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130B1 -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130B1
KR101279130B1 KR1020120147098A KR20120147098A KR101279130B1 KR 101279130 B1 KR101279130 B1 KR 101279130B1 KR 1020120147098 A KR1020120147098 A KR 1020120147098A KR 20120147098 A KR20120147098 A KR 20120147098A KR 101279130 B1 KR101279130 B1 KR 101279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ackage
battery pack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혁휘
황호석
박종운
강향원
박승용
송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Priority to KR102012014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보호 소자가 패키징된 보호 모듈 패키지(protection module package; PMP)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면에 음극 탭과 양극판이 형성된 배터리 셀과, 배터리 팩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보호 모듈 패키지 및 상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보호 모듈 패키지는 배터리 셀의 음극 탭 및 양극판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을 보호하는 보호 회로 소자가 패키징되며, 상부로 단자 패드가 노출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덮도록 배터리 셀에 결합되며, 상부로 보호 모듈 패키지의 단자 패드가 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Battery pack having protection module package}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보호 소자가 패키징된 보호 모듈 패키지(protection module package; PMP)를 갖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외장형(hard pack) 전지와 내장형(inner pack) 전지로 분류된다. 특히 내장형 전지, 즉 배터리 인너팩(이하 '배터리 팩'이라 한다)은 핸드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타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터리 팩은 외장형 전지에 비해 장착의 번거로움은 있지만 저렴하고 호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팩은 휴대용 단말기를 슬림화할 수 있고, 이동성을 보장하고,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공급 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의 상단에 형성된 음극 및 양극 단자에 접속되는 양극 및 음극 접지부를 통해 각각 배터리 셀과 외부회로를 접속하는 보호 회로 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 PCM)이 양극 및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보호 회로 모듈은 배터리 팩의 셀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배터리 셀로 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 및 리튬폴리머전지는 최적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충전 및 과방전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셀(Cell)당 충전전압이 4.5V를 넘을 경우 전해질이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하게 되거나, 안전 밸브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셀 간의 압력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셀에서 전해질이 누출하게 되며, 이것은 폭발의 위험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반면 배터리 팩을 과방전시킬 경우, 음극이 파손되어 배터리 팩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리튬이차전지의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보호 회로 모듈은 과충전 방지, 과방전 방지, 과전류 방지 등과 같은 배터리 팩의 보호 기능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 회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위에 집적회로 소자, FET(field effect transistor) 등과 같은 보호 회로 소자가 실장된 구조를 갖는다.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된 보호 회로 소자는 외부에 노출된 구조를 갖고, 보호 회로 소자는 각각 완제품의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보호 회로 모듈은 배터리 팩의 전극 단자가 형성된 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이후에, 케이스에 덮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런데 종래의 보호 회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위에 다수의 보호 회로 소자가 실장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보호 회로 소자가 케이스에 덮여 보호되기는 하지만 외부에 노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배터리 팩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 및 습기 등에 취약한 측면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호 회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위에 다수의 보호 회로 소자가 실장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보호 회로 모듈의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배터리 팩의 한정된 공간에서 보호 회로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배터리 팩의 셀 용량을 증대시키는 데도 한계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보호 회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된 다수의 보호 회로 소자가 노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보호 회로 소자에 기계적인 충격이 작용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 회로 소자가 패키징된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 회로 소자를 패키징하여 배터리 팩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 회로 소자를 패키징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습기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 회로 모듈의 크기를 줄여 배터리 팩의 셀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공정이 용이한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호 회로 소자가 패키징된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상면에 음극 탭과 양극판이 형성된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 탭 및 양극판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을 보호하는 보호 회로 소자가 패키징되며, 상부로 단자 패드가 노출되는 보호 모듈 패키지(protection module package; PMP)와, 상기 보호 모듈 패키지를 덮도록 상기 배터리 셀에 결합되며, 상기 보호 모듈 패키지의 단자 패드가 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보호 모듈 패키지는 다이 패드, 복수의 내부 리드, 복수의 본딩 와이어, 패키지 몸체, 음극 외부 리드 및 양극 외부 리드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 패드는 상기 보호 회로 소자가 실장된다. 상기 복수의 내부 리드는 상기 다이 패드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본딩 와이어는 상기 보호 회로 소자와 복수의 내부 리드를 연결한다. 상기 패키지 몸체는 상기 다이 패드, 상기 보호 회로 소자, 복수의 내부 리드 및 본딩 와이어를 봉합한다. 상기 음극 외부 리드는 상기 패키지 몸체의 일측의 내부 리드와 연결되어 상기 패키지 몸체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음극 탭에 접합된다. 그리고 양극 외부 리드는 상기 패키지 몸체의 타측의 내부 리드와 연결되어 상기 패키지 몸체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양극판에 접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리드는 상기 음극 외부 리드와 연결되는 음극 내부 리드와, 상기 양극 외부 리드와 연결되는 양극 내부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양극 외부 리드 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내부 리드는 일정 간격을 두고 패키지 몸체 밖으로 노출되는 음극 단자 패드 및 양극 단자 패드의 단자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음극 단자 패드 및 양극 단자 패드가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부구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양극 외부 리드는 상기 음극 단자 패드 및 양극 단자 패드가 형성된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판에 레이져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음극 외부 리드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를 매개로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 탭에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다이 패드에 실장되는 상기 보호 회로 소자는 상기 다이 패드 위에 접합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와, 상기 FET 위에 적층된 집적회로 소자, 및 상기 FET에 이웃하는 상기 다이 패드 위에 접합되는 제1 수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딩 와이어는 상기 음극 외부 리드에 연결된 상기 음극 내부 리드와 상기 FET를 연결하는 제1 본딩 와이어와, 상기 양극 외부 리드 쪽에 형성된 음극 단자 패드와 상기 FET를 연결하는 제2 본딩 와이어와, 상기 음극 외부 리드에 연결된 상기 음극 내부 리드와 상기 집적회로 소자를 연결하는 제3 본딩 와이어, 및 상기 양극 외부 리드 쪽에 형성된 양극 단자 패드와 상기 다이 패드를 연결하는 제4 본딩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패드는 상기 양극 내부 리드를 매개로 상기 양극 외부 리드와 연결되어 상기 패키지 몸체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단자 패드와 상기 다이 패드 사이에 복수의 음극 단자 패드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 소자는 상기 복수의 음극 단자 패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수동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다이 패드와 상기 음극 단자 패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4 본딩 와이어를 매개로 한 상기 다이 패드와 상기 양극 단자 패드를 연결하는 더미 단자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제4 본딩 와이어는 상기 다이 패드와 상기 더미 단자 패드를 연결하는 제4-1 본딩 와이어와, 상기 더미 단자 패드와 상기 양극 단자 패드를 연결하는 제4-2 본딩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의 상면의 양극판 안쪽에 부착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보호 모듈 패키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음극 탭이 노출되는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절연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상부 절연 시트와 상기 보호 모듈 패키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개방부에 대응되게 제2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부 절연 시트와, 상기 하부 절연 시트를 덮도록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역삽입을 방지하는 후크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쪽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보호 회로 모듈이 패키지 형태의 보호 모듈 패키지로 구현되기 때문에, 배터리 팩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모듈 패키지는 패키지 몸체 내부에 보호 회로 소자가 내장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배터리 팩으로 제조된 이후에 외부의 충격이나 습기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 회로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회로 모듈이 패키지 형태의 보호 모듈 패키지로 구현되기 때문에, 보호 회로 모듈의 크기를 줄여 배터리 팩의 내부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터리 팩의 셀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보호 모듈 패키지에 내장되는 보호 회로 소자는 완제품이 아닌 칩 형태로 내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호 모듈 패키지의 크기를 기존의 보호 회로 모듈에 비해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호 회로 모듈이 패키지 형태의 보호 모듈 패키지로 구현되기 때문에,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보호 회로 소자에 기계적인 충격이 작용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배터리 팩의 제조 공정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보호 모듈 패키지는 기존의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보호 회로 모듈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내부 저항(internal resistance; IR)을 갖기 때문에, 내부 저항의 관리가 용이하고 배터리 팩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상부 케이스는 한쪽에 후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부 케이스가 역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호 모듈 패키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보호 모듈 패키지가 배터리 셀의 상면에 실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상부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 모듈 패키지(30)를 갖는 배터리 팩(100)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셀(10)을 보호하는 보호 회로 모듈이 패키지 형태의 보호 모듈 패키지(30)로 구현되며, 배터리 셀(10)과 상부 케이스(80)에 개재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셀(10), 보호 모듈 패키지(30) 및 상부 케이스(80)를 포함한다. 배터리 셀(10)은 상면(12)에 음극 탭(16)과 양극판(18)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배터리 셀(10)의 음극 탭(16) 및 양극판(18)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10)을 보호하는 보호 회로 소자(40)가 패키징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80)는 보호 모듈 패키지(30)를 덮도록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로 보호 모듈 패키지(30)의 단자 패드(60)가 노출되는 개구부(81,8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81,83)은 단자 패드(60) 중 음극 단자 패드가 노출된 제1 개구부(81)와 양극 단자 패드가 노출되는 제2 개구부(83)를 포함한다.
그 외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셀(10)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절연 시트(21), 배터리 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절연 시트(91) 및 하부 케이스(93), 배터리 셀(1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포장 라벨(9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팩(100)은 얇은 사각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셀(10)은 얇은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상면(12)에 상부 절연 시트(21), 보호 모듈 패키지(30) 및 상부 케이스(8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배터리 셀(10)은 하면(14)에 하부 절연 시트(91) 및 하부 케이스(9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배터리 셀(10)의 외측면은 포장 라벨(95)에 의해 덮여 보호될 수 있다.
배터리 셀(10)은 상면(12)과 하면(14)을 가지며, 상면(12)에 형성된 양극판(18)에 대해서 음극 탭(16)이 전기적으로 격리되어 양극판(18)에 대해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양극판(18)은 배터리 셀(10)에 내장된 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 탭(16)은 셀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배터리 셀(10)로는 리튬이온전지, 리튬폴리머전지 등과 같이 리튬이차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 절연 시트(21)는 배터리 셀(10)의 상면(12)에 부착되며, 배터리 셀(10)의 음극 탭(16)과 양극판(18) 간의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부 절연 시트(21)에는 음극 탭(16)이 노출될 수 있는 제1 개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절연 시트(21)의 한쪽에 배터리 셀(10)의 상면(12)을 통하여 양극판(18)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양극판(18) 부분에 보호 모듈 패키지(30)의 양극 외부 리드(67)가 접합된다. 이때 상부 절연 시트(21)의 소재로는 PC(Poly Carbonate), PE(Poly Ethylene) 등 다양한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 절연 시트(21)는 경질의 판 형태나 유연성을 갖는 테이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상부 절연 시트(21)의 상부에 탑재되며, 배터리 셀(10)의 음극 탭(16) 및 양극판(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합된다.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패키지 몸체(79) 내부에 칩 형태의 보호 회로 소자(40)가 내장된 구조를 갖는다.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양측으로 음극 외부 리드(65)와 양극 외부 리드(67)가 돌출되어 있으며, 음극 외부 리드(65)는 음극 탭(16)에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64)를 매개로 접합되고, 양극 외부 리드(67)는 양극판(18)에 접합된다. 패키지 몸체(79)의 상부로 상부 케이스(80)의 개구부(81,83)로 노출되는 복수의 단자 패드(60)가 노출되어 있다.
이때 음극 외부 리드(65)는 음극 탭(16)에 저항 용접 방식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양극 외부 리드(67)는 양극판(18)에 레이저 용접 방식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그 외 외부 리드(65,67)는 초음파 용접이나 전도성 접착제를 개재하여 음극 탭(16) 및 양극판(18)에 각각 접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보호 회로 모듈이 보호 모듈 패키지(30)로 구현되기 때문에, 배터리 팩(100)에서 보호 회로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보호 회로 소자(40)가 칩 형태로 내장되고, 패키지 몸체(79)는 성형에 의해 판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두께가 얇으면서 크기는 작은 보호 회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배터리 셀(10)과, 전원 공급부나 휴대용 단말기 사이에 개재되어 배터리 셀(10)의 과충전 방지, 과방전 방지, 과전류 방지 등과 같은 배터리 팩(100)의 보호 기능 기능을 수행한다.
상부 케이스(80)는 보호 모듈 패키지(30)를 덮도록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개구부(81,83)는 보호 모듈 패키지(30)의 복수의 단자 패드(60)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개구부(81,83)는 휴대형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80)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80)는 상면의 일측에 마련된 홈(87)에 라벨지(97)가 부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80)는 상부에 휴대형 단말기에 탈착할 수 있는 홈이나 돌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케이스(80)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경질의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부 절연 시트(91)는 배터리 셀(10)의 하면(14)에 부착된다. 하부 절연 시트(91)로는 상부 절연 시트(21)와 동일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93)는 하부 절연 시트(91)를 덮도록 배터리 셀(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93)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경질의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포장 라벨(95)은 배터리 셀(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터리 셀(10)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이때 포장 라벨(95)은 배터리 셀(10)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 연장된 상부 케이스(80) 및 하부 케이스(93) 부분을 감싸도록 부착된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 모듈 패키지(3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보호 모듈 패키지(3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이다.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리드 프레임(50) 위에 보호 회로 소자(40)가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보호 회로 소자(40)를 포함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 프레임(50) 부분은 패키지 몸체(79)에 의해 보호된다. 리드 프레임(50) 중 패키지 몸체(79) 밖으로 돌출된 리드 프레임(50) 부분이 배터리 셀(10) 및 상부 케이스(80)의 개구부(81,83)를 통하여 노출된다.
이러한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보호 회로 소자(40), 리드 프레임(50), 본딩 와이어(70) 및 패키지 몸체(79)를 포함한다. 리드 프레임(50)은 다이 패드(51)와, 복수의 내부 리드(55,56) 및 복수의 외부 리드(65,67)를 포함한다. 다이 패드(51)를 중심으로 양쪽에 내부 리드(55,56) 및 외부 리드(65,67)가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리드 프레임(50)의 소재로는 구리,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이 패드(51)에는 보호 회로 소자(40)가 실장된다. 복수의 내부 리드(55,56)는 다이 패드(51)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본딩 와이어(70)는 보호 회로 소자(40)와 복수의 내부 리드(55,56)를 연결한다. 패키지 몸체(79)는 다이 패드(51), 보호 회로 소자(40), 복수의 내부 리드(55,56) 및 본딩 와이어(70)를 봉합한다. 그리고 외부 리드(65,67)는 음극 외부 리드(65)와 양극 외부 리드(67)를 포함한다. 음극 외부 리드(65)는 패키지 몸체(79)의 일측의 내부 리드(55,56)와 연결되어 패키지 몸체(79) 밖으로 돌출되며 음극 탭(16)에 접합된다. 양극 외부 리드(67)는 패키지 몸체(79)의 타측의 내부 리드(55,56)와 연결되어 패키지 몸체(79) 밖으로 돌출되며, 양극판(18)에 접합된다.
여기서 다이 패드(51)는 보호 회로 소자(40)가 실장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한다. 보호 회로 소자(40)는 FET(41), 집적회로 소자(43), 제1 수동 소자(45) 및 제2 수동 소자(47)를 포함하며, 보호 회로 소자(40) 중 FET(41), 집적회로 소자(43) 및 제1 수동 소자(45)가 다이 패드(51) 위에 실장된다. 즉 FET(41)는 다이 패드(51) 위에 접합된다. 집적회로 소자(43)는 FET(41) 위에 적층되어 접합된다. 제1 수동 소자(45)는 FET(41)에 이웃하는 다이 패드(51) 위에 접합된다. 제2 수동 소자(47)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복수의 내부 리드(55,56)는 다이 패드(51)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열되어 있으며, 다이 패드(5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내부 리드(55,56)는 음극 외부 리드(65)와 연결되는 음극 내부 리드(55)와, 양극 외부 리드(67)와 연결되는 양극 내부 리드(56)를 포함한다.
양극 외부 리드(67) 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내부 리드(55,56)는 일정 간격을 두고 패키지 몸체(79) 밖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단자 패드(60)를 포함한다. 이때 단자 패드(60)는 음극 단자 패드(57) 및 양극 단자 패드(61)를 포함한다. 음극 단자 패드(57) 및 양극 단자 패드(61)는 상부 케이스(80)의 제1 개구부(81) 및 제2 개구부(8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음극 단자 패드(57) 및 양극 단자 패드(61)는 패키지 몸체(79) 밖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다이 패드(51) 보다는 낮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때 양극 단자 패드(61)는 양극 내부 리드(56)를 매개로 양극 외부 리드(67)와 연결되어 패키지 몸체(79)의 내부에 위치한다. 양극 단자 패드(61)와 다이 패드(51) 사이에 복수의 음극 단자 패드(57)가 위치한다. 복수의 음극 단자 패드(57)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수동 소자(47)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음극 단자 패드(58,59)가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극 외부 리드(67)는 음극 단자 패드(57) 및 양극 단자 패드(61)가 형성된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배터리 셀(10)의 양극판(18)에 접합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패키지 몸체(79)를 중심으로 양극 외부 리드(67)는 아래의 양극판(18)에 접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양극판(18)으로 절곡된다. 반면에 단자 패드(60)는 패키지 몸체(79) 위에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80)의 개구부(81,83)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81,83)를 향하는 쪽에 설치된다.
음극 외부 리드(65)는 배터리 셀(10)의 음극 탭(16)에 PTC 소자(64)를 매개로 접합된다.
복수의 본딩 와이어(70)는 보호 회로 소자(40)와 내부 리드(55,5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딩 와이어(70)의 소재로는 금이나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딩 와이어(70)는 제1 본딩 와이어(71), 제2 본딩 와이어(72), 제3 본딩 와이어(73) 및 제4 본딩 와이어(7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본딩 와이어(71,72,73,74)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 본딩 와이어(71)는 음극 외부 리드(65)에 연결된 음극 내부 리드(55)와 FET(41)를 연결한다. 제2 본딩 와이어(72)는 양극 외부 리드(67) 쪽에 형성된 제1 음극 단자 패드(58)와 FET(41)를 연결한다. 제3 본딩 와이어(73)는 음극 외부 리드(65)에 연결된 음극 내부 리드(55)와 집적회로 소자(43)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4 본딩 와이어(74)는 양극 외부 리드(67) 쪽에 형성된 양극 단자 패드(61)와 다이 패드(51)를 연결한다.
이때 단자 패드(60)는 다이 패드(51)와 음극 단자 패드(57)에 위치하며, 제4 본딩 와이어(74)를 매개로 한 다이 패드(51)와 양극 단자 패드(61)를 연결하는 더미 단자 패드(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이 패드(51)와 양극 단자 패드(61) 사이에 복수의 음극 단자 패드(57)가 위치하기 때문에, 다이 패드(51)와 양극 단자 패드(61)를 직접 제4 본딩 와이어(74)로 연결할 경우, 제4 본딩 와이어(74)의 루프의 높이에 의해 패키지 몸체(79)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다이 패드(51) 보다는 높이가 낮은 더미 단자 패드(63)를 형성하고, 그 더미 단자 패드(63)를 매개로 다이 패드(51)와 양극 단자 패드(61)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제4 본딩 와이어(74)의 루프 높이로 인해 패키지 몸체(79)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본딩 와이어(74)는 다이 패드(51)와 더미 단자 패드(63)를 연결하는 제4-1 본딩 와이어(74a)와, 더미 단자 패드(63)와 양극 단자 패드(61)를 연결하는 제4-2 본딩 와이어(74b)를 포함한다. 제4-1 및 제4-2 본딩 와이어(74a,74b)는 각각 개별적인 와이어 본딩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더미 단자 패드(63)를 경유하여 다이 패드(51)와 양극 단자 패드(61)를 연결하기 위해서 개별적인 두 개의 제4-1 및 제4-2 본딩 와이어(74a,74b)를 사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나의 제4-1 및 제4-2 본딩 와이어(74a,74b)를 한 번의 와이어 본딩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본딩 와이어로 와이어 본딩할 때, 더미 단자 패드(63)를 경유할 때 스티치 본딩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되게 와이어 본딩을 수행하여 다이 패드(51)와 양극 단자 패드(61)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캐필러리로 본딩 와이어의 일단을 다이 패드(51)에 볼 본딩한 이후에, 더미 단자 패드(63)로 제1 스티치 본딩하여 제4-1 본딩 와이어(74a)를 형성하고, 제1 스티치 본딩을 통해 본딩 와이어를 끊지 않고 연속되게 다시 와이어 루프를 형성하여 양극 단자 패드(61)에 제2 스티치 본딩을 통해 본딩 와이어의 타단을 끊어 제4-2 본딩 와이어(74b)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키지 몸체(79)는 다이 패드(51), 보호 회로 소자(40), 복수의 내부 리드(55,56) 및 본딩 와이어(70)를 봉합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때 패키지 몸체(79)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액상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한 성형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패키지 몸체(79)의 두께를 얇은 판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패키지 몸체(79)의 바닥면으로 음극 단자 패드(57), 양극 단자 패드(61) 및 더미 단자 패드(63)가 노출된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의 상면(12)에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1의 보호 모듈 패키지(30)가 배터리 셀(10)의 상면(12)에 실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양극 외부 리드(67)가 양극판(18)에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음극 외부 리드(65)는 PTC 소자(64)를 매개로 배터리 셀(10)의 음극 탭(16)에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음극 외부 리드(65)는 고리 형태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보호 회로 모듈이 패키지 형태의 보호 모듈 패키지(30)로 구현되기 때문에, 배터리 팩(1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패키지 몸체(79) 내부에 보호 회로 소자(40)가 내장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배터리 팩(100)으로 제조된 이후에 외부의 충격이나 습기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 회로 소자(4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회로 모듈이 패키지 형태의 보호 모듈 패키지(30)로 구현되기 때문에, 보호 회로 모듈의 크기를 줄여 배터리 팩(100)의 내부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는 배터리 팩(100)의 셀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보호 모듈 패키지(30)에 내장되는 보호 회로 소자(40)는 단품 형태의 소자가 아니라 칩 형태의 소자가 사용되기 때문에, 기존의 보호 회로 모듈과 비교하여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보호 회로 모듈이 패키지 형태의 보호 모듈 패키지(30)로 구현되기 때문에, 배터리 팩(10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보호 회로 소자(40)에 기계적인 충격이 작용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제조 공정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 따른 보호 모듈 패키지(30)는 기존의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보호 회로 모듈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내부 저항 예컨대, 약 13mΩ의 내부 저항 감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저항의 감소로 인하여, 내부 저항의 관리가 용이하고 배터리 팩(100)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제2 실시예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 모듈 패키지의 음극 외부 리드(65)는 고리 형태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 모듈 패키지(130)를 갖는 배터리 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 모듈 패키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의 상면(12)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보호 모듈 패키지(130)는 양극 외부 리드(67)가 양극판(18)에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음극 외부 리드(65)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64)를 매개로 배터리 셀(10)의 음극 탭(16)에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음극 외부 리드(65)는 판 형태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제3 실시예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상부 절연 시트(21) 위에 보호 모듈 패키지(30)가 탑재된 형태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절연 시트(21)와 보호 모듈 패키지(30) 사이에 케이스 홀더(25)가 개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 모듈 패키지(30)를 갖는 배터리 팩(200)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200)은 보호 모듈 패키지(30)를 포함하며, 상부 절연 시트(21)와 보호 모듈 패키지(30) 사이에 케이스 홀더(25)가 개재된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배터리 팩(200)은 얇은 사각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셀(10)은 얇은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상면(12)에 상부 절연 시트(21), 케이스 홀더(25), 보호 모듈 패키지(30) 및 상부 케이스(8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배터리 셀(10)은 하면(14)에 하부 절연 시트(91) 및 하부 케이스(9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배터리 셀(10)의 외측면은 포장 라벨(95)에 의해 덮여 보호될 수 있다.
그 외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2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도 1의 10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케이스 홀더(25)는 상부 케이스(80)가 배터리 셀(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연결을 매개한다. 이러한 케이스 홀더(25)는 상부 절연 시트(21)와 보호 모듈 패키지(30) 사이에 개재되며, 상부 절연 시트(21)의 제1 개방부(23)에 대응되게 제2 개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개방부(23,27)를 통하여 노출된 음극 탭(16)에 케이스 홀더(25)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호 모듈 패키지(30)의 음극 외부 리드(65)가 접합된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200)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보호 모듈 패키지(30)를 구비하기 때문에, 보호 모듈 패키지(30)를 구비함으로 인한 효과를 그대로 기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상부 케이스(18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180)는 상부로 보호 모듈 패키지의 단자 패드가 노출되는 개구부(81,8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80)는 상부에 라벨지가 부착될 수 있는 홈(8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80)는 역삽입을 방지하는 후크(85)가 개구부(81,83)가 형성된 쪽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이때 후크(85)는 상부 케이스(180)의 상면에서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80)에 후크(8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팩 조립 시 상부 케이스(180)가 역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배터리 셀 12 : 상면
14 : 하면 16 : 음극 탭
18 : 양극판 21 : 상부 절연 시트
23 : 제1 개방부 25 : 케이스 홀더
27 : 제2 개방부 30 : 보호 모듈 패키지
40 : 보호 회로 소자 41 : FET
43 : 집적회로 소자 45 : 제1 수동 소자
47 : 제2 수동 소자 50 : 리드 프레임
51 : 다이 패드
55 : 음극 내부 리드 56 : 양극 내부 리드
57 : 음극 단자 패드 58 : 제1 음극 단자 패드
59 : 제2 음극 단자 패드 60 : 단자 패드
61 : 양극 단자 패드 63 : 더미 단자 패드
65 : 음극 외부 리드 67 : 양극 외부 리드
70 : 본딩 와이어 71 : 제1 본딩 와이어
72 : 제2 본딩 와이어 73 : 제3 본딩 와이어
74 : 제4 본딩 와이어 74a : 제4-1 본딩 와이어
74b : 제4-2 본딩 와이어 79 : 패키지 몸체
80 : 상부 케이스 81 : 제1 개구부
83 : 제2 개구부 91 : 하부 절연 시트
93 : 하부 케이스 95 : 포장 라벨
97 : 라벨지 100,200 : 배터리 팩

Claims (16)

  1. 상면에 음극 탭과 양극판이 형성된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 탭 및 양극판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을 보호하는 보호 회로 소자가 패키징되며, 상부로 단자 패드가 노출되는 보호 모듈 패키지(protection module package; PMP);
    상기 보호 모듈 패키지를 덮도록 상기 배터리 셀에 결합되며, 상기 보호 모듈 패키지의 단자 패드가 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모듈 패키지는,
    상기 보호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다이 패드;
    상기 다이 패드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배열된 복수의 내부 리드;
    상기 보호 회로 소자와 복수의 내부 리드를 연결하는 복수의 본딩 와이어;
    상기 다이 패드, 상기 보호 회로 소자, 복수의 내부 리드 및 본딩 와이어를 봉합하는 패키지 몸체;
    상기 패키지 몸체의 일측의 내부 리드와 연결되어 상기 패키지 몸체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음극 탭에 접합되는 음극 외부 리드;
    상기 패키지 몸체의 타측의 내부 리드와 연결되어 상기 패키지 몸체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양극판에 접합되는 양극 외부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부 리드는
    상기 음극 외부 리드와 연결되는 음극 내부 리드;
    상기 양극 외부 리드와 연결되는 양극 내부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외부 리드 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내부 리드는 일정 간격을 두고 패키지 몸체 밖으로 노출되는 음극 단자 패드 및 양극 단자 패드의 단자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 단자 패드 및 양극 단자 패드가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고,
    상기 양극 단자 패드는 상기 양극 내부 리드를 매개로 상기 양극 외부 리드와 연결되어 상기 패키지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양극 단자 패드와 상기 다이 패드 사이에 복수의 음극 단자 패드가 위치하고,
    상기 보호 회로 소자는,
    상기 다이 패드 위에 접합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상기 FET 위에 적층된 집적회로 소자;
    상기 FET에 이웃하는 상기 다이 패드 위에 접합되는 제1 수동 소자;
    상기 복수의 음극 단자 패드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수동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외부 리드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를 매개로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 탭에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외부 리드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고리 안쪽에서 상기 PTC 소자를 매개로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 탭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외부 리드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PTC 소자를 매개로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 탭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외부 리드는,
    상기 음극 단자 패드 및 양극 단자 패드가 형성된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판에 레이져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딩 와이어는,
    상기 음극 외부 리드에 연결된 상기 음극 내부 리드와 상기 FET를 연결하는 제1 본딩 와이어;
    상기 양극 외부 리드 쪽에 형성된 음극 단자 패드와 상기 FET를 연결하는 제2 본딩 와이어;
    상기 음극 외부 리드에 연결된 상기 음극 내부 리드와 상기 집적회로 소자를 연결하는 제3 본딩 와이어;
    상기 양극 외부 리드 쪽에 형성된 양극 단자 패드와 상기 다이 패드를 연결하는 제4 본딩 와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패드와 상기 음극 단자 패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4 본딩 와이어를 매개로 한 상기 다이 패드와 상기 양극 단자 패드를 연결하는 더미 단자 패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본딩 와이어는,
    상기 다이 패드와 상기 더미 단자 패드를 연결하는 제4-1 본딩 와이어;
    상기 더미 단자 패드와 상기 양극 단자 패드를 연결하는 제4-2 본딩 와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상면의 양극판 안쪽에 부착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보호 모듈 패키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음극 탭이 노출되는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절연 시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연 시트와 상기 보호 모듈 패키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개방부에 대응되게 제2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 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15.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부 절연 시트;
    상기 하부 절연 시트를 덮도록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역삽입을 방지하는 후크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쪽의 반대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KR1020120147098A 2012-12-17 2012-12-17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KR101279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098A KR101279130B1 (ko) 2012-12-17 2012-12-17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098A KR101279130B1 (ko) 2012-12-17 2012-12-17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130B1 true KR101279130B1 (ko) 2013-06-26

Family

ID=4886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098A KR101279130B1 (ko) 2012-12-17 2012-12-17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1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4118A (zh) * 2017-10-13 2018-03-23 歌尔股份有限公司 电池、电子设备及电池保护方法
CN111786007A (zh) * 2020-07-28 2020-10-16 远景动力技术(江苏)有限公司 软包电池热封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022A (ko) * 2003-11-04 2005-05-11 지엠에스전자(주)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용 피시엠 및 그 성형방법
KR20100133560A (ko) *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 팩
KR101030915B1 (ko) 2009-06-16 2011-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KR101070840B1 (ko) 2010-06-22 2011-10-06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022A (ko) * 2003-11-04 2005-05-11 지엠에스전자(주)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용 피시엠 및 그 성형방법
KR20100133560A (ko) *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 팩
KR101030915B1 (ko) 2009-06-16 2011-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KR101070840B1 (ko) 2010-06-22 2011-10-06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징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4118A (zh) * 2017-10-13 2018-03-23 歌尔股份有限公司 电池、电子设备及电池保护方法
CN107834118B (zh) * 2017-10-13 2024-04-05 歌尔股份有限公司 电池、电子设备及电池保护方法
CN111786007A (zh) * 2020-07-28 2020-10-16 远景动力技术(江苏)有限公司 软包电池热封系统
CN111786007B (zh) * 2020-07-28 2024-05-17 远景动力技术(江苏)有限公司 软包电池热封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7822B2 (en) Impact resistant battery pack
KR101259944B1 (ko)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US8445125B2 (en) Pouch type battery
KR101595498B1 (ko) 폴리머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8956749B2 (en) Battery pack
US8668996B2 (en) Battery pack
KR101905080B1 (ko) 배터리 팩
US20130149563A1 (en) Battery pack
KR101234241B1 (ko)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팩
US8228033B2 (en) Protective circuit board having groov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1305248B1 (ko) 이차전지 팩
JP5413746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US9093723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090081568A (ko) 배터리 팩
JP6175218B2 (ja) 二次電池
US20110123842A1 (en) Semiconductor Device for Protecting Battery Cell,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101172230B1 (ko) 이차전지 및 그의 패킹 방법
KR101279130B1 (ko) 보호 모듈 패키지를 갖는 배터리 팩
US20150228961A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US10193130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KR101531323B1 (ko) 단자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582953B1 (ko) 홀더에 탈부착이 가능한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 및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가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는 홀더,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479307B1 (ko)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274918B1 (ko) 이차전지
KR102341400B1 (ko) 베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