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993B1 - 바인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바인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993B1
KR101275993B1 KR1020110135497A KR20110135497A KR101275993B1 KR 101275993 B1 KR101275993 B1 KR 101275993B1 KR 1020110135497 A KR1020110135497 A KR 1020110135497A KR 20110135497 A KR20110135497 A KR 20110135497A KR 101275993 B1 KR101275993 B1 KR 10127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hole
segment
pull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리앙 첸
Original Assignee
진 지앙 시티, 슈즈-락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 지앙 시티, 슈즈-락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진 지앙 시티, 슈즈-락 코.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1013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7Belt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2Applying preformed bands of continuous-ring form, e.g.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바인딩 어셈블리(binding assembly)는 바인딩 프레임, 풀링 타이 및 타이트닝 타이를 가진다. 바인딩 프레임은 베이스, 가압부재, 두개의 피봇 이어, 두개의 타이 패스닝 홀더 및 두개의 분리부재를 가진다. 타이 패스닝 홀더는, 베이스에 대해 피봇 할 수 있게 연결되며, 각각 풀링 타이 홀 및 타이트닝 타이 홀을 가진다. 각각의 분리부재는, 대응하는 타이트닝 타이 홀을 제1 홀 세그먼트 및 제2 홀 세그먼트로 분리한다. 풀링 타이는, 가압부재를 통해서 압박되게 끼워지며, 풀링 타이 홀을 통해서 끼워지는 두개의 단부를 가진다. 타이트닝 타이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홀 세그먼트를 통해서 끼워지는 두개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두개의 단부는 분리부재의 위로 각각 끼워져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제2 홀 세그먼트를 통해서 각각 끼워진다.

Description

바인딩 어셈블리{BINDING ASSEMBLY}
본 발명은 바인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쉽고 빠르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바인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타이(tie)는 구두와 같은 대상물을 묶도록 적용된다. 타이로 구두를 묶기 위해서는, 타이는 나비매듭으로 되어야 하나, 나비 매듭은 어린이나 장애인(disable person)에게는 어려운 일이다. 어린이나 장애인에 의해 묶여진 종래의 나비매듭은 쉽게 풀어져서 대상물에 사용하는 동안 불편함을 야기한다.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바인딩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쉽고 빠르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바인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인딩 어셈블리는 바인딩 프레임(binding frame), 풀링 타이(pulling tie) 및 타이트닝 타이(tightening tie)를 가진다. 상기 바인딩 프레임(binding frame)은 베이스, 가압부재(pressing member), 두개의 피봇 이어(pivotal ears), 두개의 타이 패스닝 홀더(tie fastening holders) 및 두개의 분리부재(separating members)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는 상부 및 두개의 대향 측면을 가진다. 상기 가압부재는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피봇 이어는 베이스의 대향 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타이 패스닝 홀더는 각각 피봇 이어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며 L-형상이다. 각각의 타이 패스닝 홀더는 횡방향 세그먼트(lateral segment), 종방향 세그먼트(longitudinal segment), 풀링 타이 홀(pulling tie hole) 및 타이트닝 타이 홀(tightening tie hole)을 가진다. 횡방향 세그먼트는 하나의 피봇 이어에 대응되도록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 종방향 세그먼트는 횡방향 세크먼트와 연결된다. 상기 풀링 타이 홀은 종방향 세그먼트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타이트닝 타이 홀은 횡방향 세그먼트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분리부재는, 타이 패스닝 홀더의 횡방향 세그먼트들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대응하는 횡방향 세그먼트에 있는 타이트닝 타이 홀을, 대응하는 피봇 이어에 인접하는 제1 홀 세그먼트(first hole segment) 및 대응하는 피봇 이어에서 떨어져 있는 제2 홀 세그먼트(second hole segment)로 분할한다. 상기 풀링 타이는, 가압부재를 통해서 압박되게 끼워지며, 각각 타이 패스닝 홀더에 있는 풀링 타이 홀을 통해서 끼워지는 두개의 단부를 가진다. 타이트닝 타이는,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타이 패스닝 홀더에 있는 제1 홀 세그먼트를 통해서 끼워지는 두개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두개의 단부는 분리부재의 위로 각각 끼워져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타이 패스닝 홀더에 있는 제2 홀 세그먼트를 통해서 끼워진다.
다른 대상물에서, 본 발명의 유익하고 독창적인 형태는 첨부된 도면과 결부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 어셈블리는 어린이나 장애인도 타이를 쉽게 묶어서 조이거나 풀을 수 있어서 대상물에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인딩 어셈블리의 바인딩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바인딩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타이트닝 타이의 두개의 단부가 당겨져 있는 것을 도시한, 도 1의 바인딩 어셈블리의 작동 평면도이다.
도 5는 조여진 상태에 있는 바인딩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 1의 바인딩 어셈블리의 작동 평면도이다.
도 6은 풀링 타이를 당김으로써 바인딩 어셈블리가 풀어지는 것을 도시한, 도 1의 바인딩 어셈블리 작동 평면도이다.
도 7은 구두에 적용되어 바인딩 어셈블리가 조여져 있는 것을 도시한, 도 1의 바인딩 어셈블리의 작동 평면도이다.
도 8은 구두에 적용되어 바인딩 어셈블리가 풀어져 있는 것을 도시한, 도 1의 바인딩 어셈블리의 작동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케이크 상자에 적용된, 도 9의 바인딩 어셈블리의 작동 사시도이다.
도 11은 벨트로 제공된, 도 9의 바인딩 어셈블리의 다른 작동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 어셈블리(binding assembly)는 바인딩 프레임(10,binding frame), 풀링 타이(20,pulling tie) 및 패스닝 타이(30,fastening tie)를 포함한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바인딩 프레임(10)은 베이스(11,base), 두개의 피봇 이어(110,pivotal ears), 가압부재(12,pressing member), 두개의 타이 패스닝 홀더(13,tie fastening holders) 및 두개의 분리부재(14,separating members)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는 직사각형이며, 상부(top), 하부(bottom), 두개의 대향 측면(opposite sides) 및 두개의 결합홀(112,engaging holes)을 가진다. 상기 결합홀(112)은 베이스(11)를 관통해 형성된다. 상기 피봇 이어(110)는, 각각 베이스(11)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단면(cross section)은 구부러(curved)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12)는, 베이스(11)의 상부에 설치되며, 역 U-형상(inversed U-shaped)일 수 있으며, 두개의 단부 및 두개의 후크(122,hooks)를 가진다. 상기 후크(122)는 각각 가압부재(12)의 단부 상에 형성되며, 베이스(11)의 결합홀(112)에 각각 결합되어 베이스(11)의 하부에 접한다. 따라서, 가압부재(12)는 베이스(11)의 상부에 단단히 설치된다.
상기 타이 패스닝 홀더(13,tie fastening holders)는, L-형상이며, 피봇 이어(110,pivotal ears)에 대해 피봇할 수 있게 각각 연결되며, 각각의 타이 패스닝 홀더는 횡방향 세그먼트(lateral segment), 종방향 세그먼트(longitudinal segment), 풀링 타이 홀(132,pulling tie hole) 및 타이트닝 타이 홀(131,tightening tie hole)을 포함한다. 상기 횡방향 세그먼트는 하나의 피봇 이어(110)에 대응하여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된다. 종방향 세그먼트는 횡방향 세크먼트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결된다. 상기 풀링 타이 홀(132)은 종방향 세크먼트를 관통해 형성된다. 상기 타이트닝 타이 홀(131)은 횡방향 세그먼트를 관통해 형성된다.
상기 분리부재(14)는, 타이 패스닝 홀더(13)의 횡방향 세그먼트들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대응하는 횡방향 세그먼트에 있는 타이트닝 타이 홀(131)을, 대응하는 피봇 이어(110)에 인접하는 제1 홀 세그먼트(1311,first hole segment) 및 대응하는 피봇 이어(110)에서 떨어져 있는 제2 홀 세그먼트(1312,second hole segment)로 분할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분리부재(14)는, 환상(annular)이며, 분리부재(14)의 상부 상에 형성된 디프레션 세그먼트(depression segment)를 가진다.
상기 풀링 타이(20,pulling tie)는, 가압부재(12)를 통해서 압박되게 끼워지며, 각각 타이 패스닝 홀더(13)에 있는 풀링 타이 홀(132)을 통해서 끼워지는 두개의 단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풀링 타이(20)는, 환상이며, 루프로 형성되는데, 타이 패스닝 홀더(13)에 있는 풀링 타이 홀(132)을 통해서 각각 끼워져 두개의 단부 루프(end loops)가 형성되도록 가압부재(12)에 의해 압박되는 센트럴 세그먼트(central segment)를 가진다.
상기 타이트닝 타이(30)는,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타이 패스닝 홀더(13)에 있는 제1 홀 세그먼트(1311)를 통해서 끼워지는(mounted) 두개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두개의 단부는 분리부재(14)의 위로 각각 끼워져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타이 패스닝 홀더(13)에 있는 제2 홀 세그먼트(1312)를 통해서 각각 끼워진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트닝 타이(30,tightening tie)의 단부는 각각 패스닝 홀더(13)에 있는 제1 홀 세그먼트(1311)를 통해서 위쪽으로 끼워져서 패스닝 홀더(13)에 있는 제2 홀 세그먼트(1312)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각각 끼워진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타이트닝 타이(30)의 단부들을 바깥쪽으로 당기면, 타이트닝 타이(30)는 제1 홀 세그먼트(1311) 및 제2 홀 세그먼트(1312)를 따라 움직이도록 당겨진다. 결과적으로, 타이트닝 타이(30)는 대상물을 묶도록 조여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타이트닝 타이(30)의 센트럴 세그먼트와 같은, 단부들 곁에 있는 타이트닝 타이(30)를 당기면, 타이 패스닝 홀더(13)는 베이스(11)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피봇되게끔 당겨진다. 결과적으로, 패스닝 홀더(13)의 피봇 회전으로 인해 풀링 타이(20)가 당겨져서 타이트닝 타이(30)에 접하게 되므로, 타이트닝 타이(30)가 바인딩 프레임(10)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바인딩 프레임(10) 또는 타이트닝 타이(30)가 당겨지더라도 바인딩 어셈블리는 풀어지지 않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인딩 어셈블리를 풀기 위해, 풀링 타이(20)의 단부 루프를 위쪽으로 당겨서 풀링 타이(20)의 센트럴 세그먼트가 타이트닝 타이(30)로부터 떠나게 되면 타이 패스닝 홀더(13)는 위쪽으로 피봇된다. 따라서, 타이트닝 타이(30)는 바인딩 프레임(10)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바인딩 어셈블리는 풀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바인딩 어셈블리를 구두에 적용하면, 구두는 타이트닝 타이(30)의 단부들을 당김으로써 묶여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두로 부터 떨어지게 풀링 타이(20)를 당김으로써 구두가 쉽게 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나 장애인도 한 손으로 편리하고 쉽게 구두를 묶거나 풀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데, 풀링 타이는 가압부재(12)를 통해서 끼워지는 루프(20A,loop)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이 패스닝 홀더(13)에는 풀링 타이 홀(132)이 있다. 풀링 타이(20A)를 당김으로써, 바인딩 어셈블리는 풀어질 수 있다.
도 10은 참조하면, 바인딩 어셈블리는, 원통형 대상물(A) 둘레에 설치하는 타이트닝 타이(30)를 지닌 케이크 상자와 같은, 원통형 대상물(A)을 묶는데 적용될 수 있다. 타이트닝 타이(30) 또는 풀링 타이(20A)의 단부들을 당김으로써 쉽고 빠르게 원통형 대상물(A)을 묶거나 풀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인딩 어셈블리는, 다용도로 사용되는데, 팬츠(B)의 벨트로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풀링 타이(30) 및 타이트닝 타이(20,20A)는 다른 사용 요구에 적합하게 상이한 색상으로 채색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많은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한 상세한 내용과 함께, 앞서 말한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바인딩 프레임 (binding frame) 11.베이스(base)
110.피봇 이어(pivotal ear) 112.결합홀(engaging hloe)
12.가압부재(pressing member) 122.후크(hook)
13.타이 패스닝 홀더(tie fastening holder)
131.타이트닝 타이 홀(tightening tie hole)
132.풀링 타이 홀(pulling tie hole)
14.분리부재(separating member)
20.풀링 타이(pulling tie)
30.패스닝 타이(fastening tie)

Claims (7)

  1. 상부 및 두개의 대향 측면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베이스의 대향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두개의 피봇 이어(pivotal ears);
    하나의 피봇 이어에 대응하여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횡방향 세그먼트;
    상기 횡방향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종방향 세그먼트;
    상기 종방향 세그먼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풀링 타이 홀; 및
    상기 횡방향 세그먼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타이트닝 타이 홀; 을 포함 하고, L-형상이며, 상기 피봇 이어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두개 의 타이 패스닝 홀더; 및
    상기 타이 패스닝 홀더의 횡방향 세그먼트들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대응하는 횡방향 세그먼트에 있는 타이트닝 타이 홀을, 대응하는 피봇 이어에 인접하는 제1 홀 세그먼트(first hole segment) 및 대응하는 피봇 이어에서 떨어져 있는 제2 홀 세그먼트(second hole segment)로 분할하는 두개의 분리부재; 를 포함하는 바인딩 프레임;
    가압부재를 통해서 압박되게 끼워지며, 타이 패스닝 홀더에 있는 풀링 타이 홀을 통해서 각각 끼워지는 두개의 단부를 지닌 풀링 타이; 및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타이 패스닝 홀더에 있는 제1 홀 세그먼트를 통해서 각각 끼워지고, 분리부재의 위로 각각 끼워져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타이 패스닝 홀더에 있는 제2 홀 세그먼트를 통해서 끼워지는 두개의 단부를 지닌 타이트닝 타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직사각형이며,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두개의 결합홀을 지니며,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부재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두개의 단부 및 두개의 후크를 가지며, 베이스의 결합홀에 각각 결합되어 베이스의 하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어셈블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이어는 단면이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분리부재는, 환상이며, 상기 분리부재 상부에 형성된 디프레션 세그먼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 타이는, 환상이며, 타이 패스닝 홀더에 있는 풀링 타이 홀을 통해서 각각 끼워져, 2개의 단부 루프가 형성되도록 가압부재에 의해 압박되는 센트럴 세그먼트(central segment)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어셈블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분리부재는, 환상이며, 상기 분리부재 상부에 형성된 디프레션 세그먼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어셈블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 타이는, 환상이며, 타이 패스닝 홀더에 있는 풀링 타이 홀을 통해서 각각 끼워져, 2개의 단부 루프가 형성되도록 가압부재에 의해 압박되는 센트럴 세그먼트(central segment)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어셈블리.

KR1020110135497A 2011-12-15 2011-12-15 바인딩 어셈블리 KR101275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497A KR101275993B1 (ko) 2011-12-15 2011-12-15 바인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497A KR101275993B1 (ko) 2011-12-15 2011-12-15 바인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993B1 true KR101275993B1 (ko) 2013-06-17

Family

ID=4886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497A KR101275993B1 (ko) 2011-12-15 2011-12-15 바인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946A (ko) * 2003-01-17 2004-07-23 최기화 신발끈 고정구
JP2005177009A (ja) * 2003-12-17 2005-07-07 Konsho Ryu 靴の留め具手段
KR20080004336U (ko) * 2007-03-30 2008-10-06 김민수 신발끈 고정구
US20090193634A1 (en) * 2008-01-31 2009-08-06 Kun-Chung Liu Fastener for a shoel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946A (ko) * 2003-01-17 2004-07-23 최기화 신발끈 고정구
JP2005177009A (ja) * 2003-12-17 2005-07-07 Konsho Ryu 靴の留め具手段
KR20080004336U (ko) * 2007-03-30 2008-10-06 김민수 신발끈 고정구
US20090193634A1 (en) * 2008-01-31 2009-08-06 Kun-Chung Liu Fastener for a shoel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5952B2 (ja) コードロック
KR101275993B1 (ko) 바인딩 어셈블리
KR101374503B1 (ko) 마포걸레용 홀더
WO2016169412A1 (zh) 一种弹跳床
JP2011161092A (ja) 衛生マスク
US8499424B2 (en) Binding assembly
KR200468319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US20130305779A1 (en) Finger Ring
EP2601852B1 (en) Binding assembly
KR101222636B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CN202652486U (zh) 一种耳机耳挂
JP3174077U (ja) 緩み防止手段を有する快速結着具
KR20100001314U (ko) 줄넘기
JP2016127881A (ja) 靴紐緊締ストラップとそれを備えた紐靴
JP5720044B1 (ja) 靴カバー
JP5413700B1 (ja) 紐止め具
KR20110003353U (ko) 헤어밴드
KR20130002779U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101366842B1 (ko) 줄고정 걸이구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402004B1 (ko) 넥타이 고정구
KR20130000359U (ko) 개선된 벨크로화스너가 구비된 자동차용 매트
KR200493855Y1 (ko) 테이프 커터기
US7191922B1 (en) Hanger with non-slip pads
CN206805024U (zh) 眼镜
KR200357397Y1 (ko) 슈레이스를 고정하는 버클의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