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573B1 -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 - Google Patents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573B1
KR101273573B1 KR1020110006452A KR20110006452A KR101273573B1 KR 101273573 B1 KR101273573 B1 KR 101273573B1 KR 1020110006452 A KR1020110006452 A KR 1020110006452A KR 20110006452 A KR20110006452 A KR 20110006452A KR 101273573 B1 KR101273573 B1 KR 101273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module
hub
inner hub
fastening
central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055A (ko
Inventor
김익재
류상흠
황선화
이수일
홍성표
구자영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5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03Membrane bonding or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01D2313/041Gaskets or O-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3Specific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3Open hous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에서 여과모듈의 단부와 단부를 서로 밀착하여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고 유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도관에 멤브레인이 감기는 여과모듈에 있어서, 상기 중앙도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내측허브; 상기 내측허브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리브를 매개로 상기 내측허브와 연결되는 외측허브; 상기 중앙도관의 외주면과 상기 내측허브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중앙도관의 연결부위를 밀봉하는 실링부재; 인접 배치되는 여과모듈의 내측허브와 서로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내측허브 상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인접 배치되는 여과모듈의 외측허브와 서로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외측허브 상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Coupler For Spiral Wound Membrane Modules}
본 발명은 여과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에서 여과모듈의 단부와 단부를 서로 밀착하여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고 유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나권형(spiral wound type) 여과모듈은 중앙에 배치되는 도관상에 멤브레인이 나선형으로 권취된 후 외부랩으로 권취된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여과모듈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하우징 내부에 복수 개의 여과모듈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된다.
즉,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여과모듈의 단부와 단부를 서로 밀착시켜 중앙에 배치되는 도관을 서로 연결시켜 사용한다. 이를 위해, 한국등록특허 10-088555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배치되는 여과모듈의 외주면에 수용홈을 갖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고정구를 통하여 체결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여과모듈은 단부와 단부를 밀착시킨 후 수용홈에 고정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결은 용이하나, 하우징 내에 연결된 여과모듈을 각각 분리하는 작업은 매우 어려움이 따른다. 더불어, 서로 인접하는 도관을 연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커플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관과 도관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과모듈의 양 단부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를 갖는 한 쌍의 연결조립체를 장착하여 쉽고 빠르게 여과모듈을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는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허브와 내측허브에 각각 체결부를 구비하여 인접하는 여과모듈과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내측허브와 중앙도관 사이에 서로 맞물리는 내측허브에 의해 고정되는 실링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없이 중앙도관의 단부와 단부의 연결부분에서 유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도관에 멤브레인이 감기는 여과모듈에 있어서, 상기 중앙도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내측허브; 상기 내측허브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리브를 매개로 상기 내측허브와 연결되는 외측허브; 상기 중앙도관의 외주면과 상기 내측허브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중앙도관의 연결부위를 밀봉하는 실링부재; 인접 배치되는 여과모듈의 내측허브와 서로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내측허브 상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인접 배치되는 여과모듈의 외측허브와 서로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외측허브 상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중앙도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기밀부와 상기 기밀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돌출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상기 기밀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허브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부는 회전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1체결홈을 갖추어 상기 내측허브에서 축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1고정부와 인접 배치되어 서로 맞물리는 내측허브 상에 상기 제1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체결되는 제1삽입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삽입구는 상기 제1체결홈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 단부에 경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체결부는 회전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2체결홈을 갖추어 상기 외측허브에서 축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2고정부와 인접 배치되어 서로 맞물리는 외측허브 상에 상기 제2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체결되는 제2삽입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삽입구는 상기 외측허브의 내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수용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삽입구는 상기 제2체결홈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 단부에 경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는 상기 여과모듈의 양 단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모듈의 양 단부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를 갖는 한 쌍의 연결조립체를 장착하여 쉽고 빠르게 여과모듈을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허브와 내측허브에 각각 체결부를 구비하여 인접하는 여과모듈과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내측허브와 중앙도관 사이에 서로 맞물리는 내측허브에 의해 고정되는 실링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없이 중앙도관의 단부와 단부의 연결부분에서 유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가 적용된 여과조립체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복수 개의 여과모듈이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100)는 멤브레인(40)이 중앙도관(10)의 주위에 감겨져 이루어진 여과모듈(20)의 양 단부(이하, 여과모듈의 우측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제1연결구조체(100a). 여과모듈의 좌측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제2연결구조체(100b)로 정의함)-더욱 자세하게는 중앙도관(10)의 양 단부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를 갖는 한 쌍이 각각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3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여과모듈(2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단일의 여과조립체(1) 구성시, 서로 인접하는 여과모듈(20)을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112,114)(122,124)를 매개로 간편하게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여과모듈(20) 간의 체결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허브(110)와 외측허브(120)에 각각 체결부(112,122)(114,124)를 구비함으로써 이중의 체결구조를 마련하고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여과모듈(20)의 체결과정에서 서로 연결되는 중앙도관(10)의 단부와 단부를 별도의 실링부재(160)를 매개로 밀봉함으로써 연결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모듈(20)은 중앙도관(10)의 둘레에 멤브레인을 나선형으로 에워싸고, 중앙도관(10)을 둘러싼 나선형의 멤브레인을 단단한 외부랩으로 고정한 통상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은 개별적인 여과모듈(20) 간의 원활한 체결을 위하여 양 단부에 연결구조체가 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모듈(20)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연결구조체(100a,100b)는 상기 외부랩에 의해 멤브레인과 함께 고정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여과모듈(20)의 양 단부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이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허브(110) 외측허브(120), 실링부재(160), 제1체결부(112,114) 및 제2체결부(122,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여과모듈(20)의 양 단부와 상기 한 쌍의 연결구조체(100a,100b)와의 고정 결합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억지 끼워맞춤, 접착제의 사용, 스핀용접 또는 솔벤트 용접 등 임의의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2연결구조체(100a,100b)는 서로 직경이 다른 두 개의 중공형 허브(110,120)(내측허브, 외측허브)가 동심적으로 배치되고, 두 개의 허브가 복수 개의 리브(13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이웃하는 여과모듈(2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결합된 연결구조체(100a,100b)와의 상호 체결을 위한 제1,2체결부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내측허브(110)는 축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의 관으로 이루어지며, 여과모듈(20)의 중앙부에 배치된 중앙도관(1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도관(10)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도관(10)의 외부면과 내측허브(110)의 내부면 사이에 간격이 마련되며, 상기 간격에 후술할 실링부재(160)의 기밀부(162)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내측허브(110)의 일측에는 서로 인접하는 제1연결구조체(100a)와 제2연결구조체(100b)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제1체결부(112,114)가 구비된다. 즉, 제1연결구조체(100a)에서 내측허브(110)의 외주면 상에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삽입구(112)가 마련되고, 제2연결구조체(100b)에서 내측허브(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삽입구(11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축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1고정부(114)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114)는 상기 제1삽입구(112)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1체결홈(115)이 형성되며, 내측허브(110)의 반경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구(112)는 상기 제1체결홈(115)으로의 슬라이딩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 단부에 경사부(113)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구조체(100a)와 제2연결구조체(100b)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한 후 제1연결구조체(100a) 및 제2연결구조체(100b) 중 어느 하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삽입구(112)가 상기 제1체결홈(115)에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서로 체결됨과 동시에 인접한 여과모듈의 중앙도관(1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며,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삽입구(112)가 제1체결홈(115)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구(112)가 제1연결구조체(100a)의 내측허브(110)에 구비되고 제1고정부(114)가 제2연결구조체(100b)의 내측허브(11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연결구조체의 내측허브에 제1고정부가 구비되고 제2연결구조체의 내측허브에 제1삽입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구조체(100a)와 제2연결구조체(100b) 간의 맞물림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중앙도관(10)의 단부와 단부의 연결부분은 내측허브(110)와 중앙도관(10)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160)를 통해 밀봉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160)는 개별적인 부재로서 제1연결구조체 및 제2연결구조체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중공형의 기밀부(162)와 상기 기밀부(162)로부터 외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부(164)로 구비되며, 상기 기밀부(162)는 서로 연결되는 중앙도관(10)의 단부와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연결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수를 밀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64)는 상기 내측허브(1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실링부재(160)를 정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돌출부(164)는 기밀부(16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인접한 연결구조체 간의 결합시 제공되는 압력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연결구조체(100a,100b)의 내측허브(110)에는 상기 실링부재의 돌출부(164)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경 부분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안착홈(116)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64)는 그 두께를 상기 안착홈(116)의 함몰깊이보다 더 크도록 함으로써 제1연결구조체(100a)와 제2연결구조체(100b) 간의 결합시 제1삽입구(112)와 제1체결홈(115)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돌출부(164)가 축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고, 돌출부(164)의 축방향 가압으로 인해 실링부재(160)의 기밀부(162)가 중앙도관(10)의 외관에 더욱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누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측허브(120)는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내측허브(11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내측허브(11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허브(110)와 복수 개의 리브(130)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외측허브(120)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2체결부(122,124)가 구비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연결구조체(100a,100b)가 내측허브(110)에 구비된 제1체결부(112,114)와 더불어 2중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연결구조체(100a)에서 외측허브(120)의 내주면 상에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삽입구(122)가 마련되고, 제2연결구조체(100b)에서 외측허브(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삽입구(12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축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2고정부(124)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124)는 상기 제2삽입구(122)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2체결홈(125)이 형성되며, 외측허브(120)의 반경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구(122)는 상기 제2체결홈(125)으로의 슬라이딩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 단부에 경사부(123)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구조체(100a)와 제2연결구조체(100b)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한 후 제1연결구조체(100a) 및 제2연결구조체(100b) 중 어느 하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삽입구(122)가 상기 제2체결홈(125)에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서로 체결되며,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삽입구(112)가 제1체결홈(115)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삽입구(122)가 제1연결구조체(100a)의 외측허브(120)에 구비되고 제2고정부(124)가 제2연결구조체(100b)의 외측허브(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연결구조체의 외측허브에 제2고정부가 구비되고 제2연결구조체의 외측허브에 제2삽입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구조체의 외측허브 내주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2삽입구(122)는 외측허브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수용부(126)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여과조립체의 작동시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수용부(126)는 서로 이웃하는 리브(130)를 연결하는 외측허브(120)의 내주면 상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6) 중 일부에 상기 제2삽입구(122)가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26)의 나머지 부분은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연결구조체(100a)와 제2연결구조체(100b)의 체결시에는 상기 제2고정부(124)가 수용부(126)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삽입된 후 슬라이딩 이동되고,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제2삽입구(122)가 제2고정부(124)의 제2체결홈(125)으로 슬라이딩되어 맞물림으로써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고정부(124)와 제2삽입구(122)의 맞물림 과정에서 내측허브(110)에 서로 대응 형성된 제1고정부(114) 및 제1삽입구(112)의 맞물림 역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연결구조체와 제2연결구조체의 체결시 외측허브 부분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측허브의 접촉면 상에 별도의 오링부재(180)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하우징(30) 및 외측허브 간의 접촉부분에도 오링부재(190)를 구비할 수도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한편, 개별적인 여과모듈(20)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인접하는 연결구조체(100a,100b)와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연결구조체(100a,100b)는 체결시 과도한 삽입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고정부(114) 및 제2고정부(12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장부(170a,170b)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장부(170a,170b)는 외측허브(120)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제1연결구조체(100a)의 외측허브에는 테두리를 따라 환형의 제1연장부(170a)가 구비되며, 제2연결구조체(100b)의 외측허브 테두리에는 상기 제1연장부(170a)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장부(170a)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제2연장부(170b)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개별적인 여과모듈(20)의 체결을 위해 체결하고자 하는 여과모듈(20)을 삽입하면 단부에 배치된 제1연결구조체(100a)의 제1연장부(170a)가 제2연결구조체(100b)의 외측허브(120)의 일측 표면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삽입을 방해하여 고정부(114,124)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삽입구(112) 및 제2삽입구(122)가 제1고정부(114) 및 제2고정부(124)와 체결을 위한 정위치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삽입구(112) 및 제2삽입구(122)가 제1체결홈(115) 및 제2체결홈(125)에 각각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한 쌍의 연결구조체 간의 체결시 제1연장부(170a)가 제2연장부(170b)에 삽입되어 제1연장부(170a)의 외주면과 제2연장부(170b)의 내주면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중앙부에 배치된 중앙도관(10)의 단부와 인접배치된 중앙도관(10)의 단부가 별도의 정렬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모듈의 양 단부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를 갖는 한 쌍의 연결조립체를 장착하여 쉽고 빠르게 여과모듈을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허브와 내측허브에 각각 체결부를 구비하여 인접하는 여과모듈과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내측허브와 중앙도관 사이에 서로 맞물리는 내측허브에 의해 고정되는 실링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없이 중앙도관의 단부와 단부의 연결부분에서 유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설계변형 또는 수정을 통한 등가물, 교체물, 변형물 및 수정물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 : 여과조립체 10 : 중앙도관
20 : 여과모듈 30 : 하우징
40 : 멤브레인 100 :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
100a : 제1연결구조체 100b : 제2연결구조체
110 : 내측허브 112 : 제1삽입구
113 : 경사부 114 : 제1고정부
115 : 제1체결홈 116 : 안착홈
120 : 외측허브 122 : 제2삽입구
123 : 경사부 124 : 제2고정부
125 : 제2체결홈 126 : 수용부
130 : 리브 160 : 실링부재
162 : 기밀부 164 : 돌출부
170a : 제1연장부 170b : 제2연장부

Claims (10)

  1. 중앙도관에 멤브레인이 감기는 여과모듈에 있어서,
    상기 중앙도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내측허브;
    상기 내측허브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리브를 매개로 상기 내측허브와 연결되는 외측허브;
    상기 중앙도관의 외주면과 상기 내측허브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중앙도관의 연결부위를 밀봉하는 실링부재; 및
    인접 배치되는 여과모듈의 내측허브와 서로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내측허브 상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인접 배치되는 여과모듈의 외측허브와 서로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외측허브 상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중앙도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기밀부와 상기 기밀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돌출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상기 기밀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허브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회전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1체결홈을 갖추어 상기 내측허브에서 축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1고정부와 인접 배치되어 서로 맞물리는 내측허브 상에 상기 제1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체결되는 제1삽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구는 상기 제1체결홈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 단부에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는 회전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2체결홈을 갖추어 상기 외측허브에서 축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제2고정부와 인접 배치되어 서로 맞물리는 외측허브 상에 상기 제2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체결되는 제2삽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구는 상기 외측허브의 내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수용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구는 상기 제2체결홈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 단부에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는 상기 여과모듈의 양 단에 서로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모듈용 연결구조체.
KR1020110006452A 2011-01-21 2011-01-21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 KR101273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52A KR101273573B1 (ko) 2011-01-21 2011-01-21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52A KR101273573B1 (ko) 2011-01-21 2011-01-21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055A KR20120085055A (ko) 2012-07-31
KR101273573B1 true KR101273573B1 (ko) 2013-06-11

Family

ID=4671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452A KR101273573B1 (ko) 2011-01-21 2011-01-21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5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822A (ja) * 2003-03-13 2004-10-07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モジュール
KR100908992B1 (ko) * 2001-08-01 2009-07-22 필름텍 코포레이션 분리 멤브레인 단부 캡
KR100928760B1 (ko) 2004-01-09 2009-11-25 코크 멤브레인 시스템스, 인크. 여과부재 및 여과조립체의 조립방법
KR100985424B1 (ko) 2006-04-24 2010-10-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막 엘리먼트용 시일재 유지 부재 및 막 엘리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992B1 (ko) * 2001-08-01 2009-07-22 필름텍 코포레이션 분리 멤브레인 단부 캡
JP2004275822A (ja) * 2003-03-13 2004-10-07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モジュール
KR100928760B1 (ko) 2004-01-09 2009-11-25 코크 멤브레인 시스템스, 인크. 여과부재 및 여과조립체의 조립방법
KR100985424B1 (ko) 2006-04-24 2010-10-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막 엘리먼트용 시일재 유지 부재 및 막 엘리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055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9409B2 (ja) 2つの硬質物体を接続するための装置
TW201505698A (zh) 過濾器濾匣
CA2552074A1 (en) Filtration element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filtration assembly
JP2011161323A5 (ko)
JP2013519054A (ja) 接続ニップルにプラスチック管を接続する装置
JP6317093B2 (ja) ドレンホース接続構造
JP2017044340A (ja) パイプの高速連結構造
KR101273573B1 (ko) 여과모듈용 연결조립체
KR20110035042A (ko)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KR20170056944A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US8714197B2 (en) Valve for water fauc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428891B2 (en) Valve body of a water faucet
RU2017113724A (ru) Сектор для сборки ступени турбины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TW201739650A (zh) 用於液壓制動系統的連接器
KR20190001443U (ko) 수도배관용 플러그
JP2016200159A (ja) 管継手
US8366931B2 (en) Filtering unit
KR101094800B1 (ko) 드레인 밸브
JP5832349B2 (ja) 管継手
US11583791B2 (en) Filter element for a vehicle
CN108603617A (zh) 阀安排以及用于阀安排的隔膜组件
CN210034700U (zh) 管道连接结构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US20150176737A1 (en) Block ring for a tube assembly for a reverse osmosis filter cartridge and a tube assembly with the same
EP2505244B1 (en) Filter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