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430B1 -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 - Google Patents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430B1
KR101272430B1 KR1020120102330A KR20120102330A KR101272430B1 KR 101272430 B1 KR101272430 B1 KR 101272430B1 KR 1020120102330 A KR1020120102330 A KR 1020120102330A KR 20120102330 A KR20120102330 A KR 20120102330A KR 101272430 B1 KR101272430 B1 KR 10127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lifting
fixed
wi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 영 이
Original Assignee
진 영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8665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7243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진 영 이 filed Critical 진 영 이
Priority to KR102012010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은, 파일의 단부의 원형 조립면의 윤곽과 유사한 곡률로 성형되고 적어도 3개의 조각으로 형성된 복수의 분할 인양구와, 상기 분할 인양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부에는 제1고리부가 형성된 복수의 연결구와, 상기 복수의 각 연결구의 제1고리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인양장비의 훅에 걸리는 제2고리부를 갖는 현수기구를 포함하고, 복수로 분할되며 파일의 조립면과 유사한 곡률을 갖는 복수의 분할 인양구가 상기 파일의 조립면에 고정되는 단계와, 이와 같이 각 분할 인양구상에 고정된 연결구의 제1고리부에 연결와이어로 연결된 현수기구의 제2고리부에 인양장비의 훅을 걸어 원하는 파일위치에 삽입시키는 단계와, 삽입된 파일의 조립면에 고정된 연결구를 분할 인양구상에서 분리시키는 단계와, 삽입된 파일의 조립면에서 각 분할 인양구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분할 인양구가 분리된 파일의 조립면을 가격하여 파일을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1인의 노무자라도 용이하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파일의 조립부에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이와 같이 설치된 파일의 인양방법이 간단하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 A pile lifting structrue }
본 발명은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파트를 신축하거나 도로를 신축할 경우에 지반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지반에 삽입되는 직경이 700mm 이상의 대구경 파일을 보다 용이하게 인양하고 설치할 수 있도록 파일의 단부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고 용이하게 인양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기초공사 단계에서는 지면에 여러 개의 파일을 박아서 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공을 위해서는 여러가지 형태로 파일을 인양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파일 운반시, 특히 트럭에 상차시킬 때나 바지선에 선적시킬 때, 또는 현장에서 파일을 하차시킬 때, 파일을 시공위치에 항타할 때 등과 같은 경우에 파일의 인양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파일의 인양에 있어서는 시공성과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파일의 인양을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나 장치 등이 제시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홀치기 방법이 있다.
상기 홀치기 방법은 지면에 고정된 파일의 상부를 와이어를 사용하여 올가미 형식으로 묶은 다음, 와이어를 기중기의 훅에 연결하여 인양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홀치기 방법은 파일의 직경이 대형이거나 또는 파일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설치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사용이 불가능하고, 와이어가 묶여 있는 파일부위가 변형되는 등 국부적으로 파일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파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한 방청제가 와이어에 의해 벗겨지면서 표면 산화 등으로 인해 파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나 과실에 의해 와이어의 매듭이 풀어지는 경우가 빈번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8453호의 '파일 인양용 기구'에는 이러한 파일을 용이하게 인양하기 위하여, 파일의 상단에 볼트로 체결되는 링 모양의 파일 인양용 기구가 제안된 바가 있으나, 상기 파일 인양용 기구는 인양되는 파일의 직경이 최소가 400mm 에서 최대로 1000mm 까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최소 직경의 파일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상기 특허에서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직경이 적어도 400mm 로 형성되게 되므로, 건설현장에서 현장의 노무자들이 적어도 2인이 많게는 3 내지 4인이 함께 운반하여 파일의 고정단부까지 이동시켜야 하므로 그 운반이 대단히 번거롭게 되고, 이러한 노무자들이 함께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노동생산성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700mm 이상의 대구경 파일은 이러한 '파일 인양용 기구'의 중량이 너무나도 무겁게 되어 적어도 3 내지 4인이 함께 운반하여야 하므로 역시 운반이 대단히 번거롭게 되고, 이러한 노무자들이 함께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노동생산성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038453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인의 노무자라도 용이하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파일의 조립부에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이와 같이 설치된 파일의 인양방법이 간단하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파일의 단부의 원형 조립면의 윤곽과 유사한 곡률로 성형되고 적어도 3개의 조각으로 형성된 복수의 분할 인양구와, 상기 분할 인양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부에는 제1고리부가 형성된 복수의 연결구와, 상기 복수의 각 연결구의 제1고리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인양장비의 훅에 걸리는 제2고리부를 갖는 현수기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인양구조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복수로 분할되며 파일의 조립면과 유사한 곡률을 갖는 복수의 분할 인양구가 상기 파일의 조립면에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파일의 조립면에 고정된 각 분할 인양구상에 연결구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이와 같이 각 분할 인양구상에 고정된 연결구의 제1고리부에 연결와이어로 연결된 현수기구의 제2고리부에 인양장비의 훅을 걸어 원하는 파일위치에 삽입시키는 단계와, 삽입된 파일의 조립면에 고정된 연결구를 분할 인양구상에서 분리시키는 단계와, 삽입된 파일의 조립면에서 각 분할 인양구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분할 인양구가 분리된 파일의 조립면을 가격하여 파일을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인양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은, 파일의 단부의 원형 조립면의 윤곽과 유사한 곡률로 성형되고 적어도 3개의 조각으로 형성된 복수의 분할 인양구와, 상기 분할 인양구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부에는 제1고리부가 형성된 복수의 연결구와, 상기 복수의 각 연결구의 제1고리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인양장비의 훅에 걸리는 제2고리부를 갖는 현수기구를 포함하고, 복수로 분할되며 파일의 조립면과 유사한 곡률을 갖는 복수의 분할 인양구가 상기 파일의 조립면에 고정되는 단계와, 이와 같이 각 분할 인양구상에 고정된 연결구의 제1고리부에 연결와이어로 연결된 현수기구의 제2고리부에 인양장비의 훅을 걸어 원하는 파일위치에 삽입시키는 단계와, 삽입된 파일의 조립면에 고정된 연결구를 분할 인양구상에서 분리시키는 단계와, 삽입된 파일의 조립면에서 각 분할 인양구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분할 인양구가 분리된 파일의 조립면을 가격하여 파일을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1인의 노무자라도 용이하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파일의 조립부에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이와 같이 설치된 파일의 인양방법이 간단하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구조체의 파일인양구가 파일의 단부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
도 4a,4b는 도 3의 파일 인양구조체의 연결구가 파일인양구에 결합되기 전과 후의 상태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구조체가 파일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인양방법은, 복수로 분할되며 파일의 조립면과 유사한 곡률을 갖는 복수의 분할 인양구가 상기 파일의 조립면에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파일의 조립면에 고정된 각 분할 인양구상에 연결구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이와 같이 각 분할 인양구상에 고정된 연결구의 제1고리부에 연결와이어로 연결된 현수기구의 제2고리부에 인양장비의 훅을 걸어 원하는 파일위치에 삽입시키는 단계와, 삽입된 파일의 조립면에 고정된 연결구를 분할 인양구상에서 분리시키는 단계와, 삽입된 파일의 조립면에서 각 분할 인양구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분할 인양구가 분리된 파일의 조립면을 가격하여 파일을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구조체(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P)의 단부의 원형 조립면(P1)의 윤곽과 유사한 곡률로 성형되고 적어도 3개의 조각으로 형성된 복수의 분할 인양구(1)와, 상기 분할 인양구(1)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부에는 제1고리부가 형성된 복수의 연결구(2)와, 상기 복수의 각 연결구(2)의 제1고리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인양장비의 훅에 걸리는 제2고리부를 갖는 현수기구(3)를 포함한다.
상기 분할 인양구(1)는 원형 조립면(P1)의 둘레의 대략 1/6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의 내측 가장자리에 직립으로 설치되며 중간에 삽입고정공(12)이 형성된 직립판(13)과, 상기 직립판(13)이 지지되게 직립판(13)의 양측에 직립으로 고정된 지지판(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1)상에는 3개의 결합고정공(1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할 인양구(1)의 고정판(11)은 원형 조립면(P1)의 윤곽과 유사한 곡률로 성형된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판상의 고정판(11)상에 중간에 삽입고정공(12)이 형성된 직립판(13)만이 형성되고 고정판(11)상에 결합고정공(15)이 형성된 것으로도 실현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연결구(2)는, 상부에는 상기 제1고리부(22)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돌출고정부(21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삽입피스톤(23)이 고정되게 중간에 고정홈(21b)이 형성된 분기부(21c)가 형성된 연결본체(21)와, 상기 연결본체(21)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현수기구(3)의 연결와이어(31)가 연결된 제1고리부(22)와, 연결본체(21)의 하단의 분기부(21c)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분할 인양구(1)의 삽입고정공(12)에 삽입되는 삽입피스톤(23)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피스톤(23)의 후방에는 상기 삽입피스톤(23)을 후방으로 후퇴시키는 작동와이어(24)가 설치되어 상기 삽입피스톤(23)을 후방으로 후퇴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현수기구(3)는 일단부는 상기 연결구(2)의 제1고리부(22)에 연결된 연결와이어(31)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인양장비(도시되지 않음)의 훅(H)에 걸리는 고정와이어(32)의 제2고리부(32a)가 설치되어, 양측의 연결와이어(31)와 고정와이어(32)가 고정된 현수본체(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2)의 제1고리부(22)와 현수기구(3)의 연결와이어(31)와의 고정은 상기 제1고리부(22)를 통과한 연결와이어(31)의 단부가 금속클립(34)의 파지되고 강고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현수기구(3)의 고정와이어(32)도 현수본체(33)를 통과한 고정와이어(32)의 일단부가 금속클립(34)에 의하여 파지고정되고, 고정와이어(32)의 타단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금속클립(34)에 의하여 파지고정되어 제2고리부(32a)가 형성되어, 인양장비의 훅(H)에 걸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인양구조체(A)의 작동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지중에 고정할 파일(P)의 일단부의 원형 조립면(P1)상에 분할 인양구(1)를 3개를 균등한 각도로 배치하여 고정볼트(4)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된 각 분할 인양구(1)상에 연결구(2)의 삽입피스톤(23)의 작동와이어(24)를 후방으로 잡아당겨서 삽입피스톤(23)이 후퇴하게 되고, 연결본체(21)의 고정홈(21b)이 하방으로 개방되게 하고, 이와 같이 연결본체(21)의 고정홈(21b)이 하방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분할 인양구(1)의 직립판(13)의 삽입고정공(12)과 연결본체(21)의 고정홈(21b)이 연통되게 하고, 삽입피스톤(23)을 후퇴시킨 작동와이어(24)의 후퇴작동을 해제시키면, 삽입피스톤(23)이 삽입고정공(12)내로 전진되면서 분할 인양구(1)와 연결구(2)의 결합이 종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구(2)가 분할 인양구(1)와의 연결이 실현되면, 연결구(2)와 같이 연결와이어(31)로 연결된 현수기구(3)의 고정와이어(32)의 제2고리부(32a)에 인양장비의 훅(H)을 걸어서 인양시키면 서서히 파일(P)이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와 같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파일(P)을 이동시키고 이미 파여진 파일공(도시되지 않음)에 파일(P)을 삽입시키어 파일의 분할 인양구(1)가 고정된 단부가 지면에 근접하게 되면, 파일(P)을 고정시키고, 작동와이어(24)를 당겨서 연결구(2)와 분할 인양구(1)의 결합을 해제시키고, 이어서, 분할 인양구(1)의 고정볼트(4)를 풀어서, 분할 인양구(1)와 파일(P)의 조립면(P1)과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어서, 분할 인양구(1)가 분리된 파일(P)의 조립면(P1)을 가격하여 파일(P)을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고정시켜서 파일(P)의 지중에의 설치가 종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은 대구경의 파일을 소수의 노무자가 파일에 설치하여 용이하게 파일을 인양할 수 있게 되고 기계적으로 대부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공사의 진척이 월등하게 되어 노동생산성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은은 파일 타설을 수행하는 산업분야에서 동일한 파일 인양구조체를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일한 파일 인양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인양구 2. 연결구 3. 현수기구

Claims (2)

  1. 삭제
  2. 파일 인양구조체(A)에 있어서,
    상기 파일 인양구조체(A)는, 파일(P)의 단부의 원형 조립면(P1)에 고정되며 적어도 3개의 조각으로 형성된 복수의 분할 인양구(1)와, 상기 분할 인양구(1)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부에는 제1고리부가 형성된 복수의 연결구(2)와, 상기 복수의 각 연결구(2)의 제1고리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인양장비의 훅에 걸리는 제2고리부를 갖는 현수기구(3)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인양구(1)는 원형 조립면(P1)에 고정되고 결합고정공(15)이 형성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의 내측 가장자리에 직립으로 설치되며 중간에 삽입고정공(12)이 형성된 직립판(13)과, 상기 직립판(13)이 지지되게 직립판(13)의 양측에 직립으로 고정된 지지판(1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는 상부에는 상기 제1고리부(22)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돌출고정부(21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삽입피스톤(23)이 고정되게 중간에 고정홈(21b)이 형성된 분기부(21c)가 형성된 연결본체(21)와, 상기 연결본체(21)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현수기구(3)의 연결와이어(31)가 연결된 제1고리부(22)가 형성되고, 연결본체(21)의 하단에는 상기 분할 인양구(1)의 삽입고정공(12)에 삽입되는 삽입피스톤(2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피스톤(23)의 후방에는 상기 삽입피스톤(23)을 후방으로 후퇴시키는 작동와이어(24)가 설치되고,
    상기 현수기구(3)는 일단부는 상기 연결구(2)의 제1고리부(22)에 연결된 연결와이어(31)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훅(H)에 걸리는 고정와이어(32)가 설치되어, 양측의 연결와이어(31)와 고정와이어(32)가 고정된 현수본체(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구조체
KR1020120102330A 2012-09-14 2012-09-14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 KR101272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330A KR101272430B1 (ko) 2012-09-14 2012-09-14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330A KR101272430B1 (ko) 2012-09-14 2012-09-14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430B1 true KR101272430B1 (ko) 2013-06-07

Family

ID=4886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330A KR101272430B1 (ko) 2012-09-14 2012-09-14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4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175B1 (ko) 2017-08-04 2018-06-27 진 영 이 파일 인양 조립체
KR101958327B1 (ko) * 2017-09-29 2019-03-14 주식회사 은명건설 파일 인양부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인양장치
KR20200009604A (ko)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협성기초기술 파일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106683A (ko) *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은명건설 파일 인양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인양방법
KR102399545B1 (ko) * 2021-11-25 2022-05-18 주식회사 특허기술하림엔지니어링 파일용 인양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5322B2 (ja) 1989-04-26 1998-04-28 三和テッキ株式会社 鉄塔用鋼管の吊り金具
KR101038453B1 (ko) 2010-11-02 2011-06-01 이규철 파일 인양용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5322B2 (ja) 1989-04-26 1998-04-28 三和テッキ株式会社 鉄塔用鋼管の吊り金具
KR101038453B1 (ko) 2010-11-02 2011-06-01 이규철 파일 인양용 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175B1 (ko) 2017-08-04 2018-06-27 진 영 이 파일 인양 조립체
KR101958327B1 (ko) * 2017-09-29 2019-03-14 주식회사 은명건설 파일 인양부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인양장치
KR20200009604A (ko)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협성기초기술 파일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106683A (ko) *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은명건설 파일 인양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인양방법
KR102251882B1 (ko) * 2019-03-05 2021-05-13 주식회사 은명건설 파일 인양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인양방법
KR102399545B1 (ko) * 2021-11-25 2022-05-18 주식회사 특허기술하림엔지니어링 파일용 인양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430B1 (ko) 파일 인양구조체 및 파일 인양방법
KR101215356B1 (ko) 파일 인양용 기구
US8166676B2 (en) Post-puller and method
KR101038453B1 (ko) 파일 인양용 기구
US20150184359A1 (en) Bucket lift ring for loader and backhoe buckets
KR200467345Y1 (ko) 파일 인양구조체
US20240102310A1 (en) Post Puller
JP2019035268A (ja) 杭抜き機の杭キャップ、及び杭キャップを用いた杭抜き工法
CN210756168U (zh) 一种管道焊接用对径装置
JP5579900B1 (ja) 自走用アダプタ及び杭施工方法
US201400487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al extraction of in ground objects
KR20100135379A (ko) 경계석 고정집게
KR20200009604A (ko) 파일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7101545A (ja) 木柱の引抜装置および木柱の引抜方法
CN203905517U (zh) 一种自带连接件的快速拆装护栏
US20040222409A1 (en) Pole bridle
KR20150000802U (ko) 파이프 리프팅 장치
US7090199B2 (en) Base for use with a pole puller
US6530719B1 (en) Gripping and maneuvering apparatus
CN108163713B (zh) 一种简易箱形构件翻身装置及方法
JP5404744B2 (ja) 抜柱機用クランプリング及びこれを利用する電柱抜柱方法
CN216271307U (zh) 一种建筑简易搬运装置
CN204022258U (zh) 一种银亭亭体起吊装置
CN210505217U (zh) 一种焊接球快速吊运装置
KR102161146B1 (ko) 파일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40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526

Effective date: 20170126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26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128

Effective date: 2017090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095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209

Effective date: 2017071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300001861;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810

Effective date: 201710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18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1117

Effective date: 2018020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5000090;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70901

Effective date: 2018041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6781;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0921

Effective date: 2018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