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203B1 - 임계열속 성능 및 구조건전성 향상 핵연료집합체 - Google Patents

임계열속 성능 및 구조건전성 향상 핵연료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203B1
KR101271203B1 KR1020120001212A KR20120001212A KR101271203B1 KR 101271203 B1 KR101271203 B1 KR 101271203B1 KR 1020120001212 A KR1020120001212 A KR 1020120001212A KR 20120001212 A KR20120001212 A KR 20120001212A KR 101271203 B1 KR101271203 B1 KR 101271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ssembly
sleeve
nuclear fuel
assemb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기
박남규
최기성
조창석
김홍주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G21C3/356Spacer grids being provided with fuel element supporting memb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계열속을 개선할 수 있는 핵연료 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연료봉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연료봉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격자체와, 이 지지격자체에 고정되는 다수의 안내관과, 이 안내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상단고정체 및 하단고정체를 포함하는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안내관(100)은 지지격자체들 중 하나의 제1지지격자체(210)의 하부와 조립되는 슬리브(110)와; 상단부가 슬리브(110)의 하단과 조립되고 하단부가 제1지지격자체(210)와 가장 이웃하여 하단에 위치하는 제2지지격자체(220)의 상부와 조립되는 연결튜브(120)가 하나의 유니트를 이루어 안내관 유니트를 구성하되, 슬리브(110) 및 연결튜브(120)의 조립 단부는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돌기부(111)(121)들이 서로 끼워 맞춤 조립되어, 각 안내관 유니트가 상기 지지격자체들 사이에 조립됨으로써, 핵연료 집합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게 되는 냉각수의 난류 유동 섞임을 촉진시켜 핵연료봉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임계열속(critical heat flux)을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조립성 및 구조 안정성을 함께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임계열속 성능 및 구조건전성 향상 핵연료집합체 {Nuclear fuel assembly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critical heat flux and the structural integrity}
본 발명은 임계열속 성능향상과 동시에 핵연료집합체 구조적 건전성을 제고 시킬 수 있는 핵연료 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수 난류 유동 섞임을 촉진시켜 핵연료봉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임계열속(critical heat flux)을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조립성 및 구조 안정성을 같이 개선할 수 있는 핵연료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는 핵분열 물질의 연쇄 핵분열반응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핵분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원자로에서 사용되는 핵연료는 농축된 우라늄을 일정한 크기의 원통형 펠렛(Pellet)으로 성형된 후에 다수의 펠렛들이 연료봉 내에 장입되어 제조되며, 이러한 다수의 연료봉들이 핵연료 집합체를 구성하여 원자로의 노심에 장전된 후에 핵반응을 통해 연소가 이루어진다.
핵연료 집합체는 연료봉이 삽입되는 지지격자체(10)와, 이 지지격자체(10)와 고정되는 다수의 안내관(20)과, 이 안내관(20)의 상단에 체결되는 상단고정체(30)와, 안내관(20)의 하단에 체결되는 하단고정체(40)를 포함하며, 연료봉은 지지격자체(10)에 마련된 딤플 및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핵연료 집합체는 연료봉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지지격자체(10) 내의 스프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봉의 표면에 락커를 도포하여 지지격자체(10)에 삽입한 후에 상단고정체(30)와 하단고정체(40)에 고정되어 제작되며, 완성된 핵연료 집합체는 락커를 제거한 후에 연료봉 사이의 간격, 뒤틀림, 치수 등을 검사하여 핵연료 집합체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도 2는 종래의 지지격자체의 평면도로서, 지지격자체(10)는 일정 간격으로 슬롯이 형성된 얇은 금속 격자판(11)들을 격자 형태로 상호 결합하여 구성되며, 다수의 연료봉이 장입 가능한 격자 형태로 구획된 연료봉 공간부(10a)와 함께 안내관 또는 계측관이 삽입 관통하게 되는 공간부(10b)를 갖는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안내관에 대한 설명은 계측관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지지격자체는 핵연료봉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10개 내지 13개 정도가 배치되어 핵연료봉을 지지하게 되며, 핵연료봉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길이가 4m 정도의 안내관이 지지격자체와 체결되어 핵연료 집합체의 골격을 이룬다.
한편 지지격자체(10)에 삽입 관통되는 안내관(20)은 지지격자체(10)와 체결되어 지지격자체(10)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되며, 지지격자체(10)와 안내관(20)을 체결하는 수단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지지격자체와 안내관을 직접 용접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격자체(10)에는 안내관이 삽입되는 위치에 슬리브(21)가 먼저 장착된 후에 슬리브(21)에 안내관을 끼워 용접 또는 기타 고정용 부재를 이용하거나 소성가공에 의해 안내관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지격자체와 안내관의 체결방법은 안내관을 직접 용접하거나 지지격자에 조립되는 슬리브를 매개로 하여 안내관을 고정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안내관(또는 계측관)은 길이가 4m 정도로 길며, 이러한 안내관은 10개 내지 13개 정도의 지지격자체와 각각 결합되어 복잡한 배치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안내관과 계측관을 지지격자체와 용접하여 고정하는 작업은 많은 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하며, 용접 공정 이후에도 많은 용접 부위에 대해서 용접 상태에 대한 품질 검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용접 시에 발생된 고온의 열은 열변형으로 인하여 구조적 불안정성과 용접부 주위의 부식 등으로 인한 구조물의 열화현상 등이 발생하여 핵연료의 건전성과 안전성을 해할 위험이 있다. 또한 단순 튜브 삽입에 의한 지지격자체 고정은 원주 방향으로 지지격자체 구조물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고속의 냉각수 유동으로 인하여 핵연료 집합체 내에서 지지격자체 구조물이 안정적인 위치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핵연료 집합체의 핵연료봉에서 핵분열에 의해 발생된 열은 원자로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가 하부노심판을 통과하여 상부로 흐르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이때 냉각수가 지나게 되는 지지격자체의 주요 기능 중의 하나는 냉각수가 잘 섞여 열교환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지격자체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그 다음에 위치한 지지격자체까지 이러한 기능이 많이 저하되고 열교환 효율이 약화되어 임계열속 여유도의 저하가 발생한다(도 4 참고).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62151호(등록일자: 1998.08.28)는 핵연료봉에 구조물을 직접 부착하여 핵연료 집합체의 임계열속을 개선하고자 하는 핵연료 집합체 임계열유속 향상용 버턴형 부착물 설치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격자체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임계열속에 대한 여유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연료집합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핵연료 집합체를 지나는 냉각수의 난류 유동 섞임을 촉진시켜 핵연료봉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임계열속을 낮출 수 있으면서도, 또한 조립성 및 구조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핵연료 집합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는, 연료봉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연료봉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격자체와, 이 지지격자체에 고정되는 다수의 안내관과, 이 안내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상단고정체 및 하단고정체를 포함하는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상기 지지격자체들 중 하나의 제1지지격자체의 하부와 조립되는 슬리브와; 상단부가 상기 슬리브의 하단과 조립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1지지격자체와 가장 이웃하여 하단에 위치하는 제2지지격자체의 상부와 조립되는 연결튜브가 하나의 유니트를 이루어 안내관 유니트를 구성하되, 상기 슬리브 및 연결튜브의 조립 단부는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돌기부들이 서로 끼워 맞춤 조립되어, 각 안내관 유니트가 상기 지지격자체들 사이에 조립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 마련되는 제1돌기부는 상방으로 경사면를 갖는 삼각뿔 형상이며, 상기 연결튜브에 마련되는 제2돌기부는 하방으로 경사면를 갖는 삼각뿔 형상으로, 상기 제1돌기부가 상기 제2돌기부 안쪽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또는 상기 제1,2돌기부는 좌우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안내관 유니트를 구성하는 상기 돌기부 또는 상기 제1,2돌기부는 모두가 동일한 방향으로 좌우 비대칭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상단에는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고정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격자체는 하측 선단부에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어 끼워 맞춤되는 요홈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돌기는 하방으로 경사면을 갖는 삼각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는 지지격자체들 사이에 슬리브와 연결튜브로 구성된 안내관 유니트가 조립되되, 슬리브와 연결튜브 사이의 조립단부는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돌기부들이 서로 끼워 맞춤 조립됨으로써, 핵연료 집합체를 지나는 냉각수의 난류 유동 섞임을 촉진시켜 핵연료봉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임계열속을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조립성 및 구조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핵연료 집합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격자지지체의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핵연료 집합체에서 슬리브가 조립된 지지격자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핵연료 집합체에서 냉각수 흐름에 의한 임계열속 패턴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요부구성인 안내관 유니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슬리브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지지격자체와 안내관 유니트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안내관은 계측기가 삽입되는 계측관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핵연료 집합체에서 안내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체결되어 안내관을 지지하게 되는 상단고정체와 하단고정체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핵연료 집합체는, 연료봉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연료봉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격자체와, 이 지지격자체에 고정되는 다수의 안내관과, 이 안내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상단고정체 및 하단고정체를 포함하는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안내관(100)은 지지격자체들 중 하나의 제1지지격자체(210)의 하부와 조립되는 슬리브(110)와; 상단부가 슬리브(110)의 하단과 조립되고 하단부가 제1지지격자체(210)와 가장 이웃하여 하단에 위치하는 제2지지격자체(220)의 상부와 조립되는 연결튜브(120)가 하나의 유니트를 이루어 안내관 유니트를 구성하되, 슬리브(110) 및 연결튜브(120)의 조립 단부는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돌기부(111)(121)들이 서로 끼워 맞춤 조립되어, 각 안내관 유니트가 상기 지지격자체들 사이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안내관(100)은 슬리브(110)와 연결튜브(120)로 구성되며, 슬리브(110)와 연결튜브(120) 사이의 조립 단부에는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111)(121)들이 서로 끼워 맞춤되어 조립이 이루어져 하나의 안내관 유니트를 구성한다.
슬리브(110)와 연결튜브(120)는 중공의 튜브이며, 조립 단부에는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서 다수의 제1돌기부(111)와 제2돌기부(121)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슬리브(110)에 마련되는 제1돌기부(111)는 상방으로 경사면를 갖는 삼각뿔 형상이며, 연결튜브(120)에 마련되는 제2돌기부(121)는 하방으로 경사면를 갖는 삼각뿔 형상으로, 제1돌기부(111)가 제2돌기부(121) 안쪽으로 삽입되어 슬리브(110)와 연결튜브(120)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슬리브(110)와 연결튜브(120)의 조립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끼워 맞춤되는 제1돌기부(111)와 제2돌기부(121)는 슬리브와 연결튜브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을 제한하면서도 원주방향의 회전 역시도 제한되어 견고히 조립이 이루어진다.
특히, 슬리브와 연결튜브의 조립단부에서 제1,2돌기부(111)(121)에 의해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물은 핵연료 집합체의 하부에서 상부를 따라 흐르게 되는 냉각수의 섞임을 촉진시켜서 임계열속 여유도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111)의 제1돌기부(111) 보다는 연결튜브(120)의 제2돌기부(121)가 크게 형성되어 제1돌기부(111)가 제2돌기부(121) 안쪽으로 삽입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2돌기부(121)가 제1돌기부(111)를 덮게 되어 핵연료 집합체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게 되는 냉각수 흐름을 방해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압력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제1,2돌기부(111)(121)는 좌우 비대칭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 안내관 유니트를 구성하는 제1,2돌기부(111)(121)는 모두가 동일한 방향으로 좌우 비대칭 형상을 갖는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돌기부(111)는 좌우가 비대칭 구조를 갖되, 제1돌기부(111) 모두가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제1,2돌기부(111)(121)가 좌우 비대칭이면서 특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핵연료 집합체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는 냉각수가 효과적으로 섞임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지지격자체와 안내관 유니트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슬리브(110) 상단에는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고정돌기(112)가 마련되며, 제1지지격자체(210)는 하측 선단부에 고정돌기(112)와 대응되어 끼워 맞춤되는 요홈돌기(211)(212)가 마련된다.
슬리브(110)의 상단 개구부는 지지격자체(210)의 하단부에 맞닿아서 위치하게 되며, 고정돌기(112)는 요홈돌기(211)(212) 사이에 위치하여 슬리브(110)와 지지격자체(210)는 상하방향과 원주방향에 대해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튜브의 하단 역시도 고정돌기가 마련되며, 이 연결튜브와 조립되는 지지격자체의 상측 선단부에 고정돌기와 대응되어 끼워 맞춤되는 요홈돌기를 마련하여 연결튜브 하단과 지지격자체를 서로 조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슬리브(110) 상단에 마련되는 고정돌기(112)는 하방으로 경사면을 갖는 삼각뿔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핵연료 집합체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게 되는 냉각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슬리브와 지지격자체의 조립단부에서의 냉각수 압력강하를 최소화할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핵연료 집합체는 제1,2돌기부(111)(121)를 매개로 조립된 슬리브(110)와 연결튜브(120)로 구성된 안내관 유니트(100a)가 지지격자체(210)(220) 사이마다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핵연료 집합체의 안내관으로 기능하며, 안내관의 상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상단고정체 및 하단고정체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핵연료 집합체를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지지격자체들 사이에 슬리브와 연결튜브로 구성된 안내관 유니트가 조립되되, 슬리브와 연결튜브 사이의 조립단부에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부들이 서로 끼워 맞춤 조립됨으로써, 핵연료 집합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는 냉각수는 다수의 돌기부들에 의해 난류 유동 섞임이 촉진되어 핵연료봉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임계열속을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핵연료 집합체 제작 시에 요구되었던 다수의 용접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조립성를 개선할 수 있으며 구조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안내관 110 : 슬리브
111 : 제1돌기부 120 : 연결튜브
121 : 제2돌기부 210 : 제1지지격자체
220 : 제2지지격자체

Claims (6)

  1. 연료봉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연료봉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격자체와, 이 지지격자체에 고정되는 다수의 안내관과, 이 안내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체결되는 상단고정체 및 하단고정체를 포함하는 핵연료 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상기 지지격자체들 중 하나의 제1지지격자체의 하부와 조립되는 슬리브와;
    상단부가 상기 슬리브의 하단과 조립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1지지격자체와 가장 이웃하여 하단에 위치하는 제2지지격자체의 상부와 조립되는 연결튜브가 하나의 유니트를 이루어 안내관 유니트를 구성하되,
    상기 슬리브 및 연결튜브의 조립 단부는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돌기부들이 서로 끼워 맞춤 조립되어, 각 안내관 유니트가 상기 지지격자체들 사이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 마련되는 제1돌기부는 상방으로 경사면를 갖는 삼각뿔 형상이며, 상기 연결튜브에 마련되는 제2돌기부는 하방으로 경사면를 갖는 삼각뿔 형상으로, 상기 제1돌기부가 상기 제2돌기부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가 상기 연결튜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좌우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각 안내관 유니트를 구성하는 상기 돌기부는 모두가 동일한 방향으로 좌우 비대칭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에는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고정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격자체는 하측 선단부에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어 끼워 맞춤되는 요홈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하방으로 경사면을 갖는 삼각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
KR1020120001212A 2012-01-04 2012-01-04 임계열속 성능 및 구조건전성 향상 핵연료집합체 KR10127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212A KR101271203B1 (ko) 2012-01-04 2012-01-04 임계열속 성능 및 구조건전성 향상 핵연료집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212A KR101271203B1 (ko) 2012-01-04 2012-01-04 임계열속 성능 및 구조건전성 향상 핵연료집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203B1 true KR101271203B1 (ko) 2013-06-07

Family

ID=4886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212A KR101271203B1 (ko) 2012-01-04 2012-01-04 임계열속 성능 및 구조건전성 향상 핵연료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2682A (zh) * 2016-12-30 2017-05-31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用于铅铋堆的燃料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9837A (en) 1989-11-03 1991-04-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Axially modular fuel assembly and rod for optimal fuel utilization
JPH08122474A (ja) * 1994-10-28 1996-05-17 Toshiba Corp 燃料スペーサおよび燃料集合体
US5852644A (en) 1996-06-28 1998-12-22 Framatome Guide tube for a nuclear fuel assembly
KR20080060803A (ko) * 2006-12-27 2008-07-02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지지격자와 안내관 및 계측관을 무용접으로 체결하는골격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9837A (en) 1989-11-03 1991-04-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Axially modular fuel assembly and rod for optimal fuel utilization
JPH08122474A (ja) * 1994-10-28 1996-05-17 Toshiba Corp 燃料スペーサおよび燃料集合体
US5852644A (en) 1996-06-28 1998-12-22 Framatome Guide tube for a nuclear fuel assembly
KR20080060803A (ko) * 2006-12-27 2008-07-02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지지격자와 안내관 및 계측관을 무용접으로 체결하는골격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2682A (zh) * 2016-12-30 2017-05-31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用于铅铋堆的燃料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7695B2 (ja) 原子炉の燃料集合体及びそのグリッド
KR100932436B1 (ko) 연료봉 프레팅 마모방지를 위한 카누 모양의 스프링을 가진지지격자
JP5627065B2 (ja) 係止支持スペーサグリッドを有する原子燃料集合体
KR102117496B1 (ko) 단순 형상 구조를 갖는 핵연료 집합체의 지지격자
KR101496983B1 (ko) 핵 연료봉 스페이서 그리드 및 이러한 그리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워크 및 어셈블리
KR101002719B1 (ko) 접촉부에 홀을 구비한 지지격자 스프링
KR101271203B1 (ko) 임계열속 성능 및 구조건전성 향상 핵연료집합체
US8483349B2 (en) Spacer grid for dual-cooling nuclear fuel rods using intersectional support structures
KR100900917B1 (ko) 교차점 지지체를 이용한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
KR20100081743A (ko)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다공판 지지체
KR20140019926A (ko) 유체유발 고주파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핵연료 집합체의 지지격자
KR101778804B1 (ko) 보호 그리드 부착물
KR101732174B1 (ko) 일측 개방형 스프링 구조를 갖는 지지격자
JP2012208123A (ja) 原子力燃料集合体の支持グリッド
US9171647B2 (en) Spacer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y for reducing flow-induced vibration
KR101017318B1 (ko) 수력적 균형을 이루는 혼합날개 패턴을 가진 지지격자
KR101149550B1 (ko) 핵연료 집합체용 상단고정체
KR100800094B1 (ko) 연료봉 프레팅 마모방지를 위한 탁자형 스프링을 구비한지지격자
KR101729155B1 (ko) 핵연료 집합체의 지지격자
KR100982299B1 (ko) 핵연료 집합체의 댐퍼 탑재형 지지격자
RU2204868C2 (ru) Дистанционирующая решетка тепловыделяющей сборки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KR100907634B1 (ko) 비대칭형 딤플을 갖는 이물질 여과용 지지격자
US20140037041A1 (en) Spacer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y for reducing high frequency vibration
CN203966569U (zh) 保持格栅及带有这种保持格栅的燃料组件
KR101125798B1 (ko) 핵연료집합체의 하부지지격자 고정용 단일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