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132B1 -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132B1
KR101271132B1 KR1020110128300A KR20110128300A KR101271132B1 KR 101271132 B1 KR101271132 B1 KR 101271132B1 KR 1020110128300 A KR1020110128300 A KR 1020110128300A KR 20110128300 A KR20110128300 A KR 20110128300A KR 101271132 B1 KR101271132 B1 KR 101271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hip
module
communication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3Specially adapted for sailing s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control
    • G01S13/917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control for marine craft or other waterborne vess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04H20/77Wired systems using carrier waves
    • H04H20/80Wired systems using carrier waves having frequencies in two or more frequency bands, e.g. medium wave and VH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비상 항해 및 위치 파악을 위해 구비된 위성항법모듈과, 비상 통신이 가능하도록, 특정 대역의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선박의 항해와 관련된 정보 및 레이더에서 스캔된 선박 주변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선박내 비상 방송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방송모듈을 포함하는 비상 운영부; 선박의 타기실 및 기관실에 위치한 담당자와 비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유선통신부; 및 비상 운영부와 유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접속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Method for Sailing and Emergency Sailing System for Ship}
본 발명은 비상 운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비상 항해를 도모하기 위한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는 해상교역의 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국민의 식량 조달원으로서 중요한 터전으로 인지되고 있다.
상기 바다에서 발생되는 해양사고는 해양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할 때, 반드시 줄여야 하며, 선박용 항해 장비의 현대화 및 종사자의 인식향상에도 불구하고 해양사고는 쉽게 줄어들지 않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바다에는 어로작업을 위해 다수의 어선이 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여객선, 여객선 또는 화물 운반선과 같은 특수 목적 또는 용도를 위해 다양한 선박이 동시에 항해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여객선에는 다수의 탑승객과 승무원이 탑승을 하게 되고, 규모 또한 대형 설비 및 장비가 탑재된다.
상기 여객선에는 안전 운항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여객선의 항해와 연관된 각종 장비가 휠 하우스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통신장비, 항해설비 및 전기장비를 포함하여 다수의 설비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휠 하우스가 파손되거나, 화재 및 오작동에 의한 긴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기 여객선의 자체 추진력으로 가장 가까운 항구로 안전하게 운항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근 선박 관련한 법규에서도 이와 같은 조항이 발효되면서 상기 휠 하우스의 파손에 대비한 선박의 항해 및 통신을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0-2010-0026057호 (공개일: 2010년03월10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휠 하우스의 손상과 상관없이 선박의 비상 항해 및 통신을 통해 상기 선박의 비상 항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상 상황에 따른 선박의 통신이 일정 구역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장소에서 운영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비상 항해 및 위치 파악을 위해 구비된 위성항법모듈과, 비상 통신이 가능하도록, 특정 대역의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선박의 항해와 관련된 정보 및 레이더에서 스캔된 선박 주변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선박내 비상 방송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방송모듈을 포함하는 비상 운영부; 상기 선박의 타기실(Steering Room) 및 기관실(Engine Room)에 위치한 담당자와 비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유선통신부; 및 상기 비상 운영부와 유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접속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운영부는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수동으로 발전될 수 있는 자가발전모듈; 및 상기 자가발전모듈에서 발전된 전기가 저장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비상 운영부에 안정적인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운영부는 휴대가능한 휴대용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운영부는 입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초단파(Very High Frequency) 또는 극 초단파(Ultra High Frequency) 대역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선박에 구비된 항해 및 통신 장비 중 하나 이상에 손상이 발생되는 비상 상황 발생 단계; 상기 선박의 항해 또는 통신을 위해 전원과, 통신이 접속되는 비상 운영 준비 단계; 상기 선박의 현재 위치 및 구조 정보를 주변 선박에 송신하고, 상기 선박의 비상 항해를 도모하는 비상 항해 단계; 및 상기 선박의 현재 위치 정보와, 주변에 인접한 항구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동 경로를 조정하여 이동을 실시하는 선박 이동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비상 운항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운영 준비 단계는 전원과 통신 및 항해와 관련된 주변 장비 중 하나 이상의 접속 유무를 판단하는 장비 접속 단계; 및 현재 선박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항속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선박 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비 접속 단계는 전원 장비와 접속 에러가 적어도 N회(단, N은 자연수) 이상 반복될 경우에, 자가발전 단계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휠 하우스의 파손 또는 작동 불능 상태와 상관없이 비상 항해 및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비상 운영부를 통해 선박의 위치와, 이동경로 및 통신이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변화되는 선박의 법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선박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이 선박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에 구비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에 구비된 비상 운영부와 자가발전기가 연결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 운항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 내지 도 6은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의 작동 상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이 선박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에 구비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박(2)은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화물선, 여객선, 여객선, 운반선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여객선 또한 일종의 선박(2)으로서, 상기 선박(2)의 선수에는 휠 하우스(wheelhouse)(10)가 구비되고, 상기 휠 하우스(10)는 갑판 상태의 감시 및 선박의 운항 안정성을 위한 각종 장비가 구비된다.
휠 하우스(10)에는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자이로컴퍼스(Gyrocompass), 레이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조타륜, 각종 통신 장치, 전자해도 및 무선장치 등이 구비된다.
휠 하우스(10)는 선박의 안정적인 운항을 위해 구비된 장비의 손상 또는 화재 및 침수가 발생될 경우에, 상기 선박(2)의 선수가 보이는 별도의 위치에서 상기 선박(2)의 항해 및 통신을 위한 비상 운영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비상 운영부(100)는 사용자의 신속한 사용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휴대용(Portable) 타입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지된 노트북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비상 운영부(100)는 상기 선박(2)의 비상 항해 및 위치 파악을 위한 위성항법모듈(110)을 포함한다. 위성항법모듈(11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라고도 하며,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속도 및 시간측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성항법모듈(110)은 3차원 위치, 고도 및 시간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고 24시간 연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기상조건에 간섭 받지 않고, 전세계적인 공통 좌표계를 사용하므로 국적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다.
비상 운영부(100)는 선박(2)의 비상 통신이 가능하도록, 특정 대역의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 수신하는 통신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20)은 초단파(Very High Frequency) 또는 극 초단파(Ultra High Frequency) 중의 어느 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SSB(Single Side Band)(단측파대억압통신방식)를 사용하여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통신모듈(120)은 선박(2)에 고정 설치되지 않고 긴급 상황에 따른 용이한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휴대용 VHF 무전기 또는 휴대용 VHF air 무전기로 사용될 수 있다.
통신모듈(120)은 앞서 설명한 휴대용 VHF 무전기 또는 휴대용 VHF air 무전기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가 각각 한 셋트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비상 운영부(100)는 상기 선박(2)의 항해와 관련된 정보 및 레이더에서 스캔된 선박 주변의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1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모듈(130)은 선박(2)의 항해와 관련된 정보인 레이더 영상과, 상기 선박(2)의 GPS정보 및 전자 해도 정보가 표시되는 모니터(미도시)와,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미도시) 및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휴대용 컴퓨터인 랩탑(Laptop) 컴퓨터 또는 노트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모니터는 상기 랩탑 컴퓨터에 구비된 모니터에 해당되고,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랩탑 컴퓨터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CPU)에 해당된다.
디스플레이모듈(130)은 레이더(미도시)에서 스캔된 스캔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스캔 정보는 상기 선박(2) 주변을 운항하는 다른 선박에 대한 위치와, 지리 정보가 포함된다.
디스플레이모듈(130)은 선박의 안전 운항에 필요한 전자해도(Electronic Navigation Chart)(ENC) 정보와 선박의 항해에 필요한 GPS 정보 및 선내 정보가 모니터를 통해 표시된다.
상기 전자해도 정보와 선박의 항해에 필요한 GPS정보 및 선내 정보는 랩톱의 중앙처리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고, 상기 모니터를 통해 전자해도 정보와 GPS정보 및 선내 정보가 서로 다른 크기로 동시에 표시되거나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표시될 수 있다.
비상 운영부(100)는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입력모듈(1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모듈(132)은 숫자 또는 국문, 영문 및 각종 기능키가 내장된 키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132) 또한 휴대용으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비상 운영부(100)는 별도로 구비된 통합 커넥터(미도시)에 구비된 비디오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30)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를 전송 받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영상 신호는 정션박스(junction box)를 통해 상기 비상 운영부(100)에 전송되며 디스플레이모듈(130)은 상기 연상 신호를 전송 받아 해당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비상운영부(100)는 레이더(미도시)로부터 스캔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모듈(130)에 전송한다.
통합 커넥터와 정션박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선박 항해 중에 비상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 작업자가 다수개의 커넥터가 통합된 통합 커넥터 및 정션박스를 이용하여 신속한 연결을 실시하기 위해서이다.
전자해도 정보는 해도 정보와, 위치정보와, 선박의 침로 정보와, 속력 정보 및 수심자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해도 정보는 디스플레이모듈(130)을 통해 표시된다.
위성항법모듈(100)은 자이로컴퍼스(Gyrocompass) 또는 나침반(Magnetic Compass)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컴퍼스와 나침반은 선택적으로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주로 GPS를 통해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수신 받는다. 상기 나침반은 초소형의 크기를 가지고 비상 운영부(100)에 내장할 수 있다.
위성항법모듈(110)은 GPS가 오작동하거나 작동 불능 상태일 때 자이로컴퍼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자이로 컴퍼스는 선박(2)이 협수로 또는 다수의 어선단이 배치된 구역을 통과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상 운영부(100)는 방송모듈(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모듈(140)은 선박(2)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비상 방송을 위해 구비된다.
방송모듈(140)은 선내에 구비된 앰프설비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비상 방송용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하고, 방송을 위해 별도로 구비된 방송버튼(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버튼은 푸쉬 버튼식의 스위치를 사용한다.
전원공급부(5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발전을 실시하는 자가발전모듈(510)과, 상기 자가발전모듈(510)에서 발전된 전기가 저장되는 배터리 모듈(512) 및 무정전전원공급모듈(514)를 포함한다.
자가발전모듈(510)과 배터리 모듈(512)은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비상 운영부(100)와 동일한 장소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은 앞서 설명된 비상운영부(100)와, 유선 통신부(300)를 통합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비상운영부(100)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비상운영부(100)의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비상 운영부(1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모듈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은 선박(2)의 타기실(Steering Room)(20) 및 기관실(Engine Room)(30)에 위치한 담당자와 비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유선통신부(300)를 더 포함한다.
유선통신부(300)는 타기실 통신모듈(20)과 기관실 통신모듈(30)을 포함하고, 상기 타기실 및 기관실 통신모듈(20,30)은 통상의 전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부(300)는 기존의 휠 하우스(10)와 연결된 연결라인과 별도로 상기 비상 운영부(100) 사용시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유선통신부(300)와 타기실 및 기관실 사이에 별도의 연결라인이 설치된다.
휠 하우스에 위치한 담당자는 타기실 및 기관실 통신모듈(20,30)을 통해 타기실(Steering Room)(20) 및 기관실(Engine Room)(30)에 위치한 담당자와 수시로 통화 연결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타기실(20)과 기관실(30)의 이상 유무 및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하고 운항을 실시할 수 있다.
만약, 휠 하우스에 위치한 담당자가 상기 타기실(20) 또는 기관실(30)을 담당하는 담당자 중의 어느 하나의 담당자와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긴급 상황 발생에 따른 선박(2) 전체의 안전 운항을 담보할 수 없으므로 통화 연결을 통한 이상 유무 확인은 더욱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접속부(400)는 비상 운영부(100)와 유선통신부(300) 및 전원 공급부(500)의 용이한 접속을 도모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 접속부(400)는 비상 운영부(100)에 신호 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소켓과 플러그가 일체로 이루어진 형태로 구성된다.
케이블 접속부(400)는 유선통신부(300)와 전원공급부(500) 및 비상 운영부(100)으로부터 모두 연결되기 위해 다수개가 구비되며, 별도의 케이블 접속부가 예비용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 접속부(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현재 선박의 위치 정보와, 주변 선박의 위치 정보 및 지형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표시되기 위하여, 레이더 및 전자 해도 정보 처리 장치 등의 공지된 장비와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을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 운항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의 작동 상태도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비상 운항 방법은 선박에 구비된 항해 및 통신 장비에 손상이 발생되는 비상 상황 발생 단계(ST100)가 포함된다. 상기 비상 상황 발생 단계(ST100)는 휠 하우스에서의 화재 또는 침수에 의해 발생되는 상황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비상 항해 및 통신을 위해 전원과, 통신이 접속되는 비상 운영 준비 단계(ST200)가 포함된다.
상기 비상 운영 준비 단계(ST200)는 전원과 통신 및 항해와 관련된 주변 장비의 접속 유무를 판단하는 장비 접속 단계(ST210)와, 상기 주변 장비의 접속과 동시에 현재 선박의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와, 항속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선박 정보 표시 단계(ST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비 접속은 통합케이블(미도시)과 통합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신호가 연결되는 것을 말하며 비상 운영부(100)을 통해 접속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접속 단계(ST210)는 전원 장비와 접속 에러가 적어도 N(단, N은 자연수)회 이상 반복될 경우에 자가발전 단계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자가발전 단계는 선내에 구비된 발전기(미도시)의 파손 또는 고장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비상 운영부(100)의 작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함이고, 상기 자가발전의 유무는 디스플레이모듈(130) 또는 별도의 자가발전 지시기(미도시)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비상 운영부(100)은 선박의 안정적인 항해와 위치 파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통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비상 운영부(100)에 불안정하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선박(2)의 항해와 위치 파악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전원 장비와 접속 에러가 발생될 경우에는 자동으로 자가발전 단계로 전환 작동되어 선박의 신속한 위치 파악과 함께 항해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박의 현재 위치 및 구조 정보를 주변 선박에 송신하고, 상기 선박의 비상 항해를 도모하는 비상 항해 단계(ST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조정보는 선박에서 화재나 침수가 발생하여 이동일 불가능하거나 위급 상황일 경우에는 조난신호를 송신해야 하며 상기 조난신호는 VHF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장비를 통해 위급 상황이 발생된 선박 인근을 항해하는 주변 선박에 구조를 요청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비상 항해 단계(ST300)는 타기실 및 기관실 담당자와 현재 선박의 운항 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타기실과 기관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의 방향 전환과 항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므로, 상기 타기실 및 기관실 담당자와 실시간으로 지속적인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긴급 상황 발생 및 비상 항해가 이루어질 때 보다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선박의 현재 위치 정보와, 주변에 인접한 항구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동 경로를 조정하여 이동을 실시하는 선박 이동 단계(ST400)를 포함한다.
상기 비상 항해 단계(ST300)는 선박에 탑승한 승무원 또는 승객에게 현재 상황이 비상 상황임을 알리고, 상기 승무원 또는 승객이 대피 가능하도록 긴급 방송을 실시하는 긴급 방송 단계(ST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긴급 방송 단계(ST310)는 선박의 침몰 또는 엔진 고장과 같이 긴급 상황에서 승무원 또는 승객이 당황하지 않고, 대피를 실시하거나, 추가적인 안전 사고 또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의 작동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선박(2)이 항해 도중에 휠 하우스(10)가 파손(ST100)되거나, 상기 휠 하우스(10)에 구비된 장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선박(2)의 안정적인 항해를 위해 휠 하우스(10)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선박(2)의 안정적인 항해를 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관리자는 선박의 선수가 보이고 상기 휠 하우스(10) 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인 휠 하우스의 탑(Top) 또는 레이더 마스트(Radar Mast)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 후에, 비상 운영부(100)의 가동(ST100)을 위해 우선적으로 전원 공급부(500)에 케이블 접속부(400)을 결합(ST210)시킨다.
배터리 모듈(512)은 상기 비상 운영부(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배터리 모듈(512)이 방전되거나 비상 운영부(100)에 공급 가능한 전력이 부족(ST212)할 수 있다.
관리자는 배터리 모듈(512)이 내장된 자가 발전모듈(510)과 비상 운영부(100)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핸들을 일 방향으로 다수회 회전시켜 상기 자가 발전모듈(510)을 통해 비상 운영부(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ST214)한다.
관리자는 현재 선박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위성항법모듈(110)과 전자해도를 통해 상기 선박(2)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현재 선박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모듈(120)을 통해 확인한다.
비상 운영부(100)와 전원 공급부(500)가 안정적으로 접속될 경우(ST216)에는 위성 항법 유닛(110)과 전자 해도를 통해 현재 선박의 정확한 위치정보와 방향정보가 파악(ST220)된다.
작업자는 입력모듈(132)에 구비된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500)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경우에는 무정전 전원 공급기(514)를 통해 상기 비상 운영부(100)에 안정된 교류 전력을 공급되고, 디스플레이모듈(130)에서는 현재 선박의 위치 정보와, 주변 선박의 위치 정보 및 지형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작업자는 기관실(30) 담당자와 통신을 통해 현재 선박의 엔진 상태에 대한 이상 유무 및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하고, 타기실(20) 담당자(20)와는 선박의 방향 전환 및 이동 관련된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상기 통신은 초단파 또는 극초단파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전기를 통해 타기실(20) 및 기관실(30) 담당자와 관리자 사이에 통신(ST230)이 이루어진다.
관리자는 비상 전화기를 통해 선박의 운항 및 항해와 관련된 주요 담당자와 긴급 통화를 실시하고, 상기 담당자를 통해 파악된 선박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한 후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관리자는 위성 항법 유닛(110)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통해 주변을 항해하는 선박에 현재 선박(2)의 위치 정보와, 구조 정보를 반복적으로 송신(ST300)한다.
그리고, 현재 선박(2)이 긴급 상황임을 탑승객과 승무원이 인지할 수 있도록 긴급 방송을 실시(ST310)한다.
관리자는 현재 선박(2)이 근처에 위치한 항구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는 최단거리에 위치한 항구로 선박(2)이 이동 가능하도록, 타기실(20) 및 기관실(30) 담당자와 통신을 통해 신속하게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ST400)하고 긴급상황에 따른 선박(2)의 안전 항해를 실시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휠하우스
20 : 타기실
30 : 기관실
100 : 비상운영부
110 : 위성항법모듈
120 : 통신모듈
130 : 디스플레이모듈
140 : 방송모듈
200 : 제어부
300 : 유선통신부
400 : 케이블 접속부
500 : 전원공급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선박의 비상 항해 및 위치 파악을 위해 구비된 위성항법모듈과, 비상 통신이 가능하도록, 특정 대역의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선박의 항해와 관련된 정보 및 레이더에서 스캔된 선박 주변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선박내 비상 방송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방송모듈을 포함하는 비상 운영부;
    상기 선박의 타기실(Steering Room) 및 기관실(Engine Room)에 위치한 담당자와 비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유선통신부; 및
    상기 비상 운영부와 유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상 운영부는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수동으로 발전될 수 있는 자가발전모듈; 및
    상기 자가발전모듈에서 발전된 전기가 저장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4. 선박의 비상 항해 및 위치 파악을 위해 구비된 위성항법모듈과, 비상 통신이 가능하도록, 특정 대역의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선박의 항해와 관련된 정보 및 레이더에서 스캔된 선박 주변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선박내 비상 방송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방송모듈을 포함하는 비상 운영부;
    상기 선박의 타기실(Steering Room) 및 기관실(Engine Room)에 위치한 담당자와 비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유선통신부; 및
    상기 비상 운영부와 유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상 운영부는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비상 운영부에 안정적인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운영부는 휴대가능한 휴대용 타입인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운영부는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초단파(Very High Frequency) 또는 극 초단파(Ultra High Frequency) 대역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8. 선박에 구비된 항해 및 통신 장비 중 하나 이상에 손상이 발생되는 비상 상황 발생 단계;
    상기 선박의 항해 또는 통신을 위해 전원과, 통신이 접속되는 비상 운영 준비 단계;
    상기 선박의 현재 위치 및 구조 정보를 주변 선박에 송신하고, 상기 선박의 비상 항해를 도모하는 비상 항해 단계; 및
    상기 선박의 현재 위치 정보와, 주변에 인접한 항구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동 경로를 조정하여 이동을 실시하는 선박 이동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상 운영 준비 단계는, 전원과 통신 및 항해와 관련된 주변 장비 중 하나 이상의 접속 유무를 판단하는 장비 접속 단계와, 현재 선박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항속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선박 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접속 단계는, 전원 장비와 접속 에러가 적어도 N회(단, N은 자연수) 이상 반복될 경우에, 자가발전 단계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비상 운항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10128300A 2011-12-02 2011-12-02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 KR101271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00A KR101271132B1 (ko) 2011-12-02 2011-12-02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00A KR101271132B1 (ko) 2011-12-02 2011-12-02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132B1 true KR101271132B1 (ko) 2013-06-04

Family

ID=4886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300A KR101271132B1 (ko) 2011-12-02 2011-12-02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66A (ko) * 2014-07-28 2016-0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선내 통신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9824A (ko) * 2003-12-31 2005-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항해기록 자동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21691A (ko) * 2007-08-28 2009-03-04 한국해양연구원 긴급상황 알림 수단을 구비한 선박용 위치추적장치
KR20100036161A (ko) * 2008-09-29 2010-04-07 김형수 선박용 정보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용 시스템
KR101034068B1 (ko) * 2009-04-22 2011-05-12 이상선 대중교통시설의 화재 진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9824A (ko) * 2003-12-31 2005-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항해기록 자동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21691A (ko) * 2007-08-28 2009-03-04 한국해양연구원 긴급상황 알림 수단을 구비한 선박용 위치추적장치
KR20100036161A (ko) * 2008-09-29 2010-04-07 김형수 선박용 정보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용 시스템
KR101034068B1 (ko) * 2009-04-22 2011-05-12 이상선 대중교통시설의 화재 진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66A (ko) * 2014-07-28 2016-0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선내 통신 장치
KR101615901B1 (ko) * 2014-07-28 2016-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선내 통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0778B2 (en) Marine vessel display system
US86748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tress at sea
CN106056976B (zh) 船舶定位导航及安全预警报警系统
KR101075563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위치추적단말기를 이용한 수색구조시스템과 그것을 이용한 수색구조방법
CN102971211A (zh) 用于人员落水情况的船上被动式安全系统及设备
WO2020045798A1 (ko) 해상조난구조용 신호장치 및 해상조난구조용 감시장치
KR20200030917A (ko)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20079667A (ko) 조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1896A (ko) 비행체를 이용한 선박 안전운항 지원시스템
KR20100036161A (ko) 선박용 정보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용 시스템
JP3763004B1 (ja) 航空機進出入路付近の船舶監視システム、及び航空機進出入路付近の船舶監視方法
US20040121782A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transceiver tracking system
KR101271132B1 (ko) 선박용 비상 운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운항 방법
JP2007207134A (ja) 海上構造物付近の海上移動体監視システム、及び海上構造物付近の海上移動体監視方法
KR20140115684A (ko) 선박용 융합형 선박위치 자동 발신시스템
KR102149203B1 (ko)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
US11597480B2 (en) System for guiding a connected boat equipped with an on-board system communicating with a remote server in order to modify its route plan
JP3851958B1 (ja) 海面下存在物付近の海上移動体監視システム、及び海面下存在物付近の海上移動体監視方法
US10861313B2 (en) Portable marine beacon system
KR102244051B1 (ko)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대피지원시스템
KR20170000637A (ko) 단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재난상황 관제시스템
WO2020067744A1 (ko) 인터넷 기반의 선박자동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102192784B1 (ko)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RU2765606C1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навигации кораблей и судов обеспечения Военно-Морского Флота
EP4358567A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in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