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851B1 -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851B1
KR101275851B1 KR1020120031116A KR20120031116A KR101275851B1 KR 101275851 B1 KR101275851 B1 KR 101275851B1 KR 1020120031116 A KR1020120031116 A KR 1020120031116A KR 20120031116 A KR20120031116 A KR 20120031116A KR 101275851 B1 KR101275851 B1 KR 10127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ws
time block
signal
spa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명
서종수
백종섭
최정민
김학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1Equal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5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channel estimation, e.g. determination of delay spread, derivative or peak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신 장치는, 입력 데이터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출력하는 변조부;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시공간 블록 부호화하여 다중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될 데이터 심볼들을 출력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부; 및 상기 시공간 블록 부호화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심볼들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unique-word)를 추가하고 데이터 심볼의 뒷단에 한 개의 UW를 추가하는 UW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based on STBC using UW}
본 발명은 시공간 블록 부호화(STBC)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순환전치(cyclic-prefix, CP) 기반의 단일 반송파(single carrier) 전송 기법은 다중경로에 의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multipath frequency-selective fading) 채널의 영향을 극복하기 위한 효율적인 전송 기법이다. 특히, 단일 반송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으로 대표되는 다중 반송파(multi carrier) 전송 기법에 비해,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문제 및 주파수 오프셋으로 인한 동기 및 채널 추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강인하며, CP의 순환 특성으로 인해 수신단에서 간단한 주파수 영역 등화기(frequency-domain equalizer)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송신기가 2개의 안테나를 가질 때, CP가 삽입된 전송 신호는 데이터 심볼의 뒤쪽 일정 부분을 복사해 해당 데이터 심볼의 앞에 붙임으로써 구성된다. 도 1은 이러한 전송 신호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에서 s(ㅇ)는 데이터 심볼을, P는 순열 행렬(permutation matrix)을, H는 허미시안 전치(Hermitian transpose)를 나타낸다.
한편, 보다 고속의 통신 상황에서는 수신단에서의 빠른 채널 추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CP의 위치에 송수신단에서 이미 알고 있는 특정 심볼인 고유워드(unique-word, UW)를 사용하여, CP 기반 전송 방식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수신단에서 UW를 이용하여 최소자승(least-square, LS) 방식 등으로 간단하게 채널 추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고 데이터 전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신 장치는, 입력 데이터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출력하는 변조부;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시공간 블록 부호화하여 다중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될 데이터 심볼들을 출력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부; 및 상기 시공간 블록 부호화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심볼들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unique-word)를 추가하고 데이터 심볼의 뒷단에 한 개의 UW를 추가하는 UW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 개의 UW 및 상기 한 개의 UW는 동일한 시퀀스이다.
상기 두 개의 UW 및 상기 한 개의 UW는 각각 소정 길이의 M 시퀀스 또는 Gold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수신 장치는, 앞단에 두 개의 UW(unique-word)가 추가되고 뒷단에 한 개의 UW가 추가된 데이터 심볼들이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부;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상기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를 STBC 디코딩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제1 STBC 디코더; 및 상기 검출된 신호를 상기 추정된 채널을 이용하여 등화하는 등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STBC 디코딩하여 상기 채널 추정부로 출력하는 제2 STBC 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상기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상기 제1 STBC 디코더로 출력하는 제1 FFT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상기 제2 STBC 디코더로 출력하는 제2 FFT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데이터 송신 방법은, 입력 데이터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시공간 블록 부호화하여 다중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될 데이터 심볼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될 데이터 심볼들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unique-word)를 추가하고 데이터 심볼의 뒷단에 한 개의 UW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데이터 수신 방법은, 앞단에 두 개의 UW(unique-word)가 추가되고 뒷단에 한 개의 UW가 추가된 데이터 심볼들이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상기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를 STBC 디코딩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신호를 상기 추정된 채널을 이용하여 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수신 방법은 상기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STBC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신 방법은 상기 STBC 디코딩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상기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신 방법은 상기 STBC 디코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를 추가하고 데이터 심볼의 뒷단에 한 개의 UW를 추가함으로써,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할 수 있어서 채널 추정 성능이 향상되고 데이터 전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CP가 삽입된 전송 신호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1개의 릴레이(relay)가 포함된 네트워크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UW 기반 전송 신호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W 기반 전송 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W 기반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시공간 블록 부호화 전송 기법에서 UW를 활용하는 경우 전송 신호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시공간 블록 부호화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W 기반 전송 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W 기반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우선 기존의 UW 기반의 전송 기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1개의 릴레이(relay)가 포함된 네트워크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S는 송신단, D는 수신단, R은 릴레이를 의미한다. 타임슬롯 1에서 S에서 R과 D로 신호가 전송되며, 타임슬롯 2에서는 S 및 R에서 D로 신호가 전송된다. 이때, S에서 D로의 경로는 연속된 신호의 전송으로 인해 이전 심볼이 다음 심볼에 간섭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Inter-block interference(IBI)라 한다. IBI는 경로 h1, h2, h3가 다중경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이기 때문에 발생한다. h1, h2, h3는 다음과 같이 각각 L1, L2, L3의 길이를 가진다.
Figure 112012024450462-pat00001
타임슬롯 1에서 전송할 송신단의 j 번째 데이터 심볼을
Figure 112012024450462-pat00002
라 하고, 이것의 UW를
Figure 112012024450462-pat00003
이라고 하자. 마찬가지로 타임슬롯 2에서 전송할 데이터 심볼과 이것의 UW를 각각
Figure 112012024450462-pat00004
Figure 112012024450462-pat00005
라고 하자. d와 u는 각각 길이 M과 K의 시퀀스이며,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2024450462-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12024450462-pat00007
이고,
Figure 112012024450462-pat00008
은 컨벌루션(convolution) 성질에 의해
Figure 112012024450462-pat00009
으로 결정된다. 이때 UW 기반 전송 신호의 프레임 구조는 도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Figure 112012024450462-pat00010
,
Figure 112012024450462-pat00011
의 회색으로 처리된 부분은 이전 신호로부터 받는 IBI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전송 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데이터 심볼의 앞쪽에 위치하는 UW에 IBI가 미치게 되므로, 데이터 심볼의 손실을 막을 수는 있지만, 수신단에서는 데이터 검출에 앞서 IBI의 영향을 받은 UW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채널 추정 성능이 열화된다.
또한, 위와 같은 전송 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LS 방식의 채널 추정을 사용할 때 IBI 제거를 위해 UW의 길이가 유효 채널 길이의 2배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데이터 전송율의 감소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IBI 제거를 위해 채널 길이만큼 UW의 일부를 제거한 뒤 채널 추정을 수행하게 되면 UW 시퀀스 고유의 우수한 특성을 잃어버리게 되어 채널 추정 에러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프레임 구조는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가 배치되고 데이터 심볼의 뒷단에 한 개의 UW가 배치된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d1 j, d2 j는 j번째 블록에 해당하는 데이터 심볼들을 나타내고, u1은 데이터 심볼 d1 j에 추가되는 UW를 나타내며, u2는 데이터 심볼 d2 j에 추가되는 UW를 나타낸다. 각 UW의 길이 K'는 기존(도 3)의 UW의 길이 K의 절반이 될 수 있다. 도 4에서 회색 처리된 부분은 이전 신호로부터 받는 IBI를 나타낸다. 데이터 심볼 앞단의 두 개의 UW 중 앞쪽의 UW는 IBI의 영향을 받으나 뒤쪽의 UW는 IBI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수신단에서는 데이터 심볼 앞단의 두 개의 UW 중 앞쪽의 UW는 IBI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버리고 뒤쪽의 UW는 IBI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추정에 사용된 UW(데이터 심볼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 UW)를 제외한 데이터 심볼과 데이터 심볼 뒷단의 UW를 가지고 주파수 영역에서 등화(equalization)가 가능하다.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IBI의 영향을 받은 앞쪽의 하나의 UW를 제거한 후에도 데이터의 순환적인(circulant) 특성이 유지되며, 따라서 수신단에서는 구조가 간단한 주파수 영역 등화기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W 기반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는 단일 반송파-주파수 영역 등화(single carrier-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SC-FDE) 방식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변조부(511) 및 UW 삽입부(5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변조부(511)는 입력되는 소스 데이터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데이터 심볼을 출력한다. 변조부(511)의 변조 방식으로는 예컨대, QAM 변조, QPSK 변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UW 삽입부(512)는 변조부(51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를 추가하고, 데이터 심볼의 뒷단에 한 개의 UW를 추가한다. 이렇게 추가되는 세 개의 UW는 동일한 시퀀스이다. 그리고 각 UW는 소정 길이의 M 시퀀스 또는 Gold 시퀀스 또는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일 수 있다. CAZAC 시퀀스는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전력분포가 일정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채널을 추정하는 SC-FDE 시스템에서 뛰어난 채널 추정 성능을 보임이 알려져 있다.
UW 추가 후에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 심볼은 채널 h(n)을 거치고 노이즈 w(n)이 부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분할부(522), Pre-UW 제거부(523), 제1 FFT부(524), 제2 FFT부(525), 채널 추정부(5526), 주파수 영역 등화기(5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신 장치는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가 추가되고 데이터 심볼의 뒷단에 한 개의 UW가 추가된 데이터 심볼이 채널 h(n)을 거치고 노이즈 w(n)이 부가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분할부(522)는 수신 신호를 앞단의 두 개의 UW 부분과 나머지 부분 즉 데이터 심볼과 뒷단의 UW가 결합된 부분으로 나눈다. 데이터 심볼과 뒷단의 UW가 결합된 부분은 제1 FFT부(524)로 출력되고, 앞단의 두 개의 UW 부분은 Pre-UW 제거부(523)로 입력된다. 결국 제1 FFT부(524)에는 수신 신호로부터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가 입력된다.
Pre-UW 제거부(523)은 앞단의 두 개의 UW 부분에서 앞쪽의 UW 부분을 제거하고, 뒤쪽의 UW 부분(IBI의 영향을 받지 않은 부분)을 제2 FFT부(523)로 출력한다. 결국 제2 FFT부(525)에는 수신 신호에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에 해당하는 신호가 입력된다.
제1 FFT부(524)는 수신 신호로부터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 등화기(525)로 출력한다.
제2 FFT부(523)는 수신 신호에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에 해당하는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화하고, 이를 채널 추정부(526)로 출력한다. 예컨대 송신측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라면, 결과적으로 제2 FFT부(523)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u1(또는 u2)가 채널 h(n)을 거치고 노이즈 w(n)이 부가된 신호(더 정확하게는 이것이 고속 푸리에 변환된 신호)가 된다.
채널 추정부(526)는 제2 FFT부(525)로부터의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에 해당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단에서 추가한 UW 시퀀스는 수신단에서 이미 알고 있으므로, 간단하게 채널 추정이 가능하다.
주파수 영역 등화기(527)는 채널 추정부(526)에서 추정된 채널을 이용하여, 제1 FFT부(524)로부터 제공된,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가 고속 푸리에 변환된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등화하여 추정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존의 UW 기반의 시공간 블록 부호화 전송 기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중경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채널 추정 오류를 낮추고 동시에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해 시공간 블록 부호화(space time block coding) 전송 기법이 있다. 시공간 블록 부호화 전송 기법에서 UW를 활용하는 경우 전송 신호의 프레임 구조는 도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Figure 112012024450462-pat00012
,
Figure 112012024450462-pat00013
는 첫 번째 안테나를 통하여 타임슬롯 1, 2에서 각각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이고,
Figure 112012024450462-pat00014
,
Figure 112012024450462-pat00015
는 두 번째 안테나를 통하여 타임슬롯 1, 2에서 각각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이다. 여기서 위첨자 T는 전치(transpose)를, 위첨자 +는 복소 공액 전치(complex conjugate transpose)를 나타낸다. JM은 순열 행렬(permutation matrix)로, 데이터 심볼의 각 요소의 시간 순서를 바꾸는(reversed cyclic shift) 역할을 한다. 예컨대, 길이 K의 벡터
Figure 112012024450462-pat00016
Figure 112012024450462-pat00017
로 표현할 때,
Figure 112012024450462-pat00018
에 JM이 곱해지면 다음과 같이 시간 순서가 바뀐 벡터가 생성된다.
Figure 112012024450462-pat00019
이러한 전송 방식을 Distributed TR-STBC(Time Reversal-STBC)라고 하며, 블록 단위의 직교 코드를 사용하여 다중경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환경에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IBI의 영향(회색 처리된 부분)으로 인해 채널 추정 성능이 열화되고, 데이터 전송율의 감소하고 채널 추정 에러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 프레임 구조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각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가 배치되고 ??이터 심볼의 뒷단에 한 개의 UW가 배치된다. 도 7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시공간 블록 부호화는 Distributed TR-STBC(Time Reversal-STBC) 방식을 예로 들었으나 통상의 시공간 블록 부호화 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Figure 112012024450462-pat00020
,
Figure 112012024450462-pat00021
,
Figure 112012024450462-pat00022
,
Figure 112012024450462-pat00023
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u1은 데이터 심볼 d1 j에 추가되는 UW를, u2는 데이터 심볼 d2 j에 추가되는 UW를,
Figure 112012024450462-pat00024
는 데이터 심볼
Figure 112012024450462-pat00025
에 추가되는 UW를,
Figure 112012024450462-pat00026
는 데이터 심볼
Figure 112012024450462-pat00027
에 추가되는 UW를 나타낸다. 각 UW의 길이 K'는 기존(도 6)의 UW의 길이 K의 절반이 될 수 있다. 도 7에서 회색 처리된 부분은 이전 신호로부터 받는 IBI를 나타낸다. 각 데이터 심볼 앞단의 두 개의 UW 중 앞쪽의 UW는 IBI의 영향을 받으나 뒤쪽의 UW는 IBI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수신단에서는 각 데이터 심볼 앞단의 두 개의 UW 중 앞쪽의 UW는 IBI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버리고 뒤쪽의 UW는 IBI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추정에 사용된 UW(데이터 심볼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 UW)를 제외한 데이터 심볼과 데이터 심볼 뒷단의 UW를 가지고 주파수 영역에서 등화(equalization)가 가능하다.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IBI의 영향을 받은 앞쪽의 하나의 UW를 제거한 후에도 데이터의 순환적인(circulant) 특성이 유지되며, 따라서 수신단에서는 구조가 간단한 주파수 영역 등화기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W 기반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는 TR-STBC 방식의 시스템을 나타낸다. 다만, 통상의 시공간 블록 부호화 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송신 장치는 2개의 다중 안테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시공간 블록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2 이상의 다중 안테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시공간 블록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변조부(811), 직병렬 변환부(812), 시공간 블록 부호화부(813), UW 삽입부(8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변조부(811)는 입력되는 소스 데이터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데이터 심볼을 출력한다. 변조부(811)의 변조 방식으로는 예컨대, QAM 변조, QPSK 변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직병렬 변환부(812)는 변조부(811)로부터 출력되는 직렬의 데이터 심볼들을 2개의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병렬로 변환한다.
시공간 블록 부호화부(814)는 직병렬 변환부(812)로부터의 데이터 심볼들을 시공간 블록 부호화하여 2개의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될 데이터 심볼들을 출력한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직병렬 변환부(812)로부터
Figure 112012024450462-pat00028
,
Figure 112012024450462-pat00029
가 입력되는 경우, 타임슬롯 1에서
Figure 112012024450462-pat00030
,
Figure 112012024450462-pat00031
를 출력하고 타임슬롯 2에서
Figure 112012024450462-pat00032
,
Figure 112012024450462-pat00033
를 출력한다.
UW 삽입부(814)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부(814)로부터 출력되는 각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를 추가하고 데이터 심볼의 뒷단에 한 개의 UW를 추가한다. 이렇게 추가되는 세 개의 UW는 동일한 시퀀스이다. 그리고 각 UW는 소정 길이의 M 시퀀스 또는 Gold 시퀀스 또는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일 수 있다.
UW 추가 후에 안테나를 통하여 데이터 심볼들이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타임슬롯 1에서 두 개의 안테나를 통하여 각각 데이터 심볼
Figure 112012024450462-pat00034
,
Figure 112012024450462-pat00035
가 전송되고, 타임슬롯 2에서 역시 두 개의 안테나를 통하여 각각 데이터 심볼
Figure 112012024450462-pat00036
,
Figure 112012024450462-pat00037
가 전송된다. 전송된 데이터 심볼들은 전송된 안테나에 따라 채널h1(n) 또는 채널 h2(n)을 거치고 노이즈 w(n)이 부가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분할부(821), Pre-UW 제거부(822), 시간순서 변환부(823, 824), 제1 FFT부(825), 제2 FFT부(826), 제1 TR-STBC 디코더(827), 제2 TR-STBC 디코더(828), 채널 추정부(829), 주파수 영역 등화기(8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신 장치는 앞단에 두 개의 UW가 추가되고 뒷단에 한 개의 UW가 추가된 데이터 심볼들이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가 채널 h1(n) 및 채널 h2(n)을 거치고 노이즈 w(n)이 부가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 장치는 STBC 디코딩을 위하여 두 타임슬롯 동안 신호를 수신하고 이렇게 수신된 신호를 가지고 STBC 디코딩을 수행한다.
분할부(821)는 수신 신호 y1 및 y2 각각을 앞단의 두 개의 UW 부분과 나머지 부분 즉 데이터 심볼과 뒷단의 UW가 결합된 부분으로 나눈다. y1 및 y2는 한 타임슬롯 동안 수신된 신호로서, y1은 송신측의 첫 번째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를 나타내고, y2는 송신측의 두 번째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를 나타낸다. 신호 y1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과 뒷단의 UW가 결합된 부분은 제1 FFT부(825)로 출력되고, 신호 y2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과 뒷단의 UW가 결합된 부분은 시간순서 변환부(823)로 출력된다. 시간순서 변환부(823)는 한 타임슬롯 동안 수신된 신호의 시간 순서를 바꾸는 역할을 한다. 도 8에서 JN은 순열 행렬(permutation matrix)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2024450462-pat00038
여기서, M은 데이터 심볼의 길이를, K는 UW의 길이를 의미한다.
제1 FFT부(825)는 신호 y1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과 뒷단의 UW가 결합된 부분, 즉 신호 y1에서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한다. 또한, 제1 FFT부(825)는 시간순서 변환부(82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즉 신호 y2에서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가 시간순서 변환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한다. 도 8에서 QN은 길이 N(=M+K)의 고속 푸리에 변환을 의미한다.
분할부(821)로부터의 y1 및 y2 각각의 앞단의 두 개의 UW 부분은 Pre-UW 제거부(822)로 출력된다. Pre-UW 제거부(822)는 y1 및 y2 각각의 두 개의 UW 부분에서 앞쪽의 UW 부분을 제거하고, 뒤쪽의 UW 부분(IBI의 영향을 받지 않은 부분)을 제2 FFT부(826) 및 시간순서 변환부(824)로 출력한다. 도 8에서, z1은 신호 y1 앞단의 두 개의 UW 부분 중 뒤쪽의 UW 부분을 의미하고, z2는 신호 y2 앞단의 두 개의 UW 부분 중 뒤쪽의 UW 부분을 의미한다. 즉, z1은 제2 FFT부(826)에 입력되고 z2는 시간순서 변환부(824)로 입력된다. 시간순서 변환부(823)는 z2의 시간순서를 바꾸는 역할을 한다. 도 8에서
Figure 112012024450462-pat00039
는 뒤쪽의 UW의 시간 순서를 바꾸기 위한 순열 행렬을 의미한다. 예컨대, 길이 K의 벡터
Figure 112012024450462-pat00040
에 대하여 순열 행렬
Figure 112012024450462-pat00041
를 적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벡터 요소들의 순서가 변환된다.
Figure 112012024450462-pat00042
제2 FFT부(826)는 z1, 즉 y1에 포함된 앞단의 두 개의 UW 부분 중 뒤쪽의 UW 부분을 고속 푸리에 변환한다. 또한, 제2 FFT부(826)는 시간순서 변환부(82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즉 z2(y2에 포함된 앞단의 두 개의 UW 부분 중 뒤쪽의 UW 부분)가 시간순서 변환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한다. 도 8에서 QK는 길이 K의 고속 푸리에 변환을 의미한다.
제2 STBC 디코더(828)는 두 타임슬롯 동안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z1 및 z2를 STBC 디코딩하여 채널 추정부(829)로 출력한다. 제2 STBC 디코더(828)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들 각각의 앞단에 추가된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들이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를 STBC 디코딩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송신측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라면, 결과적으로 제2 STBC 디코더(828)에서 검출되는 신호는 u1이 채널 h1(n)을 거치고 노이즈 w(n)이 부가된 신호와, u2가 채널 h2(n)을 거치고 노이즈 w(n)이 부가된 신호(더 정확하게는 이것들이 고속 푸리에 변환된 신호)가 된다.
채널 추정부(829)는 제2 STBC 디코더(82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즉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들 각각이 앞단에 추가된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Figure 112012024450462-pat00043
Figure 112012024450462-pat00044
는 각각 채널 h1(n) 및 h2(n)에 해당하는 추정된 채널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단에서 추가한 UW 시퀀스는 수신단에서 이미 알고 있으므로, 간단하게 채널 추정이 가능하다.
제1 TR-STBC 디코더(827)는 제1 FFT부(82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STBC 디코딩하여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주파수 영역 등화기(830)로 출력한다. 즉, 제1 TR-STBC 디코더(827)는 두 타임슬롯 동안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서 각 데이터 심볼의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를 STBC 디코딩하여 신호를 검출한다. 예컨대 송신측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라면, 결과적으로 제1 TR-STBC 디코더(827)에서 검출되는 신호는
Figure 112012024450462-pat00045
의 뒷단에 u1이 결합된 신호가 채널 h1(n)을 거치고 노이즈 w(n)이 부가된 신호와,
Figure 112012024450462-pat00046
의 뒷단에 u2가 결합된 신호가 채널 h2(n)을 거치고 노이즈 w(n)이 부가된 신호(더 정확하게는 이것들이 고속 푸리에 변환된 신호)가 된다.
주파수 영역 등화기(830)는 채널 추정부(829)에서 추정된 채널을 이용하여, 제1 TR-STBC 디코더(827)에서 검출된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등화하여 추정 신호를 출력한다. 도 8에서 W1은 추정 채널
Figure 112012024450462-pat00047
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 등화를 의미하고, W2는 추정 채널
Figure 112012024450462-pat00048
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 등화를 의미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채널 추정 및 주파수 영역에서의 등화를 사용하나, 시간 영역에서의 채널 추정 및 시간 영역에서의 등화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FFT부(825)와 제2 FFT부(826)를 제거하고, 채널 추정부(829)는 시간 영역에서 채널을 추정하고, 주파수 영역 등화기(830)는 시간 영역에서 등화를 수행하는 시간 영역 등화기로 대체하면 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는 TR-STBC 방식의 시스템을 나타내나,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시공간 블록 부호화 방식의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송신 장치의 TR-STBC 디코더(813)는 STBC 디코더로 대체하면 된다. 그리고 수신 장치에서는 시간순서 변환부(823, 824)를 제거하고, 제1 TR-STBC 디코더(827)와 제2 TR-STBC 디코더(828)는 통상의 STBC 디코더로 대체하면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출력하는 변조부;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시공간 블록 부호화하여 다중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될 데이터 심볼들을 출력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부; 및
    상기 시공간 블록 부호화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심볼들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unique-word)를 추가하고 데이터 심볼의 뒷단에 한 개의 UW-여기서 상기 두 개의 UW 및 상기 한 개의 UW는 동일한 시퀀스의 UW임-를 추가하는 UW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UW 및 상기 한 개의 UW는 각각 소정 길이의 M 시퀀스 또는 Gold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앞단에 두 개의 UW(unique-word)가 추가되고 뒷단에 한 개의 UW-여기서 상기 두 개의 UW 및 상기 한 개의 UW는 동일한 시퀀스의 UW임-가 추가된 데이터 심볼들이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부;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상기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를 STBC 디코딩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제1 STBC 디코더; 및
    상기 검출된 신호를 상기 추정된 채널을 이용하여 등화하는 등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STBC 디코딩하여 상기 채널 추정부로 출력하는 제2 STBC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상기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상기 제1 STBC 디코더로 출력하는 제1 FFT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상기 제2 STBC 디코더로 출력하는 제2 FFT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8.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시공간 블록 부호화하여 다중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될 데이터 심볼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될 데이터 심볼들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심볼의 앞단에 두 개의 UW(unique-word)를 추가하고 데이터 심볼의 뒷단에 한 개의 UW-여기서 상기 두 개의 UW 및 상기 한 개의 UW는 동일한 시퀀스의 UW임-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UW 및 상기 한 개의 UW는 각각 소정 길이의 M 시퀀스 또는 Gold 시퀀스 또는 CAZAC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1.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앞단에 두 개의 UW(unique-word)가 추가되고 뒷단에 한 개의 UW-여기서 상기 두 개의 UW 및 상기 한 개의 UW는 동일한 시퀀스의 UW임-가 추가된 데이터 심볼들이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상기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를 STBC 디코딩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신호를 상기 추정된 채널을 이용하여 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STBC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TBC 디코딩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상기 앞단의 두 개의 UW가 제거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STBC 디코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수신된 시공간 블록 부호화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추가된 앞단의 두 개의 UW 중 뒤쪽의 UW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KR1020120031116A 2012-03-27 2012-03-27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275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116A KR101275851B1 (ko) 2012-03-27 2012-03-27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116A KR101275851B1 (ko) 2012-03-27 2012-03-27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851B1 true KR101275851B1 (ko) 2013-06-18

Family

ID=4886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116A KR101275851B1 (ko) 2012-03-27 2012-03-27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8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518A1 (ko) * 2020-06-10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1256585A1 (ko) * 2020-06-18 202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2014751A1 (ko) * 2020-07-16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도메인 채널 추정을 위한 uw 생성 방법 및 장치
US11664927B2 (en) 2015-12-31 2023-05-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Waveform based data integrity check and error corre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274A (ko) * 2001-05-11 2002-11-18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버시티 수신장치
KR20040036996A (ko) * 2002-10-25 2004-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형 모뎀에 적합한 일반화된 위상 모호성 해결 장치
KR20100015287A (ko) * 2008-08-04 2010-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수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274A (ko) * 2001-05-11 2002-11-18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버시티 수신장치
KR20040036996A (ko) * 2002-10-25 2004-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형 모뎀에 적합한 일반화된 위상 모호성 해결 장치
KR20100015287A (ko) * 2008-08-04 2010-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수신 시스템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4927B2 (en) 2015-12-31 2023-05-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Waveform based data integrity check and error correction
WO2021251518A1 (ko) * 2020-06-10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1256585A1 (ko) * 2020-06-18 202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2014751A1 (ko) * 2020-07-16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도메인 채널 추정을 위한 uw 생성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627B1 (ko) 수신기 및 수신기 동작 방법
KR100913874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부채널 간 간섭 제거 방법
US8351553B2 (en) MIMO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US9008238B2 (en) Apparatus, method and receiving terminal for LDPC decoding
JP4287777B2 (ja)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1008008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945005B2 (en) Method and module for estimating transmission chanels of a multi-antenna multi-carrier system
Ganesh et al. Channel estimation analysis in MIMO-OFDM wireless systems
KR101275851B1 (ko)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90039551A (ko) 공간 주파수 블록 부호화 중계 신호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CN101083515A (zh) 一种发射分集的正交频分复用的信道估计方法及装置
KR102108044B1 (ko) 다중 출력 수신기를 사용하는 고비트 레이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US10637707B2 (en) Modem performing modulation or demodulation based on length of burst in data packet, and method performed by the modem
KR101275852B1 (ko) UW(unique-word)를 사용하는 SC-FDE 기반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60072096A (ko) 선형 등화기를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통신시스템에서 엘엘알 산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1143956B1 (ko) 협력 통신 시스템 및 그의 ofdm 심볼 전송 방법
Priya et al. An efficient scheme for PAPR reduction in Alamouti MIMO-OFDM systems
KR20110041273A (ko) Ofdm에 기반한 신호 공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하는 협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73876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신호 수신 장치
KR10063038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송수신장치 및방법
JP4829953B2 (ja) Ofdm伝送方式におけるキャリアの配置方法
CN104580037A (zh) 利用时域导频的单载波通信系统噪声方差估计方法及装置
JP2009206930A (ja) 受信装置、信号等化装置及び方法
KR20140046707A (ko) Ofdm 시스템을 위한 다중 안테나 릴레이 송수신 방법
KR101288927B1 (ko) 송신기 및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