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793B1 -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793B1
KR101275793B1 KR1020060073577A KR20060073577A KR101275793B1 KR 101275793 B1 KR101275793 B1 KR 101275793B1 KR 1020060073577 A KR1020060073577 A KR 1020060073577A KR 20060073577 A KR20060073577 A KR 20060073577A KR 101275793 B1 KR101275793 B1 KR 101275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roughness
measuring
diameter
protrusion
membr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572A (ko
Inventor
김석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7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7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021/9513Liquid crystal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은 막 돌출부위의 수평방향 지름을 측정하는 지름 측정부, 막 돌출부위의 수평방향 지름에 따른 돌출부위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지름 측정부에서 측정된 막 돌출부위의 지름 정보가 입력되고,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며, 지름 정보와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막의 표면 거칠기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연산부에서 산출된 표면 거칠기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표면, 거칠기, 레이저, AFM, 마이크로 러프니스, 러프니스

Description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SYSTEM FOR MEASURING SURFACE ROUGHNESS AND MEHTOD OF MEASURING SURFACE ROUGHN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지름 측정부에서 돌출부위의 지름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거칠기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표면 거칠기(roughness)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접촉식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소자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결정 실리콘 막은 그 표면에서 우수한 평탄도가 요구된다. 특히, 소자의 고집적화 및 피쳐 사이즈(feature size)의 축소에 수반하여 표면의 마이크로 러프니스(micro roughness)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판 표면에서는 기판 전체에서 균일한 평탄도를 가 져야 하며, 러프니스의 평균 사이즈도 작아야 한다. 따라서 기판 표면의 마이크로 러프니스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기판 표면의 마이크로 러프니스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을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AFM은 기판의 표면을 따라 원자 사이즈의 프로브(probe)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판 표면의 마이크로 러프니스를 측정하는 것으로, 원자와 프로브 사이에서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s)으로 대표되는 미세한 힘(microscopic forces)을 검출하고, 이들 힘이 원자간의 거리의 근소한 차이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검출하여 마이크로 러프니스를 측정한다.
AFM을 사용한 마이크로 러프니스 측정방법에서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일정한 범위, 예를 들면 0.1㎛×0.1㎛, 1㎛×1㎛, 또는 10㎛×10㎛등과 같은 측정 사이즈를 가지는 스캐닝 영역 내에서 수 포인트(several points)에 대하여 마이크로 러프니스를 측정한다.
AFM을 이용하여 얻어진 마이크로 러프니스는 통상적으로 검출된 포인트들의 RMS(Root Mean Square)로 표시된다.
이러한 AFM을 사용한 기판 표면의 마이크로 러프니스 측정방법은 기판 표면을 파괴시키지 않고 마이크로 러프니스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AFM을 사용하여 반도체 기판상의 마이크로 러프니스를 측정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좁은 영역에 대하여만 마이크로 러프니스를 측정하게 되므로, 일면적인 평가 결과만 얻어질 뿐이며, 반도체 기판의 전체적인 마이크로 러프니스 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고 기판 표면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AFM을 이용하는 방법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제조 공정 중에 기판상의 마이크로 러프니스를 실시간으로 제어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AFM에 구비되는 프로브는 작은 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막의 거칠기를 측정하기 위해 막의 표면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쉽게 마모가 된다.
이와 같이, 프로브가 마모됨에 따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AFM을 이용한 거칠기 측정은 막의 상부 표면에서 직접 접촉하여 측정하게 되므로, 막이 형성되는 기판 자체의 불균일을 고려할 수 없게 되어 막 자체의 거칠기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비용의 발생을 줄이면서, 막의 자체의 전체적인 거칠기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은 막 돌출부위의 수평방향 지름을 측정하는 지름 측정부, 막 돌출부위의 수평방향 지름에 따른 돌출부위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지름 측정부에서 측정된 막 돌출부위의 지름 정보가 입력되고,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데이터 가 입력되며, 지름 정보와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막의 표면 거칠기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연산부에서 산출된 표면 거칠기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지름 측정부는 막 돌출부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막 돌출부위에서 산란되는 빛을 감지하는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은 막 돌출부위의 일정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거칠기 측정방법은 막 돌출부위의 수평방향 지름에 따른 돌출부위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막 돌출부위의 수평방향 지름을 측정하는 단계, 지름 정보와 돌출부위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막의 표면 거칠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연산부에서 산출된 표면 거칠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수평방향 지름 측정 단계는 막 돌출부위에 빛을 조사하는 단계,
막 돌출부위에서 산란되는 빛을 감지하는 단계 및 산란되는 빛의 강도로부터 돌출부위의 지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지름 측정부(100)에서 돌출부위들(30)의 지름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 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은 지름 측정부(100), 데이터 저장부(200), 연산부(300), 출력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름 측정부(100)는 기판(20)에 형성된 돌출부위들(30)의 수평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10)과 돌출부위들(30)로부터 산란된 빛을 감지하는 감지기(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때, 광원(10)은 돌출부위들(30)의 일정 높이로 위치하여 빛을 조사하게 된다. 산란된 빛은 감지기에서 감지되며, 산란된 빛의 강도에 따라 돌출부위들(30)의 지름이 계산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돌출부위들(30)의 지름 정보는 연산부(300)로 입력된다. 이때, 전체적인 막의 표면 거칠기 산포를 측정하기 위해 돌출부위들(30)의 지름은 복수 회에 걸쳐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200)에는 돌출부위들(30)의 지름에 따른 높이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러한 데이터가 연산부(300)로 입력된다.
연산부(300)에서는 상기한 데이터와 측정된 지름에 따라서 돌출부위들(30)의 높이를 예측하고, 이로부터 막의 표면 거칠기 정보를 산출한다.
표면 거칠기 정보는 돌출부들의 높이에 대한 RMS값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출력부(400)로 입력되어 표시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거칠기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거칠기 측정방법은 돌출부위들(30)의 지름에 따른 높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0), 표면 돌출부위들(30)의 지름을 측정하는 단계(S20), 상기한 데이터와 측정된 지름을 상호 비교하여 돌출부위들(30)의 높이를 예측하고, 이로부터 표면 거칠기를 산출하는 단계(S30) 및 산출된 표면 거칠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이때, 돌출부위들(30)의 지름에 따른 높이에 대한 데이터는 사전에 측정된 정보로부터 얻어낼 수 있다.
또한, 표면 돌출부위들(30)의 지름을 측정하는 단계(S20)에서는 레이저 광원(10)의 산란 또는 회절 현상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의 산란광을 감지하고, 산란 강도로부터 돌출부위들(30)이 지름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돌출부위의 지름으로부터 표면 거칠기를 측정함에 따라 기판 자체의 불균일함에 관계없는 막 자체의 거칠기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 거칠기 측정방법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에 사용되는 다결정 실리콘 기판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비접촉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프로브의 교체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대면적의 기판에 대하여도 신속하게 전체적인 표면 거칠기의 산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수평방향에서 빛을 조사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기판의 불균일함에 관계없이 막 자체의 표면 거칠기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막 돌출부위의 수평방향 지름을 측정하는 지름 측정부;
    사전에 측정된 정보로부터 얻어진 막 돌출부위의 수평방향 지름에 따른 돌출부위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
    상기 지름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막 돌출부위의 지름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며, 상기 지름 정보를 상기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돌출부위의 높이를 구하고, 상기 돌출부위의 높이를 평균내어 상기 막의 표면 거칠기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산출된 상기 표면 거칠기를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름 측정부는,
    상기 막 돌출부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막 돌출부위에서 산란되는 빛을 감지하는 감지기
    를 포함하는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막 돌출부위의 일정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4. 막 돌출부위의 수평방향 지름에 따른 돌출부위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를 사전에 측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막 돌출부위의 수평방향 지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지름 정보를 상기 돌출부위의 높이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돌출부위의 높이를 구하고, 상기 돌출부위의 높이를 평균내어 상기 막의 표면 거칠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표면 거칠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면 거칠기 측정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 지름 측정 단계는,
    상기 막 돌출부위에 빛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막 돌출부위에서 산란되는 빛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빛의 산란 강도로부터 지름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면 거칠기 측정방법.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다결정 실리콘 막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는 표면 거칠기 측정방법.
KR1020060073577A 2006-08-04 2006-08-04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 Active KR101275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577A KR101275793B1 (ko) 2006-08-04 2006-08-04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577A KR101275793B1 (ko) 2006-08-04 2006-08-04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572A KR20080012572A (ko) 2008-02-12
KR101275793B1 true KR101275793B1 (ko) 2013-06-18

Family

ID=3934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577A Active KR101275793B1 (ko) 2006-08-04 2006-08-04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7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3306A (en) * 1980-08-06 1982-02-23 Sumitomo Metal Ind Ltd Surface roughness measuring device
JP2000081325A (ja) * 1998-09-04 2000-03-21 Communication Research Laboratory Mpt 非接触面粗さ評価方法および非接触面粗さ評価装置
JP2001099632A (ja) * 1999-10-01 2001-04-13 Arc Harima Kk Ccdカメラによる正反射式表面性状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63906A (ko) * 2002-01-24 2003-07-31 주식회사 새 미 비접촉식 휴대용 표면거칠기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3306A (en) * 1980-08-06 1982-02-23 Sumitomo Metal Ind Ltd Surface roughness measuring device
JP2000081325A (ja) * 1998-09-04 2000-03-21 Communication Research Laboratory Mpt 非接触面粗さ評価方法および非接触面粗さ評価装置
JP2001099632A (ja) * 1999-10-01 2001-04-13 Arc Harima Kk Ccdカメラによる正反射式表面性状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63906A (ko) * 2002-01-24 2003-07-31 주식회사 새 미 비접촉식 휴대용 표면거칠기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572A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597B1 (ko) 기판상의 표면결점 검출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표면결점 검출장치
US9970885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US81429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in patterned structures
US20050100205A1 (en) Method for measuring three dimensional shape of a fine pattern
KR101436666B1 (ko) 투명 기판에서의 결함의 정량화 방법
Kalin et al. Criteria and properties of the asperity peaks on 3D engineering surfaces
JP2001201448A (ja) 基板表面のマイクロラフネス測定方法及び装置
CN114502914A (zh) 测试干涉仪的衍射光学元件
JP6299668B2 (ja) ヘイズの評価方法
KR101275793B1 (ko) 표면 거칠기 측정 시스템 및 측정방법
JP4848263B2 (ja) 板状部材検査装置
JP6013819B2 (ja) 表面形状検査装置及び表面形状検査方法
Krenn et al. Visualization of surface deformations during thin film drying using a Digital-Image-Correlation method
Lee et al. Improvement of depth of focus control using wafer geometry
Cordes et al. Sidewall slope sensitivity of critical dimension atomic force microscopy
Haitjema et al. Surface texture metrological characteristics
JP750099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Foldyna et al. Generalized ellipsometry of artificially designed line width roughness
Ferri et al. Calibration of a white light interferometer for the measurement of micro-scale dimensions
JP2009058480A (ja) 走査型プローブ顕微鏡およびカンチレバー管理方法
TW201506369A (zh) 檢測微區域應力之方法與系統
Krüger et al. Characterization progress of a UV-microscope recently implemented at the PTB Nanometer Comparator for uni-and bidirectional measurements
JP2008145307A (ja) パターン・ムラ解析装置
KR20070090436A (ko) 마이크로 광학소자 어레이의 3차원 표면조도 측정장치
KR101855792B1 (ko) 원자력 현미경 장치 및 이의 온도 산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8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