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716B1 -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716B1
KR101271716B1 KR1020130054604A KR20130054604A KR101271716B1 KR 101271716 B1 KR101271716 B1 KR 101271716B1 KR 1020130054604 A KR1020130054604 A KR 1020130054604A KR 20130054604 A KR20130054604 A KR 20130054604A KR 101271716 B1 KR101271716 B1 KR 10127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ariable
house
fixed
deodo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균
Original Assignee
거림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림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거림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등에서 공급되는 오폐수에서 협잡물을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협잡물 종합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 처리부의 연결부분이나 축 결합부분 등을 통해서 대기로 배출되는 악취를 포집처리 하여 협잡물 종합처리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최소화 하여 보다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토록 하며, 또 악취로 인한 민원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오폐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에서 협잡물과 슬러지 및 오폐수를 분리하는 공지의 협잡물 종합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종합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구조물의 상부에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탈취하우스를 더 설치하되;
상기 탈취하우스는 구조물의 상부 좌우측에 설치되는 레일과,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폐수공급관 쪽으로 양측 하단이 고정되도록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설치되는 2개의 고정지지체와, 고정지지체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바퀴가 양측 하단에 고정 설치된 수개의 가변지지체와, 고정지지체 및 가변지지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링과, 가변지지체에 일단이 고정되며 가이드링에 끼움되는 가이드 지지바와, 하단이 구조물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고정지지체와 반대쪽 마지막 가변지지체의 중간부분과 분리가능하게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버팀대와, 상기 고정지지체와 가변지지체의 외부에 씌워지는 메인커버 및 양측 가장자리의 고정지지체와 가변지지체의 측방을 밀폐하도록 메인커버와 결합한 측면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양측 고정지지체 사이의 메인커버 상측으로는 흡입팬이 내장설치된 흡입후드를 설치하고, 흡입후드에는 탈취장치와 연결된 배출관을 설치하며, 상기 가변지지체의 측방의 밀폐하는 측면커버는 분리수단에 의해 메인커버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Deodorization house installed Adulteration overall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등에서 공급되는 오폐수에서 협잡물을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협잡물 종합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처리부의 연결부분이나 축 결합부분 등을 통해서 대기로 배출되는 악취를 포집처리 하여 협잡물 종합처리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최소화 하여 보다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토록 하며, 또 악취로 인한 민원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등에서 공급되는 오폐수에서 협잡물을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협잡물 처리장치가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10-0779738호(2007.11.29.)의 종합협작물 처리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상부 내측 일면에 걸름턱이 형성되고, 그 걸름턱 전방에 배출공이 구비된 설치 침사 분리용기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침사 분리용기 상측 일면에 1차 협잡물 제거수단인 드럼스크린을 장착시키고; 상기 장착된 드럼스크린 전방 하부면에 설치지주에 안착된 협잡물 이송컨베이어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침사 분리용기 내측면에 사선 경사구조를 이루며, 그 침사 분리용기의 상부 일측면을 향해 노출 연장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더 설치 구비되게 구성하고 있다.
다른 실시례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10-0904283호(2009.06.25.)의 협잡물 고도 처리장치로, 로타리 스크린에서 5mm 정도 크기의 협잡물을 여과하고, 다음의 저속 사이클론에서 1.5mm 정도의 모래와 2.5mm 정도의 협잡물을 분리하며, 이 여과 모래를 고속사이클론에서 다시 1mm이하 크기의 모래와 액체로 분리 여과하고, 이 여과 모래를 스크류 데칸터에서 탈수하여 배출하게 한 것과, 상기 고속 사이클론의 여과액을 웨지 바 드럼 스크린에 유입하여 0.5mm 크기까지의 협잡물을 여과하고, 그 여과액은 처리수로 외부 배출하며, 상기 스크류 데칸터의 탈리액을 상기 웨지 바 드럼 여과기로 반송, 재처리하며, 로타리 스크린, 저속 사이클론, 웨지 바 드럼 여과기 등의 협잡물을 병합 탈수하는, 쐐기 봉을 활용한 스크류 프레스와, 여기에서 발생한 탈리액을 로타리 스크린으로 반송, 재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례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10-1142929호(2012.05.14.)의 미세 협잡물처리용 웨지형 바 스크린을 포함하는 협잡물 종합처리장치로서, 오폐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에서 6mm 이상의 협잡물을 로터리스크린으로 분리하여 스크루프레스로 탈수 처리하는 제1처리부와; 제1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펌프로 공급하여 오폐수에 포함되며 비중이 무거운 6mm 이하의 모래를 포함하는 슬러지오폐수와, 부유오폐수를 분리하는 수평형 사이클론 타입의 제2처리부와; 제2처리부에서 분리된 슬러지오폐수를 탈수하는 원심탈수기 및 원심탈수기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제3처리부;로 구성하며, 상기 제2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 오폐수와 제3처리부에서 슬러지 오폐수에서 슬러지를 분리한 상태로 배출되는 오폐수를 집수하는 집수조와, 집주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6mm 이하의 미세협잡물을 처리하는 제4처리부를 더 설치하여 오폐수의 정화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협잡물처리장치의 경우 장치 전체가 외부에 노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기기의 연결부분이나 축 결합부분 등을 통해서 악취가 누출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환경 위생성이 저하되며, 악취가 주변 지역이 확산되어 민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바, 업계에서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KR 100779738 B1 2007.11.29. KR 100904283 B1 2009.06.25. KR 101142929 B1 2012.05.14.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대기 중에 노출상태로 설치되는 협잡물 종합처리장치에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악취 처리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여러 처리부의 연결부분이나 축 결합부분 등을 통해서 대기로 배출되는 악취를 포집처리 하여 협잡물 종합처리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최소화 하여 보다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토록 하며, 또 악취로 인한 민원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오폐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에서 협잡물과 슬러지 및 오폐수를 분리하는 공지의 협잡물 종합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종합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구조물의 상부에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탈취하우스를 더 설치하되;
상기 탈취하우스는 구조물의 상부 좌우측에 설치되는 레일과,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폐수공급관 쪽으로 양측 하단이 고정되도록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설치되는 2개의 고정지지체와, 고정지지체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바퀴가 양측 하단에 고정 설치된 수개의 가변지지체와, 고정지지체 및 가변지지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링과, 가변지지체에 일단이 고정되며 가이드링에 끼움되는 가이드 지지바와, 하단이 구조물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고정지지체와 반대쪽 마지막 가변지지체의 중간부분과 분리가능하게 고정수단으로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버팀대와, 상기 고정지지체와 가변지지체의 외부에 씌워지는 메인커버 및 양측 가장자리의 고정지지체와 가변지지체의 측방을 밀폐하도록 메인커버와 결합한 측면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양측 고정지지체 사이의 메인커버 상측으로는 흡입팬이 내장설치된 흡입후드를 설치하고, 흡입후드에는 탈취장치와 연결된 배출관을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가변지지체의 측방의 밀폐하는 측면커버는 분리수단에 의해 메인커버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를 사용할 경우 여러 처리부의 연결부분이나 축 결합부분 등을 통해서 대기로 배출되는 악취를 포집하여 별도의 탈취장치로 공급하여 재처리하므로 대기로 배출되는 악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협잡물 종합처리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최소화 하여 보다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악취로 인한 민원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하우스가 고정지지체와 가변지지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종 처리부를 유지 보수할 때 가변지지체를 고정지지체 쪽으로 이동시켜 충분한 공간 확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의 바림직한 일 실시례를 본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탈취하우스 부분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탈취하우스 부분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탈취하우수의 세부 구성을 보이기 위한 중요부분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의 바림직한 일 실시례를 본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도 3은 도 1에서 탈취하우스 부분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탈취하우수의 세부 구성을 보이기 위한 중요부분 발췌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가정 등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는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등에서 처리하기 전에 이들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의 협잡물 종합처리장치(1)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취하우스(10)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1)를 제공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협잡물 종합처리장치(1)의 일 예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중 외형이 6mm 이상의 협잡물과, 6mm 이하 이면서 수중에 가라앉는 슬러지와, 6mm 이하의 협잡물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1)를 제공한 것으로, 6mm 이상의 협잡물을 분리하는 제1처리부(2)와, 제1처리부(2)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에서 비중이 무거운 6mm 이하의 모래를 포함하는 슬러지 오폐수를 분리하는 제2처리부(3)와, 제2처리부(3)에서 분리된 슬러지 오폐수를 처리하는 제3처리부(4), 및 제2처리부(3)와 제3처리부(4)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에서 6mm 이하의 미세협잡물을 처리하는 제4처리부(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처리부는 앵글 또는 빔으로 구성된 구조물(6)에 고정 설치한 것으로, 상기한 구성의 경우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한 특허 제1142929호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1)의 구성을 더욱 개량 발명하여 협잡물 종합처리장치(1)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조물(6)의 상부에 제1처리부(2) 내지 제4처리부(5) 전체를 덮어 밀폐할 수 있는 탈취하우스(10)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1)의 구성은 기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구성의 것들 중 어느 것이나 선택될 수 이음은 당연한 것이며, 이하에서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인 탈취하우스(10)의 구성은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탈취하우스(10)는 구조물(6)의 상부 좌우측에 한 쌍의 레일(11)을 설치한다.
상기 제1처리부(2)의 오폐수공급관(2a) 쪽으로 양측 하단이 구조물(6)에 고정되도록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형으로 형성된 2개의 고정지지체(12)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11)의 상측으로는 고정지지체(12)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레일(11)을 따라서 이동하는 바퀴(13)가 양측 하단에 고정 설치된 수개의 가변지지체(14)를 설치한다.
상기 가변지지제(14)는 레일(11)을 따라 이동된 상태일 때 일정폭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정지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지지체(12)에 가이드링(15)을 결합하고, 가변지지체(14)에는 일단이 가변지지체(14)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지지체(12)의 가이드링(15)에 끼움되는 가이드 지지바(16)를 수평상태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지지바(16)와 단차가 지도록 가변지지체(14)에 가이드링(17)을 결합하고, 이웃하는 가변지지체(14)에는 일단이 가변지지체(14)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지지체(12) 쪽의 가변지지체(14)에 형성된 가이드링(17)에 끼운 결합되는 가이드 지지바(18)를 수평상태로 결합한다. 이때 가이드 지지바(16)(18)의 선단에는 멈춤링(19)을 결합하여 가이드링(15)(17)에 가이드 지지바(16)(18)가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 분리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고정지지체(12)와 6개의 가변지지체(14)를 적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고정지지체(12) 사이의 간격보다 가변지지체(14) 사이의 간격이 좁게 설치되며, 일 예로 도시된 예로 2개의 고정지지체(12) 사이의 간격이 1000mm일 때 가변지지체(14) 사이의 간격은 900mm로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가변지지체(14)가 레일(11)을 따라서 이동할 때 고정지지체(12) 및 고정지지체(12) 쪽의 가변지지체(14)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링(15)(17)에서 이동하는 가변지지체(14)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지지바(16)(18)가 인출되면서 가변지지체(14)를 잡아주게 되므로 여러개의 가변지지체(14)들을 일정간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잡아주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지지체(12)와 반대방향에 있는 가장자리측 가변지지체(14)는 버팀대(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가변지지체(14)들이 흔들림 없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버팀대(20)의 하단을 구조물(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단을 고정지지체(12)와 반대쪽 마지막 가변지지체(14)의 중간부분과 분리가능하게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21)으로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설치한다.
이와 같은 버팀대(20)의 조립 구성은 가변지지체(14)를 이동한 상태에서 가장자리측 가변지지체(14)를 고정지지체(12) 반대쪽으로 밀어 고정함으로 해서 전체 가변지지체(14)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가변지지체(14)를 고정지지체(12) 쪽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가변지지체(14)와 버팀대(20)를 결합하고 있는 고정수단(21)을 분리한 후 버팀대(20)를 구조물(6) 쪽으로 눕혀 두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지지체(12)와 가변지지체(14)의 외부에 메인커버(22)를 씌우고, 바깥쪽의 고정지지체(12)와 가변지지체(14) 측방에는 메인커버(22)와 결합되는 측면커버(23)(24)를 설치하여 내부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처리부(2)(3)(4)(5)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포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메인커버(22)와 측면커버(23)(24)는 비닐지 또는 방수천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가변지지체(14)의 이동에 따라 쉽게 접어지고 펴 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 고정지지체(12) 사이의 메인커버(22) 상측으로는 흡입팬(26)이 내장 설치된 흡입후드(25)를 설치하고, 흡입후드(25)에는 탈취장치(30)와 연결된 배출관(27)을 설치하여 메인커버(22) 및 측면커버(23)(24)에 의해 밀폐된 공간 내에 포집된 악취를 흡입하여 탈취장치(30)에서 재처리 후 대기로 방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탈취장치(30)는 협잡물 종합처리장치(1)에 부속되어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부재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지지체(12)의 측방을 밀폐하는 메인커버(22)에는 오폐수공급관(2a)이 결합 수밀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변지지체(14)의 측방을 밀폐하는 측면커버(24)의 경우 지퍼등과 같은 분리수단(24a)에 의해 메인커버(22)에서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는 가변지지체(14)를 고정지지체(12) 쪽으로 이동시킬 때 이동 중 측면커버(24)가 기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협잡물 종합처리장치 2:제1처리부
2a:오폐수공급관 3:제2처리부
4:제3처리부 5:제4처리부
6:구조물 10:탈취하우스
11:레일 12:고정지지체
13:바퀴 14:가변지지체
15,17:가이드링 16,18:가이드 지지바
19:멈춤링 20:버팀대
21:고정수단 22:메인커버
23,24:측면커버 24a:분리수단
25:흡입후드 26:흡입팬
27:배출관 30:탈취장치

Claims (2)

  1. 오폐수공급관(2a)으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에서 협잡물과 슬러지 및 오폐수를 분리하는 공지의 협잡물 종합처리장치(1)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종합처리장치(1)를 구성하는 구조물(6)의 상부에 협잡물 종합처리장치(1)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탈취하우스(10)를 더 설치하되;
    상기 탈취하우스(10)는 구조물(6)의 상부 좌우측에 설치되는 레일(11)과,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폐수공급관(2a) 쪽으로 양측 하단이 고정되도록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설치되는 2개의 고정지지체(12)와,
    고정지지체(12)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레일(11)을 따라서 이동하는 바퀴(13)가 양측 하단에 고정 설치된 수개의 가변지지체(14)와,
    고정지지체(12) 및 가변지지체(14)에 결합되는 가이드링(15)(17)과,
    가변지지체(14)에 일단이 고정되며 가이드링(15)(17)에 끼움되는 가이드 지지바(16)(18)와,
    하단이 구조물(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고정지지체(12)와 반대쪽 마지막 가변지지체(14)의 중간부분과 분리가능하게 고정수단(21)으로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버팀대(20)와,
    상기 고정지지체(12)와 가변지지체(14)의 외부에 씌워지는 메인커버(22) 및 양측 가장자리의 고정지지체(12)와 가변지지체(14)의 측방을 밀폐하도록 메인커버(22)와 결합한 측면커버(23)(24)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양측 고정지지체(12) 사이의 메인커버(22) 상측으로는 흡입팬(26)이 내장설치된 흡입후드(25)를 설치하고, 흡입후드(25)에는 탈취장치(30)와 연결된 배출관(2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체(14)의 측방의 밀폐하는 측면커버(24)는 분리수단(24a)에 의해 메인커버(22)에서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20130054604A 2013-05-14 2013-05-14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127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604A KR101271716B1 (ko) 2013-05-14 2013-05-14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604A KR101271716B1 (ko) 2013-05-14 2013-05-14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716B1 true KR101271716B1 (ko) 2013-06-05

Family

ID=4886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604A KR101271716B1 (ko) 2013-05-14 2013-05-14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838B1 (ko) * 2016-10-14 2017-07-06 디엠엔텍 주식회사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301B1 (ko) 2010-02-02 2010-08-12 (주)엑센 하폐수처리장의 악취방지를 위한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커버장치
KR101058862B1 (ko) 2011-06-09 2011-08-26 박준호 복합 개방형 아케이드
KR20120013042A (ko) * 2010-08-04 2012-02-14 주식회사 티에프티 하수 처리장의 개폐형 커버
KR20120044534A (ko) * 2010-10-28 2012-05-08 위규백 커버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301B1 (ko) 2010-02-02 2010-08-12 (주)엑센 하폐수처리장의 악취방지를 위한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커버장치
KR20120013042A (ko) * 2010-08-04 2012-02-14 주식회사 티에프티 하수 처리장의 개폐형 커버
KR20120044534A (ko) * 2010-10-28 2012-05-08 위규백 커버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KR101058862B1 (ko) 2011-06-09 2011-08-26 박준호 복합 개방형 아케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838B1 (ko) * 2016-10-14 2017-07-06 디엠엔텍 주식회사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55576T3 (es) Instalación y procedimiento para el reciclado de desperdicios, desechos de purificadores de agua y similares.
KR101244211B1 (ko) 하수 및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기
JP2008542008A (ja) モジュラ型水処理ユニット
KR101246050B1 (ko) 오수처리용 드럼스크린 장치
KR101656493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기
KR101271716B1 (ko) 탈취하우스가 설치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0518805B1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EP1926688A1 (en) Modular water treatment unit
KR101976013B1 (ko) 수직 무한궤도 이송형 스크린을 갖춘 협잡물 처리장치
KR20120031103A (ko) 협잡물 처리장치
KR100998074B1 (ko)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KR100758535B1 (ko) 오폐수 처리장치
CN114180740A (zh) 一种可减少异味发散的污水处理装置
CN208726857U (zh) 一种便于清除滤渣的污水杂质清除装置
CN207659145U (zh) 一种玻璃钢隔油池
WO2008132288A1 (en) Screenings washer
KR101749521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CN106222336B (zh) 一种具有水循环功能的转鼓
CN213475572U (zh) 一种废水处理用引流净化装置
JPH0374154B2 (ko)
KR101172837B1 (ko) 탈취기능을 향상시킨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2385878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200344615Y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20140029698A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CN215327601U (zh) 一种五金加工废水排放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