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942B1 - 강판 시편 그랩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시편 그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7942B1 KR101277942B1 KR1020110063253A KR20110063253A KR101277942B1 KR 101277942 B1 KR101277942 B1 KR 101277942B1 KR 1020110063253 A KR1020110063253 A KR 1020110063253A KR 20110063253 A KR20110063253 A KR 20110063253A KR 101277942 B1 KR101277942 B1 KR 1012779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b
- specimen
- roller
- steel sheet
- fixing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 시편 그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강판 시편 그랩 장치는 강판 시편이 안착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되며,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강판 시편과 상기 테이블 사이를 이격 시키도록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그랩 몸체; 및 상기 그랩 몸체에 설치되는 손잡이 부를 포함하는 강판 시편 그랩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판 시편 그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면에 안착되는 강판 시편을 일측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강판 시편 그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 개발단계에서 소재의 기계적 특성과 성형성과 용접성 및 도장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서 일정의 크기로 강판을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한다.
여기서, 강판 시편을 준비하고 가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강판을 바닥 또는 테이블에 나열하고, 이를 공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반복한다.
상기 강판 시편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일정의 자중을 갖고, 판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강판 소재를 평평한 바닥 또는 테이블 상에서 작업자가 쉽게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 상에 안착된 강판 시편과 테이블 상면의 사이에 뾰족한 선단을 인입하여, 강판 시편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 강판 시편 그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강판 시편이 안착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되며,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강판 시편과 상기 테이블 사이를 이격 시키도록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그랩 몸체; 및 상기 그랩 몸체에 설치되는 손잡이 부를 포함하는 강판 시편 그랩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 상에 안착된 강판 시편과 테이블 상면의 사이에 뾰족한 선단을 인입하여, 강판 시편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의 경사면을 다양하게 구현 및 교체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종류의 시편을 테이블 또는 지면으로부터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들어올려지는 강판 시편을 일정 힘으로 구름 가압함으로써, 강판 시편이 들어올려지는 경우, 시편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들어 올려지는 강판 시편의 다양한 위치를 구름 가압하여, 다양한 크기의 시편을 가압하면서 들어 올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판 시편 그랩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그랩부가 시편을 들어 올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그랩퍼의 경사면이 곡선면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서로 탈착 가능한 그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그랩부의 탈착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그랩부가 롤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롤러부의 회전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롤러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그랩부가 시편을 들어 올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그랩퍼의 경사면이 곡선면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서로 탈착 가능한 그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그랩부의 탈착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그랩부가 롤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롤러부의 회전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롤러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강판 시편 그랩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판 시편 그랩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강판 시편 그랩 장치는 크게 테이블(100)과, 그랩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100)은 강판 소재의 시편(10)이 안착되는 상단면을 갖는다. 상기 강판 시편(10)은 지면에 안착될 수도 있다.
상기 그랩부(200)는, 상기 테이블(100) 상면에 안착되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그랩부(200)는 그랩 몸체(210)와, 손잡이 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그랩부(200)의 선단은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그랩부(200)는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경사면(S)을 갖는다. 상기 경사면(S)은 그랩부(200)의 상단에서 선단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2는 그랩부의 선단을 사용하여 강판 시편을 들어 올리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그랩부(200)의 선단은 뽀족하게 형성되며, 이는 테이블(100) 상면과 강판 시편(10) 사이에 끼워져 강판 시편(10)을 들어 올리는 부분이다.
즉, 강판 시편(10)의 테두리 저면과 테이블(100) 상면의 사이에는 일정의 미세한 갭이 형성된다. 상기 그랩부(200)의 선단은 상기 갭에 끼워지고, 강판 시편(10)은 경사면(S)을 타고 들어 올려진다.
상기 손잡이 부(220)는, 네크 몸체(221)와, 그립 몸체(222)로 구성된다.
상기 네크 몸체(221)는 그립 몸체(222)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네크 몸체(221)는 다단이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하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그립 몸체(222)는 상기 네크 몸체(221)의 상단에서 테이블(100)과 평행을 이루도록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그립 몸체(22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실질적인 부분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그립 몸체(222)는 네크 몸체(221)의 상단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도 조절 수단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기어치 연결되며, 일정의 회전력을 가하면 억지 회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 몸체(222)는 네크 몸체(221) 상단에서 상하로 일정 각도 조절된다. 이는 사용자가 손으로 그립 몸체(222)를 다양한 위치에서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도 3은 그랩부의 경사면이 곡선면을 이루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경사면(S')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곡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곡선면을 이루는 경사면(S')의 선단은 도 2에 도시된 경사면(S) 대비 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경사면(S')의 선단 부분에서의 두께는 도 2에 도시된 선단의 두께 보다 더 얇게 형성된다.
상기 곡선면의 경사면(S')을 갖는 선단은 테이블(100)과 강판 시편(10) 사이의 갭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도 4는 그립 몸체가 두 개의 몸체로 분리 가능함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그랩 몸체(210)는 선단 몸체(211)와, 후단 몸체(212)로 구성된다.
상기 선단 몸체(211)는 경사면(S)이 형성되어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후단 몸체(212)는 상기 선단 몸체(211)에 연결된다. 상기 후단 몸체(212)에는 상술한 손잡이 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선단 몸체(211)와 후단 몸체(212)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선단 몸체(211)의 뾰족한 선단은 강판 시편(10)과 테이블(100)과의 갭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써, 일정 이상의 강성이 요구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후단 몸체(212) 보다 선단 몸체(211)의 강성이 더 크도록 요구된다.
따라서, 그랩부(200) 전체의 강성을 동일하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선단 몸체(211)와 후단 몸체(212)는 서로 면접촉되어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 지만, 상기 선단 몸체(211)와 후단 몸체(212)의 자력체에 의하여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선단 몸체(211)가 분리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선단 몸체(211)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직선면으로 이루어진 경사면(S), 또는 곡선면으로 이루어진 경사면(S')을 갖는 선단 몸체(211)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강판 시편(10)의 종류 및 테이블(100) 상면과 강판 시편(10) 사이의 갭 정도에 따라, 선단 몸체(211)를 선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편(10)을 그랩하는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선단의 경사면을 다양하게 구현 및 교체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종류의 시편을 테이블 또는 지면으로부터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도 5는 선단 몸체와 후단 몸체의 탈착 가능한 결합 방식의 예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선단 몸체(211)와 후단 몸체(212)는 연결 부재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선단 몸체(211)의 단부에 형성되는 레일 돌기(211a)와, 상기 후단 몸체(212)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 돌기(211a)가 끼워지는 레일홈(212a)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레일 돌기(211a)와 레일홈(212a)은 각각 후단 몸체(212) 및 선단 몸체(211)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단 몸체(211)는 후단 몸체(212)의 단부에서 측방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상기 선단 몸체(211)는 슬라이딩 동작을 통하여 후단 몸체(212)로부터 이탈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이 역시, 다양한 경사면을 갖는 선단 몸체(211)를 선별적으로 후단 몸체(212)의 단부에 연결시킬 수 있다.
도 6은 손잡이 부에 롤러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롤러부(300)는 롤러(330)와, 제 1롤러 고정 프레임(310)과, 제 2롤러 고정 프레임(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롤러 고정 프레임(310)은 일정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 1롤러 고정 프레임(310)은 그립 몸체(222)의 단부에 연결되어 테이블(100) 상면과 평행함을 이룬다.
상기 제 2롤러 고정 프레임(320)은 일정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 2롤러 고정 프레임(320)은 상기 제 1롤러 고정 프레임(310)의 단부에 연결되며 타단을 따라 테이블(100)의 상면을 향하여 벤딩 된다.
상기 롤러(330)는 상기 제 2롤러 고정 프레임(320)의 타단에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롤러(330)는 강판 시편(10)의 상면을 타고 구를 수 있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롤러(330)는 강판 시편(10)의 상면을 일정의 가압력을 구비하여 누를 수 있는 부재이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테이블(100) 상면에 강판 시편(10)이 안착된다. 그랩부(200)는 강판 시편(10)의 테두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테이블(100)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롤러부(300)의 롤러(330)는 강판 시편(10)의 테두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시편(10)의 상면 일정 위치에 놓인다. 이때, 상기 롤러(330)는 상기 강판 시편(10)의 상면을 일정의 가압력으로 누르는 상태를 이룬다.
이어, 그랩부(200)를 강판 시편(10)의 테두리 측으로 이동시키면, 그랩 몸체(210)의 뾰족한 선단은 테이블(100)과 강판 시편(10)의 사이 갭에 끼워진다. 이때, 롤러(330)는 일정의 가압력을 형성한 상태에서 강판 시편(10)의 상면을 타고 구른다.
그리고, 강판 시편(10)의 테두리는 그랩 몸체(210)에 형성된 경사면(S) 상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330)는 들어 올려지는 강판 시편(10)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강판 시편(10)을 누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강판 시편(10)은 그랩 몸체(210)의 경사면(S)을 타고 위치되면서 테이블(100)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이룬다.
즉, 본 발명은 들어 올려지는 강판 시편(10)을 일정 힘으로 구름 가압함으로써, 강판 시편(10)이 들어 올려지는 경우, 시편(10)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제 1롤러 고정 프레임을 하방으로 일정의 탄성 가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 하면, 제 1롤러 고정 프레임(310)의 단부와 그립 몸체(222)의 단부는 서로 힌지단(H)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단(H)에는 토션 스프링(400)이 설치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400)의 일단은 제 1롤러 고정 프레임(310)에 고정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400)의 타단은 그립 몸체(222)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토션 스프링(400)은 제 1롤러 고정 프레임(310)이 항상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롤러부(300)는 상기 토션 스프링(400)의 탄성력을 강판 시편(10)의 상면에 전달한다.
즉, 롤러(300)는 강판 시편(10)의 상면에서 구를 수 있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력을 전달 받아 강판 시편(10)의 상면을 누른다.
강판 시편(10)의 테두리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력을 구비한 롤러(330)에 의하여 강판 시편(10)의 위치는 틀어지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롤러 고정 프레임(310)과 제 2롤러 고정 프레임(320)은 상기와 같은 힌지단(H) 및 토션 스프링(400)을 구비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롤러 고정 프레임(320)은 토션 스프링(400)으로부터 형성되는 탄성력을 롤러(33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롤러 고정 프레임의 길이가 조절 가능한 예를 보여준다.
도 8을 참조 하면, 제 1롤러 고정 프레임(310)의 다단의 파이프(311,312)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파이프(311,312)는 서로 끼워져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각 파이프(311,312)에는 위치 결정홀들(H1,H2)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 결정홀들(H1,H2)은 볼트와 같은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하여 서로 체결된다.
따라서, 각 파이프(311,312)의 신축 길이는 조절 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롤러 고정 프레임(310)의 신축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강판 시편(10) 상의 롤러 구름 가압 위치는 가변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강판 시편(10)의 크기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강판 시편(10)의 상면 일정 위치를 구름 가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들어 올려지는 강판 시편(10)의 다양한 위치를 선택적으로 구름 가압하여, 다양한 크기의 시편(10)을 가압하면서 들어 올릴 수 있다.
100 : 테이블 200 : 그랩부
210 : 그랩 몸체 220 : 손잡이 부
221 : 네크 몸체 222 : 그립 몸체
300 : 롤러부 310 : 제 1롤러 고정 프레임
320 : 제 2롤러 고정 프레임 330 : 롤러
S, S' : 경사면
210 : 그랩 몸체 220 : 손잡이 부
221 : 네크 몸체 222 : 그립 몸체
300 : 롤러부 310 : 제 1롤러 고정 프레임
320 : 제 2롤러 고정 프레임 330 : 롤러
S, S' : 경사면
Claims (9)
- 강판 시편이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상에 배치되며,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강판 시편과 상기 테이블 사이를 이격 시키도록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그랩 몸체; 및
상기 그랩 몸체에 설치되는 손잡이 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랩 몸체에는, 상기 그랩 몸체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그랩 몸체는,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선단 몸체와, 상기 선단 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 부가 설치되는 후단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몸체의 하면과 상기 후단몸체의 하면은 동일 레벨의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시편 그랩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직선면 또는 곡선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시편 그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몸체와 상기 후단 몸체는 연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되,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선단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레일 돌기와, 상기 후단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 돌기가 끼워지는 레일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시편 그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는,
상기 그랩 몸체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네크 몸체와, 상기 네크 몸체의 상단에서 상기 선단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되는 그립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시편 그랩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몸체의 단부에는 롤러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롤러부는,
상기 그립 몸체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테이블의 상면을 향하여 벤딩되는 롤러 고정 프레임과, 상기 롤러 고정 프레임의 단부에 회전 지지되며, 상기 시편의 상면에 접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시편 그랩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고정 프레임은,
상기 그립 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테이블 상면과 나란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 1롤러 고정 프레임과, 상기 제 1롤러 고정 프레임의 단부에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롤러가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 2롤러 고정 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제 1롤러 고정 프레임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시편 그랩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몸체와 상기 제 1롤러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는 힌지단이 더 마련되되,
상기 힌지단에는,
상기 제 1롤러 고정 프레임을 하방으로 일정의 탄성 가압력을 형성시키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시편 그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253A KR101277942B1 (ko) | 2011-06-28 | 2011-06-28 | 강판 시편 그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253A KR101277942B1 (ko) | 2011-06-28 | 2011-06-28 | 강판 시편 그랩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186A KR20130002186A (ko) | 2013-01-07 |
KR101277942B1 true KR101277942B1 (ko) | 2013-06-27 |
Family
ID=4783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3253A KR101277942B1 (ko) | 2011-06-28 | 2011-06-28 | 강판 시편 그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794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2738B1 (ko) * | 2017-11-30 | 2019-06-25 | 주식회사 포스코 | 소재 성분 분석용 그리드 공급 장치 및 그리드 고정키트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2418U (ko) * | 1996-12-24 | 1998-09-25 | 김종진 | 상하승강 지지롤을 가지는 강판안내장치 |
KR100311278B1 (ko) * | 1999-09-09 | 2001-10-18 | 성덕규 | 증기 다리미 |
KR20030048717A (ko) * | 2001-12-12 | 2003-06-25 | 박승식 | 수평기달린 바르는 흙손 |
-
2011
- 2011-06-28 KR KR1020110063253A patent/KR1012779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2418U (ko) * | 1996-12-24 | 1998-09-25 | 김종진 | 상하승강 지지롤을 가지는 강판안내장치 |
KR100311278B1 (ko) * | 1999-09-09 | 2001-10-18 | 성덕규 | 증기 다리미 |
KR20030048717A (ko) * | 2001-12-12 | 2003-06-25 | 박승식 | 수평기달린 바르는 흙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186A (ko) | 2013-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102006023298B3 (de) | Verfahren zum Abheben der obersten Kunststoffplatte von einem Plattenstapel und Vorrichtung zum Abheben der obersten Kunstoffplatte | |
CN105798579B (zh) | 一种o型圈组装用夹爪装置 | |
CN108580606B (zh) | 一种三辊联动可调式数控四辊卷板机 | |
EP1967300A3 (en) | Plant for bending metallic flat elements such as panels, sheets, plates or similar, bending machine for such metallic flat elements and relative bending process | |
ATE537315T1 (de) | Hebe- und fördergerät mit vorrichtung zum ausrichten einer materialtragschale | |
CN103662940B (zh) | 片材收纳装置和使用其的后处理装置及图像形成系统 | |
EP2500302A3 (en) | Sheet convey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1277942B1 (ko) | 강판 시편 그랩 장치 | |
EP2107019A3 (en) | Sheet feed tra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20120077113A (ko) | 곡면 성형 시스템의 형상 맞춤형 판재 지지 장치 | |
KR101300135B1 (ko) | 대형 금속판 절곡을 위한 탈부착형 절곡보조장치 | |
CN207463902U (zh) | 一种新型折弯机 | |
CN101670377A (zh) | 一种轧机喂料口导料装置 | |
KR20120077116A (ko) | 금속판재의 곡면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 |
CN206544635U (zh) | 一种包装箱自动旋转输送机构 | |
CN103388162A (zh) | 种板剥离机组 | |
CN205652870U (zh) | 一种片状物料分离装置 | |
CN109178056A (zh) | 一种简易式板材运输设备 | |
CN110743939A (zh) | 手动卷板机 | |
KR20080090313A (ko) | 용접 강관용 플라잉 절단 장치 | |
CN202428752U (zh) | 一种牌照板贴膜装置 | |
CN206288736U (zh) | 生产线上的间隔纸自动送纸装置 | |
US1207390A (en) | Feeding device for presses. | |
CN205559630U (zh) | 一种定向阻力器 | |
CN205589856U (zh) | 激光打标机上的一种物料传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