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99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997B1
KR101271997B1 KR1020100119957A KR20100119957A KR101271997B1 KR 101271997 B1 KR101271997 B1 KR 101271997B1 KR 1020100119957 A KR1020100119957 A KR 1020100119957A KR 20100119957 A KR20100119957 A KR 20100119957A KR 101271997 B1 KR101271997 B1 KR 101271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re
cooling
unit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58257A (en
Inventor
황중기
임성욱
김유미
손일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19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997B1/en
Publication of KR20120058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2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9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24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wire, rods, rounds, ba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을 송풍방식으로 냉각하는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선재코일 냉각장치는, 권취된 선재코일이 안착 이송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 유닛의 하측에 하나 이상 배치되면서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선재코일의 겹침부 분리를 가능토록 서로 다른 이송속도를 갖는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을 통한 냉각구간에서 선재코일의 이송속도를 가변시키는 한편, 단차부를 통한 낙하구간을 설정하여 온도편차의 주 원인인 선재코일 겹침부(Hot Spot)의 분리를 유도함으로써,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 냉각을 가능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코일의 폭방향 인장강도 편차를 줄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rovided is a wire coil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a wire rod to be wound and transported by a blowing method.
The wire rod coil cooling apparatus may include a conveyor unit to which the wound wire rod is seated and transferred; And a blowing duct mean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veyor unit to cool and cool the wire coil, wherein the conveyor unit has a plurality of feed rates having different feed rates to separate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wire coi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nit conveyor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varying the feed speed of the wire rod coil in the cooling section through the blowing, by setting the falling section through the step portion by inducing the separation of the hot spot coil (Hot Spot)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temperature devi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proved effect of enabling uniform cool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and ultimately reducing the variation i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il in the width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 quality.

Figure R1020100119957
Figure R1020100119957

Description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Wire rod coil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본 발명은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을 송풍방식으로 냉각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선재코일의 이송속도를 가변시키는 한편, 단차부를 통한 낙하구간을 설정하여 온도편차의 주 원인인 선재코일 겹침부(Hot Spot)의 분리를 유도함으로써,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 냉각을 가능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코일의 폭방향 인장강도 편차를 줄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 가능하게 한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il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wire coil to be wound and transported by a blow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by varying the feed speed of the wire rod coil and setting a drop section through the stepped portion,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temperature deviation. Wire coil cooling system that enables uniform cool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wire rods by inducing separation of hot spot coils, and ultimately reduces the variation i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il in the width direction, thereby improving product quality. And to a method.

일반적으로 선재는 압연공정(조압연, 중간조압연, 중간사상압연 및 사상압연)을 거쳐 수냉대에서 냉각된 후 권취(집적)후 정정라인에 투입되고, 이와 같은 선재는 직경 5.5 ~ 15mm 의 소구경 선재와 직경 15 ∼ 42 mm의 대구경 선재를 생산하게 된다. In general, the wire is cooled in a water cooling zone through a rolling process (rough rolling, intermediate rough rolling, intermediate sand rolling, and finishing rolling), and then wound into a correction line after winding (integration). It will produce caliber wire rods and large diameter wire rods with a diameter of 15 to 42 mm.

한편, 소구경 선재의 경우, 레잉-헤드(laying head)를 통하여 나선형 코일형태로 형성시키면,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과 병행하여 열처리를 수행한 후, 집적기(reform tube)를 통하여 집적한 다음, 검사라인으로 투입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mall diameter wire rod, when formed in the form of a spiral coil through a laying head,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conveyance of the roller conveyor, and then integrated through a reformer tube, and then inspected. Is put into the line.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기(110)에서 압연된 소재는 냉각수로 냉각하는 수냉대(120)에 의해 냉각되고, 권취기인 레잉-헤드(130)를 거치면서 권취된 후, 권취된 선재코일(100)은 롤러 컨베이어(140)의 이송 롤러(142)에 연속적으로 낙하 이송되고, 이때 롤러 컨베이어(140)를 통과하는 선재코일은 하부에 설치된 송풍유닛(15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열처리가 수행되고, 그 다음 집적기(160)에서 최종 제품으로 집적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raw material rolled in the rolling mill 110 is cooled by a water chiller 120 for cooling with cooling water, and after being wound while passing through the laying-head 130 as a winding machine The wound wire coil 100 is continuously dropped and transported to the conveying roller 142 of the roller conveyor 140. In this case, the wire coil passing through the roller conveyor 140 is blown from the blower unit 150 installed below. Heat treatment is performed by cooling with air and then integrated into the final product in integrator 160.

예를 들어, 레잉-헤드(130)에서 권취되면서 롤러 컨베이어 상에 낙하되는 선재코일의 온도는 대략 850~950 ℃ 정도이나, 송풍구간을 통과하여 냉각된 선재코일은 대략 150~300℃ 정도까지 냉각된다.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wire rod coil which falls on the roller conveyor while being wound on the laying-head 130 is about 850 to 950 ° C., but the wire coil that is cooled through the blowing section is cooled to about 150 to 300 ° C. do.

한편,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유닛(150)은, 송풍기(152)가 하부에 설치된 덕트(154)를 포함하고, 덕트 상에는 이송 롤러(142)사이로 배치되는 플레이트의 개구부분 즉, 노즐 개구(156)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lower unit 150 includes a duct 154 in which a blower 152 is disposed below, and an opening portion of a plate disposed between the transfer rollers 142 on the duct. That is, the nozzle openings 156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그런데, 이와 같은 송풍유닛(150)을 일명 스텔모어 냉각대(stelmor)라고도 하는데, 송풍력의 세기 또는 선재코일(100)의 이송 속도 등 냉각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냉각능을 구현하는 이점은 제공하나, 선재코일(100)의 폭방향으로 동일한 송풍을 구현하는 것이다.By the way, such a blower unit 150 is also known as a Stelmore cooling stand (stelmor), but provides an advantage of implementing a variety of cooling capabilities depending on the cooling conditions, such as the strength of the blow force or the transfer speed of the wire coil 100, It is to implement the same b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100.

즉, 기존에 알려진 송풍유닛을 이용한 스텔모어 냉각대의 경우,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코일의 적치시 선재코일(100)의 측면부(가장자리부분)(도 2의 'E'부분)과 중앙부분(중심부) 간의 적치(겹침)밀도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송풍환경 하에서는, 냉각되는 소재의 변태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최대 80℃ 까지도 선재코일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측면부)간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Stelmore cooling stand using a conventional blowing unit,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side portion (edge portion) of the wire rod coil 100 (the 'E' portion of FIG. 4), as shown in FIG. 4, under the same blowing environment, the center of the wire coil may be up to 80 ° C at the time of transformation of the material to be cooled under the same blowing environmen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part and the edge part (side part) occurs.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서는 선재코일의 폭방향 온도 분포를 적외선 열화상 온도분포 측정기로 측정한 사진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를 분석하면 도 6에서 그래프로 도시한 바와 같이, 0.8 %의 탄소를 포함하고 직경이 5.5 mmφ 인 선재코일(100)의 경우, 레잉-헤드(130)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코일의 중심부분과 가장자리부분간 온도 이력에서 차이가 심하게 발생됨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FIG. 5A and FIG. 5B show a photograph obtain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using an infrared thermal imager. When analyzing this, as illustrated in the graph of FIG. In the case of the wire coil 100 having a diameter of 5.5 mmφ, as the distance from the laying head 130, the difference in the temperature history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coil is severely generated.

따라서, 권취되면서 롤러 컨베이어에 낙하되는 선재코일의 적치밀도 차이가 발생됨에 따라, 선재코일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에서의 냉각속도 차이에 의한 온도편차로 인하여,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미세조직이 달라지고, 이는 결국 제품 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Therefore, as the difference in the stowage density of the wire coil falling on the roller conveyor while winding occurs, the microstructure is differ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due to the temperature devi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cooling speed at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wire coil. This eventually leads to product failure.

한편, 이와 같은 선재코일의 폭방향 온도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에는 송풍유닛(150)의 덕트(154)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격벽을 설치하여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의 냉각능을 더 집중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선재코일 자체의 직경이 변하면 실효성이 적은 것이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duce the widthwis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wire rod coil, although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in the prior art by installing a part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duct 154 of the blowing unit 150 by the edge of the wire coil There is a method of further concentrating the cooling capacity of the part, but in this case it was less effective if the diameter of the wire coil itself changes.

또는, 이송 컨베이어 상에서 선재코일의 가장자리 부분에 추가로 공기 또는 냉각수(미스트)를 분사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냉각능 제어도 어렵고, 별도의 복잡한 설비가 필요하고, 과도한 냉각을 차단토록 커버체를 롤러 컨베이어 상에 덮어서 사용하는 경우 공간적 제한도 문제가 되었다.Alternatively, air or cooling water (mist) may be additionally sprayed to the edge of the wire coil on the conveying conveyor, but in this case, the cooling capacity is difficult to control, a separate complicated facility is required, and the cover body is blocked to prevent excessive cooling. Spatial limitations have also been a problem when used on roller conveyors.

또는, 송풍유닛의 덕트 내측으로 격벽에 단순하게 공기 방향을 제어하는 댐퍼를 설치하여 송풍공기를 가능한 선재코일 가장자리로 유도하는 방법도 있으나, 실제 선재코일의 적치밀도 차이에 의한 폭방향 온도 편차의 완전한 해소는 미흡한 실정이었다.Alternatively, a damper for simply controlling the air direction inside the duct of the blower unit may be installed to guide the blower air to the edge of the wire rod as much as possible. Resolution was insufficient.

특히, 근래 선재 제품의 요구되는 직경(크기)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앞에서 설명한 알려진 냉각방식만으로는 그 실효성이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the situation where the required diameter (size) of wire rod products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e effectiveness of the known cooling method alone is problematic.

즉, 이와 같이 송풍 풍량(방향)을 조절하는 종래의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재코일의 중앙(중심)부분과 가장자리부분의 냉각편차를 해소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of adjusting the airflow amount (direction) in this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limit in eliminating the cooling deviation of the center (center)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wire rod coil.

예를 들어, 도 7에서는 선재코일의 폭방향 송풍속도분포를 개략적인 모식도로 도시하고 있는대, 도 7에서 'X' 영역으로 표시한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에서 벗어난 송풍 손실영역이 발생되기 쉽다.For example, in FIG. 7, the width direction blowing speed distribution of the wire rod coil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a blowing loss region deviating from an edge portion of the wire rod coil indicated by the 'X' region in FIG. 7 is likely to occur.

즉, 종래의 경우, 송풍방향이 항상 롤러 컨베이어(140)를 따라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아래 방향에서 수직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겹침밀도가 높은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에서 아래쪽에 놓인 선재코일의 링은 공기접촉으로 냉각이 이루어지나, 겹쳐진 위쪽에 위치되는 선재코일의 링은 공기접촉에 한계가 있어, 냉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결국 냉각 편차가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blowing direction is always formed vertically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wire rod that is conveyed along the roller conveyor 140, the ring of the wire rod placed below the edge of the wire rod having high overlapping density is air. The cooling is performed by contact, but the ring of the wire coil positioned in the overlapped upper limit of the air contact, the cooling is not effective effectiv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ling deviation still exists.

예컨대, 도 8a 및 도 8b에서는 이와 같은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의 겹침밀도 증대에 따른 문제를 나타낸, 실제 라인에서 적외선 열화상 온도분포 측정기로 수집한 사진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8a와 같이, 실제 레잉-헤드(도 1,2의 130)에서 권취되면서 롤러 컨베이어에 낙하되어 이송되는 선재코일(100)의 특히 가장자리부분에서 링들간 겹침부(Hot Spot 부)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For example, FIGS. 8A and 8B show photographs collected by an infrared thermographic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instrument in a real line showing a problem of increasing the overlap density of the edge portion of the wire coil, as shown in FIG. 8A. The overlap between the rings (Hot Spot part) inevitably occurs in the edge portion of the wire coil 100, which is wound on the head (130 of Figs. 1,2) and transported to the roller conveyor.

따라서, 도 8b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선재코일의 중앙부분 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치(겹침)밀도가 높은 가장자리부분의 온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Therefore, as can be seen in the photo of Figure 8b,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dge portion having a relatively high pile density (overlap) density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ire rod coil.

이와 같은 겹쳐진 링 부위를 분리시키지 않고 냉각초기부터 상변태 종료 지점까지 그대로 유지한다면, 앞의 선재코일의 균일 냉각방법만으로는 도 8b에서와 같이, 겹침부에 송풍량을 높여도 정상적인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즉, 선재코일의 겹침부는 계속해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선재코일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서서히 냉각되는 서냉이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선재코일의 폭방향 재질편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If the overlapped ring portion is not separated from the initial stage of cooling to the end of phase transformation, the uniform cooling method of the wire rod coil alone does not allow the normal cooling to be achieved even if the air flow is increased in the overlapping portion as shown in FIG. 8B. there was. In other words,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wire rod is not continuously made heat transfer, the slow cooling is relatively slow compared to the other parts of the wire coil, and as a result, the material devi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rod coil occurs.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기존의 선재코일 가장자리부분으로의 송풍 능력(풍량,속도)을 높이어 그 부분의 냉각이 더 많이 되도록 하는 균일 냉각 대신에. 선재코일의 링 형상을 겹침부가 억제되는 형태로 개선시키어 선재코일 자체의 온도편차를 억제하여, 송풍 냉각과 상관없이 폭방향 온도편차 자체를 제거토록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uniform cooling to increase the blowing capacity (air flow rate, spe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existing wire rod to make the cooling of the portion m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ring shape of the wire rod coil in such a manner that the overlapping portion is suppressed to suppress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wire rod coil itself, thereby eliminating the width deviation in the width direction irrespective of air cool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송풍을 통한 냉각구간에서 선재코일의 이송속도를 가변시키는 한편, 단차부를 통한 낙하구간을 설정하여 온도편차의 주 원인인 선재코일 겹침부(Hot Spot)의 분리를 유도함으로써,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 냉각을 가능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코일의 폭방향 인장강도 편차를 줄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 가능하게 한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while varying the transfer speed of the wire rod coil in the cooling section through the blowing air, while setting the falling section through the stepped portion of the wire coil overlap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temperature deviation By inducing the separation of hot spots, it is possible to uniformly cool the wire coil in the width direction and ultimately reduce the variation i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il in the coil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 wire coil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improve the product quality. It's the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권취된 선재코일이 안착 이송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 유닛의 하측에 하나 이상 배치되면서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선재코일의 겹침부 분리를 가능토록 서로 다른 이송속도를 갖는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은, 선재코일이 안착 이송되는 이송 롤러들을 포함하는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은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토록 각각의 개별 구동원들과 연계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은 선재코일의 냉각능을 높이도록 단차부를 매개로 연이어 배열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송풍 덕트수단들의 경계부에서 벗어나 배치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yor unit to which the wound wire coil is seated and transported; And a blowing duct means provided at one or more lower sides of the conveyor unit to blow-cool the wire rod coil, wherein the conveyor unit has a plurality of feed rates having different feed rates to separate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wire rod coil. Unit conveyor means of,
The unit conveyor means is composed of a roller conveyor comprising conveying rollers on which the wire rod is seated, the unit conveyor means are associated with each individual drive source to drive at different speeds,
Unit conveyor means constituting the conveyor unit is arranged in succession through the stepped portion to increase the cooling capacity of the wire rod, the stepped portion provides a wire coil cooling device which is disposed away from the boundary of the blowing duct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컨베이어 수단의 구동원은, 선재코일 이송속도의 증속 또는 감속을 구현토록 장치 제어부와 연계되고, 상기 장치 제어부는 이송되는 선재코일 상에 배치된 열화상 온도분포 측정기와, 컨베이어의 이송롤러 측 또는 구동원 측의 엔코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계되는 것이다.

상기 송풍 덕트수단은, 내측에 송풍기를 송풍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덕트의 내측에는 하부에 댐퍼가 설치된 격벽이 제공되고, 상기 격벽과 덕트 측벽 중 적어도 격벽에는 디플렉터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More preferably, the drive source of the unit conveyor means is connected with the apparatus control unit to implement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wire transfer speed, the apparatus control unit and the thermal imag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device disposed on the wire coil to be transferred, the conveyor At least one of the encoder of the feed roller side or the drive source side of the.

The blower duct means may include a blower duct inside the blower, a partition provided with a damper at a lower portion of the blower duct, and at least one of the barrier ribs and the side wall of the duct is further provided with a deflec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연이어 배치된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을 매개로 선재코일을 이송속도를 가변시키면서 이송시키는 선재코일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 중인 선재코일을 송풍을 매개로 냉각하는 선재코일 냉각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 사이에는 송풍 덕트수단들의 경계부에서 벗어나 배치되는 단차가 형성되어 이를 통과하는 선재코일의 낙하 이송으로 냉각능 향상과 선재코일 겹침부의 분리가 증폭되도록 구성된 선재코일 냉각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oil transfer step for transferring the wire coil while varying the feed rate via a plurality of unit conveyor means arranged in succession; And
A wire coil cooling step of cooling the wire coil in transit through a blowing air;
, ≪ / RTI >
It provides a wire coil cooling method configured to increase the cooling capacity and to amplify the separation of the overlapping wire rod coil by the step conveyance of the wire coil passing through it is formed between the unit conveyor means is formed to step away from the boundary of the blowing duct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재코일의 이송속도의 증속 또는 감속시 각각 20% 또는 15% 이내로 제어되는 한편, 최저 5% 보다는 크게 증속 또는 감속시키는 것이다.Preferably, while increasing or decelerating the feed rate of the wire rod, the speed is controlled within 20% or 15%, respectively, while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peed by more than 5%.

삭제delet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송풍을 통한 냉각구간에서 선재코일의 이송속도를 가변시키는 한편, 단차부를 통한 낙하구간을 설정하여 온도편차의 주 원인인 선재코일 겹침부의 분리를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such a wire coil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varying the feed speed of the wire coil in the cooling section through the blowing, by setting the falling section through the step portion to separate the wire coil overlap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temperature deviation To induce.

따라서, 본 발명은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 냉각을 가능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코일의 폭방향 인장강도 편차를 줄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enabling uniform widthwise cooling of the wire rod and ultimately reducing the variation i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il in the widthwise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도 1은 일반적인 선재코일 제조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선재코일 냉각대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종래 냉각대를 이용한 선재코일의 냉각시 선재코일의 적치밀도 및 온도편차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종래 냉각된 선재코일의 적외선 열화상 온도분포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6은 종래 선재코일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분 사이의 온도이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종래의 선재코일의 폭방향 송풍 속도 분포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선재코일의 링 겹침부 및 열화상 온도분포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본 발명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장치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과 그 사이의 단차부를 도시한 요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장치에서 단위 컨베이어 수단사이의 단차부에서의 송풍강도를 나타낸 분포도이며,
도 13a 내지 도 13c는 종래와 본 발명 냉각방식에 따른 선재코일 링 부위별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ypical wire coil manufacturing step,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wire coil cooling zone in FIG.
3 and 4 are graphs showing the stowage density and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wire rod coil when the wire rod coil is cooled using a conventional cooling stand.
5a and 5b are photographs showing the infrared thermal imag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conventionally cooled wire rod coil,
6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history between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conventional wire rod coil,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idth direction blowing speed distribution of a conventional wire rod coil,
8a and 8b are photographs showing the ring overlapping portion and the thermal image temperature distribution state of the wire coil,
9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ire coil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of FIG. 9,
Fig. 11 is a main view showing the unit conveyor means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ep portion therebetween,
12 is a distribution chart showing the blowing strength at the stepped portion between the unit conveyor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13A to 13C are graphs showing tensile strength of wire rod ring portion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First, FIGS. 9 to 11 show the wire coil cool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는, 그 구성 일예로서 레잉-헤드(도 1의 130)로부터 권취된 선재코일(2)이 안착 이송되는 컨베이어 유닛(10) 및, 상기 컨베이어 유닛(10)의 하측에 하나 이상 배치되면서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컨베이어 유닛(10)은, 선재코일의 겹침부 밀도를 낮추도록 서로 다른 이송속도를 갖는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20)들로 구성될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wire coil cool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oil 2 wound from the laying head (130 of Fig. 1) is seated and transported 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Conveyor unit 10 and a blower duct means 40 provided to blow cooling the wire rod coil while being disposed at least one under the conveyor unit 10, the conveyor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Silve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conveyor means 20 having different feed speeds to lower the overlapping density of the wire rod coil.

따라서,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는, 종래와는 다르게 단위 컨베이어 수단(20)들이 서로 다른 속도로 가동되면서, 안착 이송되는 선재코일(2)의 겹침부를 서로 분리(이격)시키어 선재코일의 송풍 냉각시 가장 문제가 되는 선재코일의 폭방향 냉각 불균일을 제거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Therefore, the wire rod coil cool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spaces)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wire rod coil 2 to be seated and transported while the unit conveyor means 20 are operated at different speeds, unlike the prior art. The feature is that the widthwise cooling unevenness of the wire rod coil, which is the most problematic when blowing the coil, is eliminated.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유닛(10)을 구성하는 단위 컨베이어 수단(20)들은, 선재코일이 안착 이송되는 이송 롤러(22)들을 포함하는 롤러 컨베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9 and 11, the unit conveyor means 20 constituting the conveyor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conveyor comprising a transfer roller 22 to which the wire rod is seated and transported It may be provided as.

이때, 상기 단위 컨베이어 수단(20)은, 대략 5개 정도의 이송 롤러(22)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컨베이어 수단(20)으로 구성되고, 따라서 각각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20)들은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토록 각각의 독립 구동원(24)들과 연계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unit conveyor means 20 is composed of one conveyor means 20 by combining about five transfer rollers 22, so that each unit conveyor means 20 is driven at different speeds It i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independent drive sources 24.

즉, 도 9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컨베이어 수단(20)들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계되어 선재코일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원(24)은, 하나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20)의 이송 롤러(22)들중 하나에 연계되는 구동모터(28)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28)가 연계되는 구동 롤러와 다른 이송 롤러의 축에는 각각 구동체인(26)이 설치되는 스프로켓(27)들이 설치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9 and 11, the drive source 24 is connected to each of the unit conveyor means 20 independently to enable the transfer of the wire rod coil, the one of the unit conveyor means 20 A sprocket 27 including a drive motor 28 associated with one of the transfer rollers 22, the drive chain 26 being installed on the axis of the drive roller and the other transfer roller to which the drive motor 28 is linked, respectively. ) Are installed.

따라서, 상기 단위 컨베이어 수단(20)에 연계된 독립 구동원(24)의 구동모터(28)가 구동되면, 이송 롤러 중 구동 롤러가 구동되고, 따라서 스프로켓을 매개로 체결된 구동체인(26)들이 다른 이송롤러(22)들을 회전 구동시킨다.Therefore, when the drive motor 28 of the independent drive source 24 linked to the unit conveyor means 20 is driven, the drive roller of the transfer roller is driven, so that the drive chains 26 fastened via the sprocket are different. The feed rollers 22 are driven to rotate.

즉, 도 11에서는 하나의 구동체인(26)이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바람직하게는 이송롤러들의 축에는 2중의 스프로켓(27)들이 장착되고 각각 엇갈리게 구동체인들이 체결되면, 중앙측 또는 전방이나 후방측으로 구동모터(28)가 동력 전달토록 연결된 스프로켓이 회전 구동되면, 동일한 회전 속도로 다른 스프로켓과 일체로 이송 롤러 들이 회전 구동되는 것이다.That is, although one drive chain 26 is illustrated in FIG. 11, preferably, two sprockets 27 are mounted on the axes of the transfer rollers, and when the drive chains are alternately fastened, respectively, the center side,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When the sprocket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28 to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side is driven to rotate, the feed rollers are driven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other sprocket at the same rotation speed.

결국, 구동모터의 가동에 따라, 단위 컨베이어 수단을 하나의 이송 존으로 하여 이송 롤러들의 회전속도가 가변되는 것이다.As a resul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nsfer rollers is varied by using the unit conveyor means as one transfer zone.

한편,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20)의 구동원(24)의 구동모터(26)들은 장치 제어부(C)와 연계되고, 상기 장치 제어부(C)는 이송되는 선재코일 상에 배치된 열화상 온도분포 측정기(S)와, 컨베이어의 이송롤러 측 또는 구동원 측에 제공된 엔코더(E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계되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drive motors 26 of the drive source 24 of each unit conveyor means 20 are connec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C, and the device control unit C is It is linked with at least one of the thermal imag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device S disposed on the wire rod to be conveyed, and the encoder EN provided on the conveying roller side or the driving source side of the conveyor.

따라서, 상기 열화상 온도 분포 측정기(S)와 엔코더(EN)에서 측정된 컨베이어의 상의 선재코일(2)의 이송속도 또는 컨베이어의 이송롤러(22)의 회전 구동속도를 원하는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the feed rate of the wire rod coil 2 on the conveyor or the rotational drive speed of the feed roller 22 of the conveyor measured by the thermal imag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device S and the encoder EN can be controlled to a desired state. .

예를 들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잉-헤드(130)에서 권취되면서 추출되는 선재코일(2)은 제1의 컨베이어 수단(20)상에 낙하되면서 이송되고, 그 다음 제2의 컨베이어 수단(20)을 통하여 이송되되, 제1의 컨베이어 수단 보다는 더 속도가 증속된 상태로 이송되고, 그 다음 제3 및 제4의 컨베이어 수단들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이송속도가 증속되면서 이송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wire coil 2 extracted while being wound up in the laying-head 130 is transported while falling onto the first conveyor means 20, and then the second conveyor. It is conveyed through the means 20, but is conveyed at a higher speed than the first conveyor means, and then conveyed in steps of increasing speed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conveyor means.

반면에,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 롤러 컨베이어(140)에서 라인 구성을 위한 단일 컨베이어 존(유닛)의 길이는 대략 6~10m 이며 각 컨베이어 존 별로 서로 다른 모터를 활용하여 선재를 이송하게 되지만, 실제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는 동일한 속도로 구현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length of a single conveyor zone (unit) for the line configuration in the conventional roller conveyor 140 is approximately 6 ~ 10m and utilizes a different motor for each conveyor zone Although wire rods are transferred, the actual transfer conveyor's transfer speed is realized at the same speed.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선재코일(100)의 가장자리부분의 겹침부(HOT SPOT 부)가 한번 만들어진 후에는,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분리(이격)되지 않고, 이송후 집적되기 때문에 앞에서 계속 설명한 바와 같이, 선재코일의 겹침부에서의 서냉에 따른 선재코일의 폭방향 온도편차가 발생되고, 급격한 인장강도의 하락을 초래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overlapping portion (HOT SPOT portion) of the edge portion of the wire coil 100 is made once, it is not separated (separated) in the maintained state, but accumulated after transportation, as described above. , The widthwis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wire rod due to the slow cooling at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wire coil occurs, causing a sudden drop in tensile strength.

그런데,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위 컨베이어 수단(20)은 종래 단일 컨베이어 존에 비하여, 길이가 짧은 3m 정도로 하면서, 단위 컨베이어 수단의 이송 속도를 다르게 하기 때문에, 선재코일의 겹침부가 종래에 비하여는 더 많이 분리되는 것이다.By the way,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conveyor means 20 is about 3m short in length,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ngle conveyor zone, because the transfer speed of the unit conveyor means is different, wire rod coil The overlapping portions of are more separated than in the prior art.

예를 들어, 단위 컨베이어 수단의 이송 롤러(22)의 회전속도가 선재코일의 이송속도이므로, 선행에 비하여 후행 단위 컨베이어 수단(20)의 이송속도를 12% 내외로 증속 또는 감소시키면서 겹침부의 분리를 구현하는 것이다.For example, sin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onveying roller 22 of the unit conveyor means is the conveying speed of the wire rod coil, separation of the overlapped portion is increased while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onveying speed of the following unit conveyor means 20 to about 12% compared to the preceding. Is to implement.

다음,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에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10)을 구성하는 단위 컨베이어 수단(20)들은 연이어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미세 스텝(step)의 단차부(30)를 형성하면서 연이어 배열되는 것이다.Next, as shown in FIGS. 9 and 10, in the wire coil cool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conveyor means 20 constituting the conveyor unit 10 are no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succession, but rather fine steps. It is arranged successively, forming the step part 30 of (step).

따라서, 기존에 거의 직선상으로 배열된 컨베이어 존에 비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선재코일이 이송되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 컨베이어 수단의 길이인 3m 정도에서 반복적으로 단차부(30)에서 낙하 이송되는 것이다.Therefore, compared to the conveyor zon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wire rod is conveyed, it is repeatedly transported from the stepped portion 30 at about 3m of the length of the unit conveyor means as described above will be.

즉, 종래와 같이 직선상으로 하나의 평면상에서 컨베이어 수단들의 속도만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는 선재코일의 겹침부(Hot spot부)(도 2의 E)가 분리되는 것에 한계가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컨베이어 수단(20)들사이의 단차부(30)로 인하여, 선재코일의 링들이 단차부에서 자유 낙하하면서 자연스럽게 겹침부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That is, by changing only the speed of the conveyor means on a single plane in a straight line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hot spot portion (E of FIG. 2) of the wire rod coil is separated,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due to the stepped portion 30 between the unit conveyor means 20, the rings of the wire coil freely fall from the stepped portion, thereby naturally separating the overlapped portion.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차부(30)는 50~100mm 정도를 유지하는 것인데, 단차부 높이가 너무 높으면, 겹침부 분리에는 효과적이지만, 서냉재 작업시에는 오히려 단차부에서 선재코일의 늘어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물론, 단차부 높이가 너무 낮으면 단차부에 의한 겹침부 분리 효과가 미비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step portion 30 is to maintain about 50 ~ 100mm, if the height of the step portion is too high, it is effective to separate the overlapping portion, but the phenomenon of sagging of the wire coil in the step portion when working slow cooling material Can be generated. Of course, if the step height is too low, the effect of separating the overlap by the step will be insufficient.

다음, 도 9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앞에서 설명한 상기 송풍 덕트수단(40)은, 그 전,후단부가 상기 단차부(30)를 사이에 두고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다.Next, as illustrated in FIGS. 9 and 11, the blowing duct means 40 described above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are arranged with the stepped portion 30 interposed therebetween.

따라서, 송풍 덕트수단(40)의 전,후측 끝 보다는 중앙부분에 단차부(30)가 위치되고, 이는 단차부(30)를 통하여 통기되는 송풍공기에 의하여, 단차부에서 선재코일의 링 들이 낙하되는 동안 그 냉각능이 가일층 향상되게 된다.Therefore, the stepped portion 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blower duct means 40 rather than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and the ring of the wire rod coils fall from the stepped portion by the blowing air that is vented through the stepped portion 30. The cooling capacity is further improved during the process.

즉, 본 발명에서는 단차부(30)에서 낙하되는 선재코일을 강하게 냉각해 주는 것이 균일 냉각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은 단차부를 중앙측에 위치되도록 배열을 조정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vantageous to uniformly cool the wire coil falling from the stepped portion 30 in terms of uniform cooling, so that the unit conveyor means adjusts the arrangement so that the stepped por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side.

예컨대, 도 11은 단차부에서의 냉각능 효과에 대하여 컴퓨터 해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인데,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단위 컨베이어 수단(20)들의 이송롤러(22) 사이보다는 단위 컨베이어 수단사이의 단차부(30)에서 보다 강하고 많은 양의 송풍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FIG. 11 is a photograph showing a result of computer analysis of the cooling capacity effect in the stepped por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11, the stepped portion between the unit conveyor means rather than between the feed roller 22 of the unit conveyor means 20 It can be seen from (30) that a stronger and larger amount of blowing air passes.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컨베이어 존의 경계에 덕트의 경계가 일치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컨베이어 존의 경계부에서의 냉각효율이 적었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단차부 구성이 없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boundary of the duct coincides with the boundary of the conveyor zone, the cooling efficiency at the boundary of the conveyor zone is small, an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conventional step configuration.

다음,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송풍 덕트수단(40)은, 내측에 송풍기(47)가 배치되는 송풍덕트(42)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덕트(42)의 내측에는 하부에 댐퍼(48)가 설치된 격벽(44)이 제공되고, 상기 격벽과 덕트 측벽 중 적어도 격벽에는 디플렉터(46)가 구비될 수 있다.9 and 10,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er duct means 40 includes a blower duct 42 having a blower 47 disposed therein, and the blower duct 42. The inn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44 is provided with a damper 48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at least one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duct side wall may be provided with a deflector 46.

따라서, 도 10과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는 송풍덕트(42)의 송풍기(47)가 가동되어 발생되는 송풍공기(A)는 격벽(44)을 통하여 가능한 냉각이 어려운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으로 유도되고, 더하여 댐퍼(48)와 상부 양측 또는 일측에 제공되는 디플렉터(46)들은 송풍 방향이나 송풍량의 선재코일 가장자리 유도를 더 구현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er air A generated when the blower 47 of the blower duct 42 is operated is led to the edge of the wire coil which is difficult to cool through the partition wall 44. In addition, the dampers 48 and the deflectors 46 provid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damper 48 further implement the wire coil edge guidance of the blowing direction or blowing amount.

이와 같은 댐퍼와 디플렉터 들은 별도의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을 통하여 덕트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Such dampers and deflectors are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separate drawings, but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a duct through a motor or a pneumatic cylinder.

그리고, 상기 디플렉터 들은 격벽과 덕트 내측벽에 각각 제공되어, 선재코일이 이송 컨베이어 유닛을 따라 이송하는 경우, 정상적인 이송경로에서 벗어나도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의 위치에 대응하여 송풍공기의 송풍방향이나 송풍량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deflectors are provided on the partition wall and the duct inner wall, respectively, and when the wire rod coil is transported along the transfer conveyor unit, the blowing direction or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air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edge portion of the wire rod coil even if it is out of the normal transfer path. Makes it possible to adjust.

한편, 도 10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잉헤드(130)에서 직경이 1100mm인 링들로 귄취되는, 선경 10mm의 선재코일(시편)을 이송시키는데, 이때 단위 컨베이어 수단(20)의 길이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3m로 구성하였다.Meanwhile, referr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wire coil coo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FIG. 10,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laying head 130 is curled into rings having a diameter of 1100 mm, and a diameter of 10 mm. The wire coil (test piece) of the transfer, wherein the length of the unit conveyor means 20 was configured as 3m as described above.

한편, 본 발명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의 이송속도는 레잉-헤드(130)를 기준으로 총 8개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20)들의 이송속도들을 각각 0.5m/s, 0.59m/s, 0.7m/s, 0.79m/s, 0.9m/s, 0.82m/s, 0.73m/s 및, 0.65 m/s 으로 설정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ying speed of the unit conveyor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ransport speed of the total eight unit conveyor means 20 on the basis of the laying-head 130, respectively 0.5m / s, 0.59m / s, 0.7m / s, 0.79 m / s, 0.9 m / s, 0.82 m / s, 0.73 m / s and 0.65 m / s were set.

이때, 선경 10mm 선재코일이 레잉-헤드로부터 25m이전에 변태가 끝나기 떼문에, 이후의 이송 컨베이어 유닛(10)의 이송속도는 일정하게 하였다. At this time, since the transformation of the wire diameter of 10mm wire rod 25m before the laying head is finished, the conveying speed of the subsequent conveying unit 10 is made constant.

한편, 본 실시예에서 단위 컨베이어 수단(20)들의 속도는 선재코일 진행방향으로 증속시에는 20%이하로, 감속시에는 15%이하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단위 컨베이어 수단간 이송속도의 차이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지만, 증속 차이가 너무 크면, 선재코일의 겹침부 분리는 양호하지만 선재코일이 과도하게 늘어지고, 반대로 감속 차이가 너무 크면, 후행의 선재코일이 선행되는 선재코일을 타고 넘어가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렇다고 증속 또는 감속시 차이가 선,후행 컨베이어 수단사이에서 5% 이하이면, 오히려 속도 차이가 너무 작아 선재코일 겹침부의 분리 효과가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eed of the unit conveyor means 20 is 20% or less at the time of increasing the speed in the wire coil progress direction, 15% or less is maintained at the time of deceleration. For example, it may be desirable to increase the difference in feed speed between the unit conveyor means, but if the speed difference is too large, the overlap of the wire rod is good but the wire coil is excessively stretched, and conversely, if the deceleration difference is too large, There is a concern that a problem may arise in that the wire rod coil, which is followed by the preceding wire rod, is crossed over. However, if the difference in speed or deceleration is 5% or less 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conveyor means, the speed difference is so small that there is no separation effect of the wire coil overlap.

한편, 단위 컨베이어 수단(20)간 단차부(30)는 70mm 정도를 유지하였는데,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차부 높이는 높을수록 겹침부의 분리에 유리하나 고온상태에서 강도가 약한 소재인 경우 오히려 단차부에서 낙하되면서 늘러지거나 이송롤러 사이에 끼일 수 있어, 단차부 높이는 70mm 정도가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epped portion 30 between the unit conveyor means 20 maintained about 70mm, which is, as described above, the higher the stepped portion is advantageous for the separation of the overlapped portion, but rather the stepped portion when the material is weak in high temperature state It may be stretched while falling from or pinched between the feed rollers, the step height is preferably about 70mm.

따라서,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를 이용한 냉각단계를 정리하면, 연이어 배치된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20)들을 매개로 선재코일(2)을 단계적으로 이송속도를 가변시키면서 이송시키는 선재코일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 중인 선재코일을 송풍을 매개로 냉각하는 선재코일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9 to 11, when the cooling step using the wire rod coil cool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rranged, the wire coil (through the plurality of unit conveyor means 20 arranged in succession) It may include a wire coil transfer step for transferring the step 2) while varying the feed rate stepwise, and a wire coil cooling step for cooling the wire coil in the transfer via the air blowing.

즉, 본 발명은 선재 냉각시 선재코일을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을 매개로 일정비율로 증속 또는 감속시키어 일차적으로 선재코일의 겹침부를 분리시키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re is cooled, the wire coil is increased or decelerated at a constant rate through the unit conveyor means to separate the overlap of the wire coil.

다음, 상기 선재코일의 이송속도의 증속 또는 감속시 각각 20% 또는 15% 이내로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고, 특히 최저 5% 보다는 크게 증속 또는 감속시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Nex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feed rate of the wire rod to be controlled within 20% or 15%, respectively, particularly to increase or decrease more than the minimum of 5%. The reason is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선재코일을 단위 컨베이어 수단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증속 또는 감속하면서 이송시키되, 단차부를 통과하면서 자연스런 추가의 자유낙하 이송을 구현하여, 겹침부 분리를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이와 같은 단차부를 통과하는 강판 송풍공기(A)를 통하여 선재코일의 냉각능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Then, the wire coil is conveyed while continuously increasing or decelerating through the unit conveyor means, and while passing through the stepped portion, the natural additional free fall transfer is realized, so that the overlapped portion is separated more effectively. The cooling ability of the wire rod coil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steel sheet blowing air A.

다음,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선재코일의 단위 링을 도 13c와 같이 8등분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링 부위별(1-8)로 인장 테스트를 실시하여 표준편차를 구한 결과를 각각 종래와 본 발명의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Next, in FIG. 13A and FIG. 13B, the unit ring of the wire coil is divided into eight equal parts as shown in FIG. 13C, and the result of obtaining the standard deviation by performing a tensile test for each ring part (1-8) divided into the conventional and the present is shown. The graph of the invention is shown.

즉, 도 13a 및 도 13b에서 알 수 있듯이, 강재 1 내지 5에 대한 인장강도의 편차가 본 발명의 경우, 종래에 비하여 20% 정도 감소하는 것은 물론, 전체적인 인장강도 값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13a 및 도 13b의 그래프에서 실선은 평균치를 나타낸 것이다.That is, as can be seen in Figures 13a and 13b,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tion in tensile strength of the steel 1 to 5 can be seen that not only decreases about 2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ut also increases the overall tensile strength value. . In this case, the solid line in the graphs of FIGS. 13A and 13B represents an average value.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 f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1.... 선재코일 냉각장치 10.... 컨베이어 유닛
20.... 단위 컨베이어 수단 22.... 이송 롤러
24.... 구동원 30.... 단차부
40.... 송풍 덕트수단 42....송풍덕트
44.... 격벽 47.... 송풍기
1 .... wire coil chiller 10 .... conveyor unit
20 .... Unit conveyor means 22 .... Feed roller
24 .... Driving source 30 .... Step
40 .... ventilating duct means 42 .... ventilating duct
44 .... bulkhead 47 .... blower

Claims (8)

권취된 선재코일이 안착 이송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상기 컨베이어 유닛의 하측에 하나 이상 배치되면서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선재코일의 겹침부 분리를 가능토록 서로 다른 이송속도를 갖는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은, 선재코일이 안착 이송되는 이송 롤러들을 포함하는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은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토록 각각의 개별 구동원들과 연계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을 구성하는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은 선재코일의 냉각능을 높이도록 단차부를 매개로 연이어 배열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송풍 덕트수단들의 경계부에서 벗어나 배치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A conveyor unit to which the wound wire coil is seated and conveyed; And a blowing duct means provided at one or more lower sides of the conveyor unit to blow-cool the wire rod coil, wherein the conveyor unit has a plurality of feed rates having different feed rates to separate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wire rod coil. Unit conveyor means of,
The unit conveyor means is composed of a roller conveyor comprising conveying rollers on which the wire rod is seated, the unit conveyor means are associated with each individual drive source to drive at different speeds,
The unit conveyor means constituting the conveyor unit are arranged in succession through the stepped portion so as to increase the cooling capacity of the wire rod, the stepped portion is disposed away from the boundary of the blowing duct mea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컨베이어 수단의 구동원은, 선재코일 이송속도의 증속 또는 감속을 구현토록 장치 제어부와 연계되고,
상기 장치 제어부는 이송되는 선재코일 상에 배치된 열화상 온도분포 측정기와, 컨베이어의 이송롤러 측 또는 구동원 측의 엔코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source of the unit conveyor means is connected with the apparatus control unit to implement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wire coil feed speed,
The apparatus control unit is a wire coil coo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thermal imag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device disposed on the wire rod to be transferred, and the encoder of the conveying roller side or the drive source side of the convey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덕트수단은, 내측에 송풍기를 송풍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덕트의 내측에는 하부에 댐퍼가 설치된 격벽이 제공되고, 상기 격벽과 덕트 측벽 중 적어도 격벽에는 디플렉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wer duct means includes a blower duct inside the blower, a partition provided with a damp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lower duct is provided, at least one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duct side wall is further provided with a deflector, characterized in that Wire coil chiller.
연이어 배치된 복수의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을 매개로 선재코일을 이송속도를 가변시키면서 이송시키는 선재코일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 중인 선재코일을 송풍을 매개로 냉각하는 선재코일 냉각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위 컨베이어 수단들 사이에는 송풍 덕트수단들의 경계부에서 벗어나 배치되는 단차가 형성되어 이를 통과하는 선재코일의 낙하 이송으로 냉각능 향상과 선재코일 겹침부의 분리가 증폭되도록 구성된 선재코일 냉각방법.
A wire coil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wire coil while varying a transfer speed through a plurality of unit conveyor means arranged in succession; And
A wire coil cooling step of cooling the wire coil in transit through a blowing air;
, ≪ / RTI >
Steps are formed between the unit conveyor means are formed to step away from the boundary of the blowing duct means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cooling capacity and the separation of the overlapping wire rod coil by the transfer of the wire coil passing through the wire coil cooling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코일의 이송속도의 증속 또는 감속시 각각 20% 또는 15% 이내로 제어되는 한편, 최저 5% 보다는 크게 증속 또는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ethod of cooling the wire rod coil, wherein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feed rate of the wire coil is controlled within 20% or 15%, respectively.
삭제delete
KR1020100119957A 2010-11-29 2010-11-29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KR1012719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957A KR101271997B1 (en) 2010-11-29 2010-11-29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957A KR101271997B1 (en) 2010-11-29 2010-11-29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257A KR20120058257A (en) 2012-06-07
KR101271997B1 true KR101271997B1 (en) 2013-06-05

Family

ID=4660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957A KR101271997B1 (en) 2010-11-29 2010-11-29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9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140B1 (en) 2013-12-24 2016-01-11 주식회사 포스코 Conveyor system for uniformly cooling wires
KR101670168B1 (en) * 2015-03-26 2016-10-28 현대제철 주식회사 Wire rod conveyor apparatus
KR102075219B1 (en) * 2017-12-26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Manufacturing method for high carbon steel wire rod reduced mechanical property deviation
KR102572204B1 (en) * 2021-08-26 2023-08-30 현대제철 주식회사 Cooling system and method of ste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743A (en) * 1998-03-24 1999-12-07 Sumitomo Metal Ind Ltd Slow cooling method for wire rod
KR100847030B1 (en) 2002-05-07 2008-07-17 주식회사 포스코 Device for cooling wires uniformly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743A (en) * 1998-03-24 1999-12-07 Sumitomo Metal Ind Ltd Slow cooling method for wire rod
KR100847030B1 (en) 2002-05-07 2008-07-17 주식회사 포스코 Device for cooling wires uniformly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257A (en)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9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US4468262A (en) Method of cooling hot-rolled wire rods
KR201200582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KR101242918B1 (en) 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
KR101242956B1 (en) Wire-rod Coil Cooling Apparatus
KR101594710B1 (en) Apparatus for cooling wire rod coil
KR1012592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KR101484474B1 (en) Apparatus for colling wire-rod coil
KR101242898B1 (en) Apparatus for Cooling Wire-rod Coil
GB20645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hot-rolled wire rods
CN105039675A (en) Air cushion furnace with V-shaped roller supporting device and application of air cushion furnace
WO2012008909A1 (en) A method of drying a cellulose pulp web and an arrangement for drying such a web
KR101259243B1 (en) Apparatus for Cooling Wire-rod Coil
SE509125C2 (en) Process and plant for rapidly cooling a product rolled in a hot rolling mill
KR100815922B1 (en) Method for arranging rollers of cooling device to cool wires uniformly
EP0271129A1 (en) Line to cool wound bundles of rolled wire and rod
KR101289181B1 (en) 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
KR20170052723A (en) Apparatus for colling wire-rod coil
KR101546275B1 (en) Cooling apparatus for wire-rod coil
KR101568602B1 (en) Apparatus for cooling wire rod coil
KR101032514B1 (en) Wire-rod Coil Cooling Apparatus
KR100376511B1 (en) An apparatus for cooling wire rod in wire rod manufacturing unit
US20060249890A1 (en) Apparatus for cooling wire on a roller conveyor
KR101299738B1 (en) System for reducing the difference of cooling rates between top portion and bottom portion of hot-rolled wire rod
KR20160077494A (en) Apparatus for cooling wire rod c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