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385B1 -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385B1
KR101279385B1 KR1020110055027A KR20110055027A KR101279385B1 KR 101279385 B1 KR101279385 B1 KR 101279385B1 KR 1020110055027 A KR1020110055027 A KR 1020110055027A KR 20110055027 A KR20110055027 A KR 20110055027A KR 101279385 B1 KR101279385 B1 KR 101279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vehicle door
door frame
vehicl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047A (ko
Inventor
오원석
배기경
김기홍
박정순
김진성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38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1Blind sheets, e.g. shape of sheets, reinforcements in sheet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7End position holding means, e.g. suction cups, hooks on a vehicle, indentations on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도어 블라인드의 설치작업과정에서의 작업 공차로 인하여 패브릭이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지지 못함에 따라 발생하는 주름(또는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는, 차량 도어 프레임을 통하여 차량 내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감소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후크 및 광감소부재가 후크에 지지되는 경우 후크가 차량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만큼 탄성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후크와 차량 도어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HOOK SPRING APPARATUS OF VEHICLE DOOR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의 차광용 블라인드를 설치하기 위한 후크 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도어 블라인드의 설치 모습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도어 블라인드를 측면에서 본 모습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차량의 도어에서 셰이드 바(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셰이드 바(2)에 연결된 패브릭(1)이 상방으로 인출된다. 도어의 내부에는 패브릭(1)에 대하여 하방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권취샤프트(미도시)가 설치된다. 도어 상단에 설치된 두 군데의 후크(3)에 셰이드 바(2)를 걸 수 있도록 셰이드 바(2)에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차량 도어 블라인드의 설치작업과정에서 소정의 작업 공차가 발생함에 따라 패브릭(1)이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지지 못하고 주름(A)(또는 처짐)이 형성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듯이, 패브릭(1)의 중간부는 유리면과 거리 D2를 형성하고, 패브릭(1)의 상부는 유리면과 거리 D1을 형성하고 있다.(D2>D1) 즉, 패브릭의 한쪽 측면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패브릭의 주름(A) 또는 한쪽 측면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는 두 군데의 후크(3)가 이루는 직선과 셰이드 바(2)가 서로 평행을 이루지 못하는 현상 때문이다. 결국, 두 군데의 후크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후크에는 권취 샤프트에 의한 인장력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주름(A) 또는 처짐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도어 블라인드의 설치작업과정에서의 작업 공차로 인하여 패브릭이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지지 못함에 따라 발생하는 주름(또는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는, 차량 도어 프레임을 통하여 차량 내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감소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후크; 및 상기 광감소부재가 상기 후크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후크가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만큼 탄성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와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일측 단부는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후크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가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후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후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가 탄성적으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탄성체의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탄성체의 타측은 상기 후크 내측에 형성된 지지턱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광감소부재의 제1 지점을 지지하는 제1 후크와 상기 제1 지점과 다른 제2 지점을 지지하는 제2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상호간의 높이차가 기설정값과 오차값 만큼 차이가 있더라도 상기 광감소부재가 상기 후크에 지지되는 경우에 상기 오차값의 적어도 일부분은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감소부재가 상기 후크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후크와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 사이에 발생하는 틈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갭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수직연장부와,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연장부의 상기 수평 방향에 대한 직교 단면의 중앙부 두께가 양단부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은, 차량 본체; 창문이 형성된 차량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 본체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차량 본체 내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감소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후크; 및 상기 광감소부재가 상기 후크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후크가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만큼 탄성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와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 도어 블라인드의 설치작업과정에서의 작업 공차로 인하여 패브릭이 전체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지지 못함에 따라 발생하는 주름(또는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도어 블라인드의 설치 모습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도어 블라인드를 측면에서 본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가 설치된 도어를 차량 실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수평연장부를 절단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에 있어서, 셰이드 바가 후크에 설치되기 이전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에 있어서, 셰이드 바가 후크에 설치된 이후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가 설치된 도어를 차량 실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09)를 파지하여 셰이드 바(107)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셰이드 바(107)에 연결된 패브릭(108)이 상방으로 인출된다. 차량 도어의 내부에는 패브릭(108)에 대하여 하방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권취샤프트(미도시)가 설치된다. 차량 도어 상단의 프레임 이너 커버(frame inner cover)(106)에 설치된 두 군데의 후크(101)에 셰이드 바(107)를 걸 수 있도록 셰이드 바(107)에는 관통홈(107a)이 형성되어 있다. 차량 도어는 전체적인 형태 또는 골격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차량 도어 프레임을 포함한다. 차량 도어 프레임은 차량 도어 상단에 설치되는 프레임 이너 커버(106)를 포함한다. 프레임 이너 커버(106)는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차량 도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차량 도어 프레임은 일체로 프레임 이너 커버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셰이드 바(107)와 패브릭(108)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 내부로 입사되는 외부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감소부재에 해당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셰이브 바가 없이 패브릭 자체에 후크가 걸릴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광감소부재는 광량을 감소시키는 재질로서 천막, 비닐, 플라스틱, 금속, 기타 유사한 차광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감소부재의 형태는 천막, 비닐막과 같은 평면형태일 수도 있고, 복수의 플라스틱 조각, 금속편 등의 조립체의 형태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보듯이, 후크 스프링 장치는 후크(101), 후크 캡(102), 스크류(103), 스프링(104), 너트(105)를 포함한다.
후크(101)는 셰이드 바(107)의 관통홈(107a)에 삽입되어 셰이드 바(107)를 지지함으로써 패브릭(108)이 외부광선을 차단하도록 한다. 후크(101)는 수직연장부(101a), 수평연장부(101b), 턱부(101c)를 포함한다. 수직연장부(101a)는 프레임 이너 커버(106)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스크류(103), 스프링(104), 너트(105)를 수용한다. 수평연장부(101b)는 수직연장부(101a)의 하단부에서 차량 내부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부분으로서, 상면에 셰이드 바(107)가 적재될 수 있다. 턱부(101c)는 수평연장부(101b)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수평연장부(101b) 상면에 적재된 셰이드 바(107)가 미끄러져 낙하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수직연장부(101a)의 하단에는 스프링(104) 및 너트(105)를 조립할 수 있도록 관통홈(101d)이 형성되며, 스프링(104) 및 너트(105)의 조립이 완료된 다음에는 관통홈(101d)을 폐쇄시키도록 후크 캡(102)이 삽입설치될 수 있다.
스크류(103)는 차량 도어의 상단에 설치되는 프레임 이너 커버(106)의 내측 방향에서 삽입되며, 후크(101)의 수직연장부(101a) 내부에서 너트(105)와 결합된다. 즉, 스크류는 일측 단부가 차량 도어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후크 내부에 삽입되어 후크가 승강가능하도록 후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에 포함된다.
스크류(103)의 단부에는 소정의 거리까지만 너트(105)가 체결될 수 있도록 스크류턱부(103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하로 너트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설치되는 스프링(104)은 후크(101)의 수직연장부(101a) 내부의 스프링지지턱(101e)과 스크류턱부(103a) 사이의 거리만큼 압축될 수 있다.
스프링(104)은 후크(101)의 수직연장부(101a) 내부의 스프링지지턱(101e)과 너트(105)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이다. 후크(101)는 너트(105)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힘을 받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후크(101)의 의 수직연장부(101a) 상단은 프레임 이너 커버(106)에 접하고 있으므로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너트(105)는 연결부재인 스크류(103)의 단부에 설치되어 스프링(104)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코일 스프링 이외에 탄성재질의 플라스틱 수지, 탄성 고무 등이 탄성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수직연장부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상부 수직연장부와 하부 수직연장부로 구성된다고 가정할 때, 상부 연장부는 이너 프레임 커버에 고정설치되고, 하부 수직연장부는 그 단부가 상부 연장부에 삽입되는 형태 또는 그 반대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수직연장부와 하부 수직연장부 사이의 내부에 탄성체가 설치되어서 하부 수직연장부는 탄성적으로 하방으로 하강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갭 커버(110)가 상부 수직연장부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조립순서를 살펴보면, 후크(101)를 프레임 이너 커버(106)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스크류(103)를 프레임 이너 커버(106)의 내측에서 삽입하고, 스프링(104) 및 너트(105)는 후크(102)의 관통홈(101d)을 통하여 하부에서 삽입하여 체결한다. 마지막으로 후크 캡(102)을 후크(102)의 관통홈(101d)에 결합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수평연장부를 절단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듯이, 후크(101)의 수평연장부(101b)는 그 중앙 상면부가 상방으로 완만한 호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수평연장부(101b)의 하면은 직선을 유지한 가운데 중앙부의 두께는 T2를 형성하고, 양단부의 두께는 T1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평연장부(101b)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중앙부 두께(T2)가 양단부 두께(T1)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T2는 T1보다 큰 값이다. 이에 따라, 후크(101)를 설치하면서 후크의 설치각도에 작업공차가 발생하더라도 후크(101)의 수평연장부(101b)에 적재되는 셰이드 바(107)는 두 군데의 후크(101)가 상호간에 이루는 직선과 보다 평행에 가깝게 유지될 수 있다. 왜냐하면, 수평연장부 양단부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이다. 프레임 이너 커버(106)에 후크가 왼쪽으로 약간 비뚤어지게 설치되었다고 가정해보자. 후크에 걸린 셰이드 바는 수평연장부의 왼쪽 모서리에 접한 상태가 되면서 약간 상방으로 들린 상태가 된다. 이 때, 수평연장부의 양단부가 T1만큼 얇아진다면 셰이드 바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에서 보듯이, 후크(101)와 프레임 이너 커버(106) 사이에 갭 커버(110)가 설치될 수 있다. 후크(101)에 하방으로 하중이 작용할 때 후크(101)는 하방으로 소정 거리 만큼 쳐질 수 있다. 이때, 후크(101)와 프레임 이너 커버(106) 사이에 갭이 발생하게 되어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다. 그러한 갭은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갭 커버(110)는 후크(101)와 프레임 이너 커버(106) 사이의 갭을 가리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에 보듯이, 갭 커버(110)는 프레임 이너 커버(106)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갭 커버(110)는 프레임 이너 커버(106)와 별도로 제작된 다음에 추후 조립될 수도 있다. 갭 커버(110)가 프레임 이너 커버(106)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후크(101)와 프레임 이너 커버(106)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갭의 폭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이너 커버(106)에 형성된 가이드턱(106a)은 후크(101)가 측방향으로 이탈되거나 측방향으로 틀어지지 않도록 하고 상하방으로 가이드 되도록 유도한다.
실험예에 따르면, 작업공차에 의하여 셰이드 바의 양단부는 서로 2 밀리미터 정도 상하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따라, 셰이드 바는 어느 한쪽으로 미세하게 경사를 이루게 된다. 스프링의 압축강도 및 기타 조건을 설정한 결과, 보다 높은 쪽의 셰이드 바에 인접한 후크가 2 밀리미터 정도 하강하도록 조절이 가능하였다.
즉, 후크(101)와 프레임 이너 커버(106) 사이에 2 밀리미터 정도의 갭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갭 커버(110)의 높이는 적어도 일정한 여유분을 가져야 하므로 프레임 이너 커버(106)와 후크(101) 사이의 갭보다 크도록 약 3 밀리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보듯이, 후크 캡(102)에는 양쪽에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02a)가 형성되며, 연장부(102a)의 단부에는 걸림부(102b)가 형성된다.
걸림부(102b)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서 후크 캡(102)을 관통홈(101d)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후크 캡(102)이 소정 거리만큼 삽입되면 걸림부(102b)에 의하여 하방으로 후크 캡(102)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에 있어서, 셰이드 바가 후크에 설치되기 이전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스프링 장치에 있어서, 셰이드 바가 후크에 설치된 이후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A 부분은 도 3에서 보았을 때 왼쪽의 후크를 나타내며, B부분은 도 3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의 후크를 나타냈다. 도 11에서 보듯이, 작업공차에 의하여 세이드 바(107)의 왼쪽 부분이 오른쪽 부분보다 D3(기설정값에 대한 오차값) 만큼 낮을 수 있다. D3는 대략 2 밀리미터 정도일 수 있다. 도 12에서 보듯이, 셰이드 바(107)가 후크(101)에 설치되면 왼쪽의 후크(101)가 오른쪽의 후크(101)보다 대략 D3 만큼 더 하강하도록 스프링(104)의 규격이나 재질을 설정할 수 있다. 셰이드 바(107)가 후크(101)에 설치되었을 때 왼쪽의 후크(101)가 오른쪽의 후크(101)보다 대략 D3 만큼 하강하는 조건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가 보기에 패브릭에 발생하는 처짐이나 주름이 인지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D3 보다 조금 더 작게(오차값의 적어도 일부) 하강하도록 스프링의 규격이나 재질을 설정할 수도 있다.
차량 도어 내부에 설치된 권치 샤프트(미도시)의 작용에 의하여 왼쪽의 후크에 하방으로 더 큰 텐션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오른쪽의 후크보다 왼쪽의 후크가 더 많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3개 이상의 후크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9)

  1. 차량 도어 프레임을 통하여 차량 내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감소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후크; 및
    상기 광감소부재가 상기 후크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후크가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만큼 탄성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와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광감소부재의 제1 지점을 지지하는 제1 후크와 상기 제1 지점과 다른 제2 지점을 지지하는 제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상호간의 높이차가 기설정값과 오차값 만큼 차이가 있더라도 상기 광감소부재가 상기 후크에 지지되는 경우에 상기 오차값의 적어도 일부분은 유지되도록 마련되는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는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후크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가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후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후크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가 탄성적으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탄성체의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탄성체의 타측은 상기 후크 내측에 형성된 지지턱에 의하여 지지되는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소부재가 상기 후크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후크와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 사이에 발생하는 틈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갭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수직연장부와,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된 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연장부의 상기 수평 방향에 대한 직교 단면의 중앙부 두께가 양단부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9. 차량 본체;
    창문이 형성된 차량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 본체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차량 본체 내부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감소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후크; 및
    상기 광감소부재가 상기 후크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후크가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만큼 탄성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와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광감소부재의 제1 지점을 지지하는 제1 후크와 상기 제1 지점과 다른 제2 지점을 지지하는 제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상호간의 높이차가 기설정값과 오차값 만큼 차이가 있더라도 상기 광감소부재가 상기 후크에 지지되는 경우에 상기 오차값의 적어도 일부분은 유지되도록 마련되는, 후크 스프링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10055027A 2011-06-08 2011-06-08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27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027A KR101279385B1 (ko) 2011-06-08 2011-06-08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027A KR101279385B1 (ko) 2011-06-08 2011-06-08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047A KR20120136047A (ko) 2012-12-18
KR101279385B1 true KR101279385B1 (ko) 2013-07-04

Family

ID=4790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027A KR101279385B1 (ko) 2011-06-08 2011-06-08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3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235A (ko) * 2001-06-19 2002-12-3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커튼 걸이용 후크
KR20050065002A (ko) * 2003-12-24 2005-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라인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235A (ko) * 2001-06-19 2002-12-3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커튼 걸이용 후크
KR20050065002A (ko) * 2003-12-24 2005-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라인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047A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281Y1 (ko) 가구 도어틀용 손잡이 도어프레임
US20200048894A1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US7673665B2 (en) Cordless flexible window covering
EP3802982B1 (en) Building panel adapted to be mounted at a ceiling or wall of a roo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building panel
CA2653210A1 (en) A screen assembly for a window or door opening
US8695682B2 (en) Pull bar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US20170219162A1 (en) Hurricane resistant fabric clamps
KR101029151B1 (ko)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KR101279385B1 (ko) 차량 도어의 후크 스프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60115979A1 (en) Fixture for a vehicle
KR101632323B1 (ko) 벽체 마감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5782983B2 (ja) 膜天井構造、膜天井張設部材及び膜天井の施工方法
US20170058598A1 (en) Covering device for opening of building and headrail structure thereof
KR20210000034U (ko) 방충망 결합구조
KR20150002213U (ko) 방충망 및 그에 사용되는 방충망지 고정대
KR102264686B1 (ko) 창문 가리개
US20160114740A1 (en) Fixture for a vehicle
KR200462081Y1 (ko) 조립시공 및 교체시공이 용이한 방충망용 프레임 구조
KR101886121B1 (ko) 스크린 가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170084651A (ko) 복층 유리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홀딩장치
KR101745301B1 (ko) 창틀 보호재 고정구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JP6038496B2 (ja) 日射遮蔽装置
KR101571536B1 (ko) 뒤틀림 보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