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159B1 -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 Google Patents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159B1
KR101276159B1 KR1020100102860A KR20100102860A KR101276159B1 KR 101276159 B1 KR101276159 B1 KR 101276159B1 KR 1020100102860 A KR1020100102860 A KR 1020100102860A KR 20100102860 A KR20100102860 A KR 20100102860A KR 101276159 B1 KR101276159 B1 KR 10127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recognition means
disposed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418A (ko
Inventor
이평주
Original Assignee
이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평주 filed Critical 이평주
Priority to KR102010010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1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0Transpo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이 깊은 용기 형태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내부 바닥에 인식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식수단의 긁힘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판형 플레이트; 내부 수용부와 이와 연결된 일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수용부 바닥에 상기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일측 가장자리와 이의 중앙영역 중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인식수단; 을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은, 판형 플레이트 사출성형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서 일측 가장자리와 이의 중앙영역 중 중앙영역에 인식수단 배치 단계; 및 내부 수용부와 이와 연결된 일측 개구부를 갖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 바닥에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이 접하게 배치되도록 인서트 사출하게 되는 커버 사출성형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인식수단이 단위체 내부 바닥에 배치됨으로써 인식수단의 긁힘 및 마모가 방지되며, 커버 사출성형 단계에서 인식수단이 용융 수지와 비(非)접촉하게 되어 제작 시 인식수단의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STRUCTURE FOR STORING ARTICLE}
본 발명은 바닥이 깊은 용기 형태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내부 바닥에 인식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식수단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용기 및 주류용기 등과 같이, 각종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에는 그 제품명, 로고, 상호, 제조일자 및 각종 이미지 등이 표현된 인쇄형 매체, 또는 바코드, QR코드 및 RFID태그와 같은 정보형 매체로 이루어진 인식수단이 구비된다.
종래 구조체에서 이러한 인식수단은 상기 구조체의 내측에 배치하기가 불편하며, 특히 깊이 함몰된 바닥에는 인식수단을 배치하기가 매우 불편하여 부득이하게 구조체 외측에 형성하였으나,
이에 따라 상기 인식수단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6871호(2003.02.27.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한다.) 『이중구조의 화장품 용기』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색조층이나 문자를 인쇄한 표면층이 외부에 형성된 통형상의 중간제품인 내부용기의 외부에 투명의 외부용기를 이중사출하여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외부용기의 상부 외주연을 감싸는 마감편과 상기 내부용기의 내주연에 열용착되는 돌기편이 일체로 되어 어깨와 입구를 형성한 마감캡을 조립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표면층(본 발명의 인식수단에 해당)의 긁힘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용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상기 표면층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에 개재(介在)됨으로써 이의 긁힘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기 외부용기의 형성을 위한 이중사출성형 시 상기 내부용기 외부에 형성된 표면층이 용융된 수지의 열기(熱氣)에 의해 변형 및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는 일측면에 인식수단이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인식수단 비(非)형성부를 덮게 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인식수단이 상기 단위체 내부 바닥에 배치되되, 제작 시 상기 인식수단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는,
판형 플레이트;
내부 수용부와 이와 연결된 일측 개구부를 갖고, 상기 수용부 바닥에 상기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일측 가장자리와 이의 중앙영역 중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인식수단;
을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에 의해 일측 가장자리가 덮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식수단 또는 상기 커버의 수용부 내측면, 또는 이들 모두에는 피막(被膜)형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체는 내주면에 체결부를 갖는 캡과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커버의 개구부 측 외주면에 대응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저장용기로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체는 외주면에 결합부를 갖는 저장용기와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커버의 개구부 측 내주면에 대응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저장용기용 마감 캡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판형 플레이트 사출성형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서 일측 가장자리와 이의 중앙영역 중 중앙영역에 인식수단 배치 단계; 및
내부 수용부와 이와 연결된 일측 개구부를 갖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 바닥에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이 접하게 배치되도록 인서트 사출하게 되는 커버 사출성형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는,
인식수단이 단위체 내부 바닥에 배치됨으로써 인식수단의 훼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커버 사출성형 단계에서 인식수단이 용융 수지와 비(非)접촉하게 되어 제작 시 인식수단의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의 단면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에서 제1 및 제2 구현예의 단위체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6은 제1 및 제2 구현예의 단위체가 혼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도 8의 커버 사출성형 단계에서 사용되는 금형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는 크게 플레이트(100), 커버(200) 및 인식수단(300)을 포함하는 단위체(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체(10)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플레이트(100)는
판형(板形)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을 비롯하여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플레이트(100)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부 수용부(210), 그리고
상기 수용부(210)와 연결된 일측 개구부(2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210) 바닥(211)에 상기 플레이트(10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210)에는 내측으로 환형(環形) 연장부(2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연장부(212)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00)는 일측 가장자리(120)가 덮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2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결국, 상기 커버(200)는 상기 플레이트(100)에서 일측 중앙영역(110)을 제외한 부분을 덮는 형국이 되며,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측 중앙영역(110)은 상기 커버(200)의 개구부(220) 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인식수단(300)은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에 수용된 내용물 또는 이의 제조사와 관련된 문자나 이미지를 나타내거나, 또는 각종 데이터(data)를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내용물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측 중앙영역(110)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인식수단(300)은
제품명, 로고, 상호, 제조일자 및 각종 이미지 등이 인쇄되어 표현된 인쇄형 매체, 또는
바코드, QR코드 및 RFID태그와 같이 각종 데이터를 갖는 정보형 매체
로 이루어져,
이들이 함께 사용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형 매체는 제품명, 로고, 상호, 제조일자 및 각종 이미지 등이 인쇄된 라벨이나 스티커 등을 상기 플레이트(100)의 중앙영역(110)에 부착하거나, 또는 제품명, 로고, 상호, 제조일자 및 각종 이미지 등을 상기 플레이트(100)의 중앙영역(110)에 직접 인쇄함으로써 배치될 수 있는데,
특히, 직접 인쇄방식이 적용될 경우 상기 인쇄형 매체를 상기 커버(200)가 형성되기 전 단계인 판형(板形)의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 배치함으로써 공지의 실크인쇄, 전사인쇄, 스탬핑(stampping) 인쇄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코드 및 QR코드와 같은 정보형 매체를 인쇄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인식수단(300)은 상기 단위체(10)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훼손이 방지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상기 플레이트(100) 및 커버(200)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하거나 판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식수단(300) 또는 상기 커버(200)의 수용부(210) 내측면, 또는 이들 모두에는 피막(被膜)형 코팅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4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식수단(300)을 덮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면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에 수용된 내용물 등으로부터 인식수단(300)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팅층(400)은 도료를 도포하거나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 다양한 색상이나 문양 등을 갖도록 함으로써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의 미적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코팅층(400)이 상기 커버(200)의 수용부(210) 내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경우, 코팅층(400)을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불투명하게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을 가리게끔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단위체(10)는 상기 커버(200)의 구조에 따라 제1 및 제2 구현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각 구현예에 따른 단위체를 구분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제1구현예의 단위체에 대한 도면부호를 '10A', 제2구현예의 단위체에 대한 도면부호를 '10B'로 정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현예의 단위체(10A)는
내주면에 체결부(21)를 갖는 캡(20)과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커버(200)의 개구부(220) 측 외주면에 대응체결부(11)를 형성함으로써 저장용기로 사용된다.
즉, 제1구현예의 단위체(10A)는 캡(20) 및 저장용기로 이루어진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에서 저장용기로 사용되어 상기 개구부(220)에 내용물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현예의 단위체(10B)는
외주면에 결합부(31)를 갖는 저장용기(30)와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커버(200)의 개구부(220) 측 내주면에 대응결합부(12)를 형성함으로써 저장용기(30)용 마감 캡으로 사용된다.
즉, 제2구현예의 단위체(10B)는 캡 및 저장용기(30)로 이루어진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에서 캡으로 사용되어 저장용기(30)의 아가리 또는 토출구(32)를 덮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현예의 단위체(10A, 10B)는 상호 혼용(混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크게 플레이트 사출성형 단계(S10), 인식수단 배치 단계(S20) 및 커버 사출성형 단계(S30)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플레이트 사출성형 단계(S10)는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상기 판형 플레이트(100)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는 공지의 사출성형 방법으로 이루어질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인식수단 배치 단계(S20)는
상기 플레이트(100)에서 일측 가장자리(120)와 이의 중앙영역(110) 중 중앙영역(110)에 인식수단(300)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인식수단(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00)의 중앙영역(110)에 직접 인쇄하거나, 또는 라벨, 스티커 및 RFID태크 등을 부착함으로써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사출성형 단계(S30)는
내부 수용부(210)와 이와 연결된 일측 개구부(220)를 갖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210) 바닥(211)에 상기 플레이트(100)의 타측이 접하게 배치되도록 인서트 사출하게 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 사출성형 단계(S30)에서 사용되는 금형(5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510)가 상기 인식수단(300)을 덮게 되고, 게이트(520)가 상기 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상기 인식수단(300)의 타측에 배치되는데,
따라서, 상기 인식수단(300)이 상기 게이트(520)를 통해 투입되는 용융 수지(R)와 비(非)접촉하게 되어 인식수단(300)의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플레이트(100) 및 상기 커버(200)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이중사출성형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A, 10B ; 단위체
11 ; 대응체결부 12 ; 대응결합부
20 ; 캡
21 ; 체결부
30 ; 저장용기
31 ; 결합부 32 ; 토출구
100 ; 플레이트
110 ; 중앙영역 120 ; 가장자리
200 ; 커버
210 ; 수용부
211 ; 바닥 212 ; 연장부
220 ; 개구부
300 ; 인식수단
400 ; 코팅층

Claims (8)

  1.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판형 플레이트(100);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내부 수용부(210)와 이와 연결된 일측 개구부(220)를 갖고, 상기 수용부(210) 바닥(211)에 상기 플레이트(100)가 배치되는 커버(200);
    상기 플레이트(100)에서 일측 가장자리(120)와 이의 중앙영역(110) 중 중앙영역(110)에 배치되는 인쇄형 매체로 이루어진 인식수단(300); 및
    상기 인식수단(300) 또는 상기 커버(200)의 수용부(210) 내측면,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피막(被膜)형 코팅층(400);
    을 포함하는 단위체(10, 10A, 10B)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레이트(100)는 상기 커버(200)에 의해 일측 가장자리(120)가 덮이게 되고,
    상기 인식수단(300)은 상기 플레이트(100)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200)는 상기 수용부(210) 바닥(211)이 상기 플레이트(100) 타측에 배치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10A)는 내주면에 체결부(21)를 갖는 캡(20)과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커버(200)의 개구부(220) 측 외주면에 대응체결부(11)를 형성함으로써 저장용기로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10B)는 외주면에 결합부(31)를 갖는 저장용기(30)와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커버(200)의 개구부(220) 측 내주면에 대응결합부(12)를 형성함으로써 저장용기(30)용 마감 캡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102860A 2010-10-21 2010-10-21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KR101276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860A KR101276159B1 (ko) 2010-10-21 2010-10-21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860A KR101276159B1 (ko) 2010-10-21 2010-10-21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418A KR20120041418A (ko) 2012-05-02
KR101276159B1 true KR101276159B1 (ko) 2013-06-18

Family

ID=4626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860A KR101276159B1 (ko) 2010-10-21 2010-10-21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1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935A (ja) 2004-05-07 2005-11-17 Toyo Seikan Kaisha Ltd Icタグ内蔵キャップ
WO2007092126A1 (en) * 2006-02-07 2007-08-16 Owens-Illinois Healthcare Packaging Inc. Closure and package with induction seal and rfid tag
JP2008090337A (ja) * 2006-09-29 2008-04-17 Toyo Seikan Kaisha Ltd Icタグ付キャップ
KR100844395B1 (ko) * 2008-04-28 2008-07-14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설치된 병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935A (ja) 2004-05-07 2005-11-17 Toyo Seikan Kaisha Ltd Icタグ内蔵キャップ
WO2007092126A1 (en) * 2006-02-07 2007-08-16 Owens-Illinois Healthcare Packaging Inc. Closure and package with induction seal and rfid tag
JP2008090337A (ja) * 2006-09-29 2008-04-17 Toyo Seikan Kaisha Ltd Icタグ付キャップ
KR100844395B1 (ko) * 2008-04-28 2008-07-14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설치된 병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418A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64075T3 (es) Llavero de plástico con impresión a todo color y una etiqueta RFID integrada
CN109643386A (zh) 并入无线通信设备的药物容器和用于制造此类容器的方法
US20110274867A1 (en) Article produced by the two-component injection-moulding process
KR101122514B1 (ko) 이중용기로 구성된 화장품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10272316A1 (en) Labeling device for container,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US11247813B2 (en) Container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276159B1 (ko) 물품저장을 위한 구조체
CN110235147B (zh) 用于瓶的包括电子芯片的标签,以及相关的生产方法
CN213083981U (zh) 瓶盖及盛酒容器
KR200306871Y1 (ko) 이중구조의 화장품 용기
CN105564795B (zh) 一种具有识别码的包装袋及生产方法
US7866073B2 (en) Plastic containers with micro-optic identification
CN214931563U (zh) 一种包装罐
WO2012142675A1 (en) Multi-colour injection moulded container cap
CN210556624U (zh) 瓶盖及盛酒容器
KR20150068536A (ko) 바코드 인식기가 인식이 쉬운 색깔을 병마개 표면이 갖도록 하는 방법
CN210377511U (zh) 一种rfid注塑包装盒
CN204150396U (zh) 具快速响应组合件的瓶盖
JP2009037442A (ja) 非接触型icタグ及び非接触型icタグの製造方法
KR200489251Y1 (ko) 포장용기
JPH0352670Y2 (ko)
CN220577924U (zh) 瓶子及其瓶盖
EP2296986A1 (en) Container provided with markings
NL2031320B1 (en) A sealing mark, a package and methods
JP7409747B2 (ja) 透明容器用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