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682B1 - 오일 압력게이지 - Google Patents

오일 압력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682B1
KR101271682B1 KR1020110073887A KR20110073887A KR101271682B1 KR 101271682 B1 KR101271682 B1 KR 101271682B1 KR 1020110073887 A KR1020110073887 A KR 1020110073887A KR 20110073887 A KR20110073887 A KR 20110073887A KR 101271682 B1 KR101271682 B1 KR 10127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iquid
gauge
tube support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633A (ko
Inventor
김종권
김연호
이준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6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4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 G01L7/043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G01L19/0672Leakage or rupture protection or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2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1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ing liquid as the pressure-sensitive medium, e.g. liquid-column gauges
    • G01L7/185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ing liquid as the pressure-sensitive medium, e.g. liquid-column gaug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오일 압력게이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오일 압력게이지는, 압력 측정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의 내부 압력을 표시하는 게이지부; 및 게이지부와 연결되는 제1 튜브와, 대상물에 연결되되 제1 튜브의 배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유입구가 배치되는 제2 튜브가 수용 설치되며, 대상물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액체의 제2 튜브의 유입구를 통한 유입에 따라 제2 액체와 혼합되지 않는 제1 액체를 제1 튜브의 배출구를 통하여 게이지부를 향하여 유출시키는 보호용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일 압력게이지{OIL PRESSURE GAUGE}
본 발명은, 오일 압력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측정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에 저장된 고점도의 오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오일 압력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압력게이지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계기로서, 다이아프램, 부르돈(Bourdon) 튜브, 스파이럴(spiral) 튜브 또는 헬릭스(helix) 튜브와 같은 탄성의 튜브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을 읽어서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 부르돈 튜브란 탄력성이 있는 금속판으로 만든 중공의 편평한 튜브를 원호형으로 구부려 형성하되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타단부는 밀폐되어 있는 것으로, 부르돈 튜브의 개방된 일단부를 고정하고 압력을 가하면 고정되지 않은 밀폐된 타단부는 곡률반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부르돈 튜브의 이동량은 공급되는 압력의 크기나 부르돈 튜브의 크기와 두께, 재질, 구부려진 곡률 반경에 따라 변하고, 이 부르돈 튜브를 이용하여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를 부르돈 압력게이지라 한다. 이러한 부르돈 압력게이지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7880호(2006.11.17) "부르돈 압력게이지의 센싱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압력게이지는 압력 측정 대상물의 일 예인 선박의 배관 라인과 펌프의 흡입구 및 배출구 압력을 읽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펌프에서 적정 압력이 생성되고 배관 라인에 적정한 압력으로 유체가 흐르고 있는지를 압력게이지의 지시침을 통해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선박의 엔진룸과 같이 진동이나 맥압이 심한 곳은 압력게이지의 눈금을 읽을 수 없을 정도로 지시침의 진동이 심하여 압력게이지의 하우징 내부에 액체를 충진하여 진동이나 맥압을 완화시키고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기능을 하는 액체를 진동 완화 액체라고 한다.
지시침의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진동 완화 액체는 예를 들면 엔진룸의 연료 탱크에 저장된 고 점도의 연료 오일이 압력게이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력게이지의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진동 완화 액체는 압력게이지와 압력 측정 대상물의 일 예인 연료 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용기에 보관되고, 용기는 압력게이지 및 연료 탱크와 파이프로 연결된다.
이 용기에는 진동 완화 액체 외에 압력 측정 대상물의 일 예인 연료 탱크의 연료 오일이 저장되고, 저장된 진동 완화 액체와 연료 오일은 용기 내부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서 혼합되지 않는다.
또한, 진동 완화 액체는 압력 측정 대상물의 일 예인 연료 탱크의 연료 오일보다 비중이 높기 때문에 용기 안에서 연료 오일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에 저장된 고 점도의 오일이 압력게이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력게이지의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용기와 압력게이지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일단부는 용기의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압력게이지에 결합 되며, 용기와 연료 탱크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일단부는 용기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연료 탱크에 결합된다.
그 결과 압력게이지 및 압력 측정 대상물의 일 예인 연료 탱크와 용기를 연결하는 파이프 중 용기에 연결되는 파이프의 일단부를 구부려야 하므로 설치가 불편하고, 통상의 설치 위치와 반대이므로 작업자가 연결부를 잘못 연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오일 압력게이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7880호 (주식회사 수림테크) 2006. 11. 17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오일 압력게이지의의 가장 큰 문제점인 오일 압력게이지의 설치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설치가 불편하며, 작업자가 연결부를 잘못 연결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오일 압력게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압력 측정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의 내부 압력을 표시하는 게이지부; 및 상기 게이지부와 연결되는 제1 튜브와, 상기 대상물에 연결되되 상기 제1 튜브의 배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유입구가 배치되는 제2 튜브가 수용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액체의 상기 제2 튜브의 유입구를 통한 유입에 따라 상기 제2 액체와 혼합되지 않는 제1 액체를 상기 제1 튜브의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게이지부를 향하여 유출시키는 보호용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오일 압력게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호용기 조립체는, 내부에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가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마련되며, 양 단부에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가 각각 설치되는 제1 설치개구 및 제2 설치개구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튜브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제1 설치개구가 형성되는 천장부; 상기 제2 설치개구가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천장부 및 상기 바닥부를 연결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튜브와 상기 제2 튜브는 상기 제1 설치개구 및 제2 설치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튜브지지유닛은, 상기 천장부의 상기 제1 설치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튜브를 지지하는 제1 튜브지지체를 구비하는 제1 튜브지지유닛; 및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2 설치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튜브를 지지하는 제2 튜브지지체를 구비하는 제2 튜브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튜브지지유닛은, 상기 제1 튜브지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게이지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상기 제1 튜브지지체에 연결시키는 제1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튜브지지유닛은, 상기 제2 튜브지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물에 연결된 파이프를 상기 제2 튜브 몸체에 연결시키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결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한 쌍의 튜브지지유닛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액체 및 제2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한 쌍의 누설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액체 및 제2 액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보충공에 결합되는 필링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액체는 글리세린(glycerine)이고, 상기 제2 액체는 연료 오일 또는 슬러지 오일(sludge oi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오일 압력게이지의 가장 큰 문제점인 오일 압력게이지의 설치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설치가 불편하며, 작업자가 연결부를 잘못 연결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오일 압력게이지의 설치 작업이 편리하고 오 작업으로 인한 재설치 작업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높은 오일 압력게이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일 압력게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일 압력게이지에서 보호용기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호용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보호용기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오일 압력게이지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일 압력게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일 압력게이지에서 보호용기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호용기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보호용기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오일 압력게이지(1)는 압력 측정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의 내부 압력을 표시하는 게이지부(100)와, 게이지부(100)와 압력 측정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이하 '대상물'이라 함) 사이에 배치되어 대상물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게이지부(100) 유입을 방지하고 게이지부(100) 및 대상물을 연결시키는 파이프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보호용기 조립체(20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대상물은 연료 오일이 저장되는 연료 오일 탱크(미 도시), 슬러지 오일이 저장되는 슬러지 오일 탱크(미 도시)일 수 있다.
게이지부(100)는 다이아프램, 부르돈(Bourdon) 튜브, 스파이럴(spiral) 튜브 또는 헬릭스(helix) 튜브와 같은 탄성의 튜브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을 읽어서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게이지부(100)의 일 예는 부르돈 튜브를 이용한 압력게이지일 수 있다.
부르돈 튜브를 이용한 게이지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에 눈금부가 마련된 덮개판(111)을 구비한 게이지 본체(110)와, 게이지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되 일단부는 보호용기 조립체(200)에서 이송되는 제1 액체(L1, 도 7 참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타단부는 밀폐되어 있되 밀폐된 타단부가 게이지 본체(11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되지 않은 부르돈 튜브(120)와, 밀폐된 부르돈 튜브(12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부르돈 튜브(120)의 변형에 따른 압력 변화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압력표시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부르돈 튜브를 이용한 게이지부(100)의 압력표시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르돈 튜브(120)의 밀폐된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링크암(131)과, 링크암(131)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구동기어(132)와, 구동기어(132)와 치합되되 구동기어(132)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게이지 본체(110)에 마련되는 피동기어(133)와, 피동기어(133)에 고정되어 피동기어(133)와 일체로 회전되는 지시침(134)과, 일단부는 피동기어(133)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게이지 본체(110)에 결합되어 피동기어(133)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게이지 본체(110) 내부의 부르돈 튜브(120)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글리세린(glycerine)과 같은 제1 액체(L1)가 채워질 수 있다. 이 제1 액체(L1)는 부르돈 튜브(120)를 이용한 게이지부(100)의 내부 메커니즘을 심각한 진동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해주고, 대기 상태에서의 부식과 응축을 방지해 준다. 또한 제1 액체(L1)는 작은 순간적인 압력 진동에 지시침(134)이 덜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만들어 준다.
보호용기 조립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게이지부(100)에 제1 파이프(P1)로 연결되고 타측은 대상물에 제2 파이프(P2)로 연결(도 6 참조)되어, 대상물에 저장된 고 점도의 제2 액체(L2)가 게이지부(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게이지부(100)의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용기 조립체(200)는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제1 튜브(T1) 및 제2 튜브(T2)에 의해서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와 달리 제1 파이프(P1) 및 제2 파이프(P2)의 연결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제1 파이프(P1) 및 제2 파이프(P2)를 잘못 연결하는 실수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서는 대상물에 저장된 고 점도의 오일이 압력게이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력게이지의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압력게이지 및 대상물과 용기를 연결하는 파이프 중 용기에 연결되는 각각의 파이프의 일단부를 반드시 U자형으로 구부려야 한다.
즉, 대상물에 저장되는 고 점도의 오일이 압력게이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압력게이지로 유입되는 액체가 용기 내부에서 대상물에 저장되어 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고 점도의 오일보다 하측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용기와 압력게이지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일단부는 용기의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압력게이지에 결합 되며, 용기와 대상물을 연결하는 파이프의 일단부는 용기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대상물에 결합된다.
그 결과, 용기에 결합되는 각각의 파이프의 일단부를 U자형으로 구부려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파이프의 설치 위치가 통상의 설치 위치와 반대이므로 작업자가 파이프의 연결 부분을 잘못 연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후술할 용기 본체(210)의 내부에 수용설치되는 제1 튜브(T1) 및 제2 튜브(T2)에 의해서 용기 본체(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 액체(L1)를 제2 액체(L2)의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어 제2 액체(L2)가 게이지부(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게이지부(100)와 용기 본체(210)를 연결하는 제1 파이프(P1) 중 용기 본체(210)에 결합되는 제1 파이프(P1)의 일단부가 용기 본체(210)의 상측에 결합되므로, 종래의 일 실시 예와 같이 제1 파이프(P1)의 일단부를 U자형으로 구부릴 필요가 없다.
나아가, 게이지부(100)와 제1 파이프(P1)의 연결 구조가 일반적인 연결 구조이므로 제1 파이프(P1)를 잘못 연결하는 실수도 줄어든다. 이러한 이점은 대상물과 용기 본체(210)를 연결하는 제2 파이프(P2)를 설치할 때도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본체 용기에 수용되는 제1 액체(L1)는 글리세린(glycerin)일 수 있고, 제2 액체(L2)는 엔진룸에 마련되는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 오일 또는 슬러지 탱크에 저장된 슬러지 오일(sludge oi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액체(L1)일 수 있는 글리세린과 제 2 액체일 수 있는 연료 오일 또는 슬러지 오일은 비중 차이에 의해서 서로 혼합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용기 본체(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액체(L1)일 수 있는 글리세린은 제2 액체(L2)일 수 있는 연료 오일 또는 슬러지 오일보다 비중이 높기 때문에 용기본체(210)의 내부에서 항상 제2 액체(L2)일 수 있는 연료 오일 또는 슬러지 오일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보호용기 조립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가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용기 본체(210)와, 용기 본체(210)에 각각 결합되어 제1 튜브(T1) 및 제2 튜브(T2)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튜브지지유닛(220)을 포함한다.
보호용기 조립체(200)의 용기 본체(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치개구(211a)와 보충공(211b)이 형성되는 천장부(211)와, 제2 설치개구(212a)가 형성되는 바닥부(212)와, 천장부(211) 및 바닥부(212)를 연결하여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213)와, 측벽부(213)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결플랜지(21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튜브(T1) 및 제2 튜브(T2)는, 용기 본체(210)의 제1 설치개구(211a) 및 제2 설치개구(212a)에 후술할 튜브지지유닛(220) 없이 용접결합,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독자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튜브(T1) 및 제2 튜브(T2)는 용기 본체(210)의 제1 설치개구(211a) 및 제2 설치개구(212a)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210)의 수용 공간 내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호용기 조립체(200)의 한 쌍의 튜브지지유닛(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10)의 천장부(211)의 제1 설치개구(211a)에 결합되어 제1 튜브(T1)를 지지하는 제1 튜브지지체(231)를 구비한 제1 튜브지지유닛(230)과, 용기본체의 바닥부(212)의 제2 설치개구(212a)에 결합되어 제2 튜브(T2)를 지지하는 제2 튜브지지체(241)를 구비한 제2 튜브지지유닛(240)을 포함한다.
한 쌍의 튜브지지유닛(220) 중 제1 튜브지지유닛(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튜브지지체(231)에 결합되어 게이지부(100)에 연결된 제1 파이프(P1)를 제1 튜브지지체(231)에 연결시키는 제1 커넥터(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튜브지지유닛(220) 중 제2 튜브지지유닛(2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튜브지지체(241)에 결합되어 대상물에 연결된 제2 파이프(P2)를 제2 튜브지지체(241)에 연결시키는 제2 커넥터(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튜브지지체(231) 및 제2 튜브지지체(241)는 용기 본체(210)의 제1 설치개구(211a) 및 제2 설치개구(212a)에 용접 결합,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용기 본체(210)에 수용되는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는 용기 본체(210)에서 누설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10)와 한 쌍의 튜브지지유닛(220)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누설방지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누설방지부재(300)는 구리 재질로 제작된 개스킷(gasket)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충할 수 있도록 용기 본체(210)의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용기 본체(210)의 보충공(211b)에 결합되는 필링캡(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오일 압력게이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대상물에 제2 액체(L2)가 채워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대상물에 제2 액체(L2)가 채워져 대상물 내부의 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게이지부(100)의 지시침(13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오일 압력게이지(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에 제2 액체(L2)가 채워지기 전에도 용기 본체(210)에는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가 수용될 수 있다. 대상물에 제2 액체(L2)가 채워지면 대상물에 저장되는 제2 액체(L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이프(P2)를 통해 용기 본체(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용기 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제2 액체(L2)는 용기 본체(21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되 용기 본체(210)의 천장부(211)에 유입구(i, 도 7 참조)가 인접되게 배치되는 제2 튜브(T2)에 의해서 용기 본체(210)의 내부에서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채워지게 된다.
그 결과 제2 액체(L2)가 용기 본체(210)의 유입되는 양에 비례하여 제1 액체(L1)의 채워진 높이(h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보다 낮아진 채워진 높이(h2)를 갖게된다.
이렇게 제1 액체(L1)의 채워진 높이가 낮아지는 것은 용기 본체(210)의 내부에 수용된 제1 액체(L1)가 제1 튜브의 배출구(e, 도 7 참조)를 통해 게이지부(100)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게이지부(100)로 배출되는 제1 액체(L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P1)와 연통되는 부르돈 튜브(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제1 액체(L1)가 부르돈 튜브(120)의 내부로 유입되면 부르돈 튜브(120)는 화살표 방향과 같이 탄성 변형되고, 부르돈 튜브(120)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압력표시부(130)의 지시침(134)도 회전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압력표시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암(131), 구동기어(132), 피동기어(133), 지시침(134)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부르돈 튜브(120)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암(131)은 화살표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구동기어(132)는 화살표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피동기어(13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피동기어(133)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지시침(134)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지시침(134)의 회전 범위는 대상물에 저장되는 제2 액체(L2)의 압력에 비례되어 표시되므로 대상물에 저장된 제2 액체의 압력(제2 액체의 양)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오일 압력게이지 100 : 게이지부
110 : 게이지 본체 120 : 부르돈 튜브
130 : 표시부 131 : 링크암
132 : 구동기어 132 : 피동기어
134 : 지시침 135 : 탄성체
200 : 보호용기 조립체 210 : 용기 본체
211 : 천장부 212 : 바닥부
213 : 측벽부 214 : 체결플랜지
220 : 튜브지지유닛 230 : 제1 튜브지지유닛
240 : 제2 튜브지지유닛 300 : 누설방지부재
400 : 필링캡 i : 유입구
e : 배출구 L1 : 제1 액체
L2 : 제2 액체 P1 : 제1 파이프
P2 : 제2 파이프 T1 : 제1 튜브
T2 : 제2 튜브

Claims (10)

  1. 압력 측정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의 내부 압력을 표시하는 게이지부; 및
    상기 게이지부와 연결되는 제1 튜브와, 상기 대상물에 연결되되 상기 제1 튜브의 배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유입구가 배치되는 제2 튜브가 수용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액체의 상기 제2 튜브의 유입구를 통한 유입에 따라 상기 제2 액체와 혼합되지 않는 제1 액체를 상기 제1 튜브의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게이지부를 향하여 유출시키는 보호용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오일 압력게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기 조립체는,
    내부에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가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마련되며, 양 단부에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가 각각 설치되는 제1 설치개구 및 제2 설치개구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튜브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오일 압력게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제1 설치개구가 형성되는 천장부;
    상기 제2 설치개구가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천장부 및 상기 바닥부를 연결하여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튜브와 상기 제2 튜브는 상기 제1 설치개구 및 제2 설치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압력게이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튜브지지유닛은,
    상기 천장부의 상기 제1 설치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튜브를 지지하는 제1 튜브지지체를 구비하는 제1 튜브지지유닛; 및
    상기 바닥부의 상기 제2 설치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튜브를 지지하는 제2 튜브지지체를 구비하는 제2 튜브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오일 압력게이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지지유닛은, 상기 제1 튜브지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게이지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상기 제1 튜브지지체에 연결시키는 제1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오일 압력게이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지지유닛은, 상기 제2 튜브지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물에 연결된 파이프를 상기 제2 튜브지지체에 연결시키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오일 압력게이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결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오일 압력게이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한 쌍의 튜브지지유닛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액체 및 제2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한 쌍의 누설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오일 압력게이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및 제2 액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보충공에 결합되는 필링캡을 더 포함하는 오일 압력게이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는 글리세린(glycerine)이고, 상기 제2 액체는 연료 오일 또는 슬러지 오일(sludge oi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오일 압력게이지.
KR1020110073887A 2011-07-26 2011-07-26 오일 압력게이지 KR101271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887A KR101271682B1 (ko) 2011-07-26 2011-07-26 오일 압력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887A KR101271682B1 (ko) 2011-07-26 2011-07-26 오일 압력게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633A KR20130012633A (ko) 2013-02-05
KR101271682B1 true KR101271682B1 (ko) 2013-06-04

Family

ID=4789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887A KR101271682B1 (ko) 2011-07-26 2011-07-26 오일 압력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6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6530A (ko) * 1996-03-07 1997-10-13 뮐러 로타르 압력 게이지 장치
KR20060117880A (ko) * 2006-05-15 2006-11-17 주식회사 메타켐 부르동 압력게이지의 센싱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6530A (ko) * 1996-03-07 1997-10-13 뮐러 로타르 압력 게이지 장치
KR100225660B1 (ko) 1996-03-07 1999-10-15 뮐러 로타르 압력 게이지 장치
KR20060117880A (ko) * 2006-05-15 2006-11-17 주식회사 메타켐 부르동 압력게이지의 센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633A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29377A (ja) 磁歪式液面計検出部の振動防止構造
CN209859756U (zh) 储油装置及变压器注油设备
KR101271682B1 (ko) 오일 압력게이지
WO2006061186A3 (de) Füllstands-messvorrichtung
CN210487021U (zh) 浮筒液位计标定装置
CN101762297B (zh) 一种流量计用的传感装置
JP2002310823A (ja) 圧力計
JPH09301491A (ja) 液体燃料タンク
KR101145607B1 (ko) 고압용기의 액체레벨 검출장치
JP3100132B1 (ja) 漏洩検知装置
JP2020037434A (ja) 給油装置
CN2554611Y (zh) 一种液位指示器
CN209495758U (zh) 液化气体罐车用液位计的检测装置
JP4117569B2 (ja) 地下タンクの漏洩検知装置
JP4228315B2 (ja) 地下タンクの漏洩検知装置
KR20020077764A (ko) 가스연료 차량의 연료탱크용 통합밸브
KR200406983Y1 (ko) 온도측정이 가능한 냉매용 차압계
CN218093447U (zh) 压缩机
KR200406984Y1 (ko) 압력계
CN215723138U (zh) 一种耐高温型锅炉压力表
CN221004748U (zh) 一种带有管道压力检测的预警装置
CN219084197U (zh) 一种一体式多功能液位计
CN211375293U (zh) 投影装置及水箱
JP3133073U (ja) 温圧計
CN215726263U (zh) 一种准确度高的磁翻板液位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