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712B1 -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712B1
KR101272712B1 KR1020100136177A KR20100136177A KR101272712B1 KR 101272712 B1 KR101272712 B1 KR 101272712B1 KR 1020100136177 A KR1020100136177 A KR 1020100136177A KR 20100136177 A KR20100136177 A KR 20100136177A KR 101272712 B1 KR101272712 B1 KR 101272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inuous casting
cast
tail portion
indirec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370A (ko
Inventor
오경식
이주동
김성줄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7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7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편의 주조 말기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방법은 주편을 연속주조 하는 방법으로서, 연속주조 말기에 몰드를 빠져나온 주편의 인발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상기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간접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편의 주조 말기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는 몰드에 용강을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몰드 내에서 표면이 응고된 용강을 연속적으로 몰드의 하측으로 인발하여 슬라브, 블룸 및 빌렛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주편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연속주조의 주조 말기에는 몰드에 공급되는 용강의 주입이 종료되고, 이에 따라 몰드에서 응고되어 생산되는 주편 말단부가 형성되는데, 주편 말단부가 연속적으로 몰드의 하부로 인출되어 가이드 롤에 의해 인발되는 경우에 주편 내부의 미응고 용강에 의한 조업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주조 말기에는 주편의 말단부가 몰드에서 인출되면 주편의 인발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주편 말단부의 미응고 용강이 충분히 응고되는 시간을 부여하여 조업사고를 방지한다.
하지만, 주편의 말단부가 몰드에서 인출되어 정체되어 있는 동안에 주편 말단부는 주편 내부 영역의 미응고 용강보다 탑부(top area; 인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주편의 최상단면)의 미응고 용강이 선응고된 다음, 주편 내부의 미응고 용강이 응고되기 때문에 주편 말단부의 내부에는 응고수축에 의한 파이프(pipe)와 같은 내부 결함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연속주조 완료 후 주편의 테일부(tail area)를 절단하고 있다.
그래서, 근래에는 주편 테일부에 형성되는 파이프를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주편 테일부에 형성되는 파이프를 감소시키는 기술은 주편의 탑부를 가열시켜 주편 탑부로부터의 선응고를 방지함으로써 주편의 테일부에 형성되는 파이프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 중 하나는 주조완료 후 응고 및 수축에 따라 생성되는 응고수축공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몰드내 용강을 플라즈마 또는 가스로 가열하여 탕면을 용융상태로 유지하여 주편 테일부에 발생하는 파이프의 길이를 감소시켜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주조완료시에 몰드 내 용강의 표면을 가열 또는 보열하여 최종적으로 몰드 내 용강 표면에서 응고를 완료시켜, 주편 두부에 발생하는 응고수축공의 발생을 억제하여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제시된 방법은 몰드 내 용강을 플라즈마 또는 가스로 가열하기 때문에 몰드의 손상으로 인하여 설비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고, 플라즈마 또는 가스의 가열 효율향상 및 몰드 플럭스의 주편내 혼입 방지를 위해서는 주조 작업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플라즈마나 가스를 가열 열원으로 사용시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추가의 부대설비의 설치를 필요로 하여, 실제 현장 적용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방법으로는 주편 테일부를 가열하는 기술로서, 주편의 탑부가 가열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몰드의 하측으로 인발되었던 주편을 상승시키고, 가열커버의 내측을 불활성 가스분위기로 조성하는 가스투입관 및 전극을 사용하여 아크 또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주편의 탑부를 가열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인발되었던 주편을 상승시키면서 발생하는 몰드의 표면 손상 및 돌출된 주편을 가열하므로 몰드의 표면, 내부 결속 고무링 등이 쉽게 손상되어 몰드의 수명이 단축되고, 몰드의 상부에 가열장치가 위치하여 주상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주편 테일부를 가열하는 기술로서, 몰드내 용강 주입이 완료된 후, 주편을 몰드 아래에 위치시키고, 턴디시카를 몰드 상부 위치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반대방향에 위치해 있던 가열 버너 장치를 몰드 위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버너 장치에 장착된 버너가 몰드를 통과되도록 하여 몰드 아래에 위치한 주편을 가열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주상에 버너장치 이동을 위한 별도의 대차가 필요하여 제조비 상승 및 주상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주조 말기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종 응고 부위인 주편의 테일부에서 파이프의 형성을 최소화시키는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간접 가열하여 몰드의 손상, 몰드플럭스 처리등의 작업성 곤란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주상 공간이 협소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방법은 주편을 연속주조 하는 방법으로서, 연속주조 말기에 몰드를 빠져나온 주편의 인발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상기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간접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접 가열은 상기 주편의 테일부가 상기 몰드에서 완전히 인출되어 몰드의 직하부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접 가열은 유도가열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접 가열은 주편 테일부의 미응고 용강이 완전히 응고되는 시기까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접 가열은 상기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둘러싸는 유도가열 코일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장치는 주편을 연속주조하는 장치로서, 주편이 연속적으로 냉각되면서 인발되는 몰드와; 상기 몰드의 직하부 영역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간접 가열시키는 간접 가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간접 가열수단은 상기 주편 테일부의 측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둘러싸는 유도가열 코일을 포함한다.
상기 간접 가열수단은 상기 유도가열 코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주편이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가열 코일이 지지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는 절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표면에는 단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접 가열수단은 이동카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카의 작동에 의해 상기 몰드의 직하부 영역으로 이동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카에는 상기 간접 가열수단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편 테일부에 발생되는 파이프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간접 가열방식에 의해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가열하기 때문에 직접 가열에 의한 몰드 및 몰드 주변 설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속주조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가열시키는 간접 가열수단을 주상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협소하지 않은 몰드의 직하방에 배치함에 따라 주상 공간을 복잡하게 만들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간접 가열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주편의 인발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상태에서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간접 가열하는 방법만으로도 주편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속주조 말기 조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장치에서 간접 가열수단을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수단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6은 종래의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편 테일부 가열조건 별 주편 내부 응고 거동을 비교한 그림이며,
도 7은 종래의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편 테일부의 파이프 길이 및 실수율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8은 종래의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편 테일부 내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장치에서 간접 가열수단을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수단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연속주조 장치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장치는 크게 용강을 임시저장하는 턴디쉬(10)와; 상기 턴디쉬(10)로부터 용강을 공급받아 용강을 1차 냉각시키는 몰드(20)와; 몰드(20)에서 인발된 주편(40)을 가이드하는 롤유닛(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몰드(20)의 하부에는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을 간접 가열시키는 간접 가열수단(100)이 배치된다.
상기 턴디쉬(10)는 몰드(20)에 용강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용강을 임시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몰드(20)의 직상부에 배치되어 용강을 몰드(20)로 공급하는 통로인 침지노즐(11)이 설치된다.
몰드(20)는 액상의 용강을 1차로 냉각시켜 직사각형 형상의 주편(40)으로 연속 주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갖고, 내부에는 수평 단면이 직사각형인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몰드(2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몰드(20) 내부에 수용되는 용강을 교반시키는 교반수단(21)이 구비된다. 상기 교반수단(21)은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기 교반 수단(Electro Magnetic Rotation Stirrer; EMRS)으로 구현하였다. 그래서 상기 교반수단(21)에 의해 주조 중 몰드(20) 내부의 용강을 교반함에 따라 몰드(20) 내 주편(40)의 초기 응고층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롤유닛(30)은 몰드(20)에서 인발되는 주편(40)을 가이드하면서 압하시키는 동시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주편(40)을 2차 냉각시키는 수단으로서, 대략 10 ~ 14개의 세그먼트가 몰드(20)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전술된 턴디쉬(10), 몰드(20) 및 롤유닛(30)의 구성은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으로 제한할 필요가 없고, 그 다양한 구성 및 작동 방법은 당업자에게 이미 널지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조 말기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을 가열하는 방법으로 간접 가열방식을 채택하였고, 이에 따라 몰드(20)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는 간접 가열수단(100)을 구비한다.
상기 간접 가열수단(100)은 상기 몰드(20)의 직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을 간접 가열시키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도가열에 의한 방식(유도가열장치; EMH, Electro Magnetic Heater)을 채택하였다.
상기 간접 가열수단(100)은 상기 주편(40)의 측면에서 이격되어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을 둘러싸는 유도가열 코일(110)과;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13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이 지지되는 지지체(140)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유도가열 코일(110)에 발생되는 전자기를 이용하여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을 간접 가열시키는 수단으로서, 주편(40)의 4방향 측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러쌀 수 있도록 권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은 주편(4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의 외주면에는 거치돌기(111)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14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130)는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가 주편(40) 이외의 다른 설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130)의 표면에는 단열층(123, 133)이 형성되어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에서 발생되어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을 가열하는 열기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130)는 주편(40)의 테일부를 둘러싸기 위하여 중앙영역에 주편(40)이 통과되는 관통공(121, 131)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130)는 중앙영역에 대략 사각형의 관통공(121, 131)이 형성되는 사각 링 형상으로 구현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130)는 복수개의 체결부재(1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지지 된다.
상기 지지체(14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을 외측부에서 둘러싸도록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체(140)의 내주면에는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의 거치돌기(111)가 결합되는 거치홈(141)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유도가열 코일(110)이 상기 지지체(140)의 내부에 견고하게 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간접 가열수단(100)은 이동가능 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주조 초기 및 중기 조업시에는 주편(40)의 인발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가, 주조 말기 조업시에 주편(40)의 테일부가 몰드(20)에서 인출된 다음 정지되었을 때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간접 가열수단(100)은 몰드(20)의 직하부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이탈할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한 이동카(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카(200)는 주편(40)의 인발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 즉 지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단으로서, 상기 이동카(200)에는 상기 간접 가열수단(10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이동카(200)에는 상기 간접 가열수단(100)을 주편(40)의 인발 방향, 즉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간접 가열수단(100)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21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동카(200)를 이동시켜 상기 간접 가열수단(100)을 상기 주편(40) 테일부의 상부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승강유닛(210)을 작동시켜 상기 간접 가열수단(100)을 하강시킴에 의해 상기 간접 가열수단(100)이 상기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에 정위치 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유닛(210)은 상기 간접 가열수단(100)을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유닛(210)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접 가열수단(100)은 전력공급장치(미도시) 및 신호 변환장치(미도시) 등의 부가 장치에 의해 운전자의 운전 조건에 대응하여 운전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속주조 장치를 이용하여 주조 말기 조업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전술된 간접 가열수단(100)을 몰드(20)의 직하부 영역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준비한다.
그리고, 정상적인 연속주조가 이루어지다가 주조 말기가 되면 턴디쉬(10)에서 몰드(20)에 공급되는 용강의 주입이 완료되고, 이에 따라 몰드(20) 내부의 용강량이 점점 줄어든다. 이어서 용강이 모두 소진되면 주편(40)의 테일부가 형성되고, 주편(40)의 테일부가 몰드(20)의 직하부로 인출된다.
그래서, 주편(40) 테일부가 몰드(20)에서 완전히 인출되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되면 주편(40)의 인발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주편(40)을 정체시킨다.
그럼 다음, 이동카(200)를 이동시켜 간접 가열수단(100)이 주편(40) 테일부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승강유닛(210)을 이용하여 간접 가열수단(100)을 하강시켜 간접 가열수단(100)이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정위치 시킨다.
그리고, 간접 가열수단(100)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유도가열 코일(110)에서 전자기가 발생하고, 전자기에 의해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이 간접가열된다. 이에 따라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에서 열이 방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주편(40) 테일부가 냉각되도록 한다.
이렇게 주편(40) 테일부의 측면을 간접가열 시키면서 주편(40) 테일부의 냉각을 유도하기 때문에 주편(40) 탑부의 미응고된 부위가 선응고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편(40) 테일부에 발생되는 파이프와 같은 응고수축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편 테일부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편(40) 테일부 측면을 간접 가열수단(100)에 의해 가열하는 시기는 주편(40)의 인발이 정지된 후 주편(40) 테일부의 미응고 용강이 완전히 응고되는 시기까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주편의 연속주조 방법에 따른 주편 테일부 결함 발생 억제 및 실수율 향상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종래의 비교예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비교하였다.
도 5는 종래의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편 테일부 가열조건 별 주편 내부 응고 거동을 비교한 그림이고, 도 6은 종래의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편 테일부의 파이프 길이 및 실수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며, 도 7은 종래의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편 테일부 내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주편 테일부 가열조건 별 주편 내부의 응고 거동을 알아본다. (a)는 주편의 탑부를 단열처리 했을 경우에 시간에 따른 응고 거동을 보여주고, (b)는 주편의 탑부를 단열 처리하지 않고 열손실이 있는 경우에 시간에 따른 응고 거동을 보여주며, (c)는 100kW의 열량으로 주편의 탑부를 가열하였을 경우에 시간에 따른 응고 거동을 보여주고, (d)는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100kW의 열량으로 가열하였을 경우에 시간에 따른 응고 거동을 보여준다.
(a)에서 알 수 있듯이 주편의 탑부를 단열 처리했을 경우에는 응고 초기에 주편의 탑부에 선응고가 발생하지 않지만, 최종 응고시까지 지속되면 결국 주편 내부에 파이프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에서 알 수 있듯이 주편의 탑부를 단열처리하지 않아 열손실이 있는 경우에는 응고 초기부터 주편의 탑부에 선응고가 발생되고, 주편의 내부에 파이프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c)에서 알 수 있듯이 주편의 탑부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주편의 탑부를 단열처리했을 경우(a)와 비교하여 주편 내부의 파이프 길이는 많이 감소하였으나, 주편의 탑부의 선응고를 방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열량으로 주편의 탑부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주편의 탑부의 응고층이 붕괴되어 주편 내부의 미응고 용강이 유출되는 조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a) 내지 (c)의 결과로부터 주편 탑부의 선응고 및 주편 내부 파이프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주편의 탑부를 단열 또는 가열하는 방식을 채용하더라도 주편의 탑부의 선응고 및 주편 내부 파이프 생성을 억제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주편의 탑부를 가열하더라도 주편의 탑부 근처의 주편 측면에서 외부로 손실되는 열량이 주편의 탑부를 단열 또는 가열하는 열량보다 크기 때문이다.
한편, (d)에서 알 수 있듯이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주편 탑부의 선응고 및 주편 내부의 파이프가 발생하지 않고 건전한 주편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6을 참조하여 종래의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편 테일부의 파이프 길이 및 실수율 차이를 알아본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간접 가열수단으로 EMH를 적용하여 공구강에 대하여 주조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주편 테일부 측면에 인가되는 EMH의 가열량은 미가열 조건(종래의 비교예)과 100kW으로 설정(본 발명의 실시예)하여 주조하였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EMH를 미적용시(종래의 비교예)에는 주편 테일부 파이프의 길이가 1600mm에 달하였으며, 이로 인해 주편의 실수율도 30%대의 저조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EMH를 적용하고 유도가열량을 100kW을 인가했을 때(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주편 테일부 파이프 길이가 대폭 감소하여 110mm를 나타났고, 주편의 실수율도 95%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가열하는 방법에 의해 주편 테일부에 생성되는 파이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7은 상기의 도 6을 위한 비교실험 시에 제조된 주편의 내부를 절단하여 파이프의 길이를 직접 측정한 그림이다. EMH 미적용시(종래의 비교예)의 주편 내부 모습은 주편의 길이방향에 대해 긴 파이프의 형상이 관찰되나, EMH 적용시(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주편 내부에서 파이프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EMH의 적용으로 주편의 실수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턴디쉬 20: 몰드
30: 롤유닛 40: 주편
100: 간접 가열수단 110: 유도가열 코일
120: 상부 플레이트 130: 하부 플레이트
140: 지지체 150: 체결부재
200: 이동카

Claims (13)

  1. 주편을 연속주조 하는 방법으로서,
    몰드의 직하부 영역으로 진퇴 가능한 간접 가열수단을 준비하는 과정과;
    연속주조 말기에 몰드를 빠져나온 주편의 인발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접 가열수단을 상기 몰드의 직하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접 가열수단을 상기 주편의 테일부 측면을 둘러싸도록 위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간접 가열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주편의 테일부 측면을 간접 가열시키되,
    상기 간접 가열은 상기 주편의 테일부가 상기 몰드에서 완전히 빠져 나와 상기 몰드와 이격되면, 상기 몰드의 직하부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연속주조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접 가열은 유도가열 방식인 연속주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접 가열은 주편 테일부의 미응고 용강이 완전히 응고되는 시기까지 지속되는 연속주조 방법.
  5.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가열은 상기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둘러싸는 유도가열 코일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연속주조 방법.
  6. 주편을 연속주조하는 장치로서,
    주편이 연속적으로 냉각되면서 인발되는 몰드와;
    상기 몰드의 직하부 영역으로 진퇴하도록 상기 주편의 인발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카와;
    상기 이동카에 장착되어 상기 몰드의 직하부 영역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카의 작동에 의해 상기 몰드의 직하부 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몰드를 완전히 빠져 나와 상기 몰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주편의 테일부 측면을 간접 가열시키는 간접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연속주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간접 가열수단은
    상기 주편 테일부의 측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주편 테일부의 측면을 둘러싸는 유도가열 코일을 포함하는 연속주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간접 가열수단은
    상기 유도가열 코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주편이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가열 코일이 지지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는 절연체인 연속주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표면에는 단열층이 형성되는 연속주조 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카에는 상기 간접 가열수단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이 설치되는 연속주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인 연속주조 장치.
KR1020100136177A 2010-12-28 2010-12-28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 KR101272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177A KR101272712B1 (ko) 2010-12-28 2010-12-28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177A KR101272712B1 (ko) 2010-12-28 2010-12-28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370A KR20120074370A (ko) 2012-07-06
KR101272712B1 true KR101272712B1 (ko) 2013-06-10

Family

ID=4670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177A KR101272712B1 (ko) 2010-12-28 2010-12-28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988A (ko)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형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주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723B1 (ko) 2013-03-15 2015-04-13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CN115383068B (zh) * 2022-09-01 2024-02-27 一重集团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坯尾在线保温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9453A (ja) * 1992-05-08 1993-11-22 Nippon Steel Corp 耐火物製鋳型の誘導加熱制御法
JP2002113551A (ja) * 2000-10-10 2002-04-16 Kogi Corp 連続鋳造によるパイプの製造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9453A (ja) * 1992-05-08 1993-11-22 Nippon Steel Corp 耐火物製鋳型の誘導加熱制御法
JP2002113551A (ja) * 2000-10-10 2002-04-16 Kogi Corp 連続鋳造によるパイプの製造方法及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988A (ko)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형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주조 방법
US10913109B2 (en) 2015-09-16 2021-02-09 Posco Vertical semi-continuous casting equipment and vertical semi-continuous cas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370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712B1 (ko) 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
KR101143827B1 (ko) 연속 주조 주형의 높이에 대해 전자기 교반 모드를조절하는 방법
KR20130037462A (ko) 몰드 보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 주조 장치
KR101149373B1 (ko) 수직형 주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CN106457371A (zh) 钢带的半连续铸造
KR20100085748A (ko) 수직형 반연속 주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JP6736664B2 (ja) 垂直型鋳造設備及びこれを用いた垂直鋳造方法
KR101259340B1 (ko) 댐 이동형 턴디쉬 및 턴디쉬 댐 보수방법
KR20190023453A (ko) 고진공 다이캐스팅 고압 공정을 이용한 다이캐스팅 금형의 진공배기 시스템
KR101254110B1 (ko) 복층주편 슬라브 연속주조장치
JP2003239018A (ja) プレス成形品の焼入れ方法及び焼入れ装置
US7000679B2 (en) Casting, vertical casting method and vertical casting apparatus
JP4613448B2 (ja) 垂直型鋳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2060833A (ja) 長尺状ワークの無酸化焼入装置及び方法
KR102164125B1 (ko) 주조 몰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JP6057329B2 (ja) ラックバーの高周波焼入装置
KR101617745B1 (ko) 수직형 반연속 주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101504976B1 (ko)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JPS5835643Y2 (ja) 鋼管の内面冷却装置
JP2883052B2 (ja) 低圧鋳造装置
KR100829953B1 (ko) 폐노즐을 이용한 톱랜스 보호구 제작장치
KR102210202B1 (ko)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KR20100127662A (ko) 압연장치용 코일러 스테이션
KR20200053295A (ko) 압하 장치
KR100405515B1 (ko) 보조 주형을 이용한 강괴 주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