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000B1 -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000B1
KR101275000B1 KR1020100108155A KR20100108155A KR101275000B1 KR 101275000 B1 KR101275000 B1 KR 101275000B1 KR 1020100108155 A KR1020100108155 A KR 1020100108155A KR 20100108155 A KR20100108155 A KR 20100108155A KR 101275000 B1 KR101275000 B1 KR 101275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girders
rigid
stee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479A (ko
Inventor
이필구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08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0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은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강합성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연결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STEEL COMPOSITE GIRD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생태교량 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합성거더 교량(4)은 바닥판(2) 콘크리트에 의해 하중 분배가 되기 때문에 일정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하지만 생태교량(4)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토피고(1) 이상의 토사가 바닥판(2) 콘크리트 상부에 적재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상부계획고(거더(3)의 높이(h1) + 바닥판(2)의 두께(h2) + 최소토피고(1)의 깊이(h3))의 깊이 증가는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계획고의 깊이를 낮게 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강합성거더를 단차없이 연결할 수 있는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삽성 거도 구조물은,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를 연결토록 제공된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블럭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홈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콘크리트블럭에 결합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결합볼트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 상부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매립형 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연결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삽성 거도 구조물은,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콘크리트블럭의 양단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를 연결토록 제공된 프리캐스트패널 및 상기 프리캐스트패널 상부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매립형 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연결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삽성 거도 구조물은,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콘크리트블럭의 양단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를 연결토록 제공된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홈에 형성된 볼트홈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콘크리트블럭에 결합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결합볼트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매립형 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연결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삽성 거도 구조물은,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를 연결토록 제공된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블럭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홈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콘크리트블럭에 결합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결합볼트 및, 상기 결플레이트 상부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럭의 양단부에 형성된 전단포켓과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매립형 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연결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삽성 거도 구조물은,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의 하단을 연결토록 제공된 제 1 연결플레이트와,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의 상단을 연결토록 제공된 제 2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연결플레이트 사이를 교차하면서 연계되는 철근, 와이어 또는 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제공된 연결부재와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연결플레이트 사이 공간으로 충전물이 충전되어 형성된 고정블럭 및 상기 제 2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를 덮도록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되어,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를 연결토록 제공된 연결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삽성 거도 구조물은,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의 하단을 연결토록 제공된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상단을 연결토록 제공된 케이블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 상부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매립형 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연결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강합성거더 구조물을 사용한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은 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공간으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가 횡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근입되는 단계;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가 상호 간에 연결부에 의해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단계; 및 굴착공간으로 토사가 매립되어 토피고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부계획고의 깊이를 낮게 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강합성거더를 단차없이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강합성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을 타설함으로써, 토피고를 타고 흘러 내려온 물의 누수 및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교량 하부의 차량 통행 중에도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강합성거더를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강합성거더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인해,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횡방향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생태교량 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교량의 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교량의 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100)은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110, 120)와,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110, 120)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110, 120) 중,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에 대해 제 1 강합성거더(110)와 제 2 강합성거더(120)로 구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의 제 1 강합성거더(110)와 제 2 강합성거더(120)는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강합성거더(120)는 단위형강부재와 콘크리트블럭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강합성거더(110)와 제 2 강합성거더(120)는 상호 간에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위형강부재는 I자형 단면을 가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콘크리트블럭은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을 둘러싸도록, 단위형강부재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블럭은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서, 단위형강부재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강합성거더의 하부플랜지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콘크리트블럭은 강철재질로 이루어진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제 1 강합성거더(110)의 단위형강부재를 '제 1 단위형강부재(111)'라고 지칭하고, 제 1 강합성거더(110)의 콘크리트블럭을 '제 1 콘크리트블럭(112)'이라 지칭하며, 제 2 강합성거더(120)의 단위형강부재를 '제 2 단위형강부재(121)'라고 지칭하고, 제 2 강합성거더(120)의 콘크리트블럭을 '제 2 콘크리트블럭(122)'이라 지칭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강합성거더(110)와 제 2 강합성거더(1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30)는 연결플레이트(131)와 결합볼트(1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예서, 연결플레이트(131)는 서로 맞닿도록 위치된 제 1 콘크리트블럭(1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122)의 상단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플레이트(131)로는 일예로 아연도금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콘크리트블럭(1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122)의 상단에는 결합볼트(132)가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볼트홈(미도시)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 개의 볼트홈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122)의 상단에 놓인 연결플레이트(131)의 관통홀(미도시)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플레이트(131)는 결합볼트(132)에 의해,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122)에 고정된다. 이때, 결합볼트(132)는 연결플레이트(131)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홈과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예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100)을 사용한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제 1 강합성거더(110)와 제 2 강합성거더(120)가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근입된다.
이어서, 서로 맞닿아 위치된 제 1 콘크리트블럭(1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122) 상단으로 연결플레이트(131)가 위치된다. 제 1 콘크리트블럭(1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122)의 이음부를 덮도록 위치된 연결플레이트(131)는, 복수 개의 결합볼트(132)에 의해 제 1 콘크리트블럭(1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122)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복수 개의 제 1 및 제 2 강합성거더(120)에 걸쳐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110, 120)가 횡방향으로 연결되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110, 120) 구조물(100)의 위치된 굴착공간으로 토사가 매입되어 토피고(1)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는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은 종래 기술에 비해, 상부계획고(1)의 깊이를 줄이면서 생태교량(4)을 형성할 수 있어, 공사비용을 절감시킬뿐 아니라 공사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2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진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210, 220)의 단위형강부재(211, 221)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형상 및 구성이 상이한 연결부(230)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212, 22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예 따른 연결부(230)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 1 강합성거더(210)와 제 2 강합성거더(2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30)는 연결플레이트(231), 결합볼트(232) 및 연결블럭(23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예서, 연결플레이트(231)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 1 콘크리트블럭(2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222)의 하단에서, 제 1 콘크리트블럭(2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222)을 연결토록 위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플레이트(231)로는 일예로 아연도금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예 따른 제 1 콘크리트블럭(2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222)의 하단에는 결합볼트(232)가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볼트홈(미도시)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플레이트(231)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 개의 관통홀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212, 222)의 볼트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플레이트(231)는 결합볼트(232)에 의해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212, 222)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볼트(232)는 연결플레이트(231)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홈과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볼트(232)에 의해 연결플레이트(231)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212, 222)에 연결되어, 연결플레이트(231)의 상부에서 제 1 콘크리트블럭(2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물로는 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블럭(233)은 충전물이 경화됨에 따라 형성된 부재로서, 연결블럭(233)의 하단은 연결플레이트(231)와 합성거동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블럭(233)의 양측면은 제 1 콘크리트블럭(2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222)에 결합되어, 제 1 강합성거더(210)와 제 2 강합성거더(220)를 연결한다.
이때, 연결블럭(233)은 제 1 콘크리트블럭(2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메꿈으로써, 토피고를 타고 흘러내린 토사와 물이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3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진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310, 320)의 단위형강부재(311, 312)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형상 및 구성이 상이한 연결부(330)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312, 32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예 따른 연결부(330)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 1 강합성거더(310)와 제 2 강합성거더(3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30)는 프리캐스트패널(331) 및 연결블럭(33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패널(331)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312, 322)의 제 1 및 제 2 안착홈(313, 323)에 안착되어,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된 제 1 콘크리트블럭(3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322)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안착홈(313)은 제 1 콘크리트블럭(312)의 양단에 형성되고, 제 2 안착홈(323)은 제 2 콘크리트블럭(322)의 양단에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블럭(332)은 프리캐스트패널(331) 상부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콘크리트블럭(3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3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연결블럭(332)은 제 1 콘크리트블럭(3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3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메꿈으로써, 토피고를 타고 흘러내린 토사와 물이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4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6의 (a)는 연결플레이트(431)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412, 422)에 볼트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물이 타설되어 연결블럭(433)을 형성한 경우이고, 도 6의 (b)는 연결플레이트(431)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412, 422)에 볼트결합된 상태에서 충전물이 타설되어 연결블럭(433)을 형성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진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410, 420)의 단위형강부재(411, 421)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형상 및 구성이 상이한 연결부(430)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412, 42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예 따른 연결부(430)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 1 강합성거더(410)와 제 2 강합성거더(4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30)는 연결플레이트(431), 결합볼트(432) 및 연결블럭(43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플레이트(431)는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412, 422)의 양단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안착홈(413, 423)에 안착되어,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된 제 1 콘크리트블럭(4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422)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안착홈(413)은 제 1 콘크리트블럭(412)의 양단에 형성된 것이고, 제 2 안착홈(423)은 제 2 콘크리트블럭(422)의 양단에 형성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예 따른 안착홈에는 결합볼트(432)가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볼트홈(미도시)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플레이트(431)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 개의 관통홀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412, 422)의 볼트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볼트(432)에 의해 연결플레이트(431)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412, 422)에 연결되어, 연결플레이트(431)의 상부에서 제 1 콘크리트블럭(4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4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물로는 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블럭(433)은 충전물이 경화됨에 따라 형성된 부재로서, 연결블럭(433)의 하단은 연결플레이트(431)와 합성거동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블럭(433)의 양측면은 제 1 콘크리트블럭(4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422)에 결합되어, 제 1 강합성거더(410)와 제 2 강합성거더(420)를 연결한다.
이때, 연결블럭(433)은 제 1 콘크리트블럭(4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4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메꿈으로써, 토피고를 타고 흘러내린 토사와 물이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5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진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510, 520)의 단위형강부재(511, 521)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형상 및 구성이 상이한 연결부(530)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512, 52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콘크리트블럭(512)의 양단부에는 제 1 전단포켓(513)이 형성되고, 제 2 콘크리트블럭(522)의 양단부에는 제 2 전단포켓(523)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전단포켓(513, 523)은 후술할 충전물이 충전되어 형성된 연결블럭(533)이 전단연결재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예 따른 연결부(530)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 1 강합성거더(510)와 제 2 강합성거더(5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30)는 연결플레이트(531), 결합볼트(532) 및 연결블럭(53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플레이트(531)는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512, 522)의 하단에 위치되어, 상호 간에 이격된 제 1 콘크리트블럭(5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522)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512, 522)의 하단에는 결합볼트(532)가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볼트홈(미도시)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플레이트(531)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 개의 관통홀(미도시)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512, 522)의 볼트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볼트(532)에 의해 연결플레이트(531)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512, 522)에 연결되어, 연결플레이트(531)의 상부에서 제 1 콘크리트블럭(5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5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물로는 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블럭(533)은 충전물이 경화됨에 따라 형성된 부재로서, 연결블럭(533)의 하단은 연결플레이트(531)와 합성거동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블럭(533)의 양측면은 제 1 콘크리트블럭(5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522)에 결합되어, 제 1 강합성거더(510)와 제 2 강합성거더(52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블럭(5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단포켓으로 충전되어 경화된 충전물로 인해, 제 1 콘크리트블럭(5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522)의 전단연결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결블럭(533)은 제 1 콘크리트블럭(5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5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메꿈으로써, 토피고를 타고 흘러내린 토사와 물이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6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진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610, 620)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형상 및 구성이 상이한 연결부(6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예 따른 연결부(630)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 1 강합성거더(610)와 제 2 강합성거더(6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630)는 제 1 연결플레이트(631), 제 2 연결플레이트(632), 연결부재(633), 고정블럭(634) 및 연결블럭(63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연결플레이트(631)는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콘크리트블럭(6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622)의 하단을 연결토록 제공된 부재이고, 제 2 연결플레이트(632)는 제 1 연결플레이트(631)와 이격되어 제 1 콘크리트블럭(6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622)의 상단을 연결토록 제공된 부재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633)는 제 1 연결플레이트(631)와 제 2 연결플레이트(632) 사이를 교차하면서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633)로는 철근, 와이어 또는 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결플레이트(631, 632)와 연결부재(633)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제 1 콘크리트블럭(6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622) 사이 공간에는 충전물이 충전된다.
고정블럭(634)은 제 1 콘크리트블럭(6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622) 사이으로 충전된 충전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부재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블럭(635)은, 제 1 콘크리트블럭(612), 제 2 콘크리트블럭(622),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612, 622)을 연결한 제 2 연결플레이트(632)의 상부를 덮도록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블럭(635)은 토사를 타고 흘러내린 물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물이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거더 구조물(7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진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710, 720)의 단위형강부재(711, 721)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형상 및 구성이 상이한 연결부(730)와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712, 72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콘크리트블럭(712)의 양단부에는 제 1 전단포켓(713)이 형성되고, 제 2 콘크리트블럭(722)의 양단부에는 제 2 전단포켓(723)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전단포켓(713, 723)은 후술할 충전물이 충전되어 형성된 연결블럭(736)이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722)의 전단연결재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예 따른 연결부(730)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 1 강합성거더(710)와 제 2 강합성거더(7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730)는 연결플레이트(731), 고정돌기(733, 734), 케이블(735) 및 연결블럭(73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플레이트(731)는 제 1 및 제 2 콘크리트블럭(712, 722)의 하단에 위치되어, 상호 간에 이격된 제 1 콘크리트블럭(7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722)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플레이트(731)의 상단에는 고정돌기(733, 734)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콘크리트블럭(712)에 인접하게 위치된 고정돌기를 '제 1 고정돌기(733)'라 지칭하고, 제 2 콘크리트블럭(722)에 인접하게 위치된 고정돌기를 '제 2 고정돌기(734)'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 1 및 제 2 고정돌기(733, 734)는 연결플레이트(73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고정돌기(733, 734)는 케이블(735)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단위형강부재(711, 721)에는 케이블(735)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돌기(714, 724)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735)은 제 1 단위형강부재의 결합돌기(714)와 제 2 고정돌기(734)를 연결하고, 제 2 단위형강부재의 결합돌기(724)와 제 1 고정돌기(733)를 연결한다. 이때, 케이블(735)은 X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플레이트(731)의 상부에서 제 1 콘크리트블럭(7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7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물로는 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블럭(736)은 충전물이 경화됨에 따라 형성된 부재로서, 연결블럭(736)의 하단은 연결플레이트(731)와 합성거동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블럭(736)의 양측면은 제 1 콘크리트블럭(7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722)에 결합되어, 제 1 강합성거더(710)와 제 2 강합성거더(72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블럭(73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단포켓으로 충전되어 경화된 충전물로 인해, 제 1 콘크리트블럭(7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722)의 전단연결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결블럭(736)은 제 1 콘크리트블럭(712)과 제 2 콘크리트블럭(7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메꿈으로써, 토피고를 타고 흘러내린 토사와 물이 강합성거더 구조물의 하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강합성거더 구조물
110, 210, 310, 410, 510, 610, 710: 제 1 강합성거더
120, 220, 320, 420, 520, 620, 720: 제 2 강합성거더
130, 230, 330, 430, 530, 630, 730: 연결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를 연결토록 제공된 연결플레이트;
    상기 콘크리트블럭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홈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콘크리트블럭에 결합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결합볼트;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 상부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매립형 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연결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거더 구조물.
  5.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콘크리트블럭의 양단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를 연결토록 제공된 프리캐스트패널; 및
    상기 프리캐스트패널 상부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매립형 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연결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거더 구조물.
  6.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콘크리트블럭의 양단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를 연결토록 제공된 연결플레이트;
    상기 안착홈에 형성된 볼트홈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콘크리트블럭에 결합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결합볼트;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매립형 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연결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거더 구조물.
  7.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를 연결토록 제공된 연결플레이트;
    상기 콘크리트블럭의 하단에 형성된 볼트홈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콘크리트블럭에 결합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결합볼트;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 상부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럭의 양단부에 형성된 전단포켓과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매립형 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연결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거더 구조물.
  8.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의 하단을 연결토록 제공된 제 1 연결플레이트;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의 상단을 연결토록 제공된 제 2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연결플레이트 사이를 교차하면서 연계되는 철근, 와이어 또는 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제공된 연결부재;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연결플레이트 사이 공간으로 충전물이 충전되어 형성된 고정블럭; 및
    상기 제 2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를 덮도록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되어,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를 연결토록 제공된 연결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거더 구조물.
  9. 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및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 중 서로 인접한 강합성거더를 연계토록 제공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합성거더는 I자형 단면을 가진 단위형강부재; 및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하단에, 상기 단위형강부재와 합성거동토록 연계된 콘크리트블럭;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강합성거더의 하단을 연결토록 제공된 연결플레이트;
    상기 연결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된 고정돌기;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단위형강부재의 상단을 연결토록 제공된 케이블;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 상부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매립형 거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충전물이 타설되어 형성된 연결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거더 구조물.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강합성거더 구조물을 사용한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공간으로,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가 횡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근입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강합성거더가 상호 간에 연결부에 의해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굴착공간으로 토사가 매립되어 토피고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
KR1020100108155A 2010-11-02 2010-11-02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 KR101275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155A KR101275000B1 (ko) 2010-11-02 2010-11-02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155A KR101275000B1 (ko) 2010-11-02 2010-11-02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479A KR20120046479A (ko) 2012-05-10
KR101275000B1 true KR101275000B1 (ko) 2013-06-14

Family

ID=4626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155A KR101275000B1 (ko) 2010-11-02 2010-11-02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644A (ko) 2018-02-05 2019-08-14 엄순섭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19B1 (ko) * 2008-11-27 2009-04-21 (주)천일기술단 교량형 생태통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19B1 (ko) * 2008-11-27 2009-04-21 (주)천일기술단 교량형 생태통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644A (ko) 2018-02-05 2019-08-14 엄순섭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479A (ko)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224B1 (ko) 상하분리형 프리캐스트 암거 박스 및 그 시공 방법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318773B1 (ko) I형 콘크리트 충진거더와 바닥판을 일체로 결합한 t형 합성 단위거더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1034013B1 (ko)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KR20140026886A (ko) 횡방향 다경간 급속시공을 위한 편측 캔틸레버 박스형 거더를 구비한 구조물
KR10116751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300296B1 (ko) 스템형상을 갖는 격벽교대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KR101275000B1 (ko) 강합성거더 구조물 및 강합성거더 교량 시공방법
KR101287739B1 (ko) 널말뚝식 복합 모듈러 교대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2010229733A (ja) 鋼管による橋梁用床版と橋梁用床版構造および鋼管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JP2021042610A (ja) カルバ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301073B1 (ko) 긴장재를 이용한 부벽식 개거수로 및 그 시공방법
JP2020056209A (ja) 合成柱及びそれを用いた橋脚、施工方法
JP5769291B2 (ja)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架設方法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101814750B1 (ko) 상부 충전 플랜지 튜브를 갖는 하이브리드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 교량의 시공방법
KR20090049731A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JP5860723B2 (ja) 角形鋼管を用いた床版橋とその施工方法
KR100823348B1 (ko) 강합성옹벽 시공방법
KR101929885B1 (ko) 강재거더 및 그 제작방법
JP2009127316A (ja) 鋼管による橋梁用床版と橋梁用床版構造および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