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141B1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141B1
KR101273141B1 KR1020110133118A KR20110133118A KR101273141B1 KR 101273141 B1 KR101273141 B1 KR 101273141B1 KR 1020110133118 A KR1020110133118 A KR 1020110133118A KR 20110133118 A KR20110133118 A KR 20110133118A KR 101273141 B1 KR101273141 B1 KR 101273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driving
battery energ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채모
김충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4Energy consumption esti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상 주행 모드와, 상기 정상 주행 모드로 차량을 주행하는 도중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대피 모드와, 상기 대피 모드로 차량을 주행한 후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제2설정치 이하인 경우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주행 정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 모드는, 소정거리 이상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잔존 배터리 에너지의 출력을 제한하고, 출력 제한은 상기 주행 정지 모드시까지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배터리 에너지 및 기타 차량의 주행과 무관하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복수개의 설정 항목이 고려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갑작스러운 주행 중 정지에 따른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Control method charging and discharging to Battery for Electric-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중 배터리 에너지 레벨이 설정치 이하로 고갈될 때, 안전지대까지의 소정거리 이상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잔존 배터리 에너지의 출력을 제한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기존의 발전방식과 비교할 때, 발전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발전에 따른 공해물질의 배출이 전혀 없어 미래의 발전기술로 평가되는 연료전지(Fuel cell)(이하, '배터리'라 칭함)가 탑재된다.
그러나, 전기자동차는 주행 가능거리를 쉽게 가늠할 수 없어 운행 중 배터리가 완전히 고갈될 경우를 대비하여 배터리 에너지가 어느 정도 잔존함에도 불구하고 차량 주행이 갑작스럽게 정지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차량 주행의 갑작스러운 정지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 주행환경에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바, 전기자동차에 대한 고객 불안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일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고전압 배터리는 작동 제한치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예를 들면,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만충된 경우와 비교하여 5% 이하가 될 때까지 소모될 경우), 내구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in relay를 오프(OFF)시켜서 배터리를 보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종래, 전기자동차의 주행 중 배터리가 어느 정도 고갈되면, 음성 경고나 클러스터 경고 등을 통하여 고객이 차량을 충전하도록 경고하지만, 이 경우, 운전자가 계속하여 주행을 하여 배터리 작동 제한치에 도달하게 되면 차량의 시동이 갑자기 오프(OFF)되면서 정지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고속 주행 중 시동이 오프(OFF)되면,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이 자동으로 잠김되어 주행 중 사고발생 우려가 있다.
삭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1783호(2011.04.22.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행 중 배터리 에너지 레벨이 설정치 이하로 고갈될 때, 안전지대까지의 소정거리 이상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잔존 배터리 에너지의 출력을 제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정상 주행 모드와, 상기 정상 주행 모드로 차량을 주행하는 도중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대피 모드와, 상기 대피 모드로 차량을 주행한 후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제2설정치 이하인 경우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주행 정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 모드는, 소정거리 이상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잔존 배터리 에너지의 출력을 제한하고, 출력 제한은 상기 주행 정지 모드시까지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배터리 에너지 및 기타 차량의 주행과 무관하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복수개의 설정 항목이 고려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잔존 배터리 에너지의 제1설정치는, 5%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존 배터리 에너지의 제2설정치는, 2.5%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대피 모드시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차량 탑승 승객을 포함한 차량 탑재 중량에 따른 상기 배터리 에너지의 소모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 모드시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상기 소정거리만큼의 이동시 예상되는 노면의 구배에 따른 상기 배터리 에너지의 소모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 모드시 기타 차량의 주행과 무관하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상기 배터리의 내구를 고려한 상기 배터리 에너지의 소모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 모드시 기타 차량의 주행과 무관하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차량 내 설치된 공조시스템에 따른 배터리 에너지의 소모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 모드는, 상기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상기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공조시스템에 소모되는 전력 공급을 제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 모드시 기타 차량의 주행과 무관하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차량의 주행 정지 모드시 스티어링 핸들의 자동 잠금을 위하여 소모되는 필요 배터리 잔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 모드는, 적어도 상기 소정거리 만큼 차량이 주행한 후 차량의 주행이 정지될 때까지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자동 잠금을 위하여 소모되는 필요 배터리 잔량을 확보하도록 주행시의 배터리 에너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 모드는,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상기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될 때까지 50kW로 충전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배터리의 방전은 상기 주행 정지 모드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정지되는 상기 제2설정치까지 10kW로 방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 모드는,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상기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스티어링 핸들의 잠금에 관여하는 저전압 전장부하 에너지를 1.7kW로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 모드는,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상기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공조시스템에 의하여 소모되는 배터리 에너지를 차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량의 갑작스러운 정지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주행 중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의 상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배터리 에너지 레벨(State Of Charge, 이하, "SOC"라 약칭함)이 작동 제한치까지 고갈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지한 후 적어도 안전지대에 해당하는 소정거리만큼 차량이 저속주행 가능하도록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내용을 골자로 한다.
여기서, 작동 제한치라 함은 초기 설정에 의하겠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제1설정치인 경우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안전지대라 함은 주행 중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로부터 벗어나 배터리의 충전 또는 기초 정비를 할 수 있는 미설정된 공간을 말한다. 위와 같이 기본적인 배터리의 충전 또는 기초 정비를 위해서는 현재 주행 중인 위치에서 적어도 2km 이격된 장소를 지칭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도로에서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도록 배터리 에너지를 출력하는 정상 주행 모드와, 정상 주행 모드로 차량을 주행하는 도중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대피 모드와, 대피 모드로 차량을 주행한 후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제2설정치 이하인 경우 차량의 엔진을 시동 오프시키는 시동 정지 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설정치에 해당하는 잔존 배터리 에너지(SOC)는, 상술한 작동 제한치와 같은 개념이다. 기본적으로 작동 제한치는 전체 배터리 에너지 레벨이 100%를 만충된 경우라고 할 경우, 5%의 잔존 배터리 에너지를 말한다.
또한, 대피 모드는, 소정거리 이상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잔존 배터리 에너지의 출력을 제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핵심적인 기술이다.
출력 제한은, 시동 정지 모드시까지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배터리 에너지 및 기타 차량의 주행과는 무관하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복수개의 설정 항목이 고려되어진다.
구체적으로, 대피 모드시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차량 탑승 승객을 포함한 차량에 탑재된 중량에 따른 배터리 에너지의 소모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피 모드시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소정거리만큼의 이동시 예상되는 노면의 구배에 따른 배터리 에너지의 소모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주행과는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지 않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의 내구를 고려한 배터리 에너지 소모율과, 차량 내 설치된 공조시스템의 가동에 따른 배터리 에너지의 소모율을 포함하는 것이 그것이다.
아울러, 차량의 주행과는 무관한 설정 항목의 예로써, 차량의 시동 오프(OFF)시 스티어링 핸들의 자동 잠금을 위하여 소모되는 필요 배터리 잔량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에, 대피 모드는, 적어도 소정거리만큼 차량이 주행한 후 차량의 엔진 시동이 오프(OFF)될 때까지 스티어링 핸들의 자동 잠금을 위하여 소모되는 필요 배터리 잔량을 확보하도록 주행시의 배터리 에너지 출력을 제어될 수 있다.
아래 표 1 내지 4를 참조하여 위 각 설정 항목에 따른 배터리 에너지 출력 제어 모습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표 1은 배터리 에너지 레벨(SOC)에 따른 배터리 충전 룩업 테이블이고, 표 2는 배터리 에너지 레벨(SOC)에 따른 배터리 방전 룩업 테이블이며, 표 3은 공조시스템에 의하여 소모되는 배터리 에너지 레벨(SOC)에 따른 방전 룩업 테이블이고, 표 4는 저전압 전장부하 에너지에 의하여 소모되는 배터리 에너지 레벨에 따른 방전 룩업 테이블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정상 주행 모드시(SOC 100∼5 구간)에는 배터리 에너지가 제1설정치까지는 50kW로 방전되다가, 대피 모드에 진입하면 배터리 에너지가 제2설정치까지 10kW로 방전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표 2를 참조하면, 대피 모드에 진입한 경우 배터리 에너지가 차량의 주행이 정지될 때까지 50kW로 충전되도록 설정되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될 때까지는 추후 충전을 위하여 적어도 50kW로 충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표 3을 참조하면, 대피 모드에 진입한 경우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공조시스템에 의하여 소모되는 배터리 에너지를 차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표 4를 참조하면, 대피 모드에 진입한 경우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상기 제1설정치 이하부터 상기 제2설정치까지 스티어링 핸들의 잠금에 관여하는 저전압 전장부하 에너지를 1.7kW로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에너지(%) 90 80 10 5 4 3 2.5
출력(kW) 50 50 50 10 10 10 0
에너지(%) 90 80 10 5 4 3 2.5
출력(kW) 50 50 50 50 50 50 50
에너지(%) 90 80 10 5 4 3 2.5
출력(kW) 10 10 10 0 0 0 0
에너지(%) 90 80 10 5 4 3 2.5
출력(kW) 1.7 1.7 1.7 1.7 1.7 1.7 1.7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경우, 실질적으로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배터리 에너지 및 기타 차량의 주행과는 무관하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복수개의 설정 항목을 모두 고려하여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 충전 작업이 없더라도 적어도 안전지대까지의 주행 가능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차량의 주행 정지 및 이에 의한 스티어링 핸들의 갑작스러운 잠김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정지에 따른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배터리 용량을 증대하지 않더라도 추가 주행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제어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상 주행 단계 후, 배터리 에너지 레벨(SOC)가 5% 이하로 고갈되면, 대피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대피 모드는, 그 일례로 고전압 배터리의 방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50kW로 방전되던 것을 10kW로 낮추고, 다른 예로 고정압 배터리 충전을 지속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계속하여 50kW로 충전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공조시스템의 사용에 의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조시스템의 냉난방 에너지를 차단시키고, 저전압 배터리 전장부하의 출력 유지를 위해서 1.7kW로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배터리 에너지 레벨(SOC)가 2.5% 이하일 경우에는 고전압 배터리의 Main relay를 오프(OFF)시킨 다음, 마지막으로 차량의 주행 정지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특히,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S10: 정상 주행 모드 S20: 대피 모드
S30: 주행 정지 모드

Claims (13)

  1. 정상 주행 모드와;
    상기 정상 주행 모드로 차량을 주행하는 도중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대피 모드와;
    상기 대피 모드로 차량을 주행한 후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제2설정치 이하인 경우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주행 정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 모드는,
    소정거리 이상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잔존 배터리 에너지의 출력을 제한하고, 출력 제한은 상기 주행 정지 모드시까지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배터리 에너지 및 기타 차량의 주행과 무관하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복수개의 설정 항목이 고려되며,
    상기 제1설정치는 5%이고, 제2설정치는 2.5%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 모드시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차량 탑승 승객을 포함한 차량 탑재 중량에 따른 상기 배터리 에너지의 소모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 모드시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상기 소정거리만큼의 이동시 예상되는 노면의 구배에 따른 상기 배터리 에너지의 소모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 모드시 기타 차량의 주행과 무관하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상기 배터리의 내구를 고려한 상기 배터리 에너지의 소모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 모드시 기타 차량의 주행과 무관하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차량 내 설치된 공조시스템에 따른 배터리 에너지의 소모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대피 모드는, 상기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상기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공조시스템에 소모되는 전력 공급을 제한하는 전기자동차의 충방전 제어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 모드시 기타 차량의 주행과 무관하지만 잔존 배터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는 설정 항목은,
    차량의 주행 정지 모드시 스티어링 핸들의 자동 잠금을 위하여 소모되는 필요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대피 모드는, 적어도 상기 소정거리 만큼 차량이 주행한 후 차량의 주행이 정지될 때까지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자동 잠금을 위하여 소모되는 필요 배터리 잔량을 확보하도록 주행시의 배터리 에너지 출력을 제어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 모드는,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상기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될 때까지 50kW로 충전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배터리의 방전은 상기 주행 정지 모드에 의한 차량의 주행이 정지되는 상기 제2설정치까지 10kW로 방전되도록 설정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 모드는,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상기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스티어링 핸들의 잠금에 관여하는 저전압 전장부하 에너지를 1.7kW로 출력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 모드는, 잔존 배터리 에너지가 상기 제1설정치 이하인 경우,
    공조시스템에 의하여 소모되는 배터리 에너지를 차단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KR1020110133118A 2011-12-12 2011-12-12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KR101273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118A KR101273141B1 (ko) 2011-12-12 2011-12-12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118A KR101273141B1 (ko) 2011-12-12 2011-12-12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141B1 true KR101273141B1 (ko) 2013-06-17

Family

ID=4886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118A KR101273141B1 (ko) 2011-12-12 2011-12-12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1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194A (ko) * 1997-10-09 1999-05-06 홍종만 차량용 배터리의 자동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41783A (ko) * 2009-10-16 2011-04-22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033880B1 (ko) 2009-06-26 2011-05-11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방법
KR20110070381A (ko) * 2009-12-18 2011-06-2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베터리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194A (ko) * 1997-10-09 1999-05-06 홍종만 차량용 배터리의 자동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033880B1 (ko) 2009-06-26 2011-05-11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방법
KR20110041783A (ko) * 2009-10-16 2011-04-22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10070381A (ko) * 2009-12-18 2011-06-2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베터리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9289B2 (en) Energy reservation coordination for hybrid vehicle
KR101262973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비상주행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644322B2 (ja) 電動車両の不適切バッテリ交換時対策装置
US20210221250A1 (en) Electric vehicle power management system
US9254751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5510116B2 (ja) ハイブリッド車の回生制御装置
CN102398530B (zh) 车辆推进系统和管理车辆推进系统的方法
CA2532410A1 (en) Vehicle charging,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for electric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CN107433856B (zh) 纯电动汽车能量管理方法及系统
JP5966962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14147197A (ja) バッテリ制御装置
JP2014027864A (ja) 電気自動車の低電圧直流交換器アクティブ制御システム
Kamachi et al. Development of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i-MiEV”
KR10086779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dc/dc 컨버터 운전 제어 방법
CN102267453A (zh) 一种增程式电动车的能量管理方法
KR20080053552A (ko)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량 제어 방법
JP2013116703A (ja) 車両用電力管理システム、車両用電力情報管理装置、及び車両用電気負荷
JP2011255824A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2011091899A (ja) 電動車両
CN109937153B (zh) 电动车辆控制器
CN102887122B (zh) 一种混合动力汽车高压附件能量管理方法
EP3160809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state of charge of a plug-in hybrid vehicle
CN106347358A (zh) 一种用于电动车辆的动力源及动力源切换控制方法
JP2012116411A (ja) バッテリ充放電制御装置
CN101947922A (zh) 多动力源汽车电动推进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