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302B1 -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302B1
KR101276302B1 KR20110147772A KR20110147772A KR101276302B1 KR 101276302 B1 KR101276302 B1 KR 101276302B1 KR 20110147772 A KR20110147772 A KR 20110147772A KR 20110147772 A KR20110147772 A KR 20110147772A KR 101276302 B1 KR101276302 B1 KR 101276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mixed material
classifier
sludge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4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청우에코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우에코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우에코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14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2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02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Making slurries; Involving methodical aspects; Involving pretreatment of ingredients; Involving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418Wet materials, e.g. slur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모래와 정수 슬러지와 기타 재료들이 각각 투입되는 제1 호퍼; 상기 제1 호퍼로 투입된 제1 혼합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기;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된 제1 혼합재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상기 냉각기를 거친 제1 혼합재료를 설정된 입도를 기준으로 분리하는 제1 분급기; 상기 제1 분급기를 거친 설정된 입도 이하의 제1 혼합재료와 첨가제와 생석회와 기타 재료들이 각각 투입되는 제2 호퍼; 상기 제2 호퍼에 투입된 재료들을 혼합하는 혼합기; 및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제2 혼합재료들을 포장하는 포장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 슬러지를 이용하여, 도로 포장 및 하수 슬러지(산업폐수처리 슬러지 포함) 처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고화재(또는 흙 마감재)를 생산하고, 아울러, 고화재(또는 흙 마감재) 생산에 사용되는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게 된다.

Description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SYSTEM FOR MANUFACTURING CEMENT AND SOIL PLASTER USING WATERWORKS SLUDGE}
본 발명은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포장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도로를 이용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도로를 포장하는 재료로, 콘크리트, 아스팔트, 자갈 등이 사용된다. 하지만, 도로 포장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재료인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재료는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사용 후 폐기물을 발생시킨다. 특히, 콘크리트의 경우 투수성이 불량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흙 포장이 시행되고 있으나 고화성과 내구성이 부족하여 먼지가 발생되고 폭우시 지반이 유실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하수 슬러지나 산업폐수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슬러지(이하, 산업폐수처리 슬러지라 함)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하수 슬러지나 산업폐수처리 슬러지를 처리시 많은 양을 매립에 의존하고 있다. 하수 슬러지나 산업폐수처리 슬러지를 매립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슬러지를 기계적으로 탈수시킨 후 일반폐기물과 함께 매립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슬러지에서 수분을 제거하는데 한계성이 있어 매립시 작업 차량이 원활하게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러지 매립층에 슬러지케이크를 고화 처리하고 슬러지 매립층에 복토재를 적층하여 복토재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빗물이나 침출수에 의해 슬러지 매립층과 복토재층이 다시 슬러리화될 뿐만 아니라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친환경 건축 소재로 흙 마감재 사용이 늘고 있으나 대부분의 흙 마감재 제품이 흙을 결합하기 위한 접착제 및 결합제로 수지바인더를 사용하고 있다.이는 흙의 본래 특성인 기공에 의한 흡착,흡수,흡취 기능성을 약화시켜 흙의 친환경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시의 발달 및 증가로 인하여 수돗물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수원에서 급수한 물을 여과(정수)할 때 발생되는 정수 슬러지의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다. 정수 슬러지는 매립, 해양투기,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정수 슬러지를 매립하여 처리하는 것은 매립지의 확보가 어렵고, 정수 슬러지를 해양에 투기하여 처리하는 것은 해양오염을 유발시키게 되어 2013년부터 금지된다. 따라서, 정수 슬러지를 재활용하는 기술들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 슬러지를 이용하여, 도로 포장, 건축 마감재 및 하수 슬러지(산업폐수처리 슬러지 포함) 처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고화재(또는 흙 마감재)를 생산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래와 정수 슬러지와 기타 재료들이 각각 투입되는 제1 호퍼; 상기 제1 호퍼로 투입된 제1 혼합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기;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된 제1 혼합재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상기 냉각기를 거친 제1 혼합재료를 설정된 입도를 기준으로 분리하는 제1 분급기; 상기 제1 분급기를 거친 설정된 입도 이하의 제1 혼합재료와 첨가제와 생석회와 기타 재료들이 각각 투입되는 제2 호퍼; 상기 제2 호퍼에 투입된 재료들을 혼합하는 혼합기; 및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제2 혼합재료들을 포장하는 포장기;를 포함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정수 슬러지가 제1 호퍼로 투입되기 전 상기 슬러지를 분쇄시키는 제1 분쇄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기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여과하는 집진기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된 입도는 2.5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분급기에서 분리된 설정된 입도 이상인 제1 혼합재료를 세 가지 크기의 설정된 입도로 분리하는 제2 분급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급기에서 분리된 제1 혼합재료에서 가장 큰 설정된 입도로 분리된 제1 혼합재료를 분쇄시키는 제2 분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분쇄기에서 분쇄된 제1 혼합재료는 상기 제2 분급기에서 다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분급기에서 분리되는 가장 작은 설정된 입도의 제1 혼합재료는 상기 제2 호퍼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정수 슬러지를 이용하여 고화재(또는 흙 마감재)를 생산하게 되므로 정수 슬러지를 재활용하게 되며, 또한 정수 슬러지, 첨가제, 생석회, 규사가 주성분인 모래를 포함한 고화재는 점착력이 강하여 도로 포장시 내구성이 강하고 모래를 포함하고 있어 투수성이 우수하게 되며, 또한 정수 슬러지가 고온 처리되어 정수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을 유기물이 제거되고 흡수, 흡착, 흡취 성능이 우수하게 되어 된 활성정수슬러지를 이용하여 하수 슬러지나 산업폐수처리 슬러지를 인공토양으로 변환하여 복토재로 활용 할 경우 매립시 사용하게 될 경우 매립 슬러지층을 고화시키고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되는 흙 마감재는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것으로 균일한 입도와 접착력이 우수하여 얇게 미장 또는 도포하여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균일한 미세 흙 속의 기공을 통한 흡수,흡착,흡취 기능이 뛰어나 쾌적한 생활공간 제공과 새집증후군을 예방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시스템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제1 분급기에서 분리된 입도가 큰 제1 혼합재료를 제2 분급기에서 세가지의 입도로 분리하여 일부는 제2 호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나머지는 재처리하게 되므로 재료의 활용도를 높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건조기, 열풍발생로 그리고 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분급기, 제2 분급기 그리고 제2 분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은 제1 호퍼(10), 건조기(20), 냉각기(30), 제1 분급기(40), 제2 호퍼(50), 혼합기(60), 포장기(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호퍼(10)는 모래와 정수 슬러지와 기타 재료들이 각각 투입된다. 상기 모래는 강에서 채취되는 강 모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호퍼(10)에 투입된 재료들은 제1 호퍼(10)에서 1차 혼합된다. 상기 모래는 적재장소에 적재된 상태에서 삽이나 기타 장비로 모래를 제1 호퍼(10)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정수 슬러지는 보통 미세입자들이 고화된 상태로, 상기 제1 호퍼(10)에 투입하기 전 제1 분쇄기(1)에 의해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수 슬러지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분쇄기(1)에 분쇄한 후 제1 호퍼(10)에 투입할 수 있고, 또한 제1 분쇄기(1)에 분쇄하지 않고 제1 호퍼(10)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제1 호퍼(10)에 투입된 모래, 정수 슬러지, 기타 재료들이 혼합된 것을 제1 혼합재료로 한다.
상기 건조기(20)는 상기 제1 호퍼(10)로 투입된 제1 혼합재료를 건조시킨다. 상기 제1 호퍼(10)와 상기 건조기(20)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호퍼(10)에 투입된 혼합 재료인 제1 혼합재료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건조기(20)로 유입된다. 상기 건조기(20)는 열풍에 의해 제1 혼합재료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건조기(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발생로(2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기(20)는 제1 혼합재료를 건조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수단(2)이 연결되며, 상기 배기수단(2)에 배기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여과하는 집진기(3)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기는 회전하는 회전로를 포함하며, 회전로의 내부에 제1 혼합재료가 투입되어 회전로가 회전함과 동시에 열풍발생로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공급받아 제1 혼합재료를 건조시킨다. 상기 회전로의 내부 온도가 25 ~ 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60분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로의 최적 내부 온도는 150℃이다. 이와 같은 건조 과정이 진행되면 제1 혼합재료의 정수슬러지는 함수율 0.5-2% 상태가 되어 분말 이탈 현상에 의한 150-300μm의 입도를 갖는 활성 정수슬러지 미분말을 얻게 된다. 상기 정수슬러지를 건조(열처리)하기 위해 회전로가 회전함에 따라 정수슬러지가 함께 회전하면서 슬러지 간 물리적 충돌현상을 일으키게 되며, 이때 다공질의 슬러지 입자가 구형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흡수, 흡착, 흡취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혼합재료를 150℃에서 건조시키게 되면 제1 혼합재료에 포함된 유기물를 소거시키게 된다.
상기 냉각기(30)는 상기 건조기(20)에서 건조된 제1 혼합재료를 냉각시킨다.
상기 제1 분급기(40)는 상기 냉각기(30)를 거친 제1 혼합재료를, 설정된 입도(粒度)를 기준으로 분리한다. 상기 설정된 입도는 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분급기(40)에서 제1 혼합재료를 입도가 2.5mm보다 큰 것과 작은 것으로 분리한다. 상기 제1 분급기(40)에서 분리된 입도가 2.5mm이하인 제1 혼합재료는 상기 제2 호퍼(5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1 분급기(40)에서 분리된 입도가 2.5mm이하인 제1 혼합재료는 제1 저장탱크(T1)에 저장된 후 상기 제2 호퍼(50)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저장탱크(T1)는 상기 제1 분급기(40)와 제2 호퍼(5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혼합재료에서 입도가 2.5mm보다 큰 제1 혼합재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급기(40)와 연결되는 제2 분급기(4)에 의해 다양한 크기로 분리된다. 상기 제2 분급기(4)에서 제1 혼합재료는 세가지 크기의 입도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세가지 크기의 입도는 상 입도 7.0~15mm, 중 입도 2.5~7.0mm, 하 입도 2.5mm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 입도 이상, 즉 입도가 15mm보다 큰 제1 혼합재료는 제2 분쇄기(5)에 의해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분쇄기(5)에서 분쇄된 혼합재료는 제2 분급기(4)에서 크기가 분리된다. 상기 제2 분급기(4)에서 분리된 상 입도인 제1 혼합재료와 중 입도인 제1 혼합재료는 재처리한다. 그리고 제2 분급기(4)에서 분리된 하 입도의 제1 혼합재료는 제2 저장탱크(T2)에 저장되며, 상기 제2 저장탱크(T2)는 상기 제2 호퍼(50)와 연결된다. 상기 제2 저장탱크(T2)에 저장된 제1 혼합재료는 상기 제2 호퍼(50)에 선택적으로 투입된다.
상기 제2 호퍼(50)에 상기 제1 분급기(40)를 거친 설정된 입도, 즉 입도 2.5mm이하의 제1 혼합재료와 첨가제와 생석회와 기타 재료들이 각각 투입된다. 상기 제2 호퍼(50)에 투입된 재료들은 제2 호퍼(50)에 각각 투입되면서 1차로 혼합된다. 상기 첨가제는 제2 호퍼(50)와 연결된 첨가제 탱크(T3)에 저장되며, 첨가제 탱크(T3)에 저장된 첨가제는 설정된 양만큼 제2 호퍼(50)에 투입된다. 상기 생석회는 제2 호퍼(50)와 연결된 제4 저장탱크(T4)에 저장되며, 제4 저장탱크(T4)에 저장된 생석회는 설정된 양만큼 제2 호퍼(50)에 투입된다. 상기 제4 저장탱크(T4)에 최종 제품에 따라 시멘트가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호퍼(50)에 투입된 제1 혼합재료와 첨가제와 생석회와 기타 재료들은 상기 혼합기(60)로 이송되어 혼합기(60)에서 혼합된다. 상기 제1 혼합재료와 첨가제와 생석회와 기타 재료들이 혼합된 혼합재료를 제2 혼합재료라 한다. 상기 제2 혼합재료가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또는 흙 마감재가 된다.
상기 포장기(70)는 상기 혼합기(60)에서 혼합된 제2 혼합재료를 설정된 봉지 또는 용기 등에 설정된 양을 담아 포장하게 된다.
상기 혼합기(60)에서 혼합된 제2 혼합재료는 제3 저장탱크에 저장된 후 제3 저장탱크(T5)에 저장된 제2 혼합재료를 포장기(70)로 공급하여 포장기(70)에서 제2 혼합재료를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호퍼(10)에 설정된 양의 모래와 정수 슬러지와 기타 재료를 투입한다. 상기 제1 호퍼(10)에 투입된 모래와 정수 슬러지와 기타 재료들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건조기(20)로 유입된다. 상기 건조기(20)에 유입된 제1 혼합재료들은 건조기(20)에서 열풍에 의해 건조된다. 상기 건조기(20)에서 건조된 제1 혼합재료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어 냉각기(30)로 유입된다. 상기 냉각기(30)로 유입된 제1 혼합재료는 냉각기(30)에서 상온 상태로 냉각된다.
상기 냉각기(30)에서 냉각된 제1 혼합재료는 상기 제1 분급기(40)로 이송되어 제1 분급기(40)에서 설정된 입도(2.5mm)보다 큰 제1 혼합재료와 설정된 입도보다 작은 제1 혼합재료로 분리된다. 입도가 작은 제1 혼합재료는 제2 호퍼(50)로 공급되되, 제1 저장탱크(T1)에 저장된 후 제1 저장탱크(T1)에서 설정된 양만큼 제2 호퍼(50)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1 분급기(40)에서 분리된 입도가 큰 제1 혼합재료는 제2 분급기(4)로 공급되며, 제2 분급기(4)로 공급된 입도가 큰 제1 혼합재료는 제2 분급기(4)에서 세 가지 크기로 분리된다. 제2 분급기(4)에서 상,중,하 입도, 세 가지의 크기로 분리된 제1 혼합재료들 중 상 입도 이상되는 제1 혼합재료는 제2 분쇄기(5)에서 분쇄된 후 제2 분급기(4)에서 세 가지의 크기로 분리된다. 상기 제2 분급기(4)에서 분리된 상,중 입도의 제1 혼합재료는 재처리되며, 2.5mm이하인 하 입도의 제1 혼합재료는 제2 저장탱크(T2)에 저장된다. 상기 제2 저장탱크(T2)에 저장된 하 입도의 제1 혼합재료는 설정된 양으로 상기 제2 호퍼(50)에 공급된다.
제2 호퍼(50)에, 제1 저장탱크(T1)의 제1 혼합재료와 첨가제와 생석회가 각각 설정된 양만큼 투입된다. 상기 제2 호퍼(50)에 투입된 재료들은 혼합기(60)로 이송되어 혼합기(60)에서 혼합된다. 상기 혼합기(60)에서 혼합이 완료된 제2 혼합재료, 즉 고화재 또는 흙 마감재는 포장기(70)에서 포장된다. 고화재와 흙 마감재는 정수슬러지, 모래(규사), 첨가제, 생석회의 성분비에 따라 정해진다.
본 발명은 정수 슬러지를 이용하여 고화재를 생산하게 되므로 정수 슬러지를 재활용하게 되며, 또한 정수 슬러지, 첨가제, 생석회, 규사가 주성분인 모래를 포함한 고화재는 점착력이 강하여 도로 포장시 내구성이 강하고 모래를 포함하고 있어 투수성이 우수하게 된다. 고화재(또는 흙 마감재) 또한 접착성이 우수하여 균열 또는 탈락현상이 없으며 흙의 기공성에 의한 기능(흡수,흡착,흡취)성이 우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정수 슬러지를 이용하여 고화재를 생산하게 되므로 정수 슬러지를 재활용하게 되며, 또한 정수 슬러지, 첨가제, 생석회, 규사가 주성분인 모래를 포함한 고화재는 정수 슬러지가 고온 처리되어 정수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을 유기물이 제거되고 흡수, 흡착, 흡취 성능이 우수하게 되어 하수 슬러지나 산업폐수처리 슬러지를 매립시 인공토양 복토재로 사용하게 될 경우 매립 슬러지 복토층을 고화시키고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시스템 설치가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제1 분급기에서 분리된 입도가 큰 제1 혼합재료를 제2 분급기에서 세가지의 입도로 분리하여 일부는 제2 호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나머지는 재처리하게 되므로 재료의 활용도를 높이게 된다.
10; 제1 호퍼 20; 건조기
30; 냉각기 40; 제1 분급기
50; 제2 호퍼 60; 혼합기
70; 포장기

Claims (9)

  1. 모래와 정수 슬러지와 기타 재료들이 각각 투입되는 제1 호퍼;
    상기 제1 호퍼로 투입된 제1 혼합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기;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된 제1 혼합재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상기 냉각기를 거친 제1 혼합재료를 설정된 입도를 기준으로 분리하는 제1 분급기;
    상기 제1 분급기를 거친 설정된 입도 이하의 제1 혼합재료와 첨가제와 생석회와 기타 재료들이 각각 투입되는 제2 호퍼;
    상기 제2 호퍼에 투입된 재료들을 혼합하는 혼합기; 및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제2 혼합재료들을 포장하는 포장기;를 포함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슬러지가 상기 제1 호퍼로 투입되기 전 상기 슬러지를 분쇄시키는 제1 분쇄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여과하는 집진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입도는 2.5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급기에서 분리된 설정된 입도 이상인 제1 혼합재료를 세 가지 크기의 설정된 입도로 분리하는 제2 분급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급기에서 분리된 제1 혼합재료에서 가장 큰 설정된 입도로 분리된 제1 혼합재료를 분쇄시키는 제2 분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쇄기에서 분쇄된 제1 혼합재료는 상기 제1 분급기에서 다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급기에서 분리되는 가장 작은 설정된 입도의 제1 혼합재료는 상기 제2 호퍼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회전하면서 내부에 건조기 내부에 있는 제1 혼합재료를 건조시키며, 상기 건조기의 내부 온도는 25 ~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KR20110147772A 2011-12-30 2011-12-30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KR101276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7772A KR101276302B1 (ko) 2011-12-30 2011-12-30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7772A KR101276302B1 (ko) 2011-12-30 2011-12-30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302B1 true KR101276302B1 (ko) 2013-06-24

Family

ID=4886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47772A KR101276302B1 (ko) 2011-12-30 2011-12-30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3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5985A (zh) * 2020-08-13 2020-11-24 海盐达贝尔新型建材有限公司 陈化时间短且含水率低的烧结保温砖原料处理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898B1 (ko) 2001-05-03 2004-10-01 송기도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소성 건자재 제조방법
KR20060001816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이알티 폐기물을 이용한 시멘트 혼화재 제조방법
KR101041094B1 (ko) 2010-10-18 2011-06-14 태성건설 주식회사 친환경 건축자재 조성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898B1 (ko) 2001-05-03 2004-10-01 송기도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소성 건자재 제조방법
KR20060001816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이알티 폐기물을 이용한 시멘트 혼화재 제조방법
KR101041094B1 (ko) 2010-10-18 2011-06-14 태성건설 주식회사 친환경 건축자재 조성물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5985A (zh) * 2020-08-13 2020-11-24 海盐达贝尔新型建材有限公司 陈化时间短且含水率低的烧结保温砖原料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2396B (zh) 从拆除废料收回骨料和粉状矿物材料
CN107098550B (zh) 污泥固化剂及利用其的固化物制备方法
JP4665259B2 (ja) 建設汚泥の有効利用方法
KR101276302B1 (ko)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흙 마감재 생산시스템
CN107098549B (zh) 污泥固化剂及利用其的固化物制备方法
CN107903034A (zh) 一种海绵体陶瓷砖及其生产方法
RU2721053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незатвердевшего бетона
KR101155043B1 (ko)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고화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31505A (ko) 유·무기성 폐기물을 복합적으로 이용한 경량골재 제조방법
JP3220202B2 (ja) 建設用廃泥水の処理方法
JP2007268431A (ja) コンクリート再生材料
JP5289380B2 (ja) 造粒改良土の製造方法
JP2001276599A (ja) 微粉処理方法及び微粉処理装置
JP2020511584A (ja) 汚泥や水を含む土壌の調整のため、及び酸の中和のためのバインダーの生産方法
JP2022504922A (ja) プラスチック組成物を製造するための新規組成物およびその方法
JP4139371B2 (ja) 管工事布設用埋戻材の製造方法及び管工事布設用埋戻材
JP3321152B1 (ja) 建設汚泥のリサイクル方法
KR20060073599A (ko) 물질, 복합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저장하는 폐기물 처분장, 이들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 목적에 대응하는 장치
JP2003342902A (ja) 路盤材およびその製法
JP3243864U (ja) 袋体入り土壌改質材
CN107352890A (zh) 一种低能耗给水厂污泥颗粒化方法
TWI309991B (ko)
KR200197968Y1 (ko) 쓰레기 소각회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JP2000210700A (ja) 建設汚泥の再資源化方法
JPH09143911A (ja) 舗石ブロッ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