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918B1 - 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 - Google Patents

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918B1
KR101242918B1 KR1020110062993A KR20110062993A KR101242918B1 KR 101242918 B1 KR101242918 B1 KR 101242918B1 KR 1020110062993 A KR1020110062993 A KR 1020110062993A KR 20110062993 A KR20110062993 A KR 20110062993A KR 101242918 B1 KR101242918 B1 KR 10124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il
wire
coil
cooling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2017A (en
Inventor
황중기
임성욱
김유미
신우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6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918B1/en
Publication of KR2013000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9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2045/0212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gaseous coo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을 송풍방식으로 냉각하는 선재코일 냉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선재코일 냉각장치는 그 구성 일예로서,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 및, 상기 송풍 덕트수단 상에 제공되되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서로 다른 풍속이나 풍량으로 송풍토록 제공되는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겹침(적치)밀도가 폭방향으로 다른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냉각 특히, 중심부와 중간부 간 냉각편차를 해소하여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냉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코일의 폭방향 인장강도의 편차를 줄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re is provided a wire rod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wire rod to be wound and transported by blowing.
The wire coil cooling device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comprising: a blowing duct means disposed on a conveying path of the wire coil to be wound around and provided to cool the wire coil; And a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provided on the blowing duct means and provided to blow air at different wind speeds or air volum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wise uniform cooling of the wire rods having different overlap density in the width direction is eliminated, in particular, by eliminating the cooling deviation between the center and the middle portion, thereby enabling the wire rod coils to be uniform in the width direction. By reducing the variation i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il in the width direction, an improved effect of improving product quality can be obtained.

Description

선재코일 냉각장치{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Wire rod coil chiller {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

본 발명은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을 송풍방식으로 냉각하는 선재코일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겹침(적치)밀도가 폭방향으로 다른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냉각 특히, 선재코일의 중심부와 중간부사이의 온도(냉각)편차를 해소하여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냉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코일의 폭방향 인장강도의 편차를 줄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킨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il cooling apparatus for cooling a wire coil to be wound and transported by a blow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 widthwise uniform cooling of wire rod coils having different overlap densities in a width direction, in particular, a central portion of a wire co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il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which improves product quality by reducing the variation i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il in the width direction by eliminating the temperature (cooling) deviation between the middle parts, thereby ultimately reducing the width tensile strength of the coil. .

일반적인 선재 생산공정은, 가열로에서 빌렛(billet)을 대략 1000 ~ 1200 ℃로 가열한 후, 조압연, 중간조압연, 중간사상압연 및 사상압연을 거친 열간 원형선재를 수냉대에서 냉각시킨 후 권취공정을 거쳐 선재코일을 생산하고 그 다음 정정라인에 투입된다.In general wire rod production process, the billet is heated to about 1000 ~ 1200 ℃ in the furnace, and the hot round wire rod after rough rolling, intermediate rough rolling, intermediate sand rolling and finishing rolling is cooled in a water cooling zone and wound up. The wire rod is produced through the process and then put into the correction line.

이때, 그 압연단계에 따라 선재코일은 직경 5.5~15mm 의 소구경 선재와 15∼42 mm의 대구경 선재를 생산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wire coil according to the rolling step to produce a small diameter wire of 5.5 ~ 15mm diameter and large diameter wire of 15 ~ 42mm.

한편, 소구경 선재의 경우, 레잉-헤드(laying head)를 통하여 비동심 원형 코일형태로 형성시키면, 이송 설비(이송 컨베이어)의 이송과 병행하여 열처리를 수행한 후, 집적기(reforming tub)를 통하여 집적한 다음, 검사라인으로 투입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mall diameter wire rod, when formed in the form of a non-concentric circular coil through a laying head, after performing heat treatment in parallel with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facility (transfer conveyor), the reforming tub (reforming tub) is It is then integrated into the test line.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기(10)에서 압연된 소재는 냉각수로 냉각하는 수냉대(20)에 의해 냉각되고, 권취기인 레잉-헤드(30)를 거치면서 권취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raw material rolled in the rolling mill 10 is cooled by the water chiller 20 for cooling with cooling water, and is wound while passing through the laying-head 30 as a winding machine.

이와 같이 권취된 선재코일(1)은 이송 컨베이어(40)의 롤러(42) 위에 연속적으로 낙하 안착되어 이송되고, 권취된 선재 코일은 이송 컨베이어(40)를 통과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송풍유닛(50)으로부터 송풍되는 냉각매체 즉, 냉각공기에 의해 냉각된다.The wire rod coil 1 wound in this way is continuously dropped and seated on the rollers 42 of the transfer conveyor 40, and the wound wire coil passes through the transfer conveyor 40 and has a blower unit 50 installed below. It is cooled by a cooling medium blown from the air, that is, cooling air.

그리고, 권취된 선재코일(1)은 이송 컨베이어와 연계된 집적기(60)에 낙하되면서 최종 제품으로 집적되는 것이다.Then, the wound wire coil (1) is to be integrated into the final product while falling on the integrator (60) associated with the transfer conveyor.

한편, 이와 같은 소구경 선재코일의 냉각 과정을 더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권취기인 레잉-헤드(30)에서 코일형태로 연속 권취되어 추출된 선재코일이 이송컨베이어(40)의 이송 롤러(42)상에 낙하되어 이송되는 도중에, 이송 컨베이어 하부의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여러 대가 설치된 송풍유닛(50)에서 이송 컨베이어측으로 공기를 송풍하고, 이와 같은 송풍된 공기는 이송되는 선재코일(1)에 접촉하여, 고온상태의 선재코일은 집적이 이루어지기 전에 저온으로 냉각되면서 선재코일의 열처리과정이 이루어 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process of such a small diameter wire rod coil,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wire rod coil is continuously wound in a coil form in the winding-head (30) of the winding machine is extracted conveying conveyor (40) In the middle of dropping and conveying on the conveying roller 42 of the fan), air is blown to the conveying conveyor from the blowing unit 50 provided with several units along the conveying conveyor under the conveying conveyor, and the blown air is conveyed. In contact with (1), the wire coil in the high temperature state is cooled to low temperature before integration is performed, and the heat treatment process of the wire coil is performed.

이때, 권취되어 이송 롤러로 낙하되는 선재코일의 온도는 대략 830~950 ℃ 정도이고, 냉각을 거친 선재코일은 대략 300~500℃ 정도이다.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wire coil wound and dropped to the transfer roller is about 830 ~ 950 ℃, and the cooled wire coil is about 300 ~ 500 ℃.

한편, 상기 송풍유닛(50)은, 송풍기(52)가 하부에 설치된 덕트(54)를 포함하고, 덕트 상부에는 도 2와 같이, 이송 롤러(42)사이로 배치되는 개구부분 즉, 노즐(56)들이 배치되어 있다. Meanwhile, the blower unit 50 includes a duct 54 having a blower 52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open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transfer rollers 42, that is, the nozzle 56, as shown in FIG. 2. Are arranged.

이때, 선재코일(1)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동심 원형으로 놓이는 선재코일(단위 링)을 중심부(CN), 중간부(MI), 가장자리부(ED)의 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wire rod 1 may be divided into three parts of the center coil CN, the middle portion MI, and the edge portion ED. have.

한편, 이와 같은 송풍유닛(50)을 일명 스텔모어(Stelmor)라고도 하는데, 송풍력의 세기 또는 선재코일(1)의 이송속도 등 냉각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냉각속도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선재코일(1)의 폭방향으로 동일한 송풍을 구현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어왔다. On the other hand, such a blowing unit 50 is also known as Stelmor (Stelmor), although it provides an advantage to obtain a variety of cooling speeds depending on the cooling conditions, such as the strength of the blowing force or the transfer speed of the wire coil (1).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in realizing the same b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1).

예를 들어,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코일(1)이 레잉-헤드에서 추출되어 이송 컨베이어(40)의 이송 롤러(42)상에 적치 이송되는 경우, 선재코일(1)의 가장 자리부분(ED)(도 2의 ED)과 중심부분(CN)간의 적치밀도가 상당부분 차이가 나고, 따라서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송풍 환경하에서 냉각되는 소재의 변태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최대 80 ℃ 정도의 온도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A, when the wire coil 1 is extracted from the laying head and loaded on the transfer roller 42 of the transfer conveyor 40, the edge of the wire coil 1 i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owage density between the part ED (ED in FIG. 2) and the central part CN, and as shown in FIG. 3B, the maximum at the time when the transformation of the material cooled under the same blowing environment occurs. Ther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of about 80 ℃.

참고로, 도 4a 및 도 4b에서는 실제 조업현장에서 선재코일(링)의 폭방향 온도 분포를 적외선 열화상 온도계로 측정한 사진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와 같은 온도 측정 사진을 토대로 분석하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0.8 %의 탄소를 포함하고 직경이 5.5mm 인 선재코일의 경우, 레잉-헤드(30)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재코일(1)의 중심부분(CN)과 가장자리부분(ED)의 온도 이력에서 차이가 상당한 것을 알수 있다.For reference, FIGS. 4A and 4B show photographs obtained by measuring an infrared thermal imager of a widthwis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wire coil (ring) in an actual operation sit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wire coil containing 0.8% carbon and having a diameter of 5.5 mm, as the distance from the laying head 30 increases, the central portion CN and the edge portion ED of the wire coil 1 are increased.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s significant in the temperature history of.

즉, 이와 같은, 적치밀도 차이에 따른 선재코일의 중심부분과 가장자리부분에서의 냉각속도 차이에 의한 온도편차는, 결국에는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미세조직을 다르게 하고, 결국 제품 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That is, the temperature devi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cooling rate at the center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wire ro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pile loading density eventually results in a different microstructur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rod coil, resulting in product defects.

한편, 이와 같은 선재코일의 폭방향 온도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알려진 종래의 선재코일 냉각구조를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known conventional wire coil cooling structure for reducing such a widthwis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wire rod coil is shown in FIG.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송풍유닛(50)의 덕트(54)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격벽(58)을 설치하여 상부와 하부의 댐퍼(58a)와 디플렉터(58b)을 이용하여 겹침밀도가 높아 냉각이 잘 이루어 지지 않은 선재코일(1)의 가장자리부분(ED)에 보다 집중적으로 공기 송풍을 집중시켜, 도 7과 같은 선재코일 내에서에 속도분포를 갖도록 하여 폭방향 균일 냉각을 구현하고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6,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partitions 58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duct 54 of the blower unit 5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dampers 58a and the deflector 58b are disposed. Air flow is more concentrated in the edge portion ED of the wire coil 1, which is not cooled well due to high overlap density, thereby having a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wire coil as shown in FIG. Cooling is implemented.

그런데, 이와 같은 댐퍼와 디플렉터를 이용하여 송풍 공기를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ED)에 집중하는 것은, 선재코일(링)의 중심부(CN)와 가장자리부분(ED)의 냉각 편차를 해소하는 데에 집중된 방식이다.By using the damper and the deflector, the blowing air is concentrated on the edge portion ED of the wire rod coil in order to eliminate the cooling deviation between the central portion CN and the edge portion ED of the wire rod coil (ring). It is a concentrated way.

따라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현장에서 중간부(MI)의 인장강도가 가장자리부분(ED)에 비해서 오히려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7, the tensile strength of the middle portion MI in the actual site is lower than that of the edge portion ED.

이는, 선재코일(링)의 폭방향 겹침밀도를 수학적으로 분석하면, 선재코일의 중간부(MI)는 중심부(CN)에 비해서 겹침밀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도 7에서와 같이 링 부위별 송풍속도는 더 낮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This is a mathematical analysis of the width direction overlap density of the wire rod coil (ring), even though the middle portion MI of the wire rod coil has a higher overlap density than the central portion CN, as shown in FIG. You can see that the speed is lower.

그런데, 지금까지는 선재코일의 이송중 송풍 냉각시, 실제 선재코일의 중심부(CN)와 가장자리부분(ED)사이의 온도 편차는 상당하나, 중간부분과 중심부분간 온도(냉각)편차는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은 것이지만, 현재 고 품질의 선재 제품이 요구되는 실정에서 그 편차가 큰 선재코일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분 간 온도편차를 감소되나, 선재코일(1)의 중심부(CN)와 중간부(MI)사이의 온도편차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However, until now, when the air cooling of the wire rod coils is carried out,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center portion CN and the edge portion ED of the wire rod coil is significant, but the temperature (cooling) deviation between the middle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is relatively small.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a high quality wire rod product is required,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wire rod with large deviation is reduced, but the center and middle portion (MI) of the wire rod 1 are reduced.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예컨대,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 기술들은 중심부와 가장자리부분의 온도 차이를 해소하는 데에만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For example, the conventional techniques known to date focus only on eliminat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and the edge.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와 같은 선재코일의 중심부(도 7의 CN)와 중간부(MI)의 냉각 편차의 문제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roblem of the cooling deviation of the center portion (CN of FIG. 7) and the middle portion MI of the wire rod coil can be solv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겹침(적치)밀도가 폭방향으로 다른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냉각 특히, 중심부와 중간부간 냉각편차를 해소하여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냉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코일의 폭방향 인장강도의 편차를 줄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킨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ire rod coils have a widthwise uniform cooling of wire rods having different overlap densities in the width direction, in particular, eliminating the cooling deviation between the center part and the middle p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 coil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which improves product quality by ultimately reducing the variation i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il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 및, 상기 송풍 덕트수단 상에 제공되되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서로 다른 풍속이나 풍량으로 송풍토록 제공되는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은,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소정 패턴의 송풍개구들이 형성되는 송풍제어판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개구들의 송풍 개구폭을 조정하는 제2의 송풍개구들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제어판의 하측에 구동원을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이동형 송풍제어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 제어판의 선재코일 폭방향 양측에는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을 집중 냉각토록 하는 일체형 개구들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As an embodiment of the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blower duct means is provided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wire coil to be wound and transported to provide air cooling cooling; And a gradient type wire coil cooling means provided on the blowing duct means and provided to blow air at different wind speeds or air volum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includes a blower control panel in which blow openings of a predetermined pattern are formed, the diameter of which extends from the center to th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s, the second opening adjusting the blowing opening width of the blower openings. Provides a wire coil coo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blower opening is provided and the movable blower control plate provided to be movable through a drive source on the lower side of the blower control panel.

Preferably, integral open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ire coi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wing control panel to concentrate cooling the edges of the wire coi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의 송풍개구들은 선재코일 폭방향으로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것이다.
More preferably, the second blower openings are enlarged in diameter from the center to the edge in the wire coil width direction.

또한, 기술적인 측면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 및, 상기 송풍 덕트수단 상에 제공되되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서로 다른 풍속이나 풍량으로 송풍토록 제공되는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은, 송풍 덕트수단의 상측에 제공된 노즐개구의 송풍면적을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확대시키는 구배형 절개부를 갖춘 제2의 이동형 송풍제어판;을 더 포함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technical aspect, the blowing duct means is provided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wire coil to be wound and conveyed to provide a cooling air blowing coil; And a gradient type wire coil cooling means provided on the blowing duct means and provided to blow air at different wind speeds or air volum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second movable blowing control panel having a gradient cutout extending the blowing area of the nozzle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wing duct means toward the edge of the wire coil. To prov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의 이동형 송풍 제어판은, 상기 송풍 덕트수단의 노즐개구에 대응되어 위치되되 구동원을 매개로 덕트수단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Preferably, the second movable blowing control panel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ozzle opening of the blowing duct means,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means through a driving sourc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형 송풍제어판 또는 제2의 이동형 송풍 제어판은 송풍 덕트수단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선재코일 폭방향 또는 이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More preferably, the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or the second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wire coil width direction or the transfer direction along a rail provided in the blower duct means.

또한, 기술적인 측면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 및, 상기 송풍 덕트수단 상에 제공되되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서로 다른 풍속이나 풍량으로 송풍토록 제공되는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은,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적층이 감소되는 복수의 적층형 망 구조물로 제공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uct means disposed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wire coil to be wound and transported provided to blow cooling the wire coil; And a gradient type wire coil cooling means provided on the blowing duct means and provided to blow air at different wind speeds or air volum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is to provide a wire coil cooling device provided as a plurality of laminated network structure is reduced stacking from the center to th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겹침(적치) 밀도가 폭방향으로 다른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냉각을 구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uniform widthwise cooling of the wire rod coil having a different stacking density in the width direction.

특히, 본 발명은 기존에 선재코일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분간 온도편차 해소에만 국한된 것을 특히, 선재코일의 폭방향 중심부와 중간부간 온도편차도 해소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mit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center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wire rod coil in the past,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width direction center portion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wire rod coil.

따라서, 본 발명은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냉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코일의 폭방향 인장강도의 편차를 줄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uniform widthwise cooling of the wire rod, ultimately to reduce the variation i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il in the width direction, to improve product quality.

도 1은 일반적인 선재코일 제조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선재코일 냉각대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선재코일의 폭방향 적치 밀도와 온도 편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4a 및 도 4b는 선재코일의 적치밀도에 따른 적외선 열화상 온도분포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종래 선재코일의 중심부와 가장자리간 온도이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종래의 선재코일 냉각대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종래 선재코일(링)의 폭방향 송풍속도분포를 나타낸 모식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및 송풍속도분포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 장치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및 송풍개구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통한 선재코일의 폭방향 속도 벡터 분포 그래프와 시뮬레이션 결과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된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평면 및 정면 구성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평면 및 정면 구성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정면 및 평면 구성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과 종래의 선재코일 냉각이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ypical wire coil manufacturing step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wire coil cooling stand in FIG. 1; FIG.
3A and 3B are graphs showing the width loading density and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wire coil
4a and 4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infrared thermal image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oading density of the wire coil
5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history between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conventional wire rod coil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wire coil cooling zon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direction of the blowing speed in the conventional wire rod coil (ring)
8 to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 blowing speed distribution diagram showing the wire coil cool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graphs showing a plan view and a ventilation opening relationship showing a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graphs and a simulation result of the widthwise velocity vector distribution of the wire coil through the wire coil cool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modified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and 13B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and 14B are front and plan views showing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and 15b are graphs showing the wire coil cooling history cur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00)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선재코일 냉각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에서는 제2 실시예의 선재코일 냉각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4에서는 제3 실시예의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도시하고 있다.8 to 10 show the wire coil cooling apparatus 100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shows a modification of the wire coil cool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An example is shown, and Fig. 13 shows a modification of the wire coil cooling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4 shows a wire coil cooling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또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에서는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의 여러 실시예들을 130,230,330의 도면부호로 구별하여 설명하고, 변형예는 150의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130, 230, and 330, and the mod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numeral 150. FIG.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00)는, 크게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102)의 이송경로 상에 하나 이상 배치되면서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110) 및, 상기 송풍 덕트수단 상에 제공되되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서로 다른 풍속이나 풍량으로 송풍토록 제공되는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특히 선재코일의 중심부(CN)와 중간부(MI)의 온도편차를 줄이도록 한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wire coil cool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duct means 110 provided to blow the cooling of the wire coil while being disposed on the transfer path of the wire coil 102 is largely wound and conveyed, and the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entral part (CN) and the middle part (MI) of the wire rod coil, including a gradient type wire coil cooling means provided on the blowing duct means and provided to blow air at different wind speeds or air flow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rod coil. It provides a wire coil cooling device to reduce the

이때,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상기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130)은, 선재코일(102)의 폭방향으로 중심부(도 9의 CN)에서 가장자리(도 9의 ED)로 갈수록 직경(D1)이 확대되는 소정 패턴의 송풍개구(132)들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8 to 10,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130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102 in the center (CN in Figure 9)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wer opening 132 of a predetermined pattern, the diameter (D1) is enlarged toward the edge (ED of Fig. 9).

한편, 더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의 본 발명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130)은, 상기 송풍개구(132)들이 형성되는 송풍제어판(134)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more preferably,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urther comprises a blowing control panel 134 in which the blowing openings 132 are formed.

이때, 상기 송풍 제어판(134)은 구체적으로는, 송풍제어판(134)을 단위의 송풍 덕트수단(110)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131)(예를 들어 사각틀)에 고정되고, 이와 같은 프레임(131)은 실제로는 선재코일 이송롤(104)사이로 위치되는 노즐개구(도 12a의 120)의 하측에 배치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blowing control panel 134 is specifically fixed to the frame 131 (for example, rectangular frame) for fixing the blowing control panel 134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lowing duct means 110 of the unit, such a frame 131 is actually disposed below the nozzle opening (120 in FIG. 12A) positioned between the wire coil feed rolls 104.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a과 같이, 상기 송풍개구(132)들은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D1)이 커지기 때문에, 송풍 공기의 송풍량이나 송풍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도 9와 같이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중심부(CN)에서 가장자리부분(ED)으로 갈수록 선재코일의 냉각능력을 증대되게 된다.8 to 10a, since the blow openings 132 have a diameter D1 that in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rod, the blowing amount or blowing speed of the blowing air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9, the cooling capability of the wire rod coil is increased from the center portion CN to the edge portion 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rod coil.

특히, 본 발명의 경우에는 기존에 단순하게 선재코일 가장자리 부분에만 집중 냉각을 구현화는 것에 비하여, 송풍제어판의 송풍개구의 직경이 세밀하게 선재코일 중심부로 갈수록 감소하기 때문에,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과 중간부분간 냉각편차 또는 중간 부분과 중심부간 냉각편차를 더 세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blower opening of the blower control panel decreases finely toward the center of the wire rod coil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simple implementation of concentrated cooling only on the wire rod edge portion.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reduce the cooling deviation between the parts or the cooling deviation between the middle part and the center part.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 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프레임(131)에 설치되는 송풍 제어판(134)의 양측에 일체형 개구(136)들을 형성시키면, 선재코일에서 겹침밀도가 가장높은 가장자리부분(ED)의 집중 냉각을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10a, when the integral openings 13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lowing control panel 134 installed in the frame 131, the edge portion of the wire coil having the highest overlap density ( Concentrated cooling of ED) can be achieved.

즉, 도 8과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송풍 덕트수단(110)은 덕트 바디(112)의 내측에 격벽(114)을 두고, 그 상,하측에 댐퍼(116)와 디플렉터(118)들이 설치되고, 하측에 송풍기(119)가 제공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duct means 110 has a partition wall 114 inside the duct body 112, and dampers 116 and deflectors 118 are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 blower 119 is provided below.

따라서, 송풍이 이루어 지면, 선재코일 가장자리부분의 집중 냉각이 구현되면서, 그 내측으로 설치되는 본 발명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130)을 통하여, 특히 도 9와 같이, 선재코일의 중심부(CN)와 중간부(MI) 또는 중간부(MI)와 가장자리(ED)사이의 온도편차를 더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air is blown, while the centralized coil wire cooling means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ward while the centralized cooling of the wire coil edge is implemente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9, the center of the wire coil (CN). )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middle part MI or the middle part MI and the edge ED can be more precisely controlled.

예를 들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본 발명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130)에 의하면, 속도분포 곡선이 가장자리부분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라운드한 만곡의 하향 곡선을 형성하나, 도 8의 종래의 경우에는 선재코일 가장자리부분에서 급속한 송풍속도의 감소(에컨대, 온도 감소)가 형성되고, 오히려 중간부가 중심부보다 속도분포가 더 낮음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9, according to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velocity distribution curve forms a downward curved curve rounded from the edge to the center In the conventional case of FIG. 8, a rapid decrease in the blowing speed (eg, a decrease in temperatur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wire coil, and the middle portion has a lower speed distribution than the center portion.

결국,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선재코일 냉각장치의 경우 도 9와 같은 송풍속도 분포곡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선재코일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만곡의 곡선을 형성하면서 적어도 중간부분이 중심부 보다는 높은 속도 분포를 구현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선재코일의 폭방향 냉각편차를 최대한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wire coil cool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wing velocity distribution curve is formed as shown in FIG. 9, at least the middle portion has a higher velocity distribution than the center portion while forming a curved curve from the edge of the wire coil to the center portion. This, in turn, makes it possible to minimize the lateral cooling deviation of the wire coil as much as possible.

한편, 도 10b에서는 예를 들어, 철판으로 된 송풍제어판(134)에 도 10a와 같이 직경이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증가되는 구멍 즉, 송풍개구(132)들을 형성하고,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 냉각을 구현하기 위한 송풍개구의 직경과 거리간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Figure 10b, for example, in the blower control panel 134 made of iron plate as shown in Figure 10a as the hole is increased to the edge of the wire coil, that is, the blow opening 132 is formed, the width direction uniformity of the wire co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and the distance of the blower opening for realizing cooling is shown graphically.

즉, 공기를 막을 수 있는 넓은 판에 크기를 변화시켜가면서 원형 또는 육각형의 송풍개구(132)(구멍)를 뚫어서 송풍공기의 양 및 속도를 조절하는 실험을 하여, 가로방향 즉,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송풍개구의 직경 크기의 비율은 중심부와 중간부가 2~3배 정도로 하는 것이 링겹침에 따른 최적의 냉각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In other words, by changing the size in a wide plate that can block the air while drilling the circular or hexagon blow opening 132 (hole) to control the amount and speed of the blowing air, the width of the wire coi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blower opening in the direction was about 2 to 3 times the center and the middle part, so that the optimum cooling rate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ring overlap.

또한, 송풍개구(132)의 직경의 증가는 이차 함수적 증가, 일차 함수적 증가에 상관없이 냉각능은 거의 일정하였다. 또한, 도 10a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송풍개구의 형성수가 20개 이상일 경우에는 냉각능에서 거의 차이가 없다. 따라서, 제작시 경제성을 고려하면 20개가 적정할 것이다.In addition, the increase in the diameter of the blower opening 132 was almost constant, regardless of the secondary functional increase, the primary functional increase. In addition, although shown schematically in FIG. 10A, when the number of the blow openings is 20 or more,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cooling capacity. Therefore, considering the economics in manufacturing, 20 would be appropriate.

한편, 이와 같은 구배형 냉각수단(130)에서 송풍제어판(134)에 형성되는 송풍개구(132)의 직경 D1은 일정한 패턴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도 10b와 같이, 송풍개구의 직경은 선재코일 중심부 에서 부터의 거리의 비례하여 증폭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D1 of the blower opening 132 formed in the blower control panel 134 in the gradient cooling means 13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t may be desirable for the diameter to be amplifie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wire coil center.

예를 들어, 동일 직경의 송풍 개구들을 선재코일 폭방향으로 몇개를 배치하고, 최대 송풍개구와 최소 송풍개구의 직경을 얼마로 할 것인지는, 실험을 통하여 학습치의 축적으로 최적으로 조건을 찾을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ind an optimal condition by accumulating the learning value through experiments to determine how many blow openings having the same diameter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and how much the diameter of the maximum blowing opening and the minimum blowing opening should be.

이때,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적용한 경우, 송풍 노즐개구(도 12a의 120, 도 2의 56)에서의 폭방향 속도 벡터 분포 및 선재코일 폭방향 속도 분포(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11A and 11B, when the wire coil coo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widthwise velocity vector distribution and the wire coil widthwise velocity distribution at the blowing nozzle opening (120 in FIG. 12A and 56 in FIG. 2) ( Computer simulation results).

즉, 도 11에서와 같은 시뮬레인션 결과가 도 9의 선재코일 송풍속도분포 곡선과 유사한 결과가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simulation result as shown in FIG. 11 is similar to the wire coil blowing speed distribution curve of FIG. 9.

결국, 선재코일(102)의 특히, 중간부분(MI)과 중심부(ED) 간의 송풍속도 편차가 제어됨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blowing speed deviation of the wire coil 102, in particular, between the middle portion MI and the central portion ED is controlled.

다음, 도 1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00)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Next, Figure 12 shows a modification of the wire coil cooling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12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0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130)의 송풍 제어판(134)에 형성된 직경이 선재코일의 중싱부에서 가장자리부분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송풍속도나 송풍량을 구배지게 하는 송풍개구(132)의 송풍 개구폭을 조정하는 제2의 송풍개구(152)들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 제어판의 하측에 구동원(154)을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이동형 송풍제어판(15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That is, the wire coil cool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2, the diameter formed in the blowing control panel 134 of the gradient type wire coil cooling means 130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heavy portion of the wire coil Second blowing openings 152 are provided to adjust the blowing opening width of the blowing opening 132 which makes the blowing speed or the blowing amount enlarged toward the edge portion, and is driven through the driving source 154 under the blowing control panel. It further comprises a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150 provided to be movable.

이때, 도 1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롤(104)의 하측으로 단위 덕트수단(110)의 상측 개구부분(이송롤 사이의 노즐개구(120))가 제공되는 부분에 상기 이동형 송풍제어판(150)을 제1의 송풍 제어판(134)의 하측에 배치시키되. 이와 같은 이동형 송풍 제어판(150)은 2 분할되어 덕트수단(110)의 덕트몸체(112)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레일(지지봉이나 바아)(158)을 따라 이동하게 제공되고, 양측으로 실린더 등의 구동원(154)을 연결시키는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2A, the movable blowing control panel 150 is provided at a portion in which an upper opening portion (nozzle opening 120 between the transfer rolls) of the unit duct means 110 is provided below the transfer roll 104. ) Is placed below the first blowing control panel 134. Such a movable blowing control panel 150 is divided into two and provided to move along a rail (support rod or bar) 158 installed across the duct body 112 of the duct means 110, and drive sources such as cylinders on both sides. (154) to connect.

따라서, 상기 구동원의 작동에 따라 하측의 제2의 이동형 송풍제어판(150)은 레일(158)을 따라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은 이동형 송풍제어판(150)의 이동시 구비된 제2의 송풍개구(152)들의 직경에 따라 상측의 송풍제어판의 송풍개구의 개구면적이 조정되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ource, the second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150 on the lower side moves reciproc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along the rail 158, and is provided when the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150 moves. The opening area of the blower opening of the upper blower control pane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blower openings 152 of 2.

결국, 본 발명의 이동형 송풍제어판은 그 이동 제어에 따라 상측으로 최종적으로 송풍되는 송풍속도나 송풍량 등을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할 것이다.As a result, the mobile blower control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ore precisely control the blowing speed or the amount of air blown to the upp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according to the movement control.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1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형 송풍제어판(150)에 구비된 제2의 송풍개구(152)들도 제1의 송풍개구(132)들과 마찬가지로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구배지게 형성하는 것이다.At this time, preferably, as shown in FIG. 12A, the second blower openings 152 provided in the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150 also have the sam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as the first blower openings 132. From the center to the edge to form a gradient that is enlarged in diameter.

한편, 상기 구동원(154)의 공압 실린더 등은 덕트수단(110)의 덕트몸체(112)에 수평 설치된 브라켓트(154a)상에 설치되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neumatic cylinder or the like of the drive source 154 may be installed on the bracket 154a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duct body 112 of the duct means 110.

이때, 도 12a에서는 상측의 송풍제어판(130)의 하측에 이동형 송풍제어판(150)이 배치되는 것을 옆으로 전개시킨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12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150 is disposed laterally in a lower side of the upper blower control panel 130.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형 송풍제어판(150)은 양측이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2중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하나의 구동원(154)들이 일체형 개구(136)를 하부에서 통과하는 연결아암(156)을 매개로 이동형 송풍제어판(150)들이 연결되고 덕트몸체 상부에 가로질러 설치된 레일(158)(가로대)을 따라 수평 이동하면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150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in which both sides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one driving source 154 on both sides connects the connecting arm 156 through which the integrated opening 136 passes from below. The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1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move horizontally along the rail 158 (side bar) installed across the duct body.

다만,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덕트 내부에서 송풍되는 송풍력을 감안하여 레일(158)과 이동형 송풍 제어판(150)은 들림이나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로 서로 연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제2 실시예의 본 발명 장치인 도 13b와 같이 레일과 송풍제어판이 역삼각 체결구조로 체결되어 이동은 가능하게 하면서 상측으로의 들림이나 이탈은 방지하도록 하면 될 것이다.However,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n consideration of the blowing force blown in the duct, the rail 158 and the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150 are preferably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in a structure that prevents lifting or detach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B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rail and the blower control panel may be fastened by an inverted triangular fastening structure to allow movement and prevent lifting or detachment to the upper side.

따라서, 도 12에서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의 변형예인 이동형 송풍제어판을 포함하는 경우, 더 세밀한 송풍 제어를 구현하여 선재코일의 폭방향 냉각편차 특히, 선재코일의 중심부와 중간부분 사이의 냉각(온도)편차도 세밀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movable blower control plate which is a variation of the gradient wire rod coil cooling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It also provides the advantage of enabling fine control of the cooling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parts.

물론, 도 12의 본 발명 장치는 선택적으로 선재코일의 강종 특성 즉, 열처리가 제품 특성에 큰 영향을 주는 강종의 경우에 선택 사용하면 될 것이다.
Of course,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12 may be selectively used in the case of steel grade properties of the wire coil, that is, the heat treatmen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roduct characteristics.

다음,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230)을 포함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도시하고 있다.Next, FIGS. 13A and 13B illustrate a wire coil cooling apparatus including a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23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230)은, 앞에서 송풍 덕트수단(110)의 상측에 제공되는 이송롤(104)사이에 위치되는 노즐개구(1202)의 송풍면적을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확대시키는 구배형 절개부(232)를 갖는 제2의 이동형 송풍 제어판(234)을 포함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3,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23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located between the feed roll 104 provided above the blowing duct means 110 And a second movable blowing control panel 234 having a gradient cutout 232 that enlarges the blowing area of the opening 1202 toward the edge of the wire coil.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의 이동형 송풍 제어판(234)은, 상기 송풍 덕트수단(110)의 노즐개구(120)의 위치에 대응되어 위치되되 구동원(236) 즉, 공압 실린더를 매개로 덕트수단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다.In this case, preferably, the second movable blowing control panel 234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nozzle opening 120 of the blowing duct means 110, but the duct is driven through the driving source 236, that is, the pneumatic cylinder. It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an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의 이동형 송풍 제어수단(234)은 노즐개구에 대응 위치되되, 하부의 레일(24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구동원(236)과는 로드(237)와 연결아암(239)들이 연결된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movable blowing control means 234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ozzle opening,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lower rail 240, and the driving source 236 and the rod 237 and the connecting arm ( 239) may be connected.

따라서, 구동원(236)으로 제공되는 공압 실린더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에 따라 제2의 이동형 송풍제어판(234)은 노즐개구(120)의 송풍면적을 제어하는데, 이는 송풍제어판에 라운드의 만곡형태로 된 구배형 절개부(232)에 의하여 조절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forward or backward opera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provided to the drive source 236, the second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234 controls the blower area of the nozzle opening 120, which has a rounded curved shape on the blower control panel. It is controlled by the gradient incision 232.

한편, 도 13a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2의 이동형 송풍 제어판(234)의 구배형 절개부(232)는 사전에 송풍속도분포나 송풍력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절개부를 형성시키어 선재코일의 중심부와 중간부 또는 가장자리 부분의 냉각제어를 적정하게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13A, the gradient cutout 232 of the second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234 properly forms the cutout in consideration of the blowing speed distribution or the blowing force in advance to form a central portion of the wire coil. And cooling control of middle part or edge part can be appropriately implemented.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240)과 제2의 이동형 송풍제어판 (230)은, 역삼각형 체결구조로서 체결되는 것이 송풍 제어판의 들림이나 이탈 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3B, the rail 240 and the second movable blow control panel 230 may be fastened as an inverted triangular fastening structure to prevent lifting or detachment of the blowing control panel. will be.

다음, 도 14a 및 도 14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330)을 도시하고 있다.Next, FIGS. 14A and 14B show a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330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330)은,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적층이 감소되는 복수의 적층형 망 구조물(332)(334)(336)로 제공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4,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330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aminated network structure 332 is reduced stacking from the center to th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334, 336.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1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코일(링)의 중심부에는 3층의 망 구조물(332)(334)(336)들이 적층되고, 선재코일의 중간부에서는 2층의 망 구조물(332)(334)이 적층되고, 선재코일의 가장자리측에는 1개의 망구조물(332)이 배치되는 것이다.At this tim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14a, three layers of network structures 332, 334, 336 are stacked in the center of the wire coil (ring), the middle of the wire coil 2 layer network structure 332 and 334 are stacked, and one network structure 332 is disposed on the edge side of the wire coil.

물론, 이들 망 구조물은 송풍 덕트수단(110)의 덕트몸체(112)의 상부를 가로질러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대(338)상에 지지되고, 양단부(전,후단부)는 덕트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Of course, these network structures are supported on the crosspiece 338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rod a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duct body 112 of the blowing duct means 110, both ends (front, rear) is the duct body It can be fixed to.

다만, 도 14b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가로대의 설치수는 망 구조물등의 길이나 폭에 따라 조정되면 된다.However, although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14B, the number of installing the crossbar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r width of the network structure or the like.

그리고, 최하측 망 구조물(332)과 상측으로 갈수록 적층되는 망 구조물(334) (336)들은 크기가 조절되어 결과적으로 선재코일의 중심부에 가장 많은 망 구조물들이 적층되도록 배열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bottom network structure 332 and the network structures 334 and 336 stacked on the upper side are adjusted in size, and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most network structures in the center of the wire coil.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330)의 경우에는 송풍 덕트수단을 통하여 냉각공기가 송풍되면 망구조믈의 적층 밀도에 따라 선재코일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분을 갈수록 송풍 저항이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겹침밀도가 낮은 가장자리부분이 가장 냉각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330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cooling air is blown through the air blowing duct means, the blowing resistance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center of the wire coil to the edge portion according to the stacking density of the network structure. This reduces, and as a result, the edge portion with low overlap density is the most cooling.

이와 같은 망 구조물들은 소정 크기의 메쉬들을 포함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330)의 경우 망구조물의 구조 조정을 통하여 매우 폭넓은 송풍 제어를 쉽게 구현 가능하게 할 것이다.Such network structures include meshe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330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very wide blowing control through structural adjustment of the network structure. will be.

예를 들어, 메쉬 크기를 망 구조물에 따라 다르게 하거나 그 적층 구조를 조정하면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vary the mesh size depending on the network structure or to adjust the stacking structure.

한편, 이와 같은 망 구조물을 이용한 제3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330)의 경우, 망 구조물이 겹침수가 많을수록 그 부분으로의 송풍공기의 저항이 증폭되기 때문에 노즐개구(120)에서 토출되는 송풍속도는 감소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330 of the third embodiment using such a network structure, the more the number of overlapping network structure is amplified the resistance of the blowing air to the portion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opening 120 Blowing speed is reduced.

예를 들어, 장치 구현 결과 선재코일의 중심부에 비해서 중간부에서의 송풍속도가 15%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송풍 압력손실은 10% 이내였으며, 철망설치로 인한 다른 기계적인 문제는 없다. For example, as a result of the device implementation, it was found that the blowing speed in the middle portion was increased by 15% compared to the center of the wire coil. At this time, the blowing pressure loss was within 10%, and there is no other mechanical problem due to the wire mesh installation.

이와 같은 망 구조물(332)(334)(336)들은 그 설치의 복잡함 예를 들어, 철판에 송풍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므로, 망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 구조나 진동 발생을 억제하는 등의 부수적인 시공 구조를 필요로 하여, 송풍제어판에 송풍개구를 형성시키는 것에 비하여 구조가 복잡한 단점은 있으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망 구조물의 메쉬 조정과 적층 수의 조정을 통하여 송풍속도나 송풍량 제어는 더 용이하게 한다.Such network structures 332, 334, and 336 are complicated in their installation, for example, because they do not form a ventilation opening in the steel plate, the secondary structure such as suppress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r the occurrence of vibration to fix the network structure. Although it is a dis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compared to forming a blower opening in the blower control panel, the blower speed or the blower volume can be easily controlled by adjusting the mesh of the network structure and adjusting the stacking number as described above. do.

다음, 도 15a 및 도 15b에서는 종래와 본 발명의 방식으로 선재코일의 냉각 이력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즉, 중심부와 중간부의 온도를 열전대로 측정하여 두 곡선의 편차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온도편차를 확인한 것이다.Next, FIGS. 15A and 15B are graphs showing the cooling history of the wire rod coil in the conventional and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enter and the middle portion with a thermocouple to check the temperature deviation by comparing the deviation of the two curves.

예를 들어, 도 1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상변태(온도 이력곡선에서 온도가 냉각중임에도 불구하고 상승하는 부분)직전에 10℃이상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고 있는데, 도 1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온도 편차가 5℃ 이내임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5A, in the related art, a temperature deviation of 10 ° C. or more occurs immediately before a phase transformation (a portion rising in the temperature hysteresis curve despite cooling), as shown in FIG. 15B. Likewis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deviation is within 5 ℃.

이때, 선재코일(링)의 샘플을 채취하고 8 등분하여 인장강도 편차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경우 종래에 비해 30%이상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At this time, a sample of the wire coil (ring) was taken and divided into eight equal parts to confirm the tensile strength devi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reduced by more than 3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se.

100.... 선재코일 냉각장치 102.... 선재코일
104.... 이송롤 110.... 송풍 덕트수단
112.... 덕트몸체 120.... 노즐개구
130.... 제1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
132,152.... 송풍개구 134,150,234.... 송풍제어판
136.... 일체형 개구(가장자리측)
230.... 제2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
232.... 구배형 절개부
330.... 제3 실시예의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
332,334,336....망 구조물
100 .... Wire Rod Coil Chiller 102 .... Wire Rod Coil
104 .... conveying roll 110 ... blower duct
112 .... Duct body 120 .... Nozzle opening
130 ....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of the first embodiment
132,152 .... Blowing opening 134,150,234 .... Blowing control panel
136 .... integral opening (edge side)
230 ....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232 .. gradient incision
330 ....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of the third embodiment
332,334,336 .... network structure

Claims (9)

삭제delete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 및, 상기 송풍 덕트수단 상에 제공되되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서로 다른 풍속이나 풍량으로 송풍토록 제공되는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은,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소정 패턴의 송풍개구들이 형성되는 송풍제어판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개구들의 송풍 개구폭을 조정하는 제2의 송풍개구들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제어판의 하측에 구동원을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이동형 송풍제어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선재코일 냉각장치.
A blowing duct means disposed on a conveying path of the wire coil to be wound and provided to blow-cool the wire rod coil; And a gradient type wire coil cooling means provided on the blowing duct means and provided to blow air at different wind speeds or air volum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includes a blower control panel in which blow openings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are formed, the diameter of which extends from the center portion to th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A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provided with second blower openings for adjusting the blower opening width of the blower openings and provided to be movable through a drive source under the blower control panel;
Wire rod cooling devic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제어판의 선재코일 폭방향 양측에는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을 집중 냉각토록 하는 일체형 개구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ire rod coil coo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of the wire coil width direction of the air blowing control panel is further provided with integral openings for concentrated cooling the edge of the wire coil.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송풍개구들은 선재코일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blower openings are wire coil coo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s increased from the center to the edge in the wire coil width direction.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 및, 상기 송풍 덕트수단 상에 제공되되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서로 다른 풍속이나 풍량으로 송풍토록 제공되는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은, 송풍 덕트수단의 상측에 제공된 노즐개구의 송풍면적을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확대시키는 구배형 절개부를 갖춘 제2의 이동형 송풍제어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선재코일 냉각장치.
A blowing duct means disposed on a conveying path of the wire coil to be wound and provided to blow-cool the wire rod coil; And a gradient type wire coil cooling means provided on the blowing duct means and provided to blow air at different wind speeds or air volum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includes: a second movable blow control panel having a gradient cutout extending the blowing area of the nozzle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wing duct means toward the edge of the wire coil;
Wire rod cooling devic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이동형 송풍 제어판은, 상기 송풍 덕트수단의 노즐개구에 대응되어 위치되되 구동원을 매개로 덕트수단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movable blowing control panel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nozzle opening of the blowing duct means, the wire coil coo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means via a drive source.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송풍제어판 또는 제2의 이동형 송풍 제어판은 송풍 덕트수단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선재코일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7,
The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or the second movable blower control panel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wire rod width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rail provided in the blower duct means.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어 선재코일을 송풍 냉각토록 제공된 송풍 덕트수단; 및, 상기 송풍 덕트수단 상에 제공되되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서로 다른 풍속이나 풍량으로 송풍토록 제공되는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배형 선재코일 냉각수단은,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적층이 감소되는 망 구조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A blowing duct means disposed on a conveying path of the wire coil to be wound and provided to blow-cool the wire rod coil; And a gradient type wire coil cooling means provided on the blowing duct means and provided to blow air at different wind speeds or air volum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The gradient wire coil cooling means, wire rod coil coo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network structure is reduced stacking from the center to th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re coil.
KR1020110062993A 2011-06-28 2011-06-28 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 KR1012429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993A KR101242918B1 (en) 2011-06-28 2011-06-28 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993A KR101242918B1 (en) 2011-06-28 2011-06-28 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17A KR20130002017A (en) 2013-01-07
KR101242918B1 true KR101242918B1 (en) 2013-03-12

Family

ID=4783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993A KR101242918B1 (en) 2011-06-28 2011-06-28 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9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2008A (en) * 2016-02-23 2016-04-27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Efficient air cool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710B1 (en) * 2014-12-19 2016-02-17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cooling wire rod coil
CN108620439A (en) * 2018-06-01 2018-10-09 盐城市联鑫钢铁有限公司 It is a kind of to solve process and equipment of the valve snail with circle property difference
CN109433834A (en) * 2018-12-14 2019-03-08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A kind of high-speed rod air-cooled line and flexibly and effectively cool down temperature preservation contro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541Y1 (en) * 1984-04-18 1987-08-0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Cooling machine of wire rod
JPH05177234A (en) * 1991-05-31 1993-07-20 Unimetall Sa Stage for carrying and cooling for cooling wire coil at outlet of rolling equipment for metal wire
KR200302664Y1 (en) * 1998-12-24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Wind speed control device of wire blower
KR20110039907A (en)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cooling wire-rod co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541Y1 (en) * 1984-04-18 1987-08-0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Cooling machine of wire rod
JPH05177234A (en) * 1991-05-31 1993-07-20 Unimetall Sa Stage for carrying and cooling for cooling wire coil at outlet of rolling equipment for metal wire
KR200302664Y1 (en) * 1998-12-24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Wind speed control device of wire blower
KR20110039907A (en)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cooling wire-rod coi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2008A (en) * 2016-02-23 2016-04-27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Efficient air coo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17A (en)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918B1 (en) 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
WO2014034931A1 (en) Rapidly heating device of continuous annealing equipment
JP3881617B2 (en) Cooling control method for hot-rolled steel sheet
KR20120047950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microalloyed steel, in particular a pipe steel
KR101149210B1 (en) Cooling control apparatus for hot rolled steel sheets and method thereof
KR20050007595A (en) Hot 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ot steel sheet
WO2000071274A1 (en) Continuous production facilities for wire
KR1012719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KR2017007686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trip deviation
KR101242898B1 (en) Apparatus for Cooling Wire-rod Coil
KR101365527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lab of heating furnace
KR101242956B1 (en) Wire-rod Coil Cooling Apparatus
KR10149060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rod
KR1015686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 rod coil
JP4924579B2 (en) Hot-rolled steel strip cooling device and cooling method thereof
KR101636727B1 (en) Apparatus for coiling and uncoiling bar of hot rolling
KR101289181B1 (en) Apparatus Cooling Wire-rod Coil
KR101054383B1 (en) Hot Rolling Process Equipment and Hot Rolling Method for Shape Correction of Hot Rolled Steel Sheets
KR1012592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Wire-rod Coil
KR20090071135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wire coil
KR101299815B1 (en) Method for reducing the difference of cooling rates between top portion and bottom portion of hot-rolled wire rod and system thereof
KR100516517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carbon wire having homogeneous tensile strength
KR101522108B1 (en) Edge heater apparatus in hot strip mill
KR101674765B1 (en) Apparatus for cooling wire rod coil
KR1013575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veying speed on run out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