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870B1 - 멀티 지오백 모듈 - Google Patents
멀티 지오백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2870B1 KR101272870B1 KR1020120044641A KR20120044641A KR101272870B1 KR 101272870 B1 KR101272870 B1 KR 101272870B1 KR 1020120044641 A KR1020120044641 A KR 1020120044641A KR 20120044641 A KR20120044641 A KR 20120044641A KR 101272870 B1 KR101272870 B1 KR 101272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module
- support frame
- geoback
- temporary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6—Temporary dykes
- E02B3/108—Temporary dykes with a filling, e.g. filled by water or s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토목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지오백 모듈은 바닥부와 사방측면으로 이루어져 상단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대상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일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들로 구분하며 상기 본체부 공간부에 담기는 대상물이 상기 구역들로 서로 이동가능도록 형성되는 격벽부 및 상기 구역의 사방측면중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주하는 양측면에 각각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측면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지오백 모듈은 바닥부와 사방측면으로 이루어져 상단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대상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일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들로 구분하며 상기 본체부 공간부에 담기는 대상물이 상기 구역들로 서로 이동가능도록 형성되는 격벽부 및 상기 구역의 사방측면중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주하는 양측면에 각각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측면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토목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백에 관한 것이다.
연안침식방지, 침식호안복구, 공사용 가설제방 등을 위해서 내부에 모래를 충진 하여 구조물로 사용하는 긴 튜브(Tube) 형태의 백(Bag)이 사용되고 있으나, 충진재료로 모래만이 가능한데 이는 펌핑에 의해서 충진해야 하며, 점토의 경우 물이 빠지지 않아 토목구조물로서 작용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현장에 있는 잡석, 실트질 모래 등의 현장 유용토를 사용하는 튜브도 개발되었으나 원하는 형상대로 구조물을 만들기가 힘들고 시공을 하기 위한 가설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에 내부에 칸막이 벽을 설치하는 백도 소개되었으나 수십미터에서 수백미터에 이르는 매우 긴 길이의 백에 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매 칸마다 일정한 양의 충진재를 넣기란 쉽지 않은 일이며 이러한 경우 시공 기간 및 비용의 증가를 불러온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백은 통상 수십미터에서 수백미터에 이르는 긴 길이의 현장에 시공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 또는 내부 압력에 의해 일부 구간이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된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의 백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수가 쉽지 않으며 일부 구간이 파손되면 순차적으로 주변이 파손되기 시작하여 전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토목 현장에서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며 모든 백들이 연결되어 일체형 구조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뛰어난 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토목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충진재를 내부에 채워넣기가 용이하며 소정의 외력 또는 내부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백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추가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상된 구간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지오백 모듈은 바닥부와 사방측면으로 이루어져 상단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대상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일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들로 구분하며 상기 본체부 공간부에 담기는 대상물이 상기 구역들로 서로 이동가능도록 형성되는 격벽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일단이 본체부의 상단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부의 상단부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상물이 담기는 동안 본체부의 상단을 지지하며 본체부에 대상물이 모두 담긴 후에 본체부에서 분리되는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과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단이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본체부의 측면부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상물이 담기는 동안 본체부의 측면을 지지하며 본체부에 대상물이 모두 담긴 후에 본체부에서 분리되는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임시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구역들의 경계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벽 및 상기 날개벽에 부착되는 와이어메쉬(Wire Mesh) 또는 지오그리드(Geogri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날개벽에는 에폭시 수지가 도포된 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메쉬 또는 지오그리드는 상기 날개벽과 상기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하는 고정구에 의해 묶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지지프레임부는, 상기 구분된 구역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은 상기 구역의 개방된 상단 테두리부 중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홀더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테두리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단 지지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은 상기 구역의 측면 네모서리 중 하단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삽입구에 상기 측면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구비되는 바가 일단은 상기 삽입구에 삽입 고정되며 타단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에 걸려 고정되는 측면지지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임시 지지프레임부가 설치되지 않은 측면들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착탈 가능한 측면들은 상기 착탈 가능한 측면들이 형성되는 상기 본체부 바닥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측면 날개벽 및 상기 측면 날개벽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테두리부에는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며 상기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들과 맞물리는 통공들이 형성된 측면벽 및 상기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측면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측면 날개벽과 측면벽을 결합시키는 고정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 지오백 모듈의 상기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은 다른 멀티 지오백 모듈의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과 상호 맞물리게 형성되며 상기 멀티 지오백 모듈들은 상기 맞물린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멀티 지오백 모듈들을 결합시키는 결합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멀티 지오백 모듈 사이에는 와이어메쉬(Wire Mesh) 또는 지오그리드(Geogri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벽의 에폭시 수지가 도포되는 테두리부에는 긴 판형태의 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지오백 모듈 또는 상호 결합된 멀티지오백 모듈의 바닥부 및 사방 측면은 지오텍스타일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일단이 본체부의 상단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부의 상단부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상물이 담기는 동안 본체부의 상단을 지지하며 본체부에 대상물이 모두 담긴 후에 본체부에서 분리되는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과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단이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본체부의 측면부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상물이 담기는 동안 본체부의 측면을 지지하며 본체부에 대상물이 모두 담긴 후에 본체부에서 분리되는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임시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구역들의 경계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벽 및 상기 날개벽에 부착되는 와이어메쉬(Wire Mesh) 또는 지오그리드(Geogri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날개벽에는 에폭시 수지가 도포된 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메쉬 또는 지오그리드는 상기 날개벽과 상기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하는 고정구에 의해 묶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지지프레임부는, 상기 구분된 구역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은 상기 구역의 개방된 상단 테두리부 중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홀더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테두리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단 지지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은 상기 구역의 측면 네모서리 중 하단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삽입구에 상기 측면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구비되는 바가 일단은 상기 삽입구에 삽입 고정되며 타단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에 걸려 고정되는 측면지지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임시 지지프레임부가 설치되지 않은 측면들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착탈 가능한 측면들은 상기 착탈 가능한 측면들이 형성되는 상기 본체부 바닥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측면 날개벽 및 상기 측면 날개벽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테두리부에는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며 상기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들과 맞물리는 통공들이 형성된 측면벽 및 상기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측면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측면 날개벽과 측면벽을 결합시키는 고정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 지오백 모듈의 상기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은 다른 멀티 지오백 모듈의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과 상호 맞물리게 형성되며 상기 멀티 지오백 모듈들은 상기 맞물린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멀티 지오백 모듈들을 결합시키는 결합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멀티 지오백 모듈 사이에는 와이어메쉬(Wire Mesh) 또는 지오그리드(Geogri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벽의 에폭시 수지가 도포되는 테두리부에는 긴 판형태의 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지오백 모듈 또는 상호 결합된 멀티지오백 모듈의 바닥부 및 사방 측면은 지오텍스타일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백은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뛰어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백은 외측에 임시로 설치하였다가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임시 지지 프레임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내부에 충진재를 채워넣을 때 용이하게 충진재를 채워 넣을 수 있으며 충진시 백이 소정의 외력 또는 내부 압력에 견딜 수 있어 파손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백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추가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상된 구간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공사현장의 길이, 모양 등에 맞추어 시공할 수 있는 이점 또한 있다.
도 1은 기존 지오튜브(Geotube)의 시공 후 일부분이 파손된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오백 모듈의 사시도
도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백 모듈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도 8 및 도 9는 도 3내지 도 7에 따라 결합된 지오백 모듈에 임시 지지프레임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지오백 모듈이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오백 모듈의 사시도
도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백 모듈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도 8 및 도 9는 도 3내지 도 7에 따라 결합된 지오백 모듈에 임시 지지프레임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지오백 모듈이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표현이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장착된", "설치된", "접속된", "연결된", "지지된", "결합된" 등의 표현은,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시하거나 한정하고 있는 않는 한, 직접적인 그리고 간접적인 장착, 설치, 접속, 연결, 지지, 및 결합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속된", "연결된", "결합된"이라고 하는 표현은,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접속, 연결 또는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하향, 상향, 후방, 바닥, 전방, 후부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편의를 위해 도면에 대해 상대적인 방향(정상적으로 봤을 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어떠한 형태로든 본 발명을 그 문자대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지오백 모듈(이하 모듈)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 후 이와 같은 모듈(100)을 제작하는 방법 및 모듈(100)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은 크게 형태를 형성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바디는 상단은 개방된 육면체로 내부에는 내용물이 담길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바디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는 다시 본체부와 격벽부로 나누어지는데 상기 본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와 사방측면으로 이루어져 상단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는 날개벽과 격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 공간부를 구분한다.
상기 본체부와 격벽부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별도로 제작하여 준 후 각각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줄 수 도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은 도 3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면체(200)로 상기 구성요소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본체부틀(203)을 형성하여 준 후 나머지 구성요소를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맞게 선택한 후 상기 본체부틀(203)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준다.
즉 하나의 면체(200)를 접거나 접착하여 바닥부(201), 양측면(220) 및 날개벽(240)을 형성하는 본체부틀(203)을 형성하여 준 후 상기 본체부틀(203)에 사방측면중 나머지 양측면(310)과 격벽(300)을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주었다.
상기 본체부틀(203)을 형성하는 면체(2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면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면체(200)는 토목용 섬유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토목용 섬유로는 지오텍스타일, 지오그리드, 지오멤브레인, 지오웹, 지오네트, 지오매트, 지오셀, 지오컴포지트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체(200)는 폴리에스터(PET)나 폴리프로필렌(PP)의 고분자 합성섬유 재질인 지오텍스타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면체(200)에는 여러 접힘선들이 형성된다.
상기 다양한 선들은 상기 면체(200)의 여러 부분을 접거나 제단하여 상기 모듈(100)의 양측면(220) 및 날개벽(240)을 형성하기 위한 선으로 상기 면체(200)에 다양한 형태로 구비하여 줄 수 있다.
상기 접힘선들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며, 먼저 상기 면체(200)의 외측부(220)에는 상기 외측부(220)를 내측방향으로 접어 상기 모듈(100)의 양측면(220)을 형성하기 위한 두개의 측면 접힘선(212)이 Y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면체(200)에는 상기 Y방향에 직교하는 X방향으로 날개벽(240)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중심 접힘선(224)들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 접힘선(2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주 중심 접힘선(224) 및 상기 주 중심 접힘선(224)을 따라 양측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보조 중심 접힘선(222, 22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면체(200)에는 상기 측면 접힘선(212)과 중심접힘선(224)이 교차하는 부분에 일정 면적이 절개된 절개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230)는 상기 날개벽(240)이 접혀질 때 연결부분이 있을 경우 상기 날개벽(240)이 잘 접혀지지 않을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날개벽(240)은 상기 양 측면접힘선(212)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형성되는 내측 날개벽(246)과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외측 날개벽(240)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는데 도 5와 같이 상기 외측부(220)가 내측으로 접힐 때 상기 내측 날개벽(246)과 외측 날개벽(240)이 서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연결되는 부분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꺾이기 때문에 연결되는 부분이 일그러지며 두께가 두꺼워 지거나 잘 접히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개부(230)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내측 날개벽(246)과 외측 날개벽(240)을 서로 분리시켜 접히는 부분이 서로 자연스럽게 접히게 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접힘선(212)과 측면 접힘선(224)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마름모꼴 형상으로 절개된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절개부(230)의 절개 형상은 상기 모듈(100)의 형상 또는 상기 외측부(220)가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230)의 절개되는 테두리부에는 절개전 에폭시 수지가 미리 도포된다.
이는 상기 면체(200)가 토목 섬유 재질로 만들어진 직물이기 때문에 절개시 올이 풀릴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에폭시 수지를 도포한 후 경화된 다음 절개하게 되면 직물의 섬유들이 에폭시에 의해 서로 단단히 결속되기 때문에 올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에폭시 수지를 절개전 미리 도포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절개 후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면체(200)를 이용하여 본체부틀(203)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직물로 이루어지는 사각의 면체(200)를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면체(200)에 X방향을 따라 좌, 우 양측에 측면 접힘선(212)들 및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타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중심 접힘선(22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심 접힘선(224)을 중심으로 상기 중심 접힘선(224) 양측 소정의 면적을 상기 일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접어 날개벽(24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면체(200)는 토목 섬유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은 후 접은 형상이 잘 유지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중심 접힘선(224) 양측 소정의 면적을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겹친 후 임시 고정하여 준 후 상기 임시 고정된 날개벽(240)을 제봉하여 고정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벽(240)의 상기 측면 접힘선(212)들과 중심 접힘선(224)이 교차하는 부분을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여 절개하여 절개부(230)를 형성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측면 접힘선(212)들과 중심 접힘선(224)이 교차하는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여 절개하여 절개부(230)를 먼저 형성하여 줄 수도 있다.
상기 면체(200)에 날개벽(200)이 형성되면 도 5와 같이 양측부(220)를 접어 바닥부(201), 사방측면중 양측면(220) 및 날개벽(240)을 형성하는 본체부틀(203)을 형성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내측 날개벽(246)과 외측 날개벽(240))이 접하는 부분은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주며 향후 격벽과의 결합을 위해 하나 이상의 통공(313)을 형성하여 준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틀(203)에 결합되는 상기 사방측면중 나머지 양측면인 탈부착측면(310)과 격벽(30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탈부착측면(310)과 상기 격벽(300)은 상기 본체부틀(203)의 날개벽(240)들에 부착되어 측면 및 격벽을 형성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틀(203)에 상기 Y방향을 따라 세 개의 날개벽(240)이 형성되면 상기 탈부착측면(310)은 상기 세 개의 날개벽(240)중 양끝에 부착되어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격벽(300)은 가운데 부착되어 격벽을 형성하여 준다.
상기 탈부착측면(310)은 상기 본체부틀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도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에서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틀(203)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주었다.
이는 향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들을 상호 결합시켜 주기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탈부착측면(310)은 상기 본체부틀에서 양 외측부분에 형성되는 날개벽(240)에 부착되어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모듈(100)의 형태를 잡아 준다.
상기 탈부착측면(310)은 상기 면체(200)와 같은 토목 섬유로 이루어지며 테두리부에는 단단한 재질의 가이드(314)가 에폭시 수지를 통해 부착된 후 상기 날개벽(240)에 형성된 통공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통공(3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부착측면(310)과 날개벽(240)은 각각에 형성된 통공(314, 313)을 리벳 또는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측면(310)에 단단한 재질의 가이드(314)가 에폭시수지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탈부착측면(310)과 날개벽(240)은 견고히 고정되며 모듈(100)의 전체 형상을 더욱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음으로 상기 격벽(3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에서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와이어매쉬(Wire Mash) 또는 지오그리드(Geogrid)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는 상기 모듈(100)에 담기는 내용물이 비록 격벽(300)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격벽(300)을 통과하여 구분된 공간들로 대상물들이 서로 이동가능하게하기 위함이다.
즉, 모듈에 격벽이 형성되지 않으며 모듈의 형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격벽을 형성하더라도 격벽을 통해 대상물이 서로 이동가능하게 되지 않으면 매우 긴 형태로 구비되는 모듈에 대상물을 일정하게 넣기 쉽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부 공간에 너무 많은 대상물이 들어갈 경우 모듈이 이를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은 이와 같이 대상물이 통과 가능한 격벽(300)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모듈(100)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모듈(100) 전체에 걸쳐 쉽게 대상물을 채울 수 있으며 한 부분에 너무 많은 대상물이 넣어질 경우 부족한 부분으로 대상물이 자연스럽게 옮겨져 모듈(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격벽(300)은 다양한 형태로 상기 날개벽(240)에 결합가능한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에서는 상기 날개벽(240)에 형성된 통공(315)에 상기 격벽(300)이 유연하면서도 단단한 플라스틱 끈과 같은 패스너(315)에 의해 묶여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격벽(300)을 상기 날개벽(240)에 쉽게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이기 때문에 설치비용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은 도 8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1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과 상단 개방부를 지지하는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으로 나뉜다.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408)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일단이 본체부의 상단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부의 상단부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상물이 담기는 동안 본체부의 상단을 지지하며 본체부에 대상물이 모두 담긴 후에 본체부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406)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단이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본체부의 측면부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상물이 담기는 동안 본체부의 측면을 지지하며 본체부에 대상물이 모두 담긴 후에 본체부에서 분리된다.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408)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일단이 본체부의 상단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부의 상단부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상물이 담기는 동안 본체부의 상단을 지지하며 본체부에 대상물이 모두 담긴 후에 본체부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406)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단이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본체부의 측면부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상물이 담기는 동안 본체부의 측면을 지지하며 본체부에 대상물이 모두 담긴 후에 본체부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 및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의 구성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은 상기 격벽(300)으로 인해 구분되는 모듈(100) 구역의 개방된 상단 테두리부 중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홀더(410) 및 상기 홀더(41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테두리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단 지지바(408)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410)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역의 상단 테두리의 양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날개벽(246) 또는 탈부착측면(310)의 통공에 구비된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단 지지바(408)는 상기 홀더(41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테두리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을 가지는 지지바이다.
상기 모듈(100)의 개방된 상단부에는 개방된 상단부 테두리를 모두 감싸는 프레임이 구비될 수 도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에 구비되는 프레임은 임시로 구비되며 시공 후 제거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한방향으로만 설치되는 바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100)의 사방측면중 상기 본체부틀(203)에 형성되는 양측면(220)에 각각 구비된다.
이는 상기 탈부착측면(310)에는 가이드부(314) 및 가이드부를 부착하기 위한 에폭시 도포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정도의 지지는 자체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에는 각각의 구역들 외측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가로지르는 탄성 바(X-bracing Bar)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은 상기 모듈(100)에 대상물이 담길 때 상기 모듈(100)을 임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각각의 구역에 구비되는 탄성 바(X-bracing Bar) 형태로 구비하여 주면 비교적 크기가 작고 가벼운 형태로 구성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구역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모듈(100)에 대상물을 담을 때 대상물로 인해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외측면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에서는 상기 구역의 측면 네모서리 중 하단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삽입구(400) 및 상기 측면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 지르는 형태로 구비되는 바로 일단은 상기 삽입구(400)에 삽입 고정되며 타단에는 고리(407)가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408)에 걸려 고정되는 측면지지바(406)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400)는 상기 삽입구(400)를 상기 구역의 측면 네모서리 중 하단 모서리부에 고정하기 위한 삽입구 고정구(40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측면 지지바(406)의 일단은 상기 삽입구(400)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타단에는 원형의 고리(407)가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바(408)에 걸려 고정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의 지지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많이 필요하지 않으며 각각의 지지프레임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며 또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지지바(406)는 탄성을 가지며 길이는 상기 측면의 대각선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모듈(100)에 대상물이 담겼을 경우 어느 정도 상기 대상물의 내부압력으로 인해 늘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은 별도의 구성요소들을 부착하기 힘든 토목 섬유를 사용하지만 쉽게 지지 프레임을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상호 연결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은 단독 형태로 사용될 수 있지만 매우 큰 공사현장이 주를 이루는 토목현장 특성상 다수의 모듈(100)이 서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은 특별한 연결장치 없이 서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모듈(100)들이 있으며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탈부착 측면(310)들 대신 격벽(300)을 구비하여 주고 각각의 모듈(100)에 구비된 통공을 서로 리벳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줌으로써 간단히 모듈(100)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100)은 공사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모듈(100)들을 서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된 백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에는 파손된 부분만 교체하여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모듈 220: 양측벽 240: 날개벽
300: 격벽 310: 탈부착측면 406, 407: 지지바
300: 격벽 310: 탈부착측면 406, 407: 지지바
Claims (11)
- 바닥부와 사방측면으로 이루어져 상단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대상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부(220);
상기 본체부를 일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들로 구분하며 상기 본체부 공간부에 담기는 대상물이 상기 구역들로 서로 이동가능도록 형성되는 격벽부(300);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일단이 본체부의 상단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본체부의 상단부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상물이 담기는 동안 본체부의 상단을 지지하며 본체부에 대상물이 모두 담긴 후에 본체부에서 분리되는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408)과;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단이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본체부의 측면부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상물이 담기는 동안 본체부의 측면을 지지하며 본체부에 대상물이 모두 담긴 후에 본체부에서 분리되는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406)으로 구성되는 임시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구역들의 경계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벽 및 상기 날개벽에 부착되는 와이어메쉬(Wire Mesh) 또는 지오그리드(Geogr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벽에는 에폭시 수지가 도포된 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메쉬 또는 지오그리드는 상기 날개벽과 상기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하는 고정구에 의해 묶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지지프레임부는,
상기 구분된 구역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은 상기 구역의 개방된 상단 테두리부 중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홀더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테두리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단 지지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임시 지지프레임은 상기 구역의 측면 네모서리 중 하단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삽입구에 상기 측면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구비되는 바가 일단은 상기 삽입구에 삽입 고정되며 타단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상단 임시 지지프레임에 걸려 고정되는 측면지지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임시 지지프레임부가 설치되지 않은 측면들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가능한 측면들은 상기 착탈 가능한 측면들이 형성되는 상기 본체부 바닥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측면 날개벽 및 상기 측면 날개벽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테두리부에는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며 상기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들과 맞물리는 통공들이 형성된 측면벽 및 상기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측면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측면 날개벽과 측면벽을 결합시키는 고정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지오백 모듈의 상기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은 다른 멀티 지오백 모듈의 측면 날개벽에 형성된 통공과 상호 맞물리게 형성되며 상기 멀티 지오백 모듈들은 상기 맞물린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멀티 지오백 모듈들을 결합시키는 결합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멀티 지오백 모듈 사이에는 와이어메쉬(Wire Mesh) 또는 지오그리드(Geogri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벽의 에폭시 수지가 도포되는 테두리부에는 긴 판형태의 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 제 1항 내지 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지오백 모듈 또는 상호 결합된 멀티지오백 모듈의 바닥부 및 사방 측면은 지오텍스타일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지오백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4641A KR101272870B1 (ko) | 2012-04-27 | 2012-04-27 | 멀티 지오백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4641A KR101272870B1 (ko) | 2012-04-27 | 2012-04-27 | 멀티 지오백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2870B1 true KR101272870B1 (ko) | 2013-06-11 |
Family
ID=4886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4641A KR101272870B1 (ko) | 2012-04-27 | 2012-04-27 | 멀티 지오백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287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8456B1 (ko) | 2018-03-16 | 2019-10-21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지오텍스타일큐브 및 이를 이용한 제방축조 큐브블록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6849A (ja) * | 1996-05-31 | 1997-12-09 | Tanaka:Kk | 土木工事用網状収納体 |
KR200232485Y1 (ko) | 2000-11-21 | 2001-09-26 | 이용한 | 철망태 |
KR200375686Y1 (ko) | 2004-11-24 | 2005-03-11 | 최상순 | 옹벽의 철판망 개비온 구조 |
KR100522636B1 (ko) | 2005-01-13 | 2005-10-19 | 태흥산업 주식회사 | ㅂ자형 칸막이가 구비된 망구조물 |
-
2012
- 2012-04-27 KR KR1020120044641A patent/KR1012728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6849A (ja) * | 1996-05-31 | 1997-12-09 | Tanaka:Kk | 土木工事用網状収納体 |
KR200232485Y1 (ko) | 2000-11-21 | 2001-09-26 | 이용한 | 철망태 |
KR200375686Y1 (ko) | 2004-11-24 | 2005-03-11 | 최상순 | 옹벽의 철판망 개비온 구조 |
KR100522636B1 (ko) | 2005-01-13 | 2005-10-19 | 태흥산업 주식회사 | ㅂ자형 칸막이가 구비된 망구조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8456B1 (ko) | 2018-03-16 | 2019-10-21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지오텍스타일큐브 및 이를 이용한 제방축조 큐브블록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74337B2 (en) | Gabion system | |
AU2011283647B2 (en) | Retaining wall system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same | |
KR101272870B1 (ko) | 멀티 지오백 모듈 | |
KR101895915B1 (ko) | 지반 보강 장치 | |
KR101958126B1 (ko) | 지주 구조체 | |
JP6490899B2 (ja) | 補強土壁及び補強土壁の構成方法 | |
JP2009511794A (ja) | 結合部材と、これを有する擁壁構造物及びその築造方法 | |
KR101542602B1 (ko) | 건축용 가설 흙막이시설 | |
KR100889257B1 (ko) |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 |
KR100636085B1 (ko) | 조립식 옹벽 구조체 | |
KR20130010935A (ko) | 성토부의 지오그리드 설치 장치 | |
KR101881577B1 (ko) | 강재와 콘크리트로 보강된 중공형 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JP4394110B2 (ja) | 側溝構造体及び壁面構造体 | |
JP6319986B2 (ja) | 折畳式水槽 | |
KR101527703B1 (ko) | 옹벽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을 포함하는 옹벽블록조립체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조립체의 시공방법 | |
KR101508591B1 (ko) |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 |
KR101218722B1 (ko) |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 |
SA515360770B1 (ar) | سياج وطريقة لتثبيت سياج | |
KR101414156B1 (ko) | 격벽을 가지는 백 제작용 조립체 및 이에 따라 제작된 백 및 백 조립방법 | |
KR101356816B1 (ko) | 옹벽용 보강재의 고정방법 | |
KR102537825B1 (ko) | 흙과 재이용 플라스틱을 이용한 식생 및 인조잔디 개비온 옹벽구조물 및 이를 위한 드레인보드패널 | |
WO2009153829A1 (ja) | 地中埋設用函体 | |
KR101765115B1 (ko) |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시공구조 | |
JP5899295B1 (ja) | 地盤補強構造、建造物、および地盤補強構造構築方法 | |
KR20160119336A (ko) | 자립식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자립식 옹벽 축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