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438B1 - 구명캡슐 - Google Patents

구명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438B1
KR101275438B1 KR1020110076932A KR20110076932A KR101275438B1 KR 101275438 B1 KR101275438 B1 KR 101275438B1 KR 1020110076932 A KR1020110076932 A KR 1020110076932A KR 20110076932 A KR20110076932 A KR 20110076932A KR 101275438 B1 KR101275438 B1 KR 101275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fe
hole
fasten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102A (ko
Inventor
박동영
박서진
Original Assignee
박서진
박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진, 박동영 filed Critical 박서진
Priority to KR102011007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4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3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en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측의 끝단(이하 '개방단'이라 약칭함)이 상호 맞닿도록 결합되었을 때 내부공간을 갖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단과 상기 제2 케이스의 개방단이 상호 압착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내부공간의 밀폐력이 향상되어 내부공간으로 물이 쉽게 유입되지 아니하고,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인가된 외부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수중으로 깊게 침수되더라도 다른 구조물에 걸리는 현상 없이 자체 부력에 의해 빠르게 수면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명캡슐 {Life capsule}
본 발명은 수상재해 발생 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구명캡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물과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하면서 전복 및 침수의 우려가 없는 구명캡슐에 관한 것이다.
각종 수상사고에 대비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구명기구로서는 구명조끼나 구명튜브가 있다. 상기 구명조끼나 구명튜브는 개인용 구명기구로서 물에 빠진 사람에 부력을 제공하여 사람이 최소한 물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구명조끼나 구명튜브는 사람이 물에 떠있게 하기는 하지만 체온을 유지시켜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물에 빠진 사람이 신속히 구조될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구조가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아 차가운 물속에 꽤 오랜 시간 잠겨 있어야 할 경우에는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며 저체온증에 의해 심장, 뇌, 폐, 기타 생명에 중요한 장기의 기능이 차례로 저하되고 마침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실제 해난사고 발생시 익사하는 경우보다 저체온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오히려 많다는 통계에 의해 뒷받침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물이 매우 차가우므로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물속에서 최소한 몇 분 정도 잠겨 있어야 하는 이상 상기한 저체온증에 의한 위험을 줄일 수 없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매트리스와, 하측이 매트리스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며 가스가 주입됨에 따라 매트리스 상부에 돔 형상을 이루도록 팽창되는 가스캐노피로 구성되는 수상구명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41045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상구명장치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내부공간이 외부와 완전히 격리되는 것이 아니므로, 큰 파도를 만나거나 물살에 휩쓸리는 경우 상기 내부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어 사용자의 몸이 젖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큰 배가 침몰할 때에는 주변의 부유 물체들이 침몰되는 배를 따라 수중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는데, 상기 수상구명장치는 수중으로 빨려 들어갈 때 사용자가 누워있는 내부공간이 물로 가득 채워지게 되는바, 사용자가 익사하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수명구명장치는 상기 매트리스와 가스캐노피가 가스 주입에 의해 팽창 가능한 연질의 재료로 제작되므로 다른 물체와 부딪혔을 때 찢어지거나 구멍이 생길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내부의 가스가 유출되어 부력이 상실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위치하는 내부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지 아니하고,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며, 수중으로 깊게 침수되더라도 자체 부력에 의해 빠르게 수면으로 떠오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명캡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측의 끝단(이하 '개방단'이라 약칭함)이 상호 맞닿도록 결합되었을 때 외부와 격리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단과 상기 제2 케이스의 개방단이 상호 압착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상호 결합되었을 때 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각각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상호 결합되었을 때 종방향 단면이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트랙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출입문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개방단 일측이 힌지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착석부가 구비되되, 상기 착석부는 착석면의 반대면이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면 또는 제2 케이스의 내측면과 가까워지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으로 치우쳐 장착된다.
상기 착석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면 및 제2 케이스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측단이 탄성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한 재료로 제작된다.
상기 체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벨트와, 상기 연결벨트의 길이방향 타측을 감고 푸는 권취부재와, 상기 권취부재에 결합되는 걸림부재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걸림부재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제2 케이스에 연결되는 체결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1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관통부재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관통부재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관통부재를 상기 제1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관통부재에 일측이 연결된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외표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재는 일단이 상기 오목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오목부 내에 설치된다.
상기 오목부의 입구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각각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와이어는 복수 개 구비되되, 상기 복수 개의 체결와이어 타단이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상기 체결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는 와이어브라켓과, 상기 제2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브라켓과 체결되는 케이스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브라켓은, 상기 체결와이어의 끝단과 결합되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끝단에 마련되는 대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브라켓은, 상기 소경부는 통과할 수 있고 상기 대경부는 통과하지 못하는 체결공과, 상기 와이어브라켓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개방단 전체에 걸쳐 각각 장착되는 제1 보강프레임과 제2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프레임과 제2 보강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패킹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보강프레임과 제2 보강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는 면 중 다른 하나의 면에는 끝단이 상기 패킹에 압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통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외표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이 바닥면에 구비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되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외측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상기 관통공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위치되는 마개와, 수분이 인가되었을 때 팽창되는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마개를 상기 연장부에 연결하는 팽창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팽창부재가 건조할 때에는 상기 마개가 상기 관통공의 외측입구와 이격되고, 상기 팽창부재가 젖을 때에는 상기 팽창부재가 팽창하여 상기 마개가 상기 관통공의 외측입구를 막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외표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이 바닥면에 구비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되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외측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상기 관통공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위치되는 마개와, 상기 관통공의 외측입구 측으로 상기 마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내부공간의 밀폐력이 향상되어 내부공간으로 물이 쉽게 유입되지 아니하고,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인가된 외부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수중으로 깊게 침수되더라도 다른 구조물에 걸리는 현상 없이 자체 부력에 의해 빠르게 수면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은 체결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체결와이어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체결와이어가 케이스브라켓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체결와이어 중단에 텐셔너가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착석부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통기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통기부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 제3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 제3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 제3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 제3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 제4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3은 체결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해일이나 홍수, 선박 침몰 등과 같은 수상 사고 발생 시 인명구조를 위한 것으로서, 내측이 비어있는 오목한 형상의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로 이루어지되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의 개방된 측의 끝단(이하 '개방단'이라 약칭함)이 상호 맞닿아 결합되었을 때 외부와 완전히 격리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의 내부공간으로는 물이 유입될 우려가 없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의 탑승자는 익사하거나 저체온증으로 사망할 우려 없이 구명캡슐 내에서 안전하게 구조를 기다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밀폐된 내부공간이 기체로 채워져 큰 부력을 갖게 되므로, 수중으로 침수되더라도 자체 부력에 의해 빠르고 확실하게 수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수면으로 떠오르게 되므로, 보다 빠르게 구조를 받을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명캡슐 등과 같은 인명구조용 비상 선박은 통상적으로 강화유리섬유 등과 같이 경량이면서도 외부 충격에 강한 재료로 제작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이 경량이면서도 충격에 강한 재료로 제작되면 물살에 휩슬려 떠내려가는 과정에서 다른 구조물과 부딪히더라도 파손되지 아니하고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에 요철이나 돌출부가 마련되면, 물살에 휩슬리는 과정에서 다른 구조물에 걸리거나 와이어에 얽혀 수면으로 떠오르지 못하고 수중에 침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명캡슐이 수중에 침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구조자가 구명캡슐을 육안으로 발견할 수 없으므로 구명캡슐 내의 탑승자는 구조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다른 구조물에 걸리거나 와이어에 얽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구 형상으로 제작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이 구 형상으로 제작되면, 수중으로 침수되어 다른 구조물이나 와이어 등과 접촉되더라도 구조물에 걸리거나 와이어에 얽히는 현상이 거의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수중으로 침수되었을 때 보다 확실하게 수면으로 부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내부의 탑승자가 외부의 상황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착석부(300)는, 착석면의 반대면(도 2에서는 착석부(300)의 저면)이 제1 케이스(100)의 내측면이나 제2 케이스(200)의 내측면(도 2에서는 제2 케이스(200)의 내측면)과 가까워지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으로 치우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착석부(300)가 내부공간의 일측으로 치우쳐 장착되면 구명캡슐의 무게중심이 착석부(300) 측으로 치우치게 되므로, 구명캡슐이 침수되더라도 착석부(300)에 착석한 탑승자는 항상 전방이나 상방을 보게 되고 거꾸로 뒤집어 지지 아니하므로, 신체적이나 심리적으로 매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이 지상에 안착되었을 때에는 임의로 구르지 아니하도록 구명캡슐의 저면(본 실시예에서는 제2 케이스(200)의 저면) 일부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명캡슐에는 실내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600)와, 구명캡슐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240)와, 산소공급기, 비상식량, 손전등, 구급약품, 위치추적기, 라디오 등과 같은 비상구호물품(250)이 비치된다. 상기 조명부(600)는 소비전력 대비 광도가 높은 엘이디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며, 탑승자가 구명캡슐 외부로 탈출 시 손전등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펌프(240)는 동력이 공급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도 동작될 수 있도록 수동펌프로 적용됨이 바람직며, 상기 비상구호물품(250)은 구명캡슐의 무게중심이 착석부(300) 측으로 더욱 치우칠 수 있도록 착석부(300)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는 경우 즉, 각각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상호 결합되었을 때의 전체 형상이 구 형상을 이루기만 할 수 있다면,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각각의 형상 및 비율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케이스(200)는 해치(hatch)가 형성된 구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1 케이스(100)는 제2 케이스(200)에 형성된 해치를 덮는 커버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제1 케이스(100)의 개방단과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이 상호 압착되도록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400)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상기 체결부(400)는 구명캡슐 내부에서 조작하여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를 결합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400)는,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상호 맞닿는 부위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밀폐용기용 잠금장치(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01850호)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용기용 잠금장치는 잠금걸쇠의 형상에 따라 체결력이 좌우되는데, 장시간 사용하여 잠금걸쇠가 늘어나거나 오랜 기간동안 방치되어 잠금걸쇠가 변형되는 경우 정상적인 체결력을 발생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밀폐용기용 잠금장치는 각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가 약간이라도 변형되면 밀폐력이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체결부(400)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약간 변형이 되더라도 제1 케이스(100) 개방단과 제2 케이스(200) 개방단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부(400)는, 일측이 상기 제1 케이스(100)에 연결되는 연결벨트(230)와, 상기 연결벨트(230)의 길이방향 타측을 감고 푸는 권취부재(440)와, 상기 권취부재(440)에 결합되는 후크 형상의 걸림부재(450)와,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이 상기 걸림부재(45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이 상기 제2 케이스(200)에 연결되는 체결와이어(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권취부재(440)는 손잡이(44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연결벨트(230)를 감도록 구성되되, 손잡이(442)의 회전을 중지시키더라도 별도의 해제장치(미도시)를 조작하지 아니하는 한 감겨진 연결벨트(230)가 풀리지 아니하도록, 원웨이 클러치 또는 래칫 구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450)는 권취부재(440)와 연결벨트(230)를 매개체로 항상 제1 케이스(10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체결와이어(460)는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걸림부재(450)와 제2 케이스(20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케이스(200) 내측에 들어가 제1 케이스(100)로 제2 케이스(200)의 개방부를 덮은 후, 체결와이어(46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걸림부재(450)와 제2 케이스(200)에 연결하고, 권취부재(440)의 손잡이(442)를 회전시켜 연결벨트(230)를 감아 당긴다. 연결벨트(230)가 감겨지면 상기 연결벨트(230)에 결합된 권취부재(440) 및 걸림부재(450)는 제2 케이스(200)와 멀어지게 되는바, 양단이 걸림부재(450)와 제2 케이스(200)에 체결된 체결와이어(460)는 팽팽하게 인장되고, 상기 체결와이어(460)에 인가된 인장력에 의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는 상호 압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체결부(400)는, 체결와이어(460)가 약간 늘어나거나 걸림부재(450)가 아래로 처지도록 변형되더라도 권취부재(440)를 이용하여 연결벨트(230)를 좀 더 감아 당김으로써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를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간의 밀폐력을 항상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구명캡슐을 구조하였을 때 구명캡슐 내부의 탑승자가 의식불명인 경우에는 체결와이어(460)가 느슨해지도록 체결부(400)를 조작할 수 없으므로, 제1 케이스(100) 및 제2 케이스(200)를 절개하여 탑승자를 구조해야 한다. 그러나 제1 케이스(100) 및 제2 케이스(200)를 절개하여 탑승자를 구조하게 되면, 상기 제1 케이스(100) 및 제2 케이스(200)를 재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제1 케이스(100) 및 제2 케이스(200)를 절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바 탑승자 구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에 포함되는 체결부(400)는,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1 케이스(10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관통부재(410)와,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관통부재(410)의 일단에 체결되어 관통부재(410)를 제1 케이스(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벨트(230)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관통부재(410)에 일측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벨트(230)가 관통부재(410)에 연결되고, 관통부재(410)를 제1 케이스(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재(420)가 제1 케이스(100)의 외측에 위치되면, 구조자가 구명캡슐 외부에서 고정부재(420)를 풀었을 때 관통부재(410) 및 이에 연결된 연결벨트(230), 권취부재(440), 걸림부재(450)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체결와이어(46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이 제1 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되는바, 제1 케이스(100)를 제2 케이스(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관통부재(410)의 일단과 고정부재(420)가 제1 케이스(100)의 최외측 표면보다 더 돌출되면 다른 구조물이나 와이어 등에 걸리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제1 케이스(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재(410)의 일단과 고정부재(420)가 장착되는 지점이 오목부(102)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관통부재(410) 일단과 고정부재(420)가 다른 구조물이나 와이어 등과 접촉조차 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오목부(102)의 입구를 덮는 덮개(10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104)는 비상 시 구조자가 쉽게 파손시킬 수 있도록, 제1 케이스(100)나 제2 케이스(200)보다 낮은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상호 압착되도록 결합될 때에는, 상기 제1 케이스(100) 및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에 큰 압력이 인가되는바, 상기 제1 케이스(100) 및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 전체에 걸쳐 각각 장착되는 제1 보강프레임(110)과 제2 보강프레임(21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강프레임(110)과 제2 보강프레임(210)은 강도가 큰 금속으로 제작됨이 일반적인데, 제1 보강프레임(110)과 제2 보강프레임(210)이 모두 금속으로 제작되면 제1 보강프레임(110)과 제2 보강프레임(210)을 압착시키더라도 제1 보강프레임(110)과 제2 보강프레임(210) 사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1 보강프레임(110)과 제2 보강프레임(210)이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본 실시예에서는 제2 보강프레임(210) 면)에는 패킹(22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보강프레임(110)과 제2 보강프레임(210)이 서로 마주보는 면 중 다른 하나의 면(본 실시예에서는 제1 보강프레임(110) 면)에는 끝단이 상기 패킹(220)에 압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패킹(220) 및 돌출부가 형성되면, 제1 보강프레임(110)과 제2 보강프레임(210)이 패킹(220)을 사이에 두고 압착되는바, 상기 패킹(220)이 손상되지 아니하는 한 구명캡슐 내부로 물이 들어오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체결와이어(460)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의 수평단면도이다.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의 밀착력은 체결와이어(460)를 당기는 인장력에 의해 발생되는바, 상기 체결와이어(460)가 끊어지게 되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는 상호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와이어(460)는 하나의 구명캡슐에 다수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결합될 때 상호 압착되는 부위는 제1 케이스(100)의 개방단과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이므로, 상기 체결와이어(460)는 제1 케이스(100) 및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에 설치됨이 바람직한데, 복수 개의 체결와이어(460)가 어느 일측으로만 치우쳐 설치되면 체결와이어(460)가 집중 설치된 측의 밀폐력은 매우 우수해지지만, 체결와이어(460)가 설치되지 아니한 측의 밀폐력이 떨어지는 결과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권취부재(440)를 동작시켜 연결벨트(230)를 감았을 때 제1 케이스(100)의 개방단과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이 모든 지점에 걸쳐 고른 힘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와이어(460)는 복수 개 구비되되 복수 개의 체결와이어(460) 타단이 연결되는 지점은 제2 케이스(2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체결와이어(460)가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면, 상기 체결와이어(460)가 인장될 때 제1 케이스(100)의 개방단과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착되고, 어느 하나의 체결와이어(460)가 절단되더라도 밀폐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은 체결와이어(460)가 케이스브라켓(230)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체결와이어(460)는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상호 결합될 때에는 길이방향 양측이 걸림부재(450)와 제2 케이스(200)에 각각 결합되어야 하고,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분리될 때에는 길이방향 양측이 걸림부재(450)와 제2 케이스(200)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이때, 체결와이어(460)의 길이방향 일측은 고리 형상의 걸림부재(450)에 걸리는 구조로 체결되므로 착탈이 용이하지만, 체결와이어(460)의 길이방향 타측은 용이한 착탈을 위해 별도의 구성이 추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체결와이어(460)의 타측이 제2 케이스(200)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체결와이어(460)의 타단에 결합되는 와이어브라켓(462)과, 상기 제2 케이스(2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브라켓(462)과 체결되는 케이스브라켓(23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브라켓(462)은, 체결와이어(460)의 끝단과 결합되는 소경부(463)와, 상기 소경부(463)의 끝단에 마련되는 대경부(4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브라켓(230)은 상기 소경부(463)는 통과할 수 있고 상기 대경부(464)는 통과하지 못하는 체결공(232)과, 상기 와이어브라켓(462)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232)과 연통되는 개구부(234)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브라켓(230)의 개구부(234)로 와이어브라켓(462)을 통과시키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브라켓(462)을 90도 회전시켜 소경부(463)를 케이스브라켓(230)의 체결공(232)에 삽입시킨 후, 체결와이어(460)를 위로 당김으로써, 와이어브라켓(462)과 케이스브라켓(230)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체결와이어(460)를 느슨하게 풀고 와이어브라켓(462)을 아래로 끌어 당겨 개구부(234)로 통과시키지 아니하는 한 와이어브라켓(462)과 케이스브라켓(230) 간의 결합이 해제되지 아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와이어브라켓(462)과 케이스브라켓(230)을 이용하면, 체결와이어(460)를 제2 케이스(200)에 보다 쉽게 착탈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체결와이어 중단에 텐셔너가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체결와이어(460)는, 양단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간의 거리가 약간 줄어들더라도 느슨해지지 아니하고,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간의 거리가 약간 증가되더라도 끊어지지 아니하도록, 전체 길이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와이어(460)는 제1 체결와이어(460a)와 제2 체결와이어(460b)로 나뉘어지고, 제1 체결와이어(460a)와 제2 체결와이어(460b)의 서로 마주보는 단이 텐셔너(470)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텐셔너(470)는, 체결와이어(46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실린더(472)와, 체결와이어(460)의 길이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472)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스프링(4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린더(472)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는 제1 체결와이어(460a)의 끝단이 고정결합되고, 실린더(472)의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에는 제2 체결와이어(460b)의 끝단이 관통되어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며, 스프링(474)은 제1 체결와이어(460a)의 끝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체결와이어(460b)의 끝단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스프링(474)이 제2 체결와이어(460b)의 끝단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제2 체결와이어(460b)의 끝단에는 스프링(474)의 내경보다 너비가 큰 확장부(466)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체결와이어(460a)도 실린더(472)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끝단에 확장부(466)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텐셔너(470)가 제1 체결와이어(460a)의 끝단과 제2 체결와이어(460b)의 끝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간의 거리가 약간 가까워지더라도 제1 체결와이어(460a)의 끝단과 제2 체결와이어(460b)의 끝단 간의 간격이 텐셔너(470)에 의해 좁아지므로 체결와이어(460)가 느슨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간의 거리가 약간 멀어지더라도 제1 체결와이어(460a)의 끝단과 제2 체결와이어(460b)의 끝단 간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체결와이어(460)가 끊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체결와이어(460)와 제1 케이스(100)가 결합된 지점의 위치 및 체결와이어(460)와 제2 케이스(200)가 결합된 지점의 위치가 어느 정도 변경되더라도, 각각의 체결와이어(460)들은 비교적 고른 힘으로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를 결합시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착석부(300)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의 수평단면도이다.
구명캡슐이 침수되어 흔들리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착석부(300)에 착석한 탑승자에게 충격이 인가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착석부(300)는 측단이 탄성와이어(310)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100)나 제2 케이스(200)(본 실시예에서는 제2 케이스(2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착석부(300)가 탄성와이어(310)에 의해 제2 케이스(2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착석부(300)는 제1 케이스(100)의 내측면이나 제2 케이스(200)의 내측면과 이격되는바, 제1 케이스(100)나 제2 케이스(200)를 통해 인가되는 충격이 직접적으로 착석부(300)에 인가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탄성와이어(310)는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탄성을 가져야함은 물론, 탑승자가 착석부(300)에 착석하였을 때 착석부(300)가 바닥에 닿을 만큼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끊어지지 아니하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통기부(500)의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통기부(500)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외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관통공(120)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20)은 필요시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120)을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통기부(5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케이스는, 외표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02)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되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연장부(106)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120)은 오목부(102)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06)에는 통기공(108)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부(500)는, 상기 관통공(120)의 외측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상기 관통공(120)과 연장부(106) 사이에 위치되는 마개(510)와, 수분이 인가되었을 때 팽창되는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마개(510)를 상기 연장부(106)에 연결하는 팽창부재(520)를 포함하여, 상기 팽창부재(520)가 건조할 때에는 상기 마개(510)가 상기 관통공(120)의 외측입구와 이격되고, 상기 팽창부재(520)가 젖을 때에는 상기 팽창부재(520)가 팽창하여 상기 마개(510)가 상기 관통공(120)의 외측입구를 막도록 구성된다. 침수가 되지 아니하는 평상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부재(520)가 수축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기는 통기공(108)과 관통공(120)을 통해 구명캡슐 내부로 유입될 수 있지만, 침수가 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재(520)가 젖어 팽창되므로 관통공(120)이 마개(510)에 의해 막히게 된다.
즉, 상기 통기부(500)는, 구명캡슐이 침수되는 비상시에는 구명캡슐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관통공(120)을 폐쇄시키고, 구명캡슐이 수면으로 상승되어 팽창부재(520)가 건조되면 관통공(120)을 개방시킴으로써 구명캡슐 내부의 탑승자에게 신선한 외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물이 흡수되었을 대 부피가 팽창하는 상기 팽창부재(520)는, 물을 부었을 때 부풀어 올라 물수건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코인티슈 등에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통기부(500)는 평상시에는 통기공(108)을 막고 있다가, 탑승자의 조작이 있을 때에만 통기공(108)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통기부(5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20)의 외측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관통공(120)과 연장부(106) 사이에 위치되는 마개(510)와, 관통공(120)의 외측입구 측으로 마개(51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20)이 마개(510)에 의해 막혀 있는 상태에서는 구명캡슐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못하지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명캡슐 내부에서 마개(510)를 밀면 관통공(120)이 개방되는바 구명캡슐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마개(510)를 밀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마개(510)는 탄성부재(530)의 탄성에 의해 밀려 관통공(120)을 막는 도 11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400)와 통기부(500)가 하나의 오목부(102)에 장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체결부(400)와 통기부(500)는 서로 다른 오목부(102)에 각각 별도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개방단 일측이 힌지(70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힌지(700)에 의해 연결되면, 탑승자는 제2 케이스(200) 내부로 들어간 이후 힌지(700)를 중심으로 제1 케이스(100)를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제1 케이스(100)의 개방단을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의 결합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케이스(100)를 아래로 내리면서 회전시킴으로써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100)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00)의 상측에 힌지(700)로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케이스(100)를 위로 내리면서 회전시킴으로써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100)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00)의 하측에 힌지(700)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700)는 출입문이나 창문, 개폐도어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이므로, 구조 및 동작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이 수상사고 발생 시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산사태가 발생되었을 때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 및 화산이 폭발하였을 때 화산재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 제3 실시예의 평면도, 정면도, 횡단면도,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은 제1 케이스(100) 및 제2 케이스(200), 착석부(300)의 형상 및 크기를 변형함으로써, 4~5인용 가족용 구명캡슐, 10인 이상의 공공 구명캡슐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는,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었을 때 종방향 단면이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트랙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의 내부공간에는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착석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내부에서 외부를 볼 수 있도록,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의 상측 일부는 투명창(G)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 다수 개의 착석부(300)를 내부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사람을 구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많은 수의 사람이 보다 빠르게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출입문(8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문(800)은 일측에 출입문 손잡이(810)가 구비되고 타측이 출입문 힌지(820)를 연결 매개체로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에 각각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출입문(800) 구조는 해치(hatch)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간의 결합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체결부(400)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의 개방단에 체결후크를 장착하여 체결후크를 채웠을 때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일방향으로 길게 경우, 보다 많은 사람이 탑승 가능하도록 착석부(300)는 2열 횡대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와이어(31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착석부(300)가 제1 케이스(100)나 제2 케이스(200)와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탄성와이어(310)로 고정하는 구조는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 제4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명캡슐이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 즉, 종방향 단면이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트랙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는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캡슐의 횡방향 중심축을 기준선으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캡슐의 종방향 중심축을 기준선으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분리 및 결합되는 방향은, 구명캡슐의 용도 및 각종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가 구명캡슐의 종방향 중심축을 기준선으로 분리 및 결합되는 경우, 출입문(800)은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200)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제1 케이스 102 : 오목부
104 : 덮개 110 : 제1 보강프레임
120 : 관통공 200 : 제2 케이스
210 : 제2 보강프레임 220 : 패킹
230 : 케이스브라켓 232 : 체결공
234 : 개구부 240 : 배출펌프
300 : 착석부 310 : 탄성와이어
400 : 체결부 410 : 관통부재
420 : 고정부재 430 : 연결벨트
440 : 권취부재 442 : 손잡이
450 : 걸림부재 460 : 체결와이어
462 : 와이어브라켓 463 : 소경부
464 : 대경부 500 : 통기부
510 : 마개 520 : 팽창부재
530 : 탄성부재 600 : 조명부
700 : 힌지 800 : 출입문
G : 투명창

Claims (19)

  1.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측의 끝단(이하 '개방단'이라 약칭함)이 상호 맞닿도록 결합되었을 때 외부와 격리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단과 상기 제2 케이스의 개방단이 상호 압착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벨트와, 상기 연결벨트의 길이방향 타측을 감고 푸는 권취부재와, 상기 권취부재에 결합되는 걸림부재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걸림부재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제2 케이스에 연결되는 체결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상호 결합되었을 때 구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각각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상호 결합되었을 때 종방향 단면이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트랙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출입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개방단 일측이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착석부가 구비되되, 상기 착석부는 착석면의 반대면이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면 또는 제2 케이스의 내측면과 가까워지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으로 치우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내측면 및 제2 케이스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측단이 탄성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한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1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관통부재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관통부재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관통부재를 상기 제1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벨트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관통부재에 일측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외표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재는 일단이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오목부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입구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각각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와이어는 복수 개 구비되되, 상기 복수 개의 체결와이어 타단이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는 와이어브라켓과, 상기 제2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브라켓과 체결되는 케이스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브라켓은, 상기 체결와이어의 끝단과 결합되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끝단에 마련되는 대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브라켓은, 상기 소경부는 통과할 수 있고 상기 대경부는 통과하지 못하는 체결공과, 상기 와이어브라켓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개방단 전체에 걸쳐 각각 장착되는 제1 보강프레임과 제2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프레임과 제2 보강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패킹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보강프레임과 제2 보강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는 면 중 다른 하나의 면에는 끝단이 상기 패킹에 압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통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외표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이 바닥면에 구비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되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외측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상기 관통공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위치되는 마개와, 수분이 인가되었을 때 팽창되는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마개를 상기 연장부에 연결하는 팽창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팽창부재가 건조할 때에는 상기 마개가 상기 관통공의 외측입구와 이격되고, 상기 팽창부재가 젖을 때에는 상기 팽창부재가 팽창하여 상기 마개가 상기 관통공의 외측입구를 막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외표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이 바닥면에 구비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되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관통공의 외측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상기 관통공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위치되는 마개와, 상기 관통공의 외측입구 측으로 상기 마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캡슐.
KR1020110076932A 2011-08-02 2011-08-02 구명캡슐 KR101275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932A KR101275438B1 (ko) 2011-08-02 2011-08-02 구명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932A KR101275438B1 (ko) 2011-08-02 2011-08-02 구명캡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102A KR20130015102A (ko) 2013-02-13
KR101275438B1 true KR101275438B1 (ko) 2013-06-17

Family

ID=4789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932A KR101275438B1 (ko) 2011-08-02 2011-08-02 구명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9717A (zh) * 2020-08-10 2020-11-20 雷明 一种基于电磁效应的海上遇难逃生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4143B (zh) * 2019-06-14 2024-02-20 广州市增城区林业和园林科学研究所(广州市增城区林业和园林技术推广中心) 一种消防救生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4698U (ja) * 1984-04-27 1985-11-19 菱屋精工株式会社 人体収容カプセル
US20040020419A1 (en) * 2002-08-01 2004-02-05 Humiston Norman John Safet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4698U (ja) * 1984-04-27 1985-11-19 菱屋精工株式会社 人体収容カプセル
US20040020419A1 (en) * 2002-08-01 2004-02-05 Humiston Norman John Safet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9717A (zh) * 2020-08-10 2020-11-20 雷明 一种基于电磁效应的海上遇难逃生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102A (ko)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1830A (en) Aviation auto-inflatable life raft
JP5532469B2 (ja) 津波待避用救命装置
ES2226465T3 (es) Dispositivo de salvamento y seguridad para ambientes acuaticos.
WO2008011783A1 (fr) Dispositif de sauvetage marin anti-chavirage
KR100938973B1 (ko) 개인용 구명 장치
US2821725A (en) Flotation device
JP2007331660A (ja) 収容カプセル
KR101174621B1 (ko) 투척식 구명 튜브 볼
KR101275438B1 (ko) 구명캡슐
KR101357279B1 (ko) 개량형 개인 구명장치
KR20080092777A (ko) 조난시 위치알림기구
US9233741B2 (en) Life saving dan buoy
JP2013043540A (ja) 救命用カプセル
KR20100028223A (ko) 부력 가방
KR100938925B1 (ko) 조난 구조용 구명대
US20120009832A1 (en) Inflatable Life Raft
KR100841045B1 (ko) 수상구명장치
CN111746762A (zh) 一种水上应急救生装置
JP3959496B2 (ja) 個人用救命ボート
KR200458268Y1 (ko) 안전 구명튜브
JP2013035543A (ja) 不倒翁型の救命チャンバー
KR101888499B1 (ko)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JP3182097U (ja) 膨張式ライフジャケットの点検窓
CN211510707U (zh) 一种高安全充气落水救生鞋
CN209776769U (zh) 安全气囊式紧急救生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