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410B1 - Multifunctional oven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ov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410B1
KR101338410B1 KR1020110009453A KR20110009453A KR101338410B1 KR 101338410 B1 KR101338410 B1 KR 101338410B1 KR 1020110009453 A KR1020110009453 A KR 1020110009453A KR 20110009453 A KR20110009453 A KR 20110009453A KR 101338410 B1 KR101338410 B1 KR 10133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ar heating
heating element
upper case
accommodation spac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8233A (en
Inventor
조선경
Original Assignee
조선경
(주) 사람과나눔
함지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경, (주) 사람과나눔, 함지박(주) filed Critical 조선경
Priority to KR102011000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410B1/en
Publication of KR2012008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2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4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다용도 구이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에 각각 배치되고,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열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면상 발열체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Multi-purpose roaster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 planar heating element disposed in each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nd being heated by electric energy to heat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Description

다용도 구이기{MULTIFUNCTIONAL OVEN}Versatile Grill {MULTIFUNCTIONAL OVEN}

본 발명은 면상 발열체가 구비된 다용도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roaster equipped with a surface heating element.

구이기 또는 오븐은 조리 재료를 밀폐한 후 가열하여 건열(乾熱)로 음식을 익힐 수 있게 고안된 조리기이다.A roaster or oven is a cooker designed to seal food ingredients and heat them to cook food by dry heat.

과거의 구이기는 화덕의 한쪽에 조리재료를 넣고 다른 쪽에서 불을 때면 열과 연기가 화덕의 조리재료가 담긴 부문으로 들어가 음식을 익히는 형태였다. 연료가 장작에서 가스·전기로 바뀜에 따라 오븐과 풍로를 가열하는 열원도 독립적으로 설계되었다. In the past, roasting was done by putting cooking ingredients on one side of the stove and burning them on the other side, where heat and smoke went into the section of the oven. As the fuel changes from firewood to gas-electricity, the heat source to heat the oven and the airway is also designed independently.

전기식 구이기는 케이스, 투시창, 그릴 및 열선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전원 차단장치와 과열 방지장치를 갖는다. 가스식의 구이기는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는데 내부에 버너가 배치된다. 통상 전자레인지라고 불리는 전자식 구이기는 오븐 내부에 있는 전자파 발생장치가 전자파를 발생하여 음식물 내의 물분자 운동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물분자의 마찰열로써 조리한다.The electric roaster includes a case, a sight glass, a grill, a heating wire, and the like, as well as a power cutoff device and an overheat protection device. Gas-type roasters use gas as a heat source, and a burner is disposed inside. An electronic roaster, commonly called a microwave oven, is cooked with frictional heat of water molecules by causing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or in the oven to generate electromagnetic waves to activate water molecules in food.

열선을 사용하는 전기식 구이기의 경우 열선 주변의 발열온도는 높은 편이지만 열효율이 떨어지며, 전자레인지는 음식물 내의 수분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가열 대상이 한정된다.
In the case of electric roaster using a hot wire, the heating temperature around the hot wire is high, but the thermal efficiency is inferior, and the microwave oven uses water in the food, so the heating target is limited.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균일한 발열 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고, 구이 또는 건조용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versatile roaster which can obtain a uniform exothermic state, which is convenient to use, and which can be used for roasting or drying.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다용도 구이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에 각각 배치되고,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열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면상 발열체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Multi-purpose ro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 planar heating element disposed in each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nd being heated by electric energy to heat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회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ase may be connected by a hinge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면상 발열체는 투광성 재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may be formed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용도 구이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면상 발열체에 온도감응 잉크가 도포된 색상 변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roaster may further include a color change layer coated with a temperature sensitive ink on the upper case or the planar heating elemen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면상 발열체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 면에 박막으로 도포되는 투광성의 탄소나노튜브층;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의 외측에 부착되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heating element may include: a base layer; A transmissive carbon nanotube layer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s a thin film; And it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rbon nanotube lay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면상 발열체 사이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면상 발열체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단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o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열층은 에어로겔(aerogel)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insulation layer may be formed by an aeroge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용도 구이기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대상물을 구획하거나 모양을 한정하기 위한 격자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roaster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further include a grid for partitioning or defining an objec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격자틀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부착되는 상부 격자틀;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부착되는 하부 격자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격자틀 및 상기 하부 격자틀은 상기 대상물의 형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양홈을 가질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tice frame includes an upper lattice frame attached to the upper case; And a lower lattice frame attached to the lower case, wherein the upper lattice frame and the lower lattice frame may have a plurality of shape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bjec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격자틀은 스테인리스스틸판, 알루미늄판 또는 동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tice frame may be formed by at least one of a stainless steel plate, an aluminum plate, or a copper plat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모양홈은, 제1대상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모양홈; 및 제2대상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모양홈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groove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shap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bject; And at least one second shap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용도 구이기는, 상기 면상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roast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heat generation degre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용도 구이기는, 선택 가능한 정보 또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형성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한 입력 상태 또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온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roaster may includ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selectable information or control signals;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input state of the input unit or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용도 구이기는,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면상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roaster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generate heat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 result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Can be controll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용도 구이기는, 상기 수용공간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면상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roaster further includes a humidity sensor configured to detect humidity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heat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 result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Can be controll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용도 구이기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대상물이 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면상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roaster may further include a smoke detection sens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n object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burned,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 result detected by the smoke detection sensor. The degree of heat generation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은 또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며, 대상물이 대응하여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격자틀; 상기 격자틀에 배치되고,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열되는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면상 발열체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구이기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 lattice fram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formed such that an object can be accommodated correspondingly; A planar heating element disposed on the lattice frame and generating heat by electric energy; And proposes a multi-purpose roaster comprising a power supply which is formed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surface heating elemen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다용도 구이기는, 균일한 발열 및 즉시 가열성이 우수한 면상 발열체를 열원으로 사용한 것이므로, 장치의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에너지 낭비가 적어 고효율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사용 온도 범위에 따라 다양한 대상물을 굽거나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ersatile r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anar heating element having excellent heat generation and immediate heating property as a heat source, it is possible to achieve high efficiency due to light weight of the device and low energy waste. 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can be used to bake or dry various objects depending on the use temperature range, it is possible to use for various purpose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용도 구이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용도 구이기가 열려져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다용도 구이기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면상 발열체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용도 구이기의 블록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투명한 면상 발열체에 색상 변화층을 적용한 예를 보인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격자틀을 갖는 다기능 구이판의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격자틀을 이용하여 조리를 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의 단면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roaster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roaster of Figure 1 is ope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the multipurpose roaster of FIG.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rface heating ele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by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purpose roaster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illustrate examples of applying a color change layer to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element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 roasting plate having a lattice frame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cooking using the grid of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purpose roast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다용도 구이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ulti-purpose roaster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용도 구이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다용도 구이기(100)는 전체적으로 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선택 가능한 정보 또는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31) 및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32)가 각각 구비된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ro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ulti-purpose roaster 100 includes an upper case 110 and a lower case 120 that constitut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evice. One side of the upper case 110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131 for inputting selectable information or a control signal and a display unit 132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respectively.

상부 케이스(110)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윈도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12)는 대상물의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The upper case 110 may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112 to view the inside. The window 112 makes it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cooking state of the object.

상부 케이스(110)는 하부 케이스(1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는 일측에 배치된 힌지(117, 도 3 참조)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10)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손잡이(113)가 부착될 수 있다.The upper case 110 is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120. For this purpose,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are connected to the hinge 117 (see FIG. 3) disposed at one side. Is connected. A handle 113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pper case 110 to open or close the upper case 110.

하부 케이스(120)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케이블(105)이 구비된다. 케이블(105)은 하부 케이스(120)에 대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플러그 타입으로 형성되거나, 하부 케이스(1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전원을 변환하기 위한 장치는 다용도 구이기(10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전원을 변환하기 위한 장치가 하부 케이스(1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case 120 is provided with a cable 105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he cable 105 may be formed in a plug ty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case 120,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lower case 120. In the former case, a device for converting powe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ulti-use griller 100, and in the latter case, a device for converting pow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lower case 120.

하부 케이스(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에는 받침다리(121)가 부착된다. 받침다리(121)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높은 절연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20)를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 갭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A support leg 121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20 so as to support the lower case 120. The supporting leg 121 may be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to prevent slippage, and may have a protruding length so that the lower case 120 may maintain a predetermined gap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입력부(131)는 다용도 구이기(1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입력부(131)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형태로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131)는 조작이 가능한 휠 또는 터치버튼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31 is form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multi-purpose roaster 100. The input unit 13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In addition, the input unit 13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wheel or a touch button that can be manipulated.

디스플레이부(132)는 입력부(131)에 의한 온도 입력 상태 및 측정 온도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2)는 다용도 구이기(100)의 일 부분에 액정화면 또는 LCD형태, 전자종이(e-Paper)가 면상 발열체(141,142, 도 3 참조)와 적층된 형태, 또는 일군의 발광수단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의하면, 입력부(131) 및 디스플레이부(132)는 상부 케이스(110)의 경사진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부(131) 및 디스플레이부(132)의 배치는, 투광성으로 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110)의 주면을 윈도우(112)로 활용되도록 하면서도 입력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2 outputs the temperature input state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by the input unit 131. The display unit 132 may be formed by forming a liquid crystal display or LCD on a portion of the multi-purpose griller 100, an electronic paper (e-Paper) laminated with a planar heating element 141, 142 (see FIG. 3), or a group of light emitting means. Can be implemented. Specifically, according to FIG. 1, the input unit 131 and the display unit 132 are disposed on the inclined side surface of the upper case 110. The arrangement of the input unit 131 and the display unit 132 may provide convenience for use while inputting the main surface of the upper case 110 which is translucent as the window 112.

도 2는 도 1의 다용도 구이기가 열려져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는 하부 케이스(120)에 대하여 상하로 개폐되도록 연결된다.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는 내부에 수용공간(S)을 가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일 예로서,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는 클렘쉘(clamshell)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roaster of Figure 1 is open. As shown in FIG. 2, the upper case 110 is connected to open and close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120.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are formed to have an accommodation space (S) therein. As one example,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lamshell (clamshell).

수용공간(S)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용도 구이기(100)를 통하여 구울 수 있는 대상물, 즉, 도 2예에서는 그러한 예로서 계란(E)이 배열되어 있다. 다용도 구이기(100)를 통하여 가열되는 대상물은 다양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조리 용도로 사용되거나 건조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계란(E)에 열을 가하기 위하여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에는 면상 발열체가 배치된다.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에 배치된 면상 발열체의 배치와 구성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receiving space S, an object that can be baked through the multi-purpose roas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n egg E is arranged as such an example in FIG. 2. The object heated through the multi-purpose roaster 100 may vary, and in some cases, may be used for cooking purposes or for drying purposes. In order to apply heat to the egg (E), a planar heating element is disposed in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The arrangement and configuration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s disposed on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도 1의 다용도 구이기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상부 케이스(110)의 내면 및 하부 케이스(120)의 내면에는 수용공간(S)에 둔 대상물(E)을 가열할 수 있도록 면상 발열체가 각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면상 발열체는 상부 케이스(110)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1면상 발열체(141) 및 하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배치되는 제2면상 발열체(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면상 발열체(141) 및 제2면상 발열체(142)는 상부 케이스(110)의 주면 및 하부 케이스(120)의 주면에 평행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상부 케이스(110)의 측면 및 하부 케이스(120)의 측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면상 발열체(141,142)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하기로 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the multipurpose griller of FIG. Referring to FIG. 3, planar heating elements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20 to heat the object E plac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respectively. In detail, the planar heating element may include a first planar heating element 141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0 and a second planar heating element 142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20. The first planar heating element 141 and the second planar heating element 142 may be attached in parallel to the main surface of the upper case 110 and the main surface of the lower case 120, which are the side and the lower case of the upper case 110. It is also possible to extend to the side of the 120.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면상 발열체(141,142)에 의해 발생된 열이 외부로 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1면상 발열체(141)와 상부 케이스(110) 사이 및 제2면상 발열체(142)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는 각각 단열층(151,152)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단열층(151,152)은 에어로겔(aerogel)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겔은 머리카락 1만분의 1 굵기의 실리카 성분 물질이 성글게 얽힌 구조로서 밀도가 가장 낮고, 높은 단열성과 친환경성을 가진 차세대 소재로서, 면상발열체(141, 142)에 의하여 발생된 열의 방출을 최소화시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케이스(110,120)의 표면의 열에 대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제1면상 발열체(141)와 상부 케이스(110)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층(151)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 between the first planar heating element 141 and the upper case 110 and the second planar heating element 142 to minimize the leakage of heat gener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to the outside. Insulation layers 151 and 152 are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ses 120, respectively. These heat insulating layers 151 and 152 may be formed by an aerogel. Aerogel is a next-generation material with the lowest density, high heat insulation and eco-friendliness, and is composed of coarsely entangled silica material with a thickness of 10,000 parts of hair, and minimizes the emission of heat gener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142). While sav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heat of the surface of the case (110,120). In particular, the heat insulation layer 151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rface heating element 141 and the upper case 110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가 수용공간(S)의 열기가 새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110)의 테두리에는 돌출턱(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턱(114)에 대응하여, 하부 케이스(120)의 테두리에는 돌출턱(114)이 삽입되는 테두리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턱(114)과 테두리홈(123)에는 패킹링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Protruding jaw 114 may be formed on the edge of the upper case 110 so that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minimize the leakage of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the protruding jaw 114 Correspondingly, an edge groove 123 into which the protruding jaw 114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lower case 120. The protruding jaw 114 and the edge groove 123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packing ring.

하부 케이스(120)의 일측에는 수용공간(S) 내의 압력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과압을 해소하기 위한 과압해소부(124)가 설치된다. 과압해소부(124)는 기준치 이상의 압력에 대하여만 개방하는 밸브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과압해소부(124)가 작동되면 수용공간(S)이 외부와 연통된다. 과압해소부(124)는 하부 케이스(120) 대신 상부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One side of the lower case 120 is provided with an overpressure releasing unit 124 for releasing the overpressure when the pressure in the receiving space (S)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overpressure releasing unit 124 may include a valve structure that opens only for pressure above a reference value. Accordingly, when the overpressure release unit 124 is operated, the receiving space (S)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overpressure release part 124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case 110 instead of the lower case 120.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면상 발열체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에 의하면, 면상 발열체(141,142)는 얇은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발열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면상 발열체(141,142)는, 베이스층(141-1), 탄소나노튜브층(141-2) 및 보호층(141-3)을 포함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nar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4,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are formed in a thin film form, and are capable of generating heat by being supplied with electric energy. Specifically,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include a base layer 141-1, a carbon nanotube layer 141-2, and a protective layer 141-3.

베이스층(141-1)은 제조 과정에서 탄소나노튜브층(141-2)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이스층(141-1)은 곡면 형상을 따라 휘어지기 용이하도록 유연한(flexible)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141-1)은 탄소나노튜브층(141-2)의 발열에 의하여 변성이 적은 수지 계열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layer 141-1 serves to support the carbon nanotube layer 141-2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base layer 141-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film to bend along a curved shape. The base layer 141-1 may be formed of a resin-based resin or the like with little modification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carbon nanotube layer 141-2.

탄소나노튜브층(141-2)은 베이스층(141-1)에 탄소, 특히, 탄소나노튜브(Cabon Nano Tube;CNT)가 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 모양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전기 전도도는 구리 보다 100배에서 1000배 우수하고,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난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철강보다 100배나 뛰어나다. 탄소섬유는 1%만 변형시켜도 끊어지는 반면, 탄소나노튜브는 15%가 변형되어도 견딜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발열성을 가진다. The carbon nanotube layer 141-2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carbon, in particular, carbon nanotubes (CNTs) are attached to the base layer 141-1. Carbon nanotubes have a hexagonal shape consisting of six carbon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tubular shap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carbon nanotubes is 100 to 1000 times better than copper, the thermal conductivity is the same as the best diamond in nature, and the strength is 100 times better than steel. Carbon fiber can be broken by only 1% deformation, while carbon nanotubes can withstand 15% deformation. In addition, carbon nanotubes have excellent exothermic properties.

이렇게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탄소나노튜브층(141-2)은 원적외선 방출량이 많아 수용공간(S) 내에 있는 대상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나아가, 탄소나노튜브층(141-2)은 전자파의 발생이 현저히 적어 기존의 전열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e carbon nanotube layer 141-2 including the carbon nanotubes thus has a large amount of far-infrared emission, so that the carbon nanotube layer 141-2 may have an ingredient beneficial to health in the process of cooking an object in the receiving space S. Furthermore, the carbon nanotube layer 141-2 has a merit that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is remarkably low, thereby making up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heater.

보호층(141-3)은 탄소나노튜브층(141-2)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층으로서, 탄소나노튜브층(141-2)의 방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층(141-3)은 일정한 열전도도를 보유할 수 있도록 충분히 얇으면서도 내열성이 있는 수지 계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141-3 is a layer for protecting the carbon nanotube layer 141-2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serves as a waterproofing function of the carbon nanotube layer 141-2. The protective layer 141-3 may be formed of a resin-based resin that is thin enough and heat resistant to maintain a constant thermal conductivity.

이와 같은 면상 발열체(141,142)는 복수의 층을 가지면서도 얇은 적층체로서, 전체적으로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광성'은 전투광성 뿐만 아니라 반투광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면상 발열체(141,142)의 일부 영역에서 불투광성 부분이 있는 것도 포함한다.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are thin laminates having a plurality of layers and may be formed to be transmissive as a whole. Here, 'translucent' is a concept including translucent as well as combat light, and includes an opaque part in some regions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2)는 조리 항목과 관련된 정보(132a), 현재 온도와 관련된 정보(132b), 남은 시간과 관련된 정보(132c)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by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5, the display unit 132 may be configured to output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132a related to a cooking item, information 132b related to a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132c related to the remaining time, and the like. .

조리 항목과 관련된 정보(132a)는 계란구이, 붕어빵, 생선구이 또는 야채 건조 등과 같이 다용도 구이기(100)를 통하여 조리 또는 건조될 수 있는 다양한 항목들이 리스트 형태로 되어 있으며, 입력부(131)의 탐색에 의하여 선택되도록 커서 또는 포인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132a related to the cooking item is a list of various items that can be cooked or dried through the multi-purpose griller 100, such as grilling eggs, crucian carp, grilling fish, or drying vegetables, and the like. It may include a cursor or a pointer to be selected by the.

현재 온도와 관련된 정보(132b)는 수용공간(S)의 현재 온도를 숫자 또는 그래픽 형태로 출력된다. Information 132b related to the current temperature outputs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in numerical or graphical form.

선택된 조리항목에 대하여 조리가 시작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2)는 남은 시간을 숫자 또는 그래픽 형태(132c)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cooking is started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cooking item, the display unit 132 may be configured to output the remaining time in numerical or graphic form 132c.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32)는, 면상 발열체(141,142)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입력 대기상태, 또는 조리 완료 상태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2 may be configured to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operations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an input standby state, or a cooking completion state.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용도 구이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구이기(100)는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81), 입력부(131), 온도센서(182), 습도센서(183), 연기감지 센서(184), 개폐센서(185), 로드 센서(186), 음성 출력부(187), 면상 발열체(141,142) 및 디스플레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들 요소가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이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6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purpose grill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6, the multi-purpose griller 100 may include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unit 181, an input unit 131, a temperature sensor 182, a humidity sensor 183, a smoke sensor 184,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ensor 185, the load sensor 186, the voice output unit 187,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and the display unit 132 may be included. However, not all of these elements are necessary and may be configured in different combinations in some cases.

제어부(180)는 면상 발열체(141,142)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므로 온열 제어부라 칭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외에도 그와 연결된 다양한 입출력 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and thus may be referred to as a heat controller. The controller 180 provides various functions under the control of various input / output means connected thereto.

전원 공급부(181)는 면상 발열체(141,142)의 정격 소모 전류 및 전압에 적합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81)는 가정용 전원을 직접 사용하거나,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전원으로서 솔라셀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1)는 무선전력공급장치, 예를 들어 무접점 충전장치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81 supplies power suitable for the rated current consumption and voltag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The power supply unit 181 may directly use a home power source or may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and may further include a solar cell as a power generation source.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8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for example, a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nd the like to supply the device.

입력부(131)는 조작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며, 다용도 조리기(100)의 조작에 관한 입력신호를 받아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입력부(131)는 다이얼 방식으로 조작하는 형태, 터치 방식으로 조작하는 형태 또는 클릭 방식으로 조작하는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개선하기 위해, 입력부(131)는 디스플레이부(132)와 직접 연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32)는 터치스크린 형태가 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31 is implemented in an operable form, and receives an input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cooker 100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180. The input unit 131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a dial operation, a touch operation, a click operation, or the like. In order to improve a user interface, the input unit 131 may be implemented to b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display unit 132. As one example, the display unit 132 may be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온도센서(182)는 면상 발열체(141,142)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면상 발열체(141,142)의 과열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온도센서(182)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에 따라 면상 발열체(141,142)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한다.The temperature sensor 182 may be mount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or to measure whether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are overheat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82.

습도센서(183)는 대상물의 조리 상태를 습도에 의하여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습도센서(183)에 의해 조리 또는 건조가 완료되었음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면상 발열체(141,142)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중단한다. 반대로 습기가 어느 정도 필요한 조리 대상물인 경우, 수용공간(S)이 일정치 이하의 습도라면, 습도센서(183)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인가한다. 제어부(180)는 그에 따라 물을 보충하라는 경보를 디스플레이부(132) 또는 음성 출력부(187) 등에 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humidity sensor 183 is configured to detect the cooking state of the object by humidit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ooking or drying is completed by the humidity sensor 183, the controller 180 stops supplying power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On the contrary, in the case where the cooking object requires a certain degree of humidity, if the receiving space S has a humidity of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the humidity sensor 183 detects it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ler 180.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o output an alarm for replenishing water by the display unit 132 or the voice output unit 187.

연기감지 센서(184)는 수용공간 내의 대상물이 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180)는 연기감지 센서(184)에 의하여 연기 농도가 일정치 이상인 경우, 대상물이 타는 것으로 판명하고 면상 발열체(141,142)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후속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The smoke sensor 184 detects whether an object in the accommodation space burns and applies a signal to the controller 180. If the smok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by the smoke sensor 184,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object is burning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and take a follow-up action.

개폐센서(185)는 상부 케이스(1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개폐센서(185)는 상부 케이스(110)가 닫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으로서, 상부 케이스(11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면상 발열체(141,142)에의 전원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open / close sensor 185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upper case 110 is opened or closed. The opening / closing sensor 185 checks whether the upper case 110 is closed. When the upper case 110 is open, the opening / closing sensor 185 blocks the supply of power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to prevent inadvertent safety accidents. have.

로드 센서(186)는 수용공간(S) 내에 대상물이 위치되어 있는지를 감지한다. 대상물이 없는 무부하 상태에서 면상 발열체(141,142)가 발열되는 경우 과열될 수 있으므로, 로드 센서(186)가 이를 사전에 감지함으로써 이를 차단한다.The load sensor 186 detects whether an object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If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are heated in the no-load state without an object, the load sensor 186 may block them by detecting them in advance.

면상 발열체(141,14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막형의 탄소나노튜브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를 통하여 발열되어 계란, 생선 등의 구이 또는 건조 등을 위한 열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lanar heating elements 141 and 14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hin carbon nanotube film, and are hea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provide heat for roasting or drying eggs and fish.

음성 출력부(187)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음성에 의한 알람신호 또는 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한다.The voice output unit 187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an alarm signal or a reproduction sound of the media.

디스플레이부(132)는 다용도 구이기(100)의 조작과 관련된 시각정보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2)에 의하여 출력되는 정보는 숫자, 문자, 기호 또는 아이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2) 대신 점멸이 가능한 램프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32 outputs visu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griller 100. The information output by the display unit 13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numbers, letters, symbols, or icons. Instead of the display unit 132 may be implemented by a lamp that can be blinking.

이외에도 다용도 구이기(100)는 라디오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수신부는 FM 또는 AM 라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전용화된 모듈로서, 다용도 구이기(100) 주위에 있는 사용자가 음성 출력부(187)에 의하여 라디오 방송을 직접 청취할 수 있게 한다. 라디오 무선신호의 수신을 위하여 안테나는 도전성이 있는 면상발열체의 탄소나노튜브 부분을 일 형태로 패턴화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multi-purpose roaster 100 may include a radio receiver. The radio receiver is a module dedicated to receive an FM or AM radio broadcast signal, and allows a user around the multipurpose griller 100 to directly listen to the radio broadcast by the voice output unit 187. In order to receive a radio radio signal, the antenna may be realized by patterning a carbon nanotube portion of a conductive planar heating element in one form.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투명한 면상 발열체에 색상 변화층을 적용한 예를 보인 도면들이다. 7A and 7B illustrate examples of applying a color change layer to a transparent planar heating element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의하면, 투광성의 면상 발열체(141)는 발열 여부의 확인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투명한 상부 케이스(110) 또는 면상 발열체(141)의 일측면에 면상 발열체(141)의 온도에 따라 색깔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온도 감응형 잉크에 의하여 인쇄된 색상 변화층(19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온도 감응형 잉크는 알려진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se drawings, since the translucent planar heating element 141 may be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heat is generated, the col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141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upper case 110 or the planar heating element 141. The color change layer 190 printed by the temperature sensitive ink may be formed. Such temperature-sensitive inks may be applied with known means.

색상 변화층(190)은 면상 발열체(141)의 가열 정도에 따라 일정한 시각적 효과 또는 정보를 제공한다. 일 예시로서, 색상 변화층(190)이 상온에서는 색을 띄지 않거나 초록색 등에 의하여 구현된 상태(도 7a)에서 면상 발열체(141)가 발열되면 일정한 변색에 의하여 화상 주의 등의 경고 정보가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7b). 이러한 색상 변화층(190)은 문자 또는 심벌 등을 통하여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color change layer 190 provides a constant visual effect 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ting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141. As an example, the color change layer 190 is configured to display warning information such as image caution due to a certain color change when the planar heating element 141 generates heat in a state where the color change layer 190 does not have a color or is implemented by green or the like (FIG. 7A). This can be done (FIG. 7B). The color change layer 190 may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through letters or symbols.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격자틀을 갖는 다기능 구이판의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격자틀을 이용하여 조리를 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들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grill plate having a lattice frame as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cooking using the lattice frame of FIG. 8.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예의 다용도 구이기(200)는 대상물을 구획하거나 모양을 한정하기 위한 격자틀(261, 262)을 포함한다. 격자틀(261, 262)은 스테인리스스틸판, 알루미늄판 또는 동판과 같이 열전도도가 우수한 판재를 가공한 것으로서, 면상 발열체(241, 242)에서 복사된 열 또는 수용공간(S) 내의 공기의 대류열을 공급받아 대상물이 쉽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multi-purpose griller 200 of this example includes gratings 261 and 262 for partitioning or defining shapes. The lattice frames 261 and 262 are processed by a plate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stainless steel plate, aluminum plate or copper plate, and are radiated from the planar heating elements 241 and 242 or convective heat of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So that the object can be baked easily.

이러한 격자틀(261, 262)은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형태 또는 조합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의하면, 격자틀(261, 262)은 하부 케이스(220)에 배치되는 제1격자틀(261)과 상부 케이스(210)에 배치되는 제2격자틀(2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1격자틀(261) 및 제2격자틀(262)에는 제1모양홈(261a, 262a)과 제2모양홈(261b, 262b)이 각각 형성된다. 제1모양홈(261a, 262a)과 제2모양홈(261b, 262b)은 상이한 형태의 대상물에 각각 적합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모양홈(261a, 262a)이 일정 크기를 갖는 계란류 또는 감자나 고구마와 같은 덩이 야채류가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계란류 또는 덩이 야채류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제1모양홈(261a, 262a)은 관통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rids 261 and 262 may have different shapes or combina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object. Specifically, according to FIG. 8, the grid frames 261 and 262 may include a first lattice frame 261 disposed on the lower case 220 and a second lattice frame 262 disposed on the upper case 210. Can be. First and second grooves 261a and 262a and second shape grooves 261b and 262b are formed in the first grid frame 261 and the second grid frame 262, respectively. The first shape grooves 261a and 262a and the second shape grooves 261b and 262b are formed to be suitable for different types of objects,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shape grooves 261a and 262a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locating egg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tubers such as potatoes or sweet potatoes. The first shape grooves 261a and 262a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through holes so as to accommodate eggs or tubers of various sizes.

제2모양홈(261b, 262b)은, 예를 들어, 붕어빵을 굽는 경우, 격자틀(261, 262)은 반죽(Q)이 구워지는 동안 특정한 모양을 가질 수 있도록 몰드 형태로 형성된다. The second shape grooves 261b and 262b are, for example, when grilling crucian carp, the grid frames 261 and 262 are formed in a mold shape so as to have a specific shape while the dough Q is baked.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제1모양홈(261a, 262a)과 제2모양홈(261b, 262b)은 하나의 격자틀(261, 262)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9a와 같이, 계란류 또는 덩이 야채류를 굽는 경우, 제2격자틀(262)은 생략될 수 있다. As such, the first shape grooves 261a and 262a and the second shape grooves 261b and 262b having different shapes may be provided in one lattice frame 261 and 262. However, as shown in Figure 9a, when baking eggs or tubers, the second grid 262 may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다용도 구이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의하면, 다용도 구이기(300)는 격자틀(360)에 면상발열체(341)가 배치된 것을 보인다. 즉, 격자틀(360)은 대상물(E)을 구획할 수 있게 형성된 격자틀 몸체(361)와 격자틀 몸체(361)의 형상을 따라 격자틀 몸체(361)에 적층된 형태의 면상발열체(341)를 갖는다. 상부 케이스(310)와 하부 케이스(320)의 각 내부에는 면상발열체(341)에 의하여 발생된 열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단열층(351,35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층(351,352)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에어로겔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예에 의하면, 각 모양홈에 안착된 대상물(E)은 면상발열체(341)로부터 열전달 경로가 짧아지므로 구이 또는 건조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use gril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versatile roaster 300 shows that the planar heating element 341 is disposed in the lattice frame 360. That is, the lattice frame 360 is a planar heating element 341 in the form of a lattice frame body 361 and a lattice frame body 361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lattice frame body 361 so as to partition the object (E). Has Each of the upper case 310 and the lower case 320 may include heat insulation layers 351 and 352 to prevent leakage of heat gener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341. The heat insulation layers 351 and 352 may be formed by an airgel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xample, since the heat transfer path is shortened from the planar heating element 341, the object E seated in each shape groove can increase energy efficiency during roasting or drying.

이상에서 설명한 다용도 구이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versatile roaster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a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다용도 구이기 110: 상부 케이스
112: 윈도우 113: 손잡이
114: 걸림턱 117: 힌지
120: 하부 케이스 123: 테두리홈
124: 과압해소부 131: 입력부
132: 디스플레이부 141,142: 면상 발열체
151,152: 단열층 141-1: 베이스층
141-2: 탄소나노튜브층 141-3: 보호층
190: 색상 변화층
100: multi-purpose baking 110: upper case
112: Windows 113: handle
114: engaging jaw 117: hinge
120: lower case 123: edge groove
124: overpressure release unit 131: input unit
132: display unit 141, 142: planar heating element
151, 152: heat insulation layer 141-1: base layer
141-2: carbon nanotube layer 141-3: protective layer
190: color change layer

Claims (17)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에 각각 배치되고,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열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가열하는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면상 발열체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면상 발열체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 면에 박막으로 도포되는 투광성의 탄소나노튜브층;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의 외측에 부착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다용도 구이기.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planar heating element disposed in each of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nd being heated by electric energy to heat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t includes a power supply that is formed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e planar heating element,
Base layer;
A transmissive carbon nanotube layer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s a thin film; And
And a protective layer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rbon nanotub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회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에 의하여 연결된, 다용도 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upper case is pivo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and connected by a hinge to open and clo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면상 발열체는 투광성 재질에 의하여 형성된, 다용도 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is formed by a translucent material, multi-purpose grill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면상 발열체에 온도감응 잉크가 도포된 색상 변화층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olor change layer coated with a temperature sensitive ink on the upper case or the planar heating elem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면상 발열체 사이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면상 발열체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단열층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heat insula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planar heating ele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에어로겔(aerogel)에 의하여 형성된, 다용도 구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hermal insulation layer is formed by an aerogel, multi-purpose roa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대상물을 구획하거나 모양을 한정하기 위한 격자틀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
It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further comprising a grid for partitioning or defining the object, versatile roas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틀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부착되는 상부 격자틀;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부착되는 하부 격자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격자틀 및 상기 하부 격자틀은 상기 대상물의 형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양홈을 갖는, 다용도 구이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rid is,
An upper lattice frame attached to the upper case; And
A lower lattice frame attached to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grating and the lower grating have a plurality of shape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bjec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틀은 스테인리스스틸판, 알루미늄판 또는 동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다용도 구이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rid is formed by at least one of stainless steel plate, aluminum plate or copper plate, multi-purpose grill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홈은,
제1대상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모양홈; 및
제2대상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모양홈을 포함하는, 다용도 구이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hape groove,
At least one first shap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bject; And
A multipurpose roaster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shape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the planar heating element, multi-purpose roaster.
제1항에 있어서,
선택 가능한 정보 또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형성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한 입력 상태 또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온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
An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selectable information or control signals; And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nput state of the input unit or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면상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하는, 다용도 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formed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egree of heat generated by the planar heating element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면상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하는, 다용도 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humidity sensor formed to detect the humidity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trol unit is a multi-purpose griller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heat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의 대상물이 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면상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하는, 다용도 구이기.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smok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object in the accommodation space burns,
The control unit is a multi-purpose griller for controlling the heat generation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detected by the smoke detection sensor.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며, 대상물이 대응하여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격자틀;
상기 격자틀에 배치되고,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열되는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면상 발열체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면상 발열체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 면에 박막으로 도포되는 투광성의 탄소나노튜브층;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층의 외측에 부착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다용도 구이기.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lattice fram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formed such that an object can be accommodated correspondingly;
A planar heating element disposed on the lattice frame and generating heat by electric energy; And
It includes a power supply that is formed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planar heating element,
The planar heating element,
Base layer;
A transmissive carbon nanotube layer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s a thin film; And
And a protective layer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rbon nanotube layer.
KR1020110009453A 2011-01-31 2011-01-31 Multifunctional oven KR1013384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53A KR101338410B1 (en) 2011-01-31 2011-01-31 Multifunctional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53A KR101338410B1 (en) 2011-01-31 2011-01-31 Multifunctional ov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33A KR20120088233A (en) 2012-08-08
KR101338410B1 true KR101338410B1 (en) 2013-12-10

Family

ID=4687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453A KR101338410B1 (en) 2011-01-31 2011-01-31 Multifunctional ov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4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240Y1 (en) * 2021-07-20 2022-12-07 주식회사 오토모인터내셔널 An apparatus of waffle
KR20230130968A (en) * 2022-03-04 202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oking condi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6087U (en) * 1991-06-12 1992-12-17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cooking pot
JPH09299068A (en) * 1996-05-13 1997-11-25 Tokai Konetsu Kogyo Co Ltd Small-sized laver roasting device
KR20040037530A (en) * 2002-10-29 2004-05-07 김백륭 Low temperrature cooking apparatus of meat
KR101005571B1 (en) * 2010-08-20 2010-12-31 강병훈 Toaster device of type of heat-generating f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6087U (en) * 1991-06-12 1992-12-17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cooking pot
JPH09299068A (en) * 1996-05-13 1997-11-25 Tokai Konetsu Kogyo Co Ltd Small-sized laver roasting device
KR20040037530A (en) * 2002-10-29 2004-05-07 김백륭 Low temperrature cooking apparatus of meat
KR101005571B1 (en) * 2010-08-20 2010-12-31 강병훈 Toaster device of type of heat-generating 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33A (en)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2843B (en) Far-infrared ray ceramic flat-plate heating module
KR101279547B1 (en) Self heating container
KR101338410B1 (en) Multifunctional oven
JP2019013704A (en) Heating cooker
CN102327069A (en) Oven comprising handle with control panel
CN203088715U (en) Split type electric pressure cooker
KR100924490B1 (en) Cooking and conserving cooker using vaccum tool and control device thereof
KR101065281B1 (en) Portable electric range
CN107198460A (en) A kind of energy-efficient Domestic electric oven
KR101659582B1 (en) Cook top for cooking vessel
CN203290701U (en) Electric heating cooker
KR101005571B1 (en) Toaster device of type of heat-generating face
KR102438930B1 (en) Food Warm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6607377B2 (en) Cooker
CN201098010Y (en) Food baking machines
CN104739257A (en) Automatic electric temperature-controllable oven
CN205338611U (en) Novel multifunction electric pressure cooker
CN206861622U (en) A kind of light and thin type electric ceramic heaters
CN204813364U (en) Rice cooker
KR101478943B1 (en) Multi portable cooker
JP2014031893A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CN202223058U (en) Power-off protection structure of baking tray
CN218154351U (en) Cooking utensil
KR101331602B1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KR101928465B1 (en) Hitting cooker of yellow s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