬유 복합체(200)에 간격을 이루며 마련될 수 있는데, 도 1, 도 2,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소방복에서 팔과 다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일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섬유 복합체(200)가 감기는 방향인 가로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도 있고, 팔의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가슴 영역이나 어깨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아울러 발광 식별부(300)의 발광은, 빛이 차단된 환경에서 주변환경을 식별하기 용이하게 하거나, 다른 소방대원이 소방복을 착용한 소방대원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므로, 빛이 차단되지 않은 낮 환경의 외부 등에서는 발광 식별부(300)의 발광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식별부(300)는, 발광 전원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스위치가 마련되고, 소방복을 착용한 소방대원이 선택적으로 발광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으며, 스위치는 버튼 형 등과 같이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공지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발광 식별부(300)의 발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제어부가 소방복 본체(100)에 마련되고, 제어부는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센서가 빛을 감지하여 빛의 세기/광량의 차이 등에 의해 주변 환경의 어둠 여부를 판별하여 발광 식별부(30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소방대원의 번거로운 조작활동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빛감지센서(조도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어, 빛감지센서가 일정 이상의 빛(설계에 따른 빛의 광량 차이일 수 있음)을 감지하면 제어부가 발광 식별부(300)의 발광을 오프시키고, 빛감지센서에 빛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가 발광 식별부(300)의 발광을 온시킬 수 있다.
다만 소방복이 보관장소에 보관되어 빛이 차단되는 경우와 구별되어 발광 식별부(300)의 발광이 조작될 수 있도록, 제어부는 특정한 전원공급부(예를 들어 보관함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기에너지가 충전되거나, 앞서 언급된 스위치 등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어두운 환경에서도 발광 식별부(300)의 발광이 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충전부(400)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충전하는 일반 충전부(410)와,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에너지 변환 충전부(420)를 포함한다. 일반 충전부(410)는 일반적인 유선 충전 방식이 적용된 유선 충전부(411)와,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해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부(412)를 구비한다. 따라서 소방관이 출동하지 않는 평상시 소방복을 옷장에 걸어두는 것만으로도 무선 충전부(412)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충전부(400)는, 충전 정도를 인식할 수 있는 충전 표시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어, 소방복을 착용하기 전 소방대원이 충전되지 않은 상태의 소방복을 착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표시부는, 충전 상태에 따라 색상이 변환 가능한 조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충전이 이루어진 경우 녹색등이 이루어지고 충전이 불충분한 경우 적색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에너지 변환 충전부(420)는 화재 현장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 모듈(421)을 구비하며, 에너지 변환 모듈(421)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소방복 본체(100)의 상의 소방복(110)의 어깨 부분과 등 부분에 넓은 면적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에너지 변환 모듈(421)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며, 열전소자는 열전층과 전극층으로 구성된다. 열전층은 화재현장에서의 열기에 의해 생성되는 온도 구배에 의해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열전층은 온도 구배를 부여할 때 기전력이 발생하는 지벡 효과(Seebeck effect)를 나타내는 물질 또는 스핀 지벡 효과(Spin Seebeck effect)를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너지 변환 모듈(421)이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충전부(400)에 충전될 전기에너지를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충전할 전기에너지 양을 줄일 수 있어 전기에너지 활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화재 현장의 높은 열기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만큼 소방대원에게 전달되는 열이 감소될 수 있어, 열사병에 의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은 발광 식별부(300)로부터 발광된 빛을 확산하여 식별력을 증대시키는 발광 확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확산부(500)로는 광섬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발광 확산부(500)는 소방복 본체(100)에 코일 형태로 직조될 수 있다. 도 2에는 발광 확산부(500)가 소방복 본체(100)의 상의 소방복(110)에 코일 형태로 직조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하의 소방복(120)에도 코일 형태로 직조될 수 있다.
발광 확산부(500)가 소방복 본체(100)에 코일 형태로 직조되는 경우, 발광이 여러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발광 범위가 확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일 형태의 직조로 인해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더라도 쉽게 끊어지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은 그래핀을 포함하는 섬유 복합체의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이용하여 식별부가 발광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소방관이 화재현장이나 재난현장에서 부상 등의 이유로 고립되거나 실종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식별부에서 지속적인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어 구조대에 의해 쉽게 발견될 수 있으므로, 소방관의 생존률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소방복 본체 110: 상의 소방복
120: 하의 소방복 200, 201: 섬유 복합체
210: 마이크로섬유 220: 나노섬유
230: 전해질 240: 절연막
300: 발광 식별부 400: 충전부
410: 일반 충전부 411: 유선 충전부
412: 무선 충전부 420: 에너지 변환 충전부
421: 에너지 변환 모듈 500: 발광 확산부

Claims (10)

  1. 화재 현장의 열기나 화염이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차단가능한 소방복 본체;
    상기 소방복 본체에 직조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
    상기 섬유 복합체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발광 식별부; 및
    상기 섬유 복합체에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도록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복 본체는 겉감, 중간층, 안감으로 구성되며,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은 내열성을 가지는 소재가 사용되고, 상기 중간층은 투습성 및 방수성을 가지는 소재가 사용되며,
    상기 충전부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충전하는 일반 충전부;
    화재 현장의 열기에 의해 생성되는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에너지 변환 모듈이 구비되고, 열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는 만큼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열의 감소를 구현하는 에너지 변환 충전부; 및
    충전 정도를 인식가능하게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반 충전부는,
    유선 충전부; 및
    소방복을 설정 위치에 두는 것에 의해 충전가능하게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해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복합체는 그래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복합체는 소방복에 코일 형태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식별부에는 상기 발광 식별부로부터 발광된 빛을 확산하는 발광 확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확산부는 광섬유이고, 상기 소방복에 코일 형태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복 본체는, 상의 소방복과 하의 소방복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 복합체는, 적어도 상기 상의 소방복의 위팔 영역에 마련되거나, 상기 하의 소방복의 넙적 다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복 본체에 마련되고, 빛의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빛의 광량 차이에 따라 상기 발광 식별부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복 본체에 마련되고, 조작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발광 식별부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KR1020200165811A 2019-12-23 2020-12-01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KR102514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3052 2019-12-23
KR1020190173052 2019-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072A KR20210082072A (ko) 2021-07-02
KR102514386B1 true KR102514386B1 (ko) 2023-03-30

Family

ID=7689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811A KR102514386B1 (ko) 2019-12-23 2020-12-01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3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319B1 (ko) * 2008-12-22 2012-02-15 한국패션산업연구원 도전성 직물을 이용한 야간작업복
US20100261058A1 (en) * 2009-04-13 2010-10-14 Applied Materials, Inc.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metallized carbon nanotubes and nanofibers
KR101279559B1 (ko) * 2010-12-29 2013-06-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발광부가 구비된 조끼
KR101787193B1 (ko) * 2014-09-26 2017-10-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물 기반의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및 에너지 하베스팅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072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8913U (ja) 無線充電可能な耐張式発光又は発熱構造
WO2005120646A1 (en) Fire insulating barrier material for a firefighter protective garment
KR200475404Y1 (ko) 스마트 의류
JP2017537240A (ja) 通気性を備えたウェア
KR102514386B1 (ko)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을 가지는 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식별부를 구비하는 소방복
CN107156953A (zh) 一种用于应急救援的多功能防护服装
KR102045935B1 (ko) 감시 및 보호 기능을 갖춘 의복
KR20160138839A (ko) 기능성 의류
CN215275487U (zh) 一种应急逃生防火衣
CN114053612A (zh) 一种高层住宅楼人员用防火服
CN212488557U (zh) 一种船用消防员灭火防护服
CN217366942U (zh) 一种高层住宅楼人员用防火服
CN114601623A (zh) 一种具有自供电功能的便携式复温装置
CN212306863U (zh) 一种用于野外作业的智能防寒工作服
KR101753297B1 (ko) 전도성 원사를 이용한 웨어러블 전원공급장치
CN215837192U (zh) 一种隔热服
CN211832895U (zh) 一种电缆维修人员用户外冲锋衣
CN111772257A (zh) 一种用于野外作业的智能防寒工作服
KR20220081642A (ko) 탈부착식 발광 구조체가 구비된 우비
CN210901475U (zh) 一种用于高温区域的隔热防护服
CN214317059U (zh) 一种安全防护冲锋衣
KR102111683B1 (ko) 방한 머플러
KR102422524B1 (ko) 발열조끼
CN211407712U (zh) 一种安全可视性服装
JP2006009163A (ja) レジャー用ベ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