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743A -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다공판 지지체 - Google Patents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다공판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743A
KR20100081743A KR1020090001116A KR20090001116A KR20100081743A KR 20100081743 A KR20100081743 A KR 20100081743A KR 1020090001116 A KR1020090001116 A KR 1020090001116A KR 20090001116 A KR20090001116 A KR 20090001116A KR 20100081743 A KR20100081743 A KR 2010008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uel rod
dual
plat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668B1 (ko
Inventor
윤경호
김형규
김재용
이영호
이강희
전태현
인왕기
오동석
신창환
송근우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0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668B1/ko
Priority to US12/421,829 priority patent/US8275088B2/en
Publication of KR2010008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22Means to influence the coolant flow through or around the bund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Supporting or hanging of elements in the bundle; Means forming part of the bundle for inserting it into, or removing it from, the core; Means for coupling adjacent bund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Supporting or hanging of elements in the bundle; Means forming part of the bundle for inserting it into, or removing it from, the core; Means for coupling adjacent bundles
    • G21C3/3305Lower nozzl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Supporting or hanging of elements in the bundle; Means forming part of the bundle for inserting it into, or removing it from, the core; Means for coupling adjacent bundles
    • G21C3/3315Upper nozz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심을 이루는 내측 관과 외측 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하단에 상부 봉단마개와 하부 봉단마개가 각각 결합된 이중냉각 핵연료봉과, 제어봉의 통로로 이용되는 안내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지지체는 판 형태로 형성된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내측 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내부수로 홀과 상기 안내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안내관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수로 홀의 주변에는 부수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관이 상기 내부수로 홀과 일치하도록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상단 또는 하단이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냉각 핵연료봉, 내측 관, 외측 관, 분할 핵연료봉, 다공판 지지체, 유동유발 진동, 충격강도

Description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다공판 지지체{Perforated plate supports for supporting the dual-cooled segmented fuel rod}
본 발명은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dual-cooled segmented fuel rod)에 적용되는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적용에 의하여 연료봉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도 핵연료봉을 주기말까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고연소도 및 고출력을 얻기 위한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내부와 외부에서의 유동으로 인한 유동유발 진동(flow-induced vibration)을 저감하기 위한 다공판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가압 경수로의 노심에는 핵연료집합체가 장입되는데, 상기 핵연료집합체는 원통 형상의 우라늄 소결체가 삽입된 복수의 핵연료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핵연료봉은 그 형태에 따라 원통형과 환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환형의 핵연료봉을 이중냉각 핵연료봉(dual-cooled nuclear fuel rod)이라 일컫는다.
이중냉각 핵연료봉에 장입되는 환형의 소결체는 원통 형상의 핵연료봉에 삽입된 소결체보다 두께가 얇고 전열 면적이 크기 때문에, 내부 온도가 낮아 안전 여유도가 상대적으로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원통형 핵연료집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핵연료집합체(100)는 핵연료봉(101)과, 지지격자(105)와, 안내관(103)과, 상단 고정체(107) 및 하단 고정체(106)를 포함한다.
상기 핵연료봉(101)은 핵분열에 의해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우라늄 소결체(미도시)가 지르코늄 합금 피복관에 의하여 싸여 있는 구조이다.
상기 핵연료봉(101)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상부 봉단마개(108)와 하부 봉단마개(109)가 결합하여 상기 핵연료봉(101)의 피복관 내부에 충진되는 불활성 기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핵연료봉(101)은 그 직경에 비해 길이가 상당히 긴 구조물이다. 이렇게 세장비가 큰 구조물이 냉각수의 유동 하에 놓이게 되면, 냉각수의 유동에 의해 핵연료봉은 유동유발 진동(flow-induced vibration)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동유발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지격자(105)로 불리는 구조물을 핵연료봉(101)의 전체 길이에 대한 일정 구간에서 이를 지지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냉각수의 유동에 의해 핵연료봉(101)이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였다.
하지만, 내측 관과 외측 관의 이중 관으로 이루어진 환형 공간에 핵연료를 장입하는 방식인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경우에는, 냉각수의 유동에 의한 핵연료봉의 진동을 억제한다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지지격자가 그 구조상 핵연료봉의 외측 관만을 지지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지지구조의 한계로 인하여, 세장비가 약 400이 넘는 내측 관의 경우에는 상/하부 봉단마개에 의해 핵연료봉의 양 끝단만이 지지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경우, 내측 관과 외측 관 사이에 이산화우라늄 펠렛(UO2 pellet)이 존재하므로, 이로 인해 내측 관의 진동이 어느 정도 억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약 400을 초과하는 핵연료봉의 세장비를 고려할 때, 핵연료봉의 축방향을 따라 지지격자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지지점을 갖는 외측 관에 비해 내측 관의 진동 진폭이 현저히 클 것임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내측 관으로 형성된 내부수로에서의 냉각수의 유동은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관의 진동문제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측 관의 진동을 적절히 제어하지 못하면 진동으로 인한 핵연료봉의 손상을 피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적용할 경우에 고려해야할 부분이 더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기존의 가압 경수로형 노심에 구조적으로 양립하기 위해서는 핵연료집합체(100) 내의 노심 구조부품들, 예를 들면 안내관(1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다는 구조적 제한을 수용해야만 하는 가운데 핵연료봉의 외경은 증가하였기 때문에, 이중냉각 핵연료봉과 격자판 사이의 간극은 기존보다 상당히 좁아지게 될 수밖에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12×12 배열의 이중냉각 핵연료집합체 설계안에 따라 안내관(140)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핵연료집합체를 구성하게 되면, 이중냉각 핵연료봉(10)과 단위격자판 사이의 간극은 기존의 1.45 ㎜에서 약 0.39 ㎜ 정도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핵연료봉(10)과 단위격자판 사이의 좁은 간격으로 인하여, 지금까지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해서 단위격자판의 표면에 연료봉 지지구조를 형성하였던 기술은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경우에 적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지지격자체와 같이 박판으로 이루어진 지지격자체에 격자 스프링과 딤플과 같은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는 이중냉각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박판에 다수의 구멍을 가공하고 상기 구멍과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봉단 마개들 사이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함으로써 핵연료봉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핵연료봉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공판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세장비가 큰 핵연료봉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분할된 핵연료봉으로 구성하였을 때, 상기 분할된 이중냉각 핵연료봉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다공판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 지지체는, 동심을 이루는 내측 관과 외측 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하단에 상부 봉단마개와 하부 봉단마개가 각각 결합된 이중냉각 핵연료봉과, 제어봉의 통로로 이용되는 안내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지지체는 판 형태로 형성된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내측 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내부수로 홀과 상기 안내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안내관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수로 홀의 주변에는 부수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관이 상기 내부수로 홀과 일치하도록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상단 또는 하단이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된 이중냉각 핵연료봉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지지판을 경계로 하여 그 상면에 위치한 제1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은 그 하단이 상기 내부수로 홀에 결합되고, 그 하면에 위치한 제2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은 그 상단이 상기 내부수로 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상단 또는 하단의 상기 지지판에 대한 결합이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내부수로 홀 중 서로 인접한 내부수로 홀의 중심을 연장한 선이 정사각형의 격자를 이루도록 상기 내부수로 홀들이 배치되고, 상기 부수로 홀은 상기 격자의 가운데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수로 홀의 직경이 상기 외측 관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수로 홀들은 12×12 배열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은 상하로 결합된 두 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수로 홀들의 주위로 상기 외측 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접촉면을 가진 단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관과 상기 단턱이 밀착되어 형성된 접촉 부위가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측 관이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내측 관이 상기 내부수로 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이드 탭과 유동혼합 베인이 교번으로 형성된 외측판이 상기 지지판의 외곽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판은 상기 지지판의 상·하면 중 어느 한 면의 방향으로만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이 상기 외측판이 돌출되지 않은 면끼리 결합된 두 개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 지지체는, 내측 관 및 외측 관의 이중 관 구조로 구성되어 그 외경이 증가한 핵연료봉으로 이중냉각 핵연료집합체를 구성함에 따라 봉 간 간격이 약 1mm 내외로 협소해진 경우에도, 적절히 핵연료봉을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다공판 지지체는 좁은 봉간 간격에도 연료봉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졌으며, 외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되는 외측 관과 달리 상·하부 봉단마개 밖에는 지지부를 구성하기 어려운 내측 관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료봉 내측 수로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에 의해 봉이 과도하게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봉 대 지지부의 미끄럼 혹은 충격하중으로 인해 프레팅 마멸이 발생할 가능성을 현저하게 저감하기 때문에 핵연료봉의 손상에 의한 원전 가동률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개념이 종래와 같이 축 방향이 아닌 횡 방향의 지지구조를 구현함으로써, 핵연료봉에 대한 횡 방향, 즉 측면에서의 충격하중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과도한 소성변형이 억제되는 충격강도가 제고된 핵연료집합체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는 지진 및 냉각재 상실사고 기준에 따른 내진 설계기준을 0.3G로 상향 조정하였을 경우에도 충분한 충격강도의 확보로 보다 건전한 구조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종래의 지지격자체의 경우 박판이 연료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이들 박판들을 서로 용접으로 체결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에서 충격하중이 가해질 경우 과도한 소성변형에 의하여 제어봉 삽입경로가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컸다. 그러나, 다공판 지지체의 경우에는 핵연료봉의 길이방향이 아닌 횡방향으로 판을 구성하게 되므로, 측면에서 충격하중이 작용 하게 되면 다공판 지지체가 연료봉과 일체가 되어 강체운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충격강도가 종래 지지격자체에 비해 상당히 커지게 되고, 따라서 지진하중에 대한 설계기준이 상향 조정되더라도 보다 건전한 구조적 건전성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 지지체(10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동심을 이루는 외측 관(12)과 내측 관(14)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하단에 상부 봉단마개(16)와 하부 봉단마개(18)가 각각 결합된 이중냉각 핵연료봉(10)과, 제어봉(미도시)의 통로로 이용되는 안내관(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인데, 특히 본 발명의 다공판 지지체(100)는 판 형태로 형성된 지지판(1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110)에는 상기 내측 관(14)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내부수로 홀(112)과 상기 안내관(2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안내관 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수로 홀(112)의 주변에는 부수로 홀(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관(14)이 상기 내부수로 홀(112)과 일치하도록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상단 또는 하단이 상기 지지판(1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부수로 홀(112)은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내측 관(14) 안쪽으로 흐르는 냉각수를 위한 유로이고, 상기 부수로 홀(116)은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측 관(12) 바깥쪽으로 흐르는 냉각수를 위하여 마련된 유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110)은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부와 내부를 이중으로 냉각하기 위한 두 개의 유로를 가지게 된다.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은 하나의 단일한 핵연료봉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된 이중냉각 핵연료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이중냉각 핵연료봉(10), 특히 내측 관(14)의 지지건정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만일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이 하나의 핵연료봉으로 구성되면, 본 발명의 다공판 지지체(100)는 핵연료봉의 상단 및 하단의 두 군데에서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이 두 개 이상의 개수로 분할되면, 지지판(110)을 경계로 하여 그 상면에 위치한 제1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10')은 그 하단이 상기 내부수로 홀(112)에 결합되고, 그 하면에 위치한 제2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10")은 그 상단이 상기 내부수로 홀(112)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내측 관(14)의 지지점이 증가하게 된다. 내측 관(14)의 지지점이 증가한다는 것 자체가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지지건전성을 향상시킬 것임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것이며, 더 나아가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세장비가 분할된 핵연료봉의 개수에 반비례하 여 감소하기 때문에 유동유발 진동에 대한 강성 역시 크게 증가하게 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이중냉각 핵연료봉(10)(분할된 이중냉각 핵연료봉을 포함)의 상단 또는 하단의 상기 지지판(110)에 대한 결합을 용접에 의하도록 한다면, 보다 충분한 결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내부수로 홀(112) 중 서로 인접한 내부수로 홀(112)의 중심을 연장한 선이 정사각형의 격자를 이루도록 상기 내부수로 홀(112)들이 배치된다. 이는 전형적인 핵연료집합체의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수로 홀(112)들은 12×12 배열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물론 제어봉의 통로로 이용되는 안내관(20)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관 홀(114) 부분은 안내관 하단에서 엔드핏팅으로 결합되어 있어 냉각수의 유동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부수로 홀(11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의 가운데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하나의 내부수로 홀(112) 주변에는 네 개의 부수로 홀(116)들이 정사각형을 이루면서 감싸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수로 홀(116)의 직경이 상기 외측 관(12)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수로 홀(116)은 안내관 홀(114)의 주변에도 마련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안내관(20)의 외경은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보다 상당히 크기 때문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부수로 홀(116)의 직경을 외측 관(12)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형성하면 안내관 홀(114) 주변에 형성된 부수로 홀(116)은 그 일부가 안내관 홀(114)과 겹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1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진 두 개의 지지판이 상하로 결합되어 두 겹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지지판(110)의 강성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수로 홀(112)들의 주위로 상기 외측 관(12)의 외경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접촉면을 가진 단턱(1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118)에 구비된 원호상의 접촉면은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외주면, 즉 외측 관(12)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단턱(118)의 구성에 의하여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판(110)에 고정할 때 용접작업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해진다. 더불어 단턱(118)이 내부수로 홀(112)을 중심으로 하여 정확히 대칭을 이루도록 만들어진다면,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내측 관(14)과 내부수로 홀(112)의 중심이 정확한 정렬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물론 단턱(118)의 구성이 있더라도, 본 발명은 외측 관(12)과 단턱(118)이 밀착되어 형성된 접촉 부위를 용접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내측 관(14)이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의 상단면 또는 하 단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내측 관(14)이 상기 내부수로 홀(112)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중냉각 핵연료봉(10)이 내부수로 홀(112)과 이루는 정렬상태가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내측 관(14)과 지지판(110) 사이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내측 관(14)과 내부수로 홀(112) 사이의 결합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단턱(118)의 구성이 여기에 추가된다면 그 정렬상태와 결합강도는 더욱 향상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핵연료의 장입 및 인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탭(122)과 냉각수의 혼합성능을 제고하기 위한 유동혼합 베인(124)이 교번으로 형성된 외측판(120)이 상기 지지판(110)의 외곽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판(120)은, 가이드 탭(122)과 유동혼합 베인(124)이 구비된 평평한 판체형상의 단위 외측판(120')을 여러 개 만든 후, 네 개의 단위 외측판(120')을 지지판(110)의 네 모서리에 각각 용접하고, 지지판(100)의 꼭지점 부분에서 서로 접촉된 단위 외측판(10')의 모서리들을 용접함으로써 하나의 완성된 외측판(120)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판(120)은 상기 지지판(110)의 상·하면 중 어느 한 면의 방향으로만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외측판(120)이 돌출되지 않은 면끼리 결합된 두 개의 지지판으로 상기 지지판(11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 개의 지지판 중 서로 결합되지 않은 두 개의 면, 즉 외부로 노출된 두 개의 면 위에 앞서 설명한 단턱(118)의 구성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두 개의 지지판이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외측판(120) 사이가 용접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통형 핵연료가 장입된 핵연료집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핵연료집합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이중냉각 핵연료집합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 지지체 및 이에 결합된 이중냉각 핵연료봉과 안내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 지지체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 지지체와 분할된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중냉각 핵연료봉
10': 제1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
10": 제2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
12: 외측 관 14: 내측 관
16: 상부 봉단마개 18: 하부 봉단마개
20: 안내관
100: 다공판 지지체 110: 지지판
112: 내부수로 홀 114: 안내관 홀
116: 부수로 홀 118: 단턱
120: 외측판 120': 단위 외측판
122: 가이드 탭 124: 유동혼합 베인

Claims (16)

  1. 동심을 이루는 내측 관과 외측 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하단에 상부 봉단마개와 하부 봉단마개가 각각 결합된 이중냉각 핵연료봉과, 제어봉의 통로로 이용되는 안내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판 형태로 형성된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내측 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내부수로 홀과 상기 안내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안내관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수로 홀의 주변에는 부수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관이 상기 내부수로 홀과 일치하도록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상단 또는 하단이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된 이중냉각 핵연료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을 경계로 하여, 그 상면에 위치한 제1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 은 그 하단이 상기 내부수로 홀에 결합되고, 그 하면에 위치한 제2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은 그 상단이 상기 내부수로 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상단 또는 하단의 상기 지지판에 대한 결합이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내부수로 홀 중 서로 인접한 내부수로 홀의 중심을 연장한 선이 정사각형의 격자를 이루도록 상기 내부수로 홀들이 배치되고, 상기 부수로 홀은 상기 격자의 가운데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수로 홀의 직경이 상기 외측 관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로 홀들이 12×12 배열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 상하로 결합된 두 겹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로 홀들의 주위로 상기 외측 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접촉면을 가진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과 상기 단턱이 밀착되어 형성된 접촉 부위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내측 관이 상기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내측 관이 상기 내부수로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로 홀들의 주위로 상기 외측 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접촉면을 가진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과 상기 단턱이 밀착되어 형성된 접촉 부위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 탭과 유동혼합 베인이 교번으로 형성된 외측판이 상기 지지판의 외곽을 따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은 상기 지지판의 상·하면 중 어느 한 면의 방향으로만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외측판이 돌출되지 않은 면끼리 결합된 두 개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판 지지체.
KR1020090001116A 2009-01-07 2009-01-07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다공판 지지체 KR10098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116A KR100981668B1 (ko) 2009-01-07 2009-01-07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다공판 지지체
US12/421,829 US8275088B2 (en) 2009-01-07 2009-04-10 Perforated plate support for dual-cooled segmented fuel r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116A KR100981668B1 (ko) 2009-01-07 2009-01-07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다공판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743A true KR20100081743A (ko) 2010-07-15
KR100981668B1 KR100981668B1 (ko) 2010-09-13

Family

ID=4231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116A KR100981668B1 (ko) 2009-01-07 2009-01-07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다공판 지지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75088B2 (ko)
KR (1) KR100981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30678A1 (en) * 2011-05-20 2012-12-05 Areva NP Nuclear fuel assembly tie plate, upper nozzle and nuclear fuel assembly comprising such a tie plate
US20130114781A1 (en) * 2011-11-05 2013-05-09 Francesco Venneri Fully ceramic microencapsulated replacement fuel assemblies for light water reactors
KR101292612B1 (ko) * 2012-01-06 2013-08-02 주식회사진영정기 지지패턴 성형방법
KR101292613B1 (ko) * 2012-01-06 2013-08-02 주식회사진영정기 지지패턴 성형방법
CN109935361B (zh) * 2017-12-19 2024-05-31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方形双面冷却环形燃料组件
US11990248B2 (en) * 2019-08-29 2024-05-21 BWXT Advanced Technologies LLC Robust nuclear propulsion fission reactor with tri-pitch patterned core and drum absorbers
US11848112B2 (en) * 2020-02-14 2023-12-19 BWXT Advanced Technologies LLC Reactor design with controlled thermal neutron flux for enhanced neutron activation potential
CN115798746A (zh) * 2022-12-12 2023-03-14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限制燃料棒振动的核燃料组件下管座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0507A (en) * 1987-05-05 1990-02-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fuel assembly debris filter bottom nozzle
US6909765B2 (en) * 2003-02-03 2005-06-21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thod of uprating an existing nuclear power plant
KR100756391B1 (ko) * 2006-03-15 2007-09-10 한국원자력연구원 내부 피복관 및 외부 피복관의 열유속 조절이 가능한 환형핵연료봉
KR100771830B1 (ko) 2006-08-29 2007-10-30 한국원자력연구원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
KR100812068B1 (ko) * 2006-08-29 2008-03-07 한국원자력연구원 환형 핵연료봉
US20080232537A1 (en) * 2007-03-19 2008-09-25 Adolfo Reparaz Nuclear fuel assembly with an advanced spacer grid
KR100891942B1 (ko) * 2007-06-26 2009-04-08 한국원자력연구원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의 이동된 지지점을 갖는지지격자체
KR100961486B1 (ko) 2008-05-07 2010-06-08 한국원자력연구원 단위 지지격자판과, 단위 지지격자체 및 핵연료봉지지격자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75088B2 (en) 2012-09-25
US20100172460A1 (en) 2010-07-08
KR100981668B1 (ko)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668B1 (ko)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다공판 지지체
US7711079B2 (en) Lower and upper end plugs of an annular fuel rod
CN107980163B (zh) 定位格架及燃料组件
KR100996956B1 (ko) 분할 핵연료봉용 상하부 중간 봉단마개 및 이를 구비한 분할 핵연료봉
KR100967119B1 (ko) 내부격자의 교차영역에 삽입된 관형 스프링체를 구비한 지지격자체
US8279995B2 (en) Guide thimble of dual tube type structure nuclear fuel assembly
KR20110095189A (ko) 스플릿 스프링 프렛팅-방지 연료봉 지지 구조
US8416912B2 (en) Nuclear fuel assembly including an internal reinforcing device
KR100900917B1 (ko) 교차점 지지체를 이용한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
US9136025B2 (en) Dual-cooled fuel rod's spacer grids with upper and lower cross-wavy-shape dimple
US8483349B2 (en) Spacer grid for dual-cooling nuclear fuel rods using intersectional support structures
KR100891942B1 (ko)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의 이동된 지지점을 갖는지지격자체
KR100999871B1 (ko) 내부격자의 교차영역에 삽입된 이동가능한 관형 스프링체를구비한 지지격자체
KR101071287B1 (ko) 와이어 스프링형 지지격자체 내부구조
US8885790B2 (en) Reverse conical lower end plug for an annular nuclear fuel rod
KR100961486B1 (ko) 단위 지지격자판과, 단위 지지격자체 및 핵연료봉지지격자체
US9171647B2 (en) Spacer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y for reducing flow-induced vibration
KR20110024899A (ko) 트러스 보강 지지구조체 및 이의 형성방법
KR101732174B1 (ko) 일측 개방형 스프링 구조를 갖는 지지격자
KR101271203B1 (ko) 임계열속 성능 및 구조건전성 향상 핵연료집합체
KR101614698B1 (ko) 간격체가 구비된 고속 원자로 핵연료 집합체
US9646724B2 (en) Fuel assembly
KR101141295B1 (ko) 부착형 지지구조체를 갖는 원자력연료봉
US20230386687A1 (en) Fuel Assembly
WO2018021044A1 (ja) 沸騰水型原子炉の炉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