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927B1 -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7927B1 KR101277927B1 KR1020100135314A KR20100135314A KR101277927B1 KR 101277927 B1 KR101277927 B1 KR 101277927B1 KR 1020100135314 A KR1020100135314 A KR 1020100135314A KR 20100135314 A KR20100135314 A KR 20100135314A KR 101277927 B1 KR101277927 B1 KR 1012779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flow frame
- frame
- fixed shaft
- guide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가 개시된다.
상기한 벨트 컨베이어는 소재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주행하는 벨트를 안내하는 벨트 안내유닛 및 상기 벨트 안내유닛과 함께 벨트를 안내하며, 개별적으로 회동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유동 프레임부를 가지는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면,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을 통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벨트 컨베이어는 소재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주행하는 벨트를 안내하는 벨트 안내유닛 및 상기 벨트 안내유닛과 함께 벨트를 안내하며, 개별적으로 회동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유동 프레임부를 가지는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면,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을 통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벨트 켄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원료를 밸트의 상면에 적재시켜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 등과 같은 산업체에서는 연/원료의 운송수단으로서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는 크게 나일론으로된 내부 강선에 고무가 덮여진 고무벨트와 내부에 스틸강선이 적층되고 고무가 덮여지는 스틸-고무벨트를 구비한다.
또한, 벨트는 운송되는 연/원료가 적재되는 이송부와 리턴부로 구분되는 이동 경로 상을 진행한다. 한편, 제철공장에 설치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는 원료 수송을 위해 슈트를 경유하며, 슈트로부터 공급된 연/원료가 벨트의 상면에 적재된다.
그런데, 부착과 및 광석 상태, 리턴부에서 이송부로 진입할 때의 조건 등에 의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가 사행되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트가 사행운전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벨트 컨베이어에는 일반적으로 가이드 롤러가 벨트의 양측면에 구비된다. 하지만, 이러한 가이드 롤러만으로는 사행 진행되는 벨트가 정상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는 일반적으로 옥외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건조한 대기 조건에서 연/원료에 함유된 분진의 비산이 발생된다. 결국 비산되는 분진에 의해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재에 함유된 분진의 비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는 소재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주행하는 벨트를 안내하는 벨트 안내유닛 및 상기 벨트 안내유닛과 함께 벨트를 안내하며, 개별적으로 회동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유동 프레임부를 가지는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벨트 상에 소재가 적재되어 이송되는 경우 상기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에 의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프레임부는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동되는 제1 유동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제1 유동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끝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2 유동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은 상기 제2 유동 프레임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2 유동 프레임에 설치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샤프트 및 상기 고정샤프트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유동 프레임의 회동시 상기 제2 유동 프레임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토록 상기 연장바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샤프트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토록 돌출되는 지지턱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며 이동 가능한 이동턱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바는 상기 고정샤프트을 따라 상기 벨트의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샤프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설치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은 상기 고정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 상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소재를 평평하게 하는 푸싱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고정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구비되는 설치바 및 상기 설치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 상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소재에 접촉되는 푸싱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푸싱롤에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설치바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푸싱롤에 부착된 소재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체분사유닛은 상기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 상에 적재되는 소재에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구비하는 유체이송관과, 상기 설치바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되도록 상기 유체이송관에 설치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설치바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동과 연동되어 개폐부재가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는 끝단부에 스프링부재가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을 통해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에 연결된 유체분사유닛을 통해 소재가 이송되는 경우 소재로 유체를 분사하여 소재에 함유된 분진의 비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로부터 분진이 비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100)는 장치 프레임(120), 벨트 안내유닛(140),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 및 유체분사유닛(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20)은 소재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된다. 또한, 장치 프레임(120)은 철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장치 프레임(120)은 벨트 안내유닛(140)과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이 설치되는 설치대(122)를 구비할 수 있다.
벨트 안내유닛(140)은 장치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주행하는 벨트(B)를 안내한다. 즉, 벨트 안내유닛(140)은 장치 프레임(120)의 설치대(122)에 설치되며 장치 프레임(120)에 다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벨트 안내유닛(140)은 장치 프레임(120)에 다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안내유닛 스탠드(142)와, 안내유닛 스탠드(14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벨트(B)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벨트(B)는 안내유닛 스탠드(142)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144)에 의해 안내되어 주행된다.
그리고, 안내유닛 스탠드(142)는 수평부(142a)와, 수평부(142a)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142b)를 구비하며, 지지롤러(144)는 수평부(142a)와, 경사부(142b)에 각각 설치되어 주행하는 벨트(B)의 저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벨트 안내유닛(140)은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은 벨트 안내유닛(140)과 함께 벨트(B)를 안내하며, 개별적으로 회동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유동 프레임부(162)를 가진다.
그리고,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은 상기한 유동 프레임부(162), 연장바(164), 고정샤프트(166), 탄성부재(168), 푸싱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벨트(B)가 정상 운전되는 경우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은 벨트 안내유닛(14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유동 프레임부(162)는 장치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회동되는 제1 유동 프레임(162a)과, 일단이 제1 유동 프레임(162a)에 연결되어 제1 유동 프레임(162a)의 끝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2 유동 프레임(16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유동 프레임(162a)은 장치 프레임(120)의 설치대(1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 유동 프레임(162a)은 회전축(162c)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B)의 사행시 사행 주행되는 벨트(B)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제1 유동 프레임(162a)에는 벨트(B)의 저면을 지지하는 안내롤러(163)가 설치되어 주행하는 벨트(B)의 저면을 지지한다.
한편, 벨트(B)가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된 우측으로 사행되는 경우, 사행되는 벨트(B)에 의해 제1 유동 프레임(162a)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사행 주행하는 벨트(B)가 정상적으로 주행하도록 한다.
제2 유동 프레임(162b)은 제1 유동 프레임(162a)의 양단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유동 프레임(162b)는 결합부재(162d)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한편, 제2 유동 프레임(162b)에도 제1 유동 프레임(162a)과 같이 벨트(B)의 저면을 지지하는 안내롤러(163)가 설치되어 주행하는 벨트(B)의 저면을 지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유동 프레임(162b)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1 유동 프레임(162a)에 설치되므로, 외부 충격이 벨트(B)의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가해지는 경우 제2 유동 프레임(162b)은 하부 측으로 회동되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제2 유동 프레임(162b)이 제1 유동 프레임(162a)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2 유동 프레임(162b)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회동되어 외부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연장바(164)은 제2 유동 프레임(162b)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도록 제2 유동 프레임(162b)에 설치된다. 즉, 연장바(164)은 제2 유동 프레임(162b)의 타단에 결합되며, 고정샤프트(166)가 기울어지지 않고 설치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연장바(164)는 고정샤프트(166)를 따라 벨트(B)의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샤프트(16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설치홀(165)을 구비할 수 있다.
더하여, 연장바(164)는 제1 연장바(164a)와 제2 연장바(164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2 연장바(164a,164b)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바(164)가 제1,2 연장바(164a,164b)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연장바(164)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치홀(165)은 제2 연장바(164b)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고정샤프트(16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동 프레임(162b)이 회동되는 경우 제1,2 연장바(1641,164b)는 고정샤프트(166)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고정샤프트(166)는 연장바(164)에 설치되어 벨트(B)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고정샤프트(166)는 원형봉 형상을 가지며, 연장바(164)에 형성되는 설치홀(165)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샤프트(166)에는 탄성부재(168)의 일단부를 지지토록 돌출되는 지지턱(166a)과 탄성부재(168)의 타단부를 지지하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턱(166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지지턱(166a)은 고정샤프트(166)에 고정 설치되어 탄성부재(168)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탄성부재(168)는 고정샤프트(166)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제2 유동 프레임(162b)의 회동시 제2 유동 프레임(162b)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연장바(162)에 연결된다.
즉, 탄성부재(168)는 상기한 지지턱(166a)과 이동턱(166b)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제2 유동 프레임(162b)의 회동시 연장바(164)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 변형된다.
이후, 탄성부재(168)는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변형되면서 이동턱(166b)을 이동시켜 연장바(164)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2 유동 프레임(162b)도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68)의 복원력에 의해 연장바(164)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연장바(164)는 고정샤프트(166)가 설치홀(167)의 하단부에 배치되도록 상부측으로 이동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탄성부재(168)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2 유동 프레임(162b)이 하부측으로 회동되고, 이후 탄성부재(168)에 의해 제2 유동 프레임(162b)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벨트(B)가 제2 유동 프레임(162b)의 회동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므로 사행도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푸싱유닛(170)은 고정샤프트(16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B) 상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소재를 분산시킨다. 즉, 벨트(B) 상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소재가 벨트(B)의 중앙측에만 적재되어 이송되는 경우 푸싱유닛(170)은 소재에 접촉되어 소재를 벨트(B)의 가장자리 측으로 분산시킨다.
이를 위해 푸싱유닛(170)은 회전부재(172), 설치바(174), 푸싱롤(176) 및 클리닝부재(17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172)는 고정샤프트(16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부재(172)는 고정샤프트(166)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원통형상을 가진 회전부재(172)가 고정샤프트(166)에 설치되어 회전부재(172)가 회전될 수 있다.
설치바(174)는 회전부재(17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회전부재(164)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설치바(174)는 회전부재(172)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으며, 회전부재(172)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푸싱롤(176)은 설치바(17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B) 상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소재에 접촉된다. 즉, 푸싱롤(176)은 산 형상으로 벨트(B) 상에 적재된 소재를 벨트(B)의 가장자리 측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푸싱롤(176)은 절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푸싱롤(176)에 접촉된 소재는 푸싱롤(17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벨트(B)에 적재되어 이송될 수 있다. 즉, 벨트(B)의 중앙측에 가장자리측보다 많은 소재가 적재되도록 하여 벨트(B)가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벨트(B)의 사행 주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클리닝부재(178)은 푸싱롤(176)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바(174)에 고정 설치되어 푸싱롤(176)에 부착된 소재를 제거한다. 즉, 클리닝부재(178)는 푸싱롤(176)에 소재가 계속적으로 적층되어 푸싱롤(176)이 회전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리닝부재(178)에 인접 배치되도록 설치바(174)에 설치된다.
한편, 푸싱롤(176)에 부착된 소재를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클리닝부재(178)는 푸싱롤(176)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유체분사유닛(180)은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70)에 연결되어 벨트(B) 상에 소재가 적재되어 이송되는 경우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70)에 의해 유체를 분사한다.
이를 위해 유체분사유닛(180)은 유체이송관(182), 개폐부재(184), 및 연결부재(18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체이송관(182)은 벨트(B)의 상부에 배치되어 벨트(B) 상에 적재되는 소재에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18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유체이송관(182)은 벨트(B)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개의 분사구(18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84)는 설치바(174)에 연결되어 회전부재(172)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되도록 유체이송관(182)에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86)는 개폐부재(184)와 설치바(186)를 연결하여 회전부재(172)의 회동과 연동되어 개폐부재(184)가 회동되도록 한다.
더하여, 연결부재(186)는 개폐부재(184)와 연결되는 끝단부에 스프링부재(184a)가 구비될 수 있다.
유체분사유닛(180)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벨트(B) 상에 적재된 소재가 푸싱롤(176)에 접촉되면, 푸싱롤(176)은 벨트(B)의 진행방향으로 고정샤프트(166)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때, 설치바(174)도 푸싱롤(176)과 함께 회동되며, 설치바(174)에 연결된 연결부재(186)도 회동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86)에 연결되는 개폐부재(184)가 회동되어 유체이송관(182)을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분사구(182)로부터 유체, 예를 들어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이후, 벨트(B) 상에 소재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벨트(B)가 주행되면 푸싱롤(176)은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연결부재(186)에 의해 개폐부재(184)가 상기한 회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유체이송관(182)의 분사구(182)로부터 유체가 분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을 통해 벨트(B)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벨트(B)의 사행 주행시 제1 유동 프레임(162a)의 회동에 의해 벨트(B)를 정상적으로 주행하도록 하여 벨트(B)가 사행 주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을 통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외부 충격에 의해 벨트(B)가 사행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에 연결된 유체분사유닛(160)을 통해 소재가 이송되는 경우 소재로 유체를 분사하여 소재에 함유된 분진의 비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사용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벨트(B)가 사행 주행되면 사행 주행되는 벨트(B)에 의해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은 회동된다. 즉,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은 벨트(B)가 사행주행되는 측이 벨트(B)의 주행방향을 향하도록 회동된다.
이에 따라,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에 의해 안내되는 벨트(B)는 사행 주행되는 측의 반대측으로 안내되고, 결국 회동된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을 통해 벨트(B)가 정상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의 제2 유동 프레임(162b)은 하부측으로 회동된다. 이후 제2 유동 프레임(162)는 탄성부재(168)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160)의 제2 유동 프레임(162b)이 하부측으로 회동될 수 있으므로, 제2 유동 프레임(162b)이 고정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외부충격이 완화되어 제2 유동 프레임(162b)이 파손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하여, 제2 유동 프레임(162)의 회동에 의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벨트(B)가 사행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부 충격에 의해 벨트(B)가 도 5의 우측으로 사행되어 주행하더라도 제2 유동 프레임(162)의 회동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제2 유동 프레임(162)에 의해 벨트(B)가 사행되는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벨트(B)의 사행 주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가 벨트(B)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경우 푸싱롤(176)이 회동되어 유체분사유닛(180)의 개폐부재(176)를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분사구(182a)로부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벨트(B) 상에 소재가 적재되어 이송되는 경우 유체가 분사되어 소재에 함유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가 벨트(B)에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벨트(B)가 주행되면 푸싱롤(176)이 원위치로 복귀되고 개폐부재(176)가 다시 회동되어 분사구(182a)로부터 유체가 분사되지 않도록 한다.
100 : 벨트 컨베이어 120 : 장치 프레임
140 : 벨트 안내유닛 160 :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
180 : 유체분사유닛
140 : 벨트 안내유닛 160 :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
180 : 유체분사유닛
Claims (10)
- 소재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주행하는 벨트를 안내하는 벨트 안내유닛; 및
상기 벨트 안내유닛과 함께 벨트를 안내하며, 개별적으로 회동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유동 프레임부를 가지는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 프레임부는,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동되는 제1 유동 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1 유동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끝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2 유동 프레임;
상기 제2 유동 프레임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2 유동 프레임에 설치되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샤프트; 및
상기 고정샤프트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유동 프레임의 회동시 상기 제2 유동 프레임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토록 상기 연장바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벨트 상에 소재가 적재되어 이송되는 경우 상기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에 의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샤프트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토록 돌출되는 지지턱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며 이동 가능한 이동턱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바는 상기 고정샤프트을 따라 상기 벨트의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샤프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설치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벨트 안내수단은
상기 고정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 상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소재를 평평하게 하는 푸싱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고정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구비되는 설치바; 및
상기 설치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 상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소재에 접촉되는 푸싱롤;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푸싱롤에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설치바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푸싱롤에 부착된 소재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유닛은
상기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 상에 적재되는 소재에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구비하는 유체이송관;
상기 설치바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되도록 상기 유체이송관에 설치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설치바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동과 연동되어 개폐부재가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는 끝단부에 스프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5314A KR101277927B1 (ko) | 2010-12-27 | 2010-12-27 | 벨트 컨베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5314A KR101277927B1 (ko) | 2010-12-27 | 2010-12-27 | 벨트 컨베이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3522A KR20120073522A (ko) | 2012-07-05 |
KR101277927B1 true KR101277927B1 (ko) | 2013-06-27 |
Family
ID=4670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5314A KR101277927B1 (ko) | 2010-12-27 | 2010-12-27 | 벨트 컨베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792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8905U (ko) * | 1996-11-26 | 1998-08-05 | 김종진 | 벨트콘베이어의 살수밸브 자동개폐장치 |
KR20020041925A (ko) * | 2000-11-29 | 2002-06-05 | 이구택 |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캐리어 스탠드 |
JP2003300609A (ja) | 2002-04-09 | 2003-10-21 | Naoe Tekko:Kk | ベルトコンベヤのキャリヤローラ装置 |
KR20100078929A (ko) * | 2008-12-30 | 2010-07-08 | 주식회사 포스코 | 벨트 컨베이어 장치 |
-
2010
- 2010-12-27 KR KR1020100135314A patent/KR1012779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8905U (ko) * | 1996-11-26 | 1998-08-05 | 김종진 | 벨트콘베이어의 살수밸브 자동개폐장치 |
KR20020041925A (ko) * | 2000-11-29 | 2002-06-05 | 이구택 |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캐리어 스탠드 |
JP2003300609A (ja) | 2002-04-09 | 2003-10-21 | Naoe Tekko:Kk | ベルトコンベヤのキャリヤローラ装置 |
KR20100078929A (ko) * | 2008-12-30 | 2010-07-08 | 주식회사 포스코 | 벨트 컨베이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3522A (ko) | 2012-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7709B1 (ko) | 자기부상방식 판유리 이송장치 | |
JP2009102163A (ja) | コンベヤベルトにより物品を運搬するための搬送装置 | |
KR101504423B1 (ko) |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 컨베이어 어셈블리 | |
KR101299048B1 (ko) | 트리퍼 | |
KR101051416B1 (ko) | 판유리 이송장치 | |
KR101277927B1 (ko) | 벨트 컨베이어 | |
KR101167161B1 (ko) | 벨트 컨베이어 | |
CN205708446U (zh) | 食品输送机 | |
KR101039714B1 (ko) |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 |
CN2737739Y (zh) | 煤矿井下掘进矸煤运输简易皮带机 | |
KR100608299B1 (ko) |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 |
CN210557368U (zh) | 一种输煤皮带机 | |
KR101188085B1 (ko) | 벨트 사행 방지형 컨베이어 장치 | |
CN205590076U (zh) | 多层铺布机的布卷输送装置 | |
CN112283560B (zh) | 一种基于带传动的巡检装置及巡检方法 | |
CN209192928U (zh) | 一种振打托辊及输送机构 | |
CN203921839U (zh) | 皮带受料、转载点缓冲装置 | |
KR101316792B1 (ko) | 판유리 이송장치 | |
CN203975863U (zh) | 多角度自动调压皮带机清扫器 | |
KR20110047033A (ko) | 벨트컨베이어용 부착광 제거장치 | |
KR101277837B1 (ko) | 벨트 컨베이어 | |
CN217457371U (zh) | 输送装置以及输送系统 | |
KR100977775B1 (ko) | 조광조 트리퍼의 벨트 보호장치 | |
KR101482277B1 (ko) |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벨트 지지 장치 | |
KR101424434B1 (ko) |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