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660B1 - Outdoor cabinet of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rmoelectric system - Google Patents

Outdoor cabinet of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rmoelectric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660B1
KR101272660B1 KR1020110111946A KR20110111946A KR101272660B1 KR 101272660 B1 KR101272660 B1 KR 101272660B1 KR 1020110111946 A KR1020110111946 A KR 1020110111946A KR 20110111946 A KR20110111946 A KR 20110111946A KR 101272660 B1 KR101272660 B1 KR 101272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heat sink
thermoelectric module
batter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9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47118A (en
Inventor
권택율
윤영균
찬 박
성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빙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빙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빙케어
Priority to KR102011011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660B1/en
Publication of KR20130047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35Cooling of active equipments, e.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정류기가 탑재되는 정류부; 휴전 또는 정전 시 상기 정류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가 내장되는 배터리실; 및 상기 배터리실의 외벽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열전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시스템은, 열전달성 재질로 구비되어 외측벽에 제1 팬이 설치되는 제1 히트 싱크와, 상기 제1 히트 싱크가 일측면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제1 히트 싱크를 열전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모듈과, 상기 열전모듈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모듈의 발생열을 방열 또는 흡열하며, 외측벽에 제2 팬이 설치되는 제2 히트 싱크와, 상기 열전모듈의 전원 인가 여부, 전원 인가 시간, 온도 및 전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위한 열전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절기 등과 같이 기온이 높은 경우에도 함체의 배터리실 내부 온도를 열전냉각에 의해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배터리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배터리 구매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구조가 단순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동절기 등과 같이 기온이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도 열전모듈의 전류 극성을 조절하여 배터리실 내부 온도를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배터리의 축, 방전 특성까지 유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outdoor enclosure to which the thermoelectric system is appl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ifier having a rectifier mounted therein; A battery chamber in which a battery is built to supply power to the rectifier in case of a power failure or a power failure; And a thermoelectric system installed on an outer wall or inside of the battery chamb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to be constant, wherein the thermoelectric system is made of a heat transfer material and has a first fan installed on an outer wall thereof. A thermoelectric module for thermoelectric cooling or heating the first heat sink in accordance with a polarity of a heat sink, a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heat sink on one side, and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 second heat sink that radiates or absorbs heat generated and has a second fan installed on an outer wall thereof, and a thermoelectric modul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powered, whether a power is applied, a temperature, and a current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such as summer, by properly adjus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compartment of the enclosure by thermoelectric cool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life deterioration due to high temperature can reduce the battery purchase cost and maintenance cost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does not use a refrigerant, the structure has a simple effect. And even when the temperature drops below the set temperature, such as in winter, by adjusting the current polarity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properly adjust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compartmen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x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Description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OUTDOOR CABINET OF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RMOELECTRIC SYSTEM}Outdoor enclosure for communication with thermoelectric system {OUTDOOR CABINET OF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RMOELECTRIC SYSTEM}

본 발명은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실 내부를 설정온도로 유지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outdoor enclosure to which the thermoelectric system is appli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outdoor enclosure to which the thermoelectric system is applied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battery chamber at a set temperature to extend the life of the battery.

일반적으로 통신용 장비는 각종 통신기기를 외부의 충격이나 자연 재해로부터 보호하면서 정전 또는 휴전 시 통신장애를 일으키지 않게 하기 위해, 통신업체의 경우, 지역별, 구간별로 통신용 옥외 함체를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In general, communication equipments are installed and operated outdoor communication enclosures by region and section in order to protect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from external shocks or natural disasters and to prevent communication failures in case of power failure or cease-fire.

특히, 통신용 장비는 교환기나 서버와 같이 열에 민감한 통신기기와 전원공급기와 같이 비교적 열에 민감하지 않은 주변기기가 단일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 중 열에 민감한 다수의 반도체소자와 전자소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통신기기의 경우 작동중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 등에 의해 과열되어 해당 통신기기의 운영이 불시에 중단될 수 있으므로, 과열을 방지하지 위한 냉각장치가 필수적으로 구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communication equipment includes heat-sensitiv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witches and servers, and relatively heat-sensitive peripheral devices such as power supplies in a single case, among which communication circuits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at-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In the case of the device is overhe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itself dur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can be interrupted inadvertently, a cooling device is essentially configured to prevent overheating.

이러한 통신용 옥외 함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함체 내부 공간의 냉각을 위해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이 실용신안등록 제20-0325609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364669호에 제안된 바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outdoor enclosure is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enclosure, and related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5609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64669.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325609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364669호에 개시된 지지 구조를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upporting structure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5609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64669 as the prior art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은 실용신안등록 제20-0325609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의 방열장치함에 송풍기를 장착한 내부 확대 단면도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은 캐비넷(10) 내부의 발산열에 의한 고온의 공기가 상승하여 방열장치함(20)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냉각장치(40)의 응축기(41) 냉매가 압축기(42)를 통해 냉각관으로 공급되어 냉각관과 접촉되는 공기의 열을 흡수하고, 이에 냉각된 공기는 다시 하강함과 동시에 열을 흡수한 냉매는 다시 응축기(42)로 공급되어 냉각되는 순환 과정을 통해 캐비넷(10) 내부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FIG. 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ide of a radiator box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560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s shown in FIG. 1, in the related art 1, when a high temperature air due to divergent heat inside the cabinet 10 rises and flows into the heat dissipation box 20, the refrigerant of the condenser 41 of the cooling device 40 is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 42) absorbs the heat of the air supplied to the cooling tube in contact with the cooling tube, and the cooled air descends again and at the same time the refrigerant absorbing the heat is supplied to the condenser 42 to cool the circulation process. Through the cabinet 10 will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방열장치함을 구비한 옥외 통신장비 수용함체는, 일반적인 냉각방식인 냉매를 이용한 압축순환방식을 통해 수용함체의 내부 온도를 하강시키므로, 냉매에 의해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구조 역시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outdoor communication equipment housing having a heat dissipation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becau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lowers through the compression circulation method using a refrigerant which is a general cooling method, it is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by the refrigerant, and the structure is also complicated There was a problem.

도 2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64669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의 통신장비용 함체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housing for communication equipment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6466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종래기술 2의 통신장비용 함체는 본체(110)의 공간부(110a)에 설치된 통신장비(200)에서 열이 발생되면, 상기 통신장비(200)에 밀착 설치된 열교환기용 기화기(130)의 냉매가 기화되면서 상기 통신장비(200)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하면서 냉각시킴과 동시에 증발하여 상기 연결관(150)을 통해 도어(120)의 내면 또는 본체(110)의 공간부(110a) 양측벽에 밀착 설치된 열교환기용 증발기(140)로 냉매가 이동하게 되고, 이후 상기 증발기(140)로 유입된 냉매는 상온에서 냉각되어 액화되면서 열을 방열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 연결관(150)을 통해 기화기(130)로 흘러 이동하게 된다.When the heat generating in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110a of the main body 110 of the prior art 2, the refrigerant of the heat exchanger vaporizer 13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While evaporating, while cooling and absorbing heat genera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the evaporation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o close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20 or the space parts 110a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connecting pipe 150. The refrigerant is moved to the installed heat exchanger evaporator 140, after which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140 is cooled and liquefied at room temperature to dissipate heat and at the same time the vaporizer 13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50 by gravity. To flow).

이때, 상기 열교환기용 기화기(130) 및 증발기(140)의 냉매가 서머사이펀 원리에 의해 기화 및 액화 과정을 반복하면서 연결관(150)을 통해 루프형으로 순환하여 상기 통신장비(200)에서 발생된 열을 알루미늄 재질의 본체(110) 및 도어(120)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하여 냉각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refrigerant of the heat exchanger vaporizer 130 and the evaporator 140 is circulated in a loop type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50 while repeating the vaporization and liquefaction process by the thermosiphon principle generated in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0 The heat is quickly 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dy 110 and the door 120 made of aluminum to cool.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통신장비용 함체는 기화기 및 증발기의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되면서 연결관을 통해 루프형으로 순환하여 상기 통신장비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도록 구성하므로, 이 역시 냉각 과정에서 냉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구조 역시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mmunication equipment enclos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configured to cool the heat generated in the communication equipment by circulating in a loop through the connection pipe while the refrigerant in the vaporizer and the evaporator is vaporized or liquefied, which is also a refrigerant during the cooling process. Because it is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the structure also had a complex problem.

또한, 종래의 또 다른 통신용 옥외 함체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부에 정류기와, 비상시 상기 정류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기본적으로 구비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배터리는 특성상 특정온도 이상에서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절기 등과 같이 기온이 높은 경우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자주 교체하는 임시적인 방법으로 대응해 왔었으나, 이는 배터리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 및 시간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 outdoor communication enclosure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rectifier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ctifier in an emergency are basically provided therein. However, since the battery life is sharply deteriorated above a certain temperature due to i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battery has been responded as a temporary method of frequently replacing a battery that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such as in summ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st and time increase.

KR 20-0325609 U1KR 20-0325609 U1 KR 20-0364669 U1KR 20-0364669 U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절기 등과 같이 기온이 높은 경우에도 함체의 배터리실 내부 온도를 열전냉각에 의해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배터리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배터리 구매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구조가 단순한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chamber of the enclosure appropriately by thermoelectric cooling, even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such as summer, to reduce the battery life due to high temperature It can be prevented to reduce the cost of battery purchase and maintenance, and to provide an outdoor enclosure for communication with an eco-friendly, simple structured thermoelectric system by using no refrigera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절기 등과 같이 기온이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도 열전모듈의 전류 극성을 조절하여 배터리실 내부 온도를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배터리의 축, 방전 특성까지 유지 가능한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current polarity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chamber even when the temperature drops below the set temperature, such as winter, thermoelectric system that can maintain the ax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This is to provide an outdoor communication enclosur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정류기가 탑재되는 정류부; 휴전 또는 정전 시 상기 정류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가 내장되는 배터리실; 및 상기 배터리실의 외벽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열전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시스템은, 열전달성 재질로 구비되어 외측벽에 제1 팬이 설치되는 제1 히트 싱크와, 상기 제1 히트 싱크가 일측면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제1 히트 싱크를 열전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모듈과, 상기 열전모듈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모듈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모듈의 발생열을 방열 또는 흡열하며, 외측벽에 제2 팬이 설치되는 제2 히트 싱크와, 상기 열전모듈의 전원 인가 여부, 전원 인가 시간, 온도 및 전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위한 열전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를 통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tifier is mounted therein rectifier; A battery chamber in which a battery is built to supply power to the rectifier in case of a power failure or a power failure; And a thermoelectric system installed on an outer wall or inside of the battery chamb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to be constant, wherein the thermoelectric system is made of a heat transfer material and has a first fan installed on an outer wall thereof. A thermoelectric module for thermoelectric cooling or heating the first heat sink in accordance with a polarity of a heat sink, a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heat sink on one side, and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 second heat sink installed on the other side to radiate or absorb heat generated from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 second fan is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ime, power supply time, temperature, and current direc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 thermoelectric system including a thermoelectric module controller for control is achieved through an outdoor enclosure for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정류부와 상기 배터리실은 일체 또는 분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tifying unit and the battery chamber may be integrally or separately formed.

또한, 상기 열전시스템의 열전모듈은 전후 적층 또는 좌우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module of the thermoelectric system may be stacked front or rear or left and right.

또한, 상기 열전모듈은 배터리실의 외벽에 2단으로 적층 결합되며, 전방 열전모듈은 상기 열전시스템의 제1 히트 싱크와 함체 내부에 위치되고, 후방 열전모듈은 상기 열전시스템의 제2 히트 싱크와 상기 함체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stacked in two stages on the outer wall of the battery chamber, the front thermoelectric module is located inside the first heat sink and the housing of the thermoelectric system, the rear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second heat sink of the thermoelectric system It may be located outside the enclosure.

본 발명에 의하면, 하절기 등과 같이 기온이 높은 경우에도 함체의 배터리실 내부 온도를 열전냉각에 의해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배터리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배터리 구매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구조가 단순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such as summer, by properly adjus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compartment of the enclosure by thermoelectric cool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life deterioration due to high temperature can reduce the battery purchase cost and maintenance cost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does not use a refrigerant, the structure has a simpl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동절기 등과 같이 기온이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도 열전모듈의 전류 극성을 조절하여 배터리실 내부 온도를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배터리의 축, 방전 특성까지 유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temperature falls below the set temperature, such as winter, by adjusting the current polarity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properly adjust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chamb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intain the ax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서와 같이 냉매를 이용한 압축순환방식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하지 않으며, 모듈화시켜 탈부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compression circulation method using a refrigerant as in the related art,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riving unit, and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by modularizing.

도 1은 종래의 방열장치함에 송풍기를 장착한 내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통신장비용 함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에서 열전시스템의 열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에 도 5의 열전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ide of a conventional radiator box equipped with a blow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ousing for communication equipmen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door enclosure for communication to which the thermoelectr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ermoelectric module of a thermoelectric system in an outdoor enclosure for communication in which a thermoelectric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of FIG. 5 is installed in an outdoor enclosure for communication in which a thermoelectric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intended to mean that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 " part "in the descrip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for the outdoor housing for communication applied thermoelectric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의 구성이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에서 열전시스템의 열전모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에 열전모듈이 설치된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door communication housing the thermoelectric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outdoor enclosure applied thermoelectr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thermoelectric module of a thermoelectric system in a communication outdoor enclosure to which a thermoelectric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6 illustrates a thermoelectric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installed in the applied outdoor enclosure for communication is shown in cross section.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300)는 함체 본체(302), 정류부(310), 배터리실(320) 및 열전시스템(330)을 포함하며, 이 밖에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정보 통신기기와 온도 조절 장치 및 온도 센서 등이 설치된다.According to these drawings, the communication outdoor housing 300 to which the thermoelectric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ncludes a housing body 302, a rectifying unit 310, a battery chamber 320, and a thermoelectric system 330.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a temperature sensor are provided.

함체 본체(302)는 내부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도록 전면이 개폐 가능한 박스 형태로 구비되며, 크게 정류부(310)와 배터리실(320)로 구분된다. 특히, 함체 본체(302)는 정류부(310)와 배터리실(32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정류부(310)로부터의 열 간섭을 차단하도록 각각이 개별 공간 내에 분리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여기서, 함체 본체(302)가 정류부(310)와 배터리실(320)이 별도의 공간으로 구비되면, 정류부(310)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한 배터리(324)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함체 본체(302)가 밀폐 구조로 구성될 경우, 부식 및 방우(防雨) 등에 대비할 수 있다. Enclosure body 30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ox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protect the internal components, and largely divided into a rectifier 310 and the battery chamber (320). In particular, the housing body 30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ctifier 310 and the battery chamber 320, but in this embodiment, each is formed separately in a separate space to block thermal interference from the rectifier 310 Illustrated as. Here, when the housing body 302 is provided with the rectifier 310 and the battery chamber 320 in a separate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e of the battery 324 due to the heat generated from the rectifier 310. In addition, when the enclosure body 302 is configured in a sealed structure, it can be prepared for corrosion and rain.

정류부(310)는 내부에 정류기(312) 등이 탑재되는 공간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함체 본체(302) 내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The rectifier 310 is a space in which the rectifier 312 and the like are moun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tifier 310 is provided as a lower portion of the enclosure main body 302.

배터리실(320)은 휴전 또는 정전 시 정류기(31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324)가 내장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함체 본체(302) 내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특히, 배터리실(320)은 정류부(310)와 별도의 공간으로 분리되면서, 분리 공간의 벽체에 단열재(322)가 매립되어 외부의 복사열을 차단 가능하며,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 등을 통해 내부 온도를 감지하고, 이 결과를 후술할 열전유닛 제어부에 발신되게 하여 상기 열전유닛 제어부에서 배터리실(320)의 내부 온도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배터리실(320)은 배터리(324)를 설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쿨링 존(cooling zone) 또는 히팅 존(heating zone)이 되는 것이다.The battery chamber 320 has a battery 324 built in to supply power to the rectifier 312 in the case of a power failure or a power failure, and in this embodiment, the battery chamber 320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above the housing body 302. In particular, while the battery chamber 320 is separated into a separate space from the rectifier 310,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22 is embedded in the wall of the separation space to block external radiation heat,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therein. Detects the result,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thermoelectric unit controll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thermoelectric unit controller can recogniz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chamber 320. Here, the battery chamber 320 is a cooling zone or a heating zone for maintaining the battery 324 at a set temperature.

열전시스템(330)은 배터리실(320)이 위치되는 함체 본체(302)의 상부 외벽 또는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터리(324)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게 하며, 열전유닛과 열전유닛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열전시스템(330)은 함체 본체(302)의 크기 및 냉각(가열) 요구 성능에 따라 후술할 열전모듈(338)의 크기 및 용량 등이 바뀔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복수 개가 설치 및 설계 가능하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의 열전시스템(330)은 배터리실(320) 측 함체 본체(302)의 상부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이 경우, 접촉면에 방우 실링(sealing)을 위해 실리콘 또는 고무 가스킷 등을 삽입하여 완전 밀착 및 방우에 대비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system 330 is instal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outer wall or the inside of the housing body 302 in which the battery chamber 320 is located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battery 324, and the thermoelectric unit and the thermoelectric unit controller (Not shown in the drawings). At this time, the thermoelectric system 330 may change the size and capacity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o be described lat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nclosure body 302 and the required performance of cooling (heating), one or two or more, if necessary Multiple dogs can be installed and designed. Furthermore, the thermoelectric system 330 in this embodiment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on the upper outer wall of the enclosure main body 302 on the battery chamber 320 side, in which case a silicone or rubber gasket for sealing the contact surface to the sealing surface. By inserting the back can be prepared for close contact and rain.

열전유닛은 제1 하우징(332), 제1 히트 싱크(334), 제1 팬(336), 열전모듈(338), 제2 하우징(340), 제2 히트 싱크(342) 및 제2 팬(344)을 포함하며, 동작 온도의 범위가 약 -40℃~+90℃ 이다. The thermoelectric unit includes a first housing 332, a first heat sink 334, a first fan 336, a thermoelectric module 338, a second housing 340, a second heat sink 342, and a second fan ( 344), and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s about -40 ° C to + 90 ° C.

더욱이, 열전유닛에는 제1 히트 싱크(334)와 제2 히트 싱크(342)와의 대향면과, 이와 대향되는 열전모듈(338)의 양 표면과의 사이에 각각 개입되는 스페이스 블럭(space block: 도면에 미도시)이 포함된다. 여기서 스페이스 블럭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의 열전도성 재질로 구비되며, 열전유닛 상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방열부로부터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부로의 열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스페이스 블럭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한 방열부와 냉각부 사이의 유격된 공간에 단열재를 삽입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제1 히트 싱크(334)와 제2 히트 싱크(342)와의 대향면과, 열전모듈(338)의 양 표면 및 스페이스 블럭의 양 표면에 솔더링(soldering)이 가능한 표면처리를 한 후에 솔더링에 의해 각각을 접합을 하기도 한다. 이때, 배터리실(320)의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해 제1 히트 싱크(334)를 열전냉각시킬 때, 상술한 방열부는 제2 히트 싱크(342) 및 제2 팬(344)이고, 상술한 냉각부는 제1 히트 싱크(334) 및 제1 팬(336)이다. 반대로, 배터리실(320) 내부 온도를 높이기 위해 제1 히트 싱크(334)를 열전가열시킬 때, 상술한 방열부는 제1 히트 싱크(334) 및 제1 팬(336)이고, 상술한 냉각부는 제2 히트 싱크(342) 및 제2 팬(344)이다. Furthermore, the thermoelectric unit has a space block interposed between an opposing surface between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second heat sink 342 and both surfaces of the opposing thermoelectric module 338. (Not shown). Here, the space block is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copper, and can prevent thermal interference from a relatively high heat dissipation portion to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oling portion on the thermoelectric unit. The effect can be maximized by insert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part and the cooling part. In particular, the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second heat sink 342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and the surface of the space block can be soldered to each other. Each may be joined by a joint. In this case, when the first heat sink 334 is thermoelectrically cooled to low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chamber 320, the above-described heat dissipation part is the second heat sink 342 and the second fan 344, and the cooling part is described above. First heat sink 334 and first fan 336. 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heat sink 334 is thermally heated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chamber 320, the above-described heat dissipation unit is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first fan 336, and the cooling unit is the first heat sink. Second heat sink 342 and second fan 344.

또한, 솔더링도 어렵고 기계적 접합도 어려울 경우, 열전도성 풀(thermal glue), 열전도성 테이프(thermal tape) 및 열전도성 에폭시(thermal epoxy) 등을 사용하여 제1 히트 싱크(334)와 제2 히트 싱크(342)와의 대향면, 열전모듈(338)의 양 표면 및 스페이스 블럭을 서로 접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oldering is difficult and mechanical bonding is difficult,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second heat sink may be formed using a thermal glue, a thermal tape, a thermal epoxy, or the like. Opposite surfaces of 342 and both surfaces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and the space blocks can be joined to each other.

한편, 스페이스 블럭은 제1 히트 싱크(334)의 접합면 또는 상기 제1 히트 싱크(334)와 제2 히트 싱크(342)의 접합면에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접합면을 줄임으로서 접합저항손실분을 감소시켜 열전유닛의 성능을 기존 방식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space block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334 or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second heat sink 342.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thermoelectric unit by reducing the junction resistance loss by reducing the junction surface than conventional methods.

그리고 제1 히트 싱크(334)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스페이스 블럭과 제2 히트 싱크(342) 자체를 절연처리(IMS, insulated metal substrate: 절연금속기판)하여 이 자체를 열전모듈(338)의 양 측벽인 기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열전모듈(338)을 구성함으로써, 이 시스템 전체를 열전모듈화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모든 계면을 없앨 수 있어 성능이 많이 증대되며, 무엇보다 기계적 체결시의 부적절한 접합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의 균일성을 기할 수 있다.The insulated metal substrate (IMS) is insulated from the space block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second heat sink 342 itself is formed on both sidewalls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It can be used as a substrate, and by configur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hrough this, the entire system can be thermoelectric module. In this configuration, all interfaces can be eliminated to increase performance, and above all, improper joining at the time of mechanical fastening can be prevented, resulting in uniformity of quality.

제1 하우징(332)은 제1 히트 싱크(334)의 길이 방향인 좌우가 개방되면서 열전모듈(338)과의 접촉면인 바닥면에 상기 제1 히트 싱크(334)가 설치되고, 윗면에 제1 팬(336)이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In the first housing 332, the first heat sink 334 is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334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whil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heat sink 334 are opened. The fan 336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제1 히트 싱크(heat sink: 334)는 도 5를 기준으로 열전모듈(338)의 전면에 열전달율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되어 접하며, 표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부에 얇게 가공한 직립 핀이 다수 배열 형성된다. The first heat sink 33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transfer rat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based on FIG. 5, and a plurality of upright fins which are thinly processe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widen the surface area. .

더욱이, 제1 히트 싱크(334)는 열전달율이 우수한 금속, 비금속, 합성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된다. 이는 제1 히트 싱크(334)의 상부에 직립 핀이 다수 형성되므로 공기 접촉에 의한 열교환 효율이 열교환 면적이 넓어질수록 우수한 점을 감안하였을 때 배터리실(320)의 내부 온도를 용이하게 낮추거나 높일 수 있는 것이다.Further, the first heat sink 334 is made of any one of metal, nonmetal, and synthetic resin having excellent heat transfer rate. Since a plurality of upright fins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heat sink 334,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chamber 320 is easily lowered or increased when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due to air contact is superior as the heat exchange area is wider. It can be.

이때, 제1 히트 싱크(334)의 재질이 금속일 경우, 구리,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등으로 제조되며, 재질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열전달율이 우수한 재질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In this case, when the material of the first heat sink 334 is a metal, the material is made of copper, aluminum, or an alloy thereof, and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to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transfer rate.

특히, 제1 히트 싱크(334)는 열전모듈(338)의 가열을 위해 구비되는 흡열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높은 흡열효율을 얻기 위해 상단에 금속판 형태로 얇게 가공한 핀이 다수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irst heat sink 334 may be used as a heat absorbing plate provided for heat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an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fins thinly processed in the form of a metal plate is disposed on the top to obtain high heat absorbing efficiency. Can be.

제1 팬(336)은 제1 히트 싱크(334)의 상측인 제1 하우징(332)의 저면에 설치되어 인가 전원을 통해 상기 제1 히트 싱크(334)와 열교환하도록 구비되는 팬(fan)이다.The first fan 336 is a fan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32 that is above the first heat sink 334 and provided to exchange heat with the first heat sink 334 through an applied power source. .

열전모듈(Thermoelectric Module, TEM: 338)은 제1 하우징(332)과 제2 하우징(340)과의 대향면에 개재되면서 함체 본체(302)의 외벽면에 형성된 관통공 내부에 위치되게 한다. 그리고 열전모듈(338)은 전원 인가 여부, 전원 인가 시간, 온도, 전류 방향 등을 제어하는 열전유닛 제어부(도면에 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제1 히트 싱크(334)를 열전냉각시킨다. 여기서, 열전모듈(338)은 2개의 서로 다른 금속으로 된 회로에 전류가 흐를 때 한쪽 접합부는 냉각되고, 다른 부위는 가열되는 펠티어(Peltier) 효과를 통해 제1 히트 싱크(334)를 열전냉각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TEM) 338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32 and the second housing 340 and positioned inside the through hole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enclosure body 302.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control of a thermoelectric unit controller (not shown) to control whether power is applied, power supply time, temperature, current direction, and the like to thermoelectric cool the first heat sink 334. Let's do it. Here,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hermoelectrically cools the first heat sink 334 through a Peltier effect in which one junction is cooled and another portion is heated when current flows in a circuit of two different metals. Can be.

이때, 열전모듈(338)은 일반적으로 열전모듈(338)의 한 면에서 열을 흡수하여 제1 히트 싱크(334)를 냉각시키고, 상기 열전모듈(338)의 다른 한 면에서 제2 히트 싱크(342)를 통해 상기 열전모듈(338)의 열을 방열시키는 과정에서 하절기나 한낮 등과 같이 기온이 설정온도(예를 들어 영상 35℃)보다 높은 경우에 배터리실(320) 내부 온도를 열전냉각에 의해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generally absorbs heat from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o cool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second heat sink (ie, from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In the process of dissipating hea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hrough 342,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image 35 ° C.) in summer or midday,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chamber 320 is changed by thermoelectric cooling. By adjusting appropriately, battery life by high temperature can be extended.

또한, 열전모듈(338)은 한 면에서 열을 흡수하여 제1 히트 싱크(334)를 냉각시키고, 상기 열전모듈(338)의 다른 한 면에서 제2 히트 싱크(342)를 통해 상기 열전모듈(338)의 열을 방열시키지만, (+),(-)극을 바꿔 전류의 인가 방향을 반대로 하면 상기 제1 히트 싱크(334)는 가열시키고, 상기 제2 히트 싱크(342)를 통해 상기 열전모듈(338)의 열을 흡열시키게 한다.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absorbs heat from one surface to cool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hrough the second heat sink 342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When the heat of 338 is dissipated, but reverses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current by chang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poles, the first heat sink 334 is heated,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transferred through the second heat sink 342. Endotherm at 338.

이렇게, 열전모듈(338)에 인가되는 전류의 인가 방향을 반대로 하여 제1 히트 싱크(334)는 가열시키고, 상기 제2 히트 싱크(342)를 통해 상기 열전모듈(338)의 열을 흡열할 경우, 동절기나 한밤과 같이 기온이 설정온도(예를 들어 영하 10℃) 이하로 떨어질 때에도 배터리실(320) 내부 온도를 열전가열에 의해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배터리(324)의 축, 방전 특성까지 유지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heat sink 334 is heated by reversing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and absorbs hea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hrough the second heat sink 342. Even when the temperature drops below a set temperature (for example, minus 10 ° C) such as winter or midnight,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compartment 320 is properly adjusted by thermoelectric heating, thereby maintaining the axial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324. There is a possible advantage.

특히, 열전모듈(338)은 1단으로 설치됨을 예시하였으나, 다르게는 2단 이상으로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열전모듈(338)이 배터리실(320)의 외벽에 2단으로 전후 적층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방에 위치한 열전모듈(338)은 제1 히트 싱크(334)와 함체 본체(302)의 내부에 위치되고, 후방에 위치한 열전모듈(338)은 제2 히트 싱크(342)와 상기 함체 본체(302)의 외부에 위치되게 한다.In particular, although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in one stage,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may be stacked in two or more stages. For example,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is formed by stack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battery chamber 320 in two stages,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main body 302 may be described.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which is located inside the rear panel,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heat sink 342 and the enclosure body 302.

이렇게, 열전모듈(338)은 2단이 적층되게 구비된 경우, 제1 히트 싱크(334)와 제2 히트 싱크(342)와의 온도 차를 1단으로 구비된 경우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제1 히트 싱크(334)의 열 흡수율 또는 열 방출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way,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is provided to stack two stage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second heat sink 342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second heat sink 342. The heat absorption rate or heat release rate of the first heat sink 334 can be improved.

이와 다르게, 열전모듈(338)은 좌우 수평 배치가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열전모듈(338)의 상단들은 함체 본체(302)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되고, 하단들은 상기 함체 본체(302)의 외부에 위치에 위치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may be horizontally arranged horizontally, and in this case, upper ends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are mount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enclosure body 302, and lower ends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are disposed outside the enclosure body 302. It can be mounted so that it is located in position.

더욱이, 열전모듈(338)이 좌우 수평 배치되는 경우, 제1 히트 싱크(334) 역시 상기 열전모듈(338)과 대응되도록 분할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1 히트 싱크(334)가 단일품으로 구성될 때 열전모듈(338)이 손상이나 오작동 등의 이유로 상기 열전모듈(338)이 작동이 안되면 전체 시스템의 작동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열전모듈(338)과 제1 히트 싱크(334)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일부 성능 구현을 할 수 있는 것이다.Furthermore,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is horizontally arranged horizontally, the first heat sink 334 may also be provided by dividing to correspon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hat is,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is not operated due to damage or malfunc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when the first heat sink 334 is configured as a single product, the entire system cannot be operated.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and the first heat sink 334 may be provided in plural to implement some performance.

제2 하우징(340)은 제2 히트 싱크(342)의 길이 방향인 좌우가 개방되면서 열전모듈(338)과의 접촉면인 바닥면에 상기 제2 히트 싱크(342)가 설치되고, 윗면에 제2 팬(344)이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The second housing 340 has the second heat sink 342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eat sink 342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whil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heat sink 342 are opened, and the second housing 340 has a second upper surface. The fan 344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제2 히트 싱크(342)는 도 5를 기준으로 열전모듈(338)의 후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열전모듈(338)의 열을 방열하거나 흡수하기 위해 상단에 금속판 형태로 얇게 가공한 핀이 다수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second heat sink 342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based on FIG. 5, and a plurality of fins thinly processed in a metal plate shape on the top to radiate or absorb hea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It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is arrange | positioned.

이때, 제2 히트 싱크(342)의 표면적은 제1 히트 싱크(334)의 표면적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가된 전류에 의해 열전모듈(338)의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과 함체 본체(302)의 배터리실(320)로부터 흡열부용 제1 히트 싱크(334)를 통해서 열전모듈(338)의 흡열부로 유입되는 열이 모두 제2 히트 싱크(342)를 통해서 함체 본체(302)의 외부로 방출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실(320)이 냉각되게 된다. 그런데, 제2 히트 싱크(342)의 표면적이 제1 히트 싱크(334)의 표면적보다 같거나 더 작도록 구성되면, 상기 제1 히트 싱크(334)의 온도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 비해서 더 상승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heat sink 342 may be larg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heat sink 334. That is, heat generat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by the applied current and from the battery chamber 320 of the housing body 302 to the heat absorb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hrough the first heat sink 334 for the heat absorbing portion. All of the incoming he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nclosure body 302 through the second heat sink 342, thereby cooling the battery compartment 320. However, if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heat sink 342 is configur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heat sink 334, th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 sink 334 is more than that of the cas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ecause it rises.

제2 팬(344)은 제2 히트 싱크(342)의 상측인 제2 하우징(340)의 저면에 설치되어 인가 전원을 통해 상기 제2 히트 싱크(342)와 열교환하도록 구비되는 팬이다.The second fan 344 is a fan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housing 340 that is above the second heat sink 342 and provided to exchange heat with the second heat sink 342 through an applied power source.

열전유닛 제어부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열전모듈(338)의 전원 인가 여부, 전원 인가 시간, 온도 및 전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위해 구비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thermoelectric unit controller is provide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whether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is powered, whether the power is applied, temperature, and current direction.

즉, 열전유닛 제어부는 일 예인 온도 컨트롤러가 함체 본체(302)에 부착 또는 내재되어 열전모듈(338)에 작동 명령 등을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온도 유지 외에 냉각 또는 가열기능 등을 부여하게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thermoelectric unit controller is an example of a temperature controller is attached to or embedded in the enclosure body 302 to output the operation command and the like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o give the operator a cooling or heating function in addition to maintaining the temperature. .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300)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면 우선, 작업자가 열전유닛 제어부의 일 예인 온도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작동 조건을 맞춘다.Therefore, when describ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communication outdoor enclosure 300 to which the thermoelectric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rst, an operator adjusts operating conditions by operating a temperature controller which is an example of a thermoelectric unit controller.

다음으로, 배터리실(320)의 내부 온도가 온도 센서 등의 감지를 통해 설정온도보다 상승한 것으로 판단되면, 온도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를 통해 열전모듈(338)의 한 면에서 열을 흡수하여 제1 히트 싱크(334)를 냉각시키고, 상기 열전모듈(338)의 다른 한 면에서 제2 히트 싱크(342)를 통해 상기 열전모듈(338)의 열을 방열시키게 한다.Nex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chamber 320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by sensing the temperature sensor, the first heat is absorbed by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hrough the control signal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The sink 334 is cooled and heat dissipates hea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hrough the second heat sink 342 on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이렇게, 하절기나 한낮 등과 같이 기온이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배터리실(320) 내부 온도를 열전냉각에 의해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Thus,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such as summer or midday,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chamber 320 by thermoelectric cooling,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battery life due to high temperature.

또한, 배터리실(320)의 내부 온도가 온도 센서 등의 감지를 통해 설정온도보다 하강한 것으로 판단되면, 온도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를 통해 전류의 인가 방향을 반대로 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chamber 320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rough sensing of a temperature sensor or the like, the control signal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is controlled to reverse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the current.

그 후, 열전모듈(338)의 한 면에서 열을 흡수하여 제1 히트 싱크(334)를 가열시키고, 상기 열전모듈(338)의 다른 한 면에서 제2 히트 싱크(342)를 통해 상기 열전모듈(338)의 열을 흡열시키게 한다.Thereafter, heat is absorbed from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o heat the first heat sink 334,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through the second heat sink 342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Endotherm at 338.

이렇게, 동절기나 한밤과 같이 기온이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에도 배터리실(320) 내부 온도를 열전가열에 의해 적정하게 조절함으로써, 배터리(324)의 축, 방전 특성까지 유지 가능한 이점이 있다.Thus, even when the temperature falls below the set temperature, such as winter or midnight,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chamber 320 by thermoelectric heat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xis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324 can be maintained.

결국, 본 발명은 열전모듈(338)을 이용하여 연중 대기 환경 및 배터리(324) 축, 방전으로 인한 발열 등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일정 온도 이하로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he battery 324 axis, the heat generated by the discharge us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338, the advantage that can be managed below a certain temperature as necessary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300: 통신용 옥외 함체 302: 함체 본체
310: 정류부 312; 정류기
320: 배터리실 322: 단열재
324: 배터리 330: 열전시스템
332: 제1 하우징 334: 제1 히트 싱크
336: 제1 팬 338: 열전모듈
340: 제2 하우징 342: 제2 히트 싱크
344: 제2 팬
300: communication outdoor enclosure 302: enclosure main body
310: rectifier 312; rectifier
320: battery compartment 322: insulation
324: battery 330: thermoelectric system
332: first housing 334: first heat sink
336: first fan 338: thermoelectric module
340: second housing 342: second heat sink
344: second fan

Claims (4)

내부에 정류기가 탑재되는 정류부;
휴전 또는 정전 시 상기 정류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가 내장되는 배터리실; 및
상기 배터리실의 외벽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열전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시스템은,
열전달성 재질로 구비되어 외측벽에 제1 팬이 설치되는 제1 히트 싱크와,
상기 제1 히트 싱크가 일측면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제1 히트 싱크를 열전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모듈과,
상기 열전모듈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모듈의 발생열을 방열 또는 흡열하며, 외측벽에 제2 팬이 설치되는 제2 히트 싱크와,
상기 제1 히트 싱크와 상기 제2 히트 싱크와의 대향면과 이와 대향되는 상기 열전모듈의 양 표면과의 사이에 열전도성 재질로 각각 개입되거나, 상기 제1 히트 싱크의 접합면 또는 상기 제1 히트 싱크와 제2 히트 싱크의 접합면에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히트 싱크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스페이스 블럭과 제2 히트 싱크 자체를 절연처리하여 상기 열전모듈의 양 측벽인 기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 블럭(space block)과,
상기 열전모듈의 전원 인가 여부, 전원 인가 시간, 온도 및 전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위한 열전유닛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히트 싱크와 제2 히트 싱크와의 대향면과, 상기 열전모듈의 양 표면 및 상기 스페이스 블럭의 양 표면에 솔더링(soldering)이 가능한 표면처리를 한 후에 솔더링에 의해 각각을 접합하거나, 열전도성 풀(thermal glue), 열전도성 테이프(thermal tape) 및 열전도성 에폭시(thermal epoxy)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서로 접합하는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
A rectifier having a rectifier mounted therein;
A battery chamber in which a battery is built to supply power to the rectifier in case of a power failure or a power failure; And
A thermoelectric system installed on an outer wall or inside of the battery chamber and controlling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battery.
The thermoelectric system,
A first heat sink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material and having a first fan installed on an outer wall thereof;
A thermoelectric module for thermoelectric cooling or heating the first heat sink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current applied by the first heat sink being installed on one side;
A second heat sink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to dissipate or absorb heat generated from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having a second fan installed at an outer wall thereof;
Interposed between a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and the second heat sink and a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opposite to each other, or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or a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or the first heat. A space tha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joint surface of the sink and the second heat sink, respectively, and insulated from the space block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eat sink and the second heat sink itself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ubstrate substitute for both sidewalls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Space block,
It includes a thermoelectric uni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power supply time, temperature and current direc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fter the surface treatment capable of soldering (soldering) to the opposing surface of the first heat sink and the second heat sink, and both surfaces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both surfaces of the space block, the respective bonding or thermoelectric An outdoor enclosure for communication with a thermoelectric system that is bonded to each other using one of a thermal glue, a thermal tape and a thermal epox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와 상기 배터리실은 일체 또는 분리 형성되는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tifying unit and the battery compartment is an outdoor enclosure for communication applied thermoelectric system is formed integrally or separ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시스템의 열전모듈은 전후 적층 또는 좌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thermoelectric module of the thermoelectric system is an outdoor enclosure for communication with a thermoelectric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stacked or left and right arrangemen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배터리실의 외벽에 2단으로 적층 결합되며, 전방 열전모듈은 상기 열전시스템의 제1 히트 싱크와 함체 내부에 위치되고, 후방 열전모듈은 상기 열전시스템의 제2 히트 싱크와 상기 함체 외부에 위치되는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stacked and coupled in two stages to the outer wall of the battery chamber, and the front thermoelectric module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heat sink and the enclosure of the thermoelectric system, and the rear thermoelectric module is the second heat sink and the enclosure of the thermoelectric system. Outdoor enclosure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hermoelectric system.

KR1020110111946A 2011-10-31 2011-10-31 Outdoor cabinet of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rmoelectric system KR101272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946A KR101272660B1 (en) 2011-10-31 2011-10-31 Outdoor cabinet of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rmoelectric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946A KR101272660B1 (en) 2011-10-31 2011-10-31 Outdoor cabinet of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rmoelectric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118A KR20130047118A (en) 2013-05-08
KR101272660B1 true KR101272660B1 (en) 2013-06-10

Family

ID=48658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946A KR101272660B1 (en) 2011-10-31 2011-10-31 Outdoor cabinet of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rmoelectric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66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161B1 (en) 2016-11-09 2018-06-07 주식회사 현태 Solar cell electricity generation, storage and switchover system, and its method thereof
KR20200102294A (en) * 2019-02-21 2020-08-31 김유곤 Device for cooling and dehumidifing the control panel
KR20200002486U (en) * 2019-02-13 2020-11-12 서진용 Security box mounting server of distributed space type
KR102376947B1 (en) 2020-10-23 2022-03-22 주식회사 새한하이테크 Cooler for enclosure including thermoelectric 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750B1 (en) * 2013-05-22 2013-10-15 주식회사 썬닉스 Air cooler apparatus using thermoelement
KR102122288B1 (en) * 2019-01-07 2020-06-12 염기훈 Detachable complex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storage system package
WO2022216251A1 (en) * 2021-04-09 2022-10-13 Danisman Tolga Panel cool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801A (en) * 2005-09-05 2007-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Rergerrator for a vehicle
KR20090024413A (en) * 2007-09-04 2009-03-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Cooling system for a computer by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KR20090112368A (en) * 2008-04-24 2009-10-28 주식회사 자이벡 Heat controlling device for c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801A (en) * 2005-09-05 2007-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Rergerrator for a vehicle
KR20090024413A (en) * 2007-09-04 2009-03-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Cooling system for a computer by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KR20090112368A (en) * 2008-04-24 2009-10-28 주식회사 자이벡 Heat controlling device for cas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161B1 (en) 2016-11-09 2018-06-07 주식회사 현태 Solar cell electricity generation, storage and switchover system, and its method thereof
KR20200002486U (en) * 2019-02-13 2020-11-12 서진용 Security box mounting server of distributed space type
KR200495232Y1 (en) * 2019-02-13 2022-04-08 이성균 Security box mounting server of distributed space type
KR20200102294A (en) * 2019-02-21 2020-08-31 김유곤 Device for cooling and dehumidifing the control panel
KR102191814B1 (en) * 2019-02-21 2020-12-16 김유곤 Device for cooling and dehumidifing the control panel
KR102376947B1 (en) 2020-10-23 2022-03-22 주식회사 새한하이테크 Cooler for enclosure including thermoelectric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118A (en)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660B1 (en) Outdoor cabinet of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rmoelectric system
JP5271487B2 (en) Power converter
US7954332B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20180000291U (en) Semiconductor-based air conditioning device
US10205366B2 (en) Electric compressor
CN107504726B (en) Electric control board assembly of refrigerating device and refrigerating device
WO2017197842A1 (en) Intelligent heat energy recycl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system
KR20120135771A (e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JP2012528296A (en) Vapor compression cooling system with pumped loop drive
US20100218512A1 (en) Heat exchanger for thermoelectric applications
JP2008076008A (en) Air conditioner
US20180010836A1 (en) Heat transfer unit
KR101653344B1 (en) Air conditioner using peltier device
JP4503045B2 (en) Storage and refrigerated storage
JP2008106958A (en) Heat exchanger
EP2767782B1 (en) Cooling apparatus
JP2010085054A (e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04278893A (en) Cooling device and refrigerator-freezer comprising the same
JP2015198214A (en) Cooler and freezer
KR101172679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5197281A (en) Cooler and refrigerating device
CN206531339U (en) A kind of refrigerator
KR20100046342A (en) Air conditioner using thermoelectric modules
KR20060005254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717378B1 (en) Air conditioner using peltie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