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547B1 - Self heat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Self heating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9547B1 KR101279547B1 KR1020100115479A KR20100115479A KR101279547B1 KR 101279547 B1 KR101279547 B1 KR 101279547B1 KR 1020100115479 A KR1020100115479 A KR 1020100115479A KR 20100115479 A KR20100115479 A KR 20100115479A KR 101279547 B1 KR101279547 B1 KR 1012795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self
- container
- container body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72—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일 발명과 관련된 자체 발열 용기는, 조리 대상물을 담을 수 있게 형성된 내층; 상기 내층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며, 열 에너지를 상기 내층에 전달시킬 수 있게 부착된 면상 발열층; 상기 면상 발열층의 외부에 덮여져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차단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단열층; 및 상기 단열층의 외부에 덮일 수 있게 형성되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다.Self-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invention, the inner layer formed to hold a cooking object; A planar heating laye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layer and attached to transfer thermal energy to the inner layer; A heat insulation layer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planar heating layer and formed to block heat emitted to the outside; And a cover layer formed to be covered outside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면상 발열층이 장착된 자체 발열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 heating container equipped with a planar heating layer.
냄비, 솥 등의 용기는 끓이거나, 삶거나, 튀기거나, 볶는 등 음식을 가열할 수 있게 만든 조리 용구이다. 냄비 등을 가열하기 위하여 열원으로서, 가스 레인지, 전자 레인지, 인덕션 레인지, 오븐 등의 장치가 사용된다.Containers such as pots and pots are cooking utensils that allow food to be heated, such as boiling, boiling, frying, or roasting. In order to heat a pot etc., apparatuses, such as a gas range, a microwave oven, an induction range, and an oven, are used.
통상적으로 이러한 조리용 용기는 이동성이 있는 반면, 가스 레인지 등은 고정되어 있는 취사 시설의 일부를 이루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냄비 등을 가스 레인지 등에 올려 놓고 조리를 하고, 조리가 완료되면 냄비 등을 이동시켜 그릇에 덜거나 테이블로 옮긴다.Typically, such cooking vessels are mobile, but the gas cooker forms part of a fixed cooking facility, so that the user places the pan on a gas cooker and cooks the food. Take it to a bowl or move it to a table.
이와 같이 용기는 가스 레인지 등의 열원과 구별되어 취급되므로, 열원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조리의 제약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식탁 위에서 직접 데우거나 끓여야 하는 경우나, 야외에서는 별도의 레인지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is handled separately from a heat source such as a gas range, and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heat source, cooking is restricted. For example, if you need to heat or boil directly on the table, or prepare a separate range outdoors.
한편, 가스 레인지 등은 용기의 가열을 위하여 용기뿐만 아니라, 용기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 열까지 발산하므로 에너지 관리 측면에서도 불리한 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as range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nergy management because it dissipates not only the container but also heat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ntainer for heating the container.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발열될 수 있게 하면서도 에너지 소비의 효율을 높인 자체 발열 용기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pose a self-heating container capable of self-heating while cooking food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energy consumption.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자체 발열 용기는, 조리 대상물을 담을 수 있게 형성된 내층; 상기 내층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며, 열 에너지를 상기 내층에 전달시킬 수 있게 부착된 면상 발열층; 상기 면상 발열층의 외부에 덮여져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차단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단열층; 및 상기 단열층의 외부에 덮일 수 있게 형성되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다.Self-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inner layer formed to hold a cooking object; A planar heating laye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layer and attached to transfer thermal energy to the inner layer; A heat insulation layer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planar heating layer and formed to block heat emitted to the outside; And a cover layer formed to be covered outside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용기 본체는 측면 및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면상 발열층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발열층과,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제2발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may include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nd the planar heating layer may include a first heat generating layer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material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It may include a heat generating lay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실리카겔, 세라믹 계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insulation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carbonate, acrylic, silica gel, and ceramic serie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내층, 면상 발열층, 단열층 및 커버층은 상기 조리 대상물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layer, the planar heating layer, the heat insulation layer, and the cover layer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so that the cooking object is visible from the outsid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면상 발열층은, 베이스 필름층; 및 상기 베이스 필름층에 부착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카본층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heating layer may include a base film layer; And a carbon layer attached to the base film layer and generating heat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내층과 상기 면상 발열층 사이에, 투광성의 열전도 컴파운드(thermal conductivity compound)가 도포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ve thermal conductivity compound may be applied between the inner layer and the planar heating lay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온도 센서; 및 상기 면상 발열층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heat generation of the planar heating lay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면상 발열층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may be detachably formed, and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planar heating lay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에 부착되는 손잡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andl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제1고정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는 상기 제1고정걸이부에 걸림될 수 있게 제2고정걸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may have a first fixing hanger part, and the power supply part may have a second fixing hanger part so as to be caught by the first fixing hanger par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formed in a support form capable of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면상 발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원형의 제1단자 및 상기 제1단자의 중심에 배치된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anar heating layer, wherein the connection part comprises a circular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It may include a termin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면상 발열층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한 온도 입력 상태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온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an input unit formed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planar heating layer;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 temperature input state by the input unit and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면상 발열층의 온도에 따라 색을 변화시킬 수 있게 상기 면상 발열층의 일면에 온도감응 잉크에 의하여 도포된 색상 변화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lor change layer applied by a temperature sensitive ink may be further included on one surface of the planar heating layer to change colo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planar heating lay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층에, 상기 면상 발열층을 상기 내층의 표면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게 가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ing rib may be formed in the cover layer to press the surface heating layer against the surface of the inner lay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가압 리브는 상기 커버층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 것일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ribs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layer, and a plurality of pressing ribs may be dispos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과 관련된 면상 발열층을 이용하는 자체 발열 용기에 의하면, 용기 본체에 직접 면상 발열층이 구비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레인지가 필요 없이 테이블 위 또는 야외에서 직접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면상 발열층에서 발생되는 열은 단열층에 의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발생되는 열의 대부분이 음식을 가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열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self-heating container using the planar heating lay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anar heating layer is directly provided on the container body, cooking is possible directly on the table or outdoors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range. In addition, since the heat generated in the planar heating layer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by the heat insulating layer, most of the heat generated can be used to heat the food has the advantage of high thermal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체 발열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체 발열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면상 발열층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용기 본체의 일부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용기 본체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 공급부의 일 형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용기 본체와 전원 공급부가 연결된 상태의 자체 발열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전원 공급부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용기 본체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 공급부의 다른 형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용기 본체와 전원 공급부가 연결된 상태의 자체 발열 용기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자체 발열 용기 및 전원 공급부의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용기 본체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 공급부의 또다른 형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자체 발열 용기의 단면도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면상 발열층에 온도 감응형 잉크를 적용한 것을 보인 자체 발열 용기의 정면도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체 발열 용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lf-heating container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ar heating lay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bod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lf-heating container in which a container main body and a power supply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show a form of a power supply unit that may be connected to a container bod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lf-heating container in which a container main body and a power supply unit are connected in order to show another form of a power supply unit tha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the self-heating container and the power supply of FIG.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elf-heating container for showing another form of power supply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of a self-heating container showing that the temperature-sensitive ink is applied to the planar heating layer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of a self-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자체 발열 용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elf-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체 발열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체 발열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면상 발열층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lf-heating container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ar hea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체 발열 용기(100)는 조리 대상물을 직접 가열할 수 있게 형성된 용기 본체(110)와, 뚜껑(120), 손잡이(105)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뚜껑(120) 및 손잡이(105)는 경우에 따라 배제되는 것도 가능하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self-
도 2에 의하면, 용기 본체(110)는 복수의 층이 적층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내층(111), 면상 발열층(112), 단열층(114) 및 커버층(115)을 포함한다. 용기 본체(110) 내의 음식물 등 대상물의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들 요소 즉, 내층(111), 면상 발열층(112), 단열층(114) 및 커버층(115)은 모두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본체(110)는 측면(110A)과 바닥면(110B)을 포함하고 있으며, 발열되는 열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면상 발열층(112)도 용기 본체(110)의 측면(110A)에 대응하는 제1발열층(112A)과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110B)에 대응하는 제2발열층(112B)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내층(111)은 조리 대상물인 음식 등을 담는 부분으로서, 면상 발열층(112)의 열을 조리 대상물(S)로 전달시킴과 아울러, 면상 발열층(112)을 보호한다. 내구성의 확보 및 조리 대상물(S)의 조리 상태의 확인을 위하여 내층(111)은 투광성의 내열 유리 또는 투광성 내열 플라스틱, 또는 투광성 세라믹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3과 같이, 면상 발열층(112)은, 투광성의 베이스층(112-1) 및 박막 형태로 형성되어 투광성을 갖는 카본층(112-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12-1)은 제조 과정에서 카본층(112-2)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이스층(112-1)은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내층(111)의 외측 표면을 따라 휘어지지 용이하도록 유연한(flexible)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카본층(112-2)은 내층(111)에 직접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베이스층(112-1)은 생략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카본층(112-2)은 베이스층(112-1)에 탄소, 특히, 탄소나노튜브(Cabon Nano Tube;CNT)가 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 모양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전기 전도도는 구리 보다 100배에서 1000배 우수하고,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난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철강보다 100배나 뛰어나다. 탄소섬유는 1%만 변형시켜도 끊어지는 반면, 탄소나노튜브는 15%가 변형되어도 견딜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발열성을 가진다. The carbon layer 112-2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carbon, in particular, carbon nanotubes (CNTs) are attached to the base layer 112-1. Carbon nanotubes have a hexagonal shape consisting of six carbon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tubular shap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carbon nanotubes is 100 to 1000 times better than copper, the thermal conductivity is the same as the best diamond in nature, and the strength is 100 times better than steel. Carbon fiber can be broken by only 1% deformation, while carbon nanotubes can withstand 15% deformation. In addition, carbon nanotubes have excellent exothermic properties.
탄소 나노튜브가 포함된 면상 발열층(112)은 원적외선 방출량이 많아 조리 대상물인 음식물에 조사되면 건강에 유익한 물질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식탁 주위에 있는 사용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The
도 3에 의하면, 면상 발열층(112)의 일측면에는 면상 발열층(112)의 온도에 따라 색깔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온도 감응형 잉크에 의하여 인쇄된 색상 변화층(1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색상 변화층(117)은 면상 발열층(112)의 가열 정도에 따라 일정한 시각적 효과 또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도 9 참조). Referring to FIG. 3, a
다시, 도 2에 대하여 설명하면, 내층(111) 또는 면상 발열층(112)의 열변형에 의한 갭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내층(111)의 외부 표면 및 면상 발열층(112)의 사이에는 투광성의 열전도 컴파운드(thermal conductivity compound; 113)가 도포될 수 있다. 나아가, 내층(111) 및 베이스층(112-1)은, 카본층(112-2)의 작동 온도에서 면상 발열층(112)과 유사한 열변형성을 갖는 재질로 선택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단열층(114)은 면상 발열층(112)의 외부에 덮여져 용기 본체(110)의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차단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단열층(114)은 투광성으로 형성되면서도 열전도율이 작은 수지계열(예: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실리카겔 등), 세라믹 계열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커버층(115)은 단열층(114)의 외부에 덮여지는 것으로, 용기 본체(110)의 마감재로서 역할한다. 이러한 커버층(115)은 단열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열 전도율이 작은 수지 계열 또는 세라믹 계열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버층(115)은 내층(111)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내층(111)가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커버층(115)은 육면체 상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커버층(115)은 면상 발열층(112)에 물이나 이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방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커버층(115)은 면상 발열층(112) 및 단열층(11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층(111)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층(115)과 내층(111) 사이에 실링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용기 본체의 일부 횡단면도이다. 내층(11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면상 발열층(112)은 내층(111)과의 면접촉이 완전하여 질수록 열전달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면상 발열층(112)이 내층(111)의 외부 표면에 접촉하는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고려될 수 있다. 도 4는 그러한 일 예로서, 커버층(115)에 면상 발열층(112)을 내층(111)의 표면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게 가압 리브(11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한 가압 리브(115-4)는 커버층(115)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간격을 두고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있다.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bod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제조 과정의 측면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면상 발열층(112)을 내층(111)의 외측 표면에 부착시킨다. 그런 다음, 면상 발열층(112)이 부착된 내층(111)을 단열층(114)이 배치된 커버층(115)에 삽입시킨다. 내층(111)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가압 리브(115-1)는 도 4와 같이, 단열층(114)과 면상 발열층(112)을 내층(111)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면상 발열층(112)의 내층(111)에 대한 접촉성이 양호해진다.This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manufacturing process as follows. First, the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용기 본체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 공급부의 일 형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용기 본체와 전원 공급부가 연결된 상태의 자체 발열 용기의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lf-heating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a power supply uni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is show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관련되어 자체 발열 용기(100)에 장착된 면상 발열층(112)는 용기 본체(110)에 탈착되는 전원 공급부(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형상의 면에서, 도 5에는 전원 공급부(130)가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에 받침 형태로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원 공급부(130)는 자체 발열 용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가정용 전원을 통하여 정격 전압과 전류로 변환하는 어댑터 또는 충전 가능한 형태인 2차 전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self-
받침 형태로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130)는 가열 수단이 자체 발열 용기(100)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만큼의 구성이 소요되지 않게 되어 얇고 휴대하기 용이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블 위에 자체 발열 용기(100)와 전원 공급부(130)를 배치하고, 조리 대상물(S)의 가열 상태를 직접 확인하면서 식사를 할 수 있다. Since the heating means is located in the self-
도 6은 도 5의 전원 공급부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전원 공급부(130)에는 면상 발열층(112)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부(140)가 구비된다. 그러한 접속부(140)로서, 도 6에는 원형의 제1단자(141) 및 제1단자(141)의 중심에 배치된 제2단자(142)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원형의 제1단자(141)가 제2단자(142)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물이나 이물의 침투를 차단하고 접속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5. The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용기 본체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 공급부의 다른 형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용기 본체(210)와 전원 공급부(230)가 연결된 상태의 자체 발열 용기(200)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자체 발열 용기(200) 및 전원 공급부(230)의 평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lf-
전원 공급부(230)가 용기 본체(210)에 탈착될 수 있도록 전원 공급부(230)는 탈착수단이 구비된다. 그러한 탈착수단으로서 용기 본체(210)에 형성된 제1고정걸이부(231)와, 전원 공급부(230)에 형성된 제2고정걸이부(232)를 예시하고 있다. 이들 제1고정걸이부(231)와 제2고정걸이부(232)는 상호 맞물려져 전원 공급부(230)가 용기 본체(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e
용기 본체(210)와 전원 공급부(23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용기 본체(210)에는 접속패드(2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원 공급부(260)에는 탄성을 갖는 접속돌기(242)가 구비되어 있다.The
또한, 도 8에 의하면, 전원 공급부(230)에 입력부(261)와 디스플레이부(26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8, an
입력부(261)는 면상 발열층(2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입력부(261)의 구체적인 구현 예로서, 조작이 가능한 휠 또는 버튼 형태 또는 터치버튼 등이 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262)는 입력부(261)에 의한 온도 입력 상태 및 용기 본체(210)의 내부 온도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62)에 의하여 출력되는 정보는 숫자, 문자, 기호 또는 아이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2) 대신 점멸이 가능한 램프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이와 같이 탈착가능하게 구성된 전원 공급부(230)는 데우거나 가열할 시 용기 본체(210)에 대하여 부착된 상태에 있더라도, 가열이 완료되면 전원 공급부(230)를 용기 본체(2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30)를 분리하여 다른 자체 발열 용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용기 본체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 9 is a power sour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공급부의Supply 또다른Other 형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자체 발열 용기(300)의 단면도이다. To show the shap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lf-heating container (300).
도 9에 의하면, According to FIG. 9,
용기본체(310)는
뚜껑(320)과 With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용기 본체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 10 is a power sour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공급부의Supply
또다른Other
형태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자체 발열 용기(400) 및 무선전원공급장치(461)의 단면도이다. To show the shap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lf-
본 예에서는, In this example,
용기본체Container
(410) 측면의 손잡이(451)에 (410) to the handle (451) on the side
전원공급부(450)가
무선 전력공급장치(461)는 라디오파 또는 자기공명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에 있는 대상물에 무선(또는 비접촉) 형태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10은 무선 전원공급장치(461)가 자체 발열 용기(400)의 바닥에 위치된 것을 보인다. 다만, 무선 전원공급장치(461)는 The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면상 발열층에 온도 감응형 잉크를 적용한 것을 보인 자체 발열 용기(500)의 정면도들이다.11 is a front view of a self-
투광성의 용기 본체(510)는 발열 여부의 확인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면상 발열층에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잉크에 의하여 인쇄된 색상 변화층(570)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온도 감응형 잉크는 알려진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Since the translucent container body 510 may be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heat is generated, the
일 예시로서, 도 11(a)와 같이, 색상 변화층(570)이 상온에서는 색을 띄지 않거나 초록색 등에 의하여 구현된 상태에서 도 11(b)와 같이 전원공급부(560)에 의하여 면상 발열층이 발열되면 일정한 변색에 의하여 화상 주의 등의 경고 정보가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색상 변화층(570)은 문자 또는 심벌 등을 통하여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the color-changing
도 12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체 발열 용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of a self-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발열 용기(600)는 제어부(680), 전원 공급부(681), 입력부(682), 면상 발열층(683), 온도센서(684), 및 디스플레이부(685)를 포함할 수 있다. 자체 발열 용기(600)의 동작을 위하여, 외부에는 무선전력공급장치(70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들 요소가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이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제어부(680)는 면상 발열층(683)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므로 온열 제어부라 칭할 수 있다. 제어부(680)는 이외에도 그와 연결된 다양한 입출력 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다양한 기능 또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전원 공급부(681)는 가정용 전원을 직접 사용하거나,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전원으로서 솔라셀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681)는 무선전력공급장치(700), 예를 들어 무접점 충전장치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입력부(682)는 조작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며, 자체 발열 용기(600)의 조작에 관한 입력신호를 받아 제어부에 제공한다. 입력부(682)는 다이얼 방식으로 조작하는 형태, 터치 방식으로 조작하는 형태 또는 클릭 방식으로 조작하는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기 위해, 입력부(682)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685)와 직접 연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면상 발열층(683)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막형의 CNT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680)의 제어를 통하여 발열되어 조리를 위한 열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온도센서(684)는 면상 발열층(683)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면상 발열층(683)의 과열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680)는 온도센서(684)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에 따라 면상 발열층(683)으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한다.The
디스플레이부(685)는 자체 발열 용기(600)의 조작과 관련된 시각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685)는 자체 발열 용기(600)의 일측에 액정화면 또는 LCD형태, 전자종이(e-Paper)가 면상 발열층(683)와 적층된 형태, 또는 일군의 발광수단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설명한 자체 발열 용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self-heating container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a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자체 발열 용기 110: 용기 본체
111: 내층 112: 면상 발열층
112-1: 베이스층 112-2: 카본층
113: 열전도 컴파운드 114: 단열층
115: 커버층 115-1: 가압 리브
130: 전원 공급부 140: 접속부
150: 2차 전지 100: self-heating container 110: container body
111: inner layer 112: planar heating layer
112-1: base layer 112-2: carbon layer
113: heat conducting compound 114: heat insulating layer
115: cover layer 115-1: pressurized rib
130: power supply 140: connection
150: secondary battery
Claims (17)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조리 대상물을 담을 수 있게 형성된 내층;
상기 내층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며, 열 에너지를 상기 내층에 전달시킬 수 있게 부착된 면상 발열층;
상기 면상 발열층의 외부에 덮여져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차단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외부에 덮일 수 있게 형성되는 커버층; 및
상기 커버층에 구비되며, 상기 면상 발열층을 상기 내층의 표면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게 형성된 가압 리브를 포함하는, 자체 발열 용기.
Container body; And
Removably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and includ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ainer body,
Wherein the container body comprises:
An inner layer formed to hold a cooking object;
A planar heating laye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layer and attached to transfer thermal energy to the inner layer;
A heat insulation layer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planar heating layer and formed to block heat emitted to the outside;
A cover layer formed to be covered outside of the heat insulation layer; And
And a pressurized rib provided on the cover layer and configured to pressurize the planar heating layer against the surface of the inner layer.
상기 용기 본체는 측면 및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면상 발열층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발열층과,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제2발열층을 포함하는, 자체 발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body comprises a side and a bottom surface,
The planar heating layer includes a first heat generating laye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second heat generating laye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단열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실리카겔, 세라믹 계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체 발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insulation layer, self-heating contain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polycarbonate, acrylic, silica gel, ceramic series.
상기 내층, 면상 발열층, 단열층 및 커버층은 상기 조리 대상물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 자체 발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layer, the planar heating layer,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the cover layer is formed of a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cooking object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self-heating container.
상기 면상 발열층은,
베이스 필름층; 및
상기 베이스 필름층에 부착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카본층을 포함하는, 자체 발열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anar heating layer,
A base film layer; And
Self-heating container is attached to the base film layer, comprising a carbon layer that generates heat by receiving power.
상기 내층과 상기 면상 발열층 사이에, 투광성의 열전도 컴파운드(thermal conductivity compound)가 도포된, 자체 발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A self-heating container, wherein a transmissive thermal conductivity compound is applied between the inner layer and the planar heating layer.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온도 센서; 및
상기 면상 발열층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체 발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lf-heating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heat generation of the planar heating layer.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에 부착되는 손잡이 형태로 형성된, 자체 발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upply is formed in the form of a handl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container body, self-heating container.
상기 용기본체에는 제1고정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는 상기 제1고정걸이부에 걸림될 수 있게 제2고정걸이부가 형성된, 자체 발열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ainer body has a first fixed hook portion is formed,
Self-heating container, the power supply is formed with a second fixed hook portion to be locked to the first fixed hook portion.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 형태로 형성된, 자체 발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support capable of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self-heating container.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면상 발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원형의 제1단자 및 상기 제1단자의 중심에 배치된 제2단자를 포함하는, 자체 발열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1,
The power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portion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anar heating layer,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circular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terminal.
상기 전원 공급부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하는, 자체 발열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1,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self-heating container.
상기 전원 공급부에,
상기 면상 발열층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한 온도 입력 상태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온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된, 자체 발열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power supply,
An input unit form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planar heating layer; And
Self-heating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temperature input state by the input unit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면상 발열층의 온도에 따라 색을 변화시킬 수 있게 상기 면상 발열층의 일면에 온도감응 잉크에 의하여 도포된 색상 변화층이 더 포함된, 자체 발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Self-heating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color change layer applied by the temperature-sensitive ink on one surface of the planar heating layer to change colo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planar heating layer.
상기 가압 리브는 상기 커버층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 자체 발열 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 rib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layer, a plurality of self-heating container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5479A KR101279547B1 (en) | 2010-11-19 | 2010-11-19 | Self heating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5479A KR101279547B1 (en) | 2010-11-19 | 2010-11-19 | Self heating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4210A KR20120054210A (en) | 2012-05-30 |
KR101279547B1 true KR101279547B1 (en) | 2013-06-28 |
Family
ID=4627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5479A KR101279547B1 (en) | 2010-11-19 | 2010-11-19 | Self heating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954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7226A (en) * | 2014-07-08 | 2017-05-04 | 종 피터 박 | Microwaveable vessel |
KR101919347B1 (en) * | 2015-10-30 | 2018-11-28 | 주식회사 더원리빙 | Potable electric cook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4507B1 (en) * | 2012-11-07 | 2014-08-29 | 주식회사 대성쿡웨어 | portable electric rice cooker using of secondary battery for the outdoors |
KR101491103B1 (en) * | 2013-08-16 | 2015-02-23 | 송규선 | portable electric rice cooker using of secondary battery for the outdoors |
KR101690722B1 (en) * | 2015-04-29 | 2016-12-28 |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 Cooking vessel and cooking method |
CN106108685B (en) * | 2016-07-19 | 2019-01-04 |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in-built electrical pool cool-ba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77143A (en) * | 1995-09-07 | 1997-03-25 | Dairin Shoji:Kk | Container |
KR20070119459A (en) * | 2006-06-15 | 2007-12-20 | 김형우 | Cooking vessel |
KR20100005402A (en) * | 2008-07-07 | 2010-01-15 | 우석 계 | The bowl having a heating element |
KR20100010772A (en) * | 2008-07-23 | 2010-02-02 | 전순희 | Heater for electric heating |
-
2010
- 2010-11-19 KR KR1020100115479A patent/KR10127954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77143A (en) * | 1995-09-07 | 1997-03-25 | Dairin Shoji:Kk | Container |
KR20070119459A (en) * | 2006-06-15 | 2007-12-20 | 김형우 | Cooking vessel |
KR20100005402A (en) * | 2008-07-07 | 2010-01-15 | 우석 계 | The bowl having a heating element |
KR20100010772A (en) * | 2008-07-23 | 2010-02-02 | 전순희 | Heater for electric heating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7226A (en) * | 2014-07-08 | 2017-05-04 | 종 피터 박 | Microwaveable vessel |
KR101957065B1 (en) * | 2014-07-08 | 2019-03-11 | 종 피터 박 | Microwaveable vessel |
KR101919347B1 (en) * | 2015-10-30 | 2018-11-28 | 주식회사 더원리빙 | Potable electric cook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4210A (en) | 2012-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9547B1 (en) | Self heating container | |
CN105852370B (en) | Lunch box | |
US10444080B2 (en) | Thermal management for a wireless cooking probe | |
US10416027B2 (en) | Thermal management for a wireless cooking probe | |
CN202234417U (en) | Cup with cup body | |
JP2010021139A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
CN108720550A (en) | Cooking pot and cooking control method | |
CN203088715U (en) | Split type electric pressure cooker | |
CN206651721U (en) | Electric kettle | |
KR101065281B1 (en) | Portable electric range | |
JP6184448B2 (en) | Component detector | |
JP6861489B2 (en) | Cooker | |
KR101338410B1 (en) | Multifunctional oven | |
KR20110082497A (en) | Method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of cooking bowl and cooking handle using the method thereof | |
CN209826248U (en) | Cooking utensil | |
CN210871018U (en) | Net red power generation chafing dish | |
CN203458201U (en) | Rice cooking device | |
KR101491103B1 (en) | portable electric rice cooker using of secondary battery for the outdoors | |
CN207455654U (en) | A kind of contact accurate temperature control electromagnetic oven | |
CN213909707U (en) | Portable multi-functional cooking pot | |
KR20170137337A (en) | Food Warm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CN207055336U (en) | Electric cooking appliance with wireless temperature sensing device | |
CN207561744U (en) | Split cooking apparatus | |
CN113068284B (en) | Electromagnetic heating system | |
CN216693683U (en) | Heat insulation pad and induction cooker compris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