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940B1 -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940B1
KR101270940B1 KR1020110067936A KR20110067936A KR101270940B1 KR 101270940 B1 KR101270940 B1 KR 101270940B1 KR 1020110067936 A KR1020110067936 A KR 1020110067936A KR 20110067936 A KR20110067936 A KR 20110067936A KR 101270940 B1 KR101270940 B1 KR 101270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s
bumper beam
crash box
plat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6098A (en
Inventor
구도회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10067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940B1/en
Publication of KR2013000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8Reinforcing the connection otherwise than by deforming, e.g.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2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on two vertical sleeves, e.g. on energy absorber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크래쉬 박스가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크래쉬 박스는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ⅰ)장착 플레이트와, ⅱ)장착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패널이 구비되고, 제1 및 제2 패널이 상호 결합되며 박스형으로 이루어지는 박스부와, ⅲ)박스부를 범퍼 빔에 장착하기 위해 제1 및 제2 패널과 결합되고, 범퍼 빔에 끼워지며 고정되는 스테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A vehicle crash box is disclosed. The disclosed vehicle crash box is installed at both rear sides of the bumper beam, and includes iii) a mounting plate and ii) first and second panel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panels are mutually coupled and boxed. And a stay plat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anels for mounting the box portion to the bumper beam and fitted to the bumper beam.

Description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조립 방법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Crash box for vehicle and how to assemble it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할 있도록 한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rash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rash box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assembly so as to be assembled in a simple manner without using a jig.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는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후 단부의 소정 부위에 배치되는 완충유닛이다.Generally, a bumper in a vehicle absorbs an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another vehicle or a fixed body to promote the safety of the occupant, and at the same time,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vehicle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It is a buffer unit disposed in.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범퍼(200)는 차량의 전,후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빔(101)의 후방 양측에 스테이(103)가 장착되어 크래쉬 박스(111)를 통하여 차체측 사이드 멤버(113)에 고정되는 범퍼빔 유닛(105)과, 범퍼빔(101)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107), 및 범퍼빔(101)과 에너지 업소버(107)를 감싸는 범퍼 커버(109)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bumper 200 is provided with stays 103 at both rear sides of the bumper beam 101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crash box 111. A bumper beam unit 105 fixed to the side side member 113, an energy absorber 107 disposed in front of the bumper beam 101 to absorb impact force, and a bumper beam 101 and an energy absorber 107. Wrapping bumper cover (109).

여기서, 상기한 종래의 크래쉬 박스(111)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범퍼빔(101)의 후방 양측에 용접 고정되는 각 스테이(103)에 전방 플레이트(115)를 통하여 조립될 수 있다. Here, the conventional crash box 111, as shown in Figure 2, may be assembled through the front plate 115 to each stay 103 is welded fixed to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bumper beam 101. .

이러한 종래의 크래쉬 박스(111)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에 전방 및 후방 플레이트(115,117)가 구비되고, 전,후방 플레이트(115,117) 사이에는 "ㄷ"자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내측 패널(119)과 외측 패널(121)이 상호 겹치기 용접되어 박스형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nventional crash box 111 is provided with front and rear plates 115 and 117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is press-formed in a "c" shape between the front and rear plates 115 and 117. The inner panel 119 and the outer panel 121 are overlapped and welded to form a box shape.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크래쉬 박스(111)는 지그를 사용하여 각 부품의 조립이 이루어지고, 지그를 통해 지정된 장착 위치에 로딩되면서 용접/조립되므로, 용접/조립 작업이 복잡해지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지그의 사용에 따른 투자비와 제작 원가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crash box 111 as described above is assembled to each part using a jig, and welded / assembled while being loaded at a designated mounting position through the jig, the welding / assembly work is complicated and productivity is reduc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vestment cost and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ji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을 위한 추가적인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범퍼 빔의 지정된 장착 위치에 가 조립된 상태로 용접/조립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vehicle crash box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which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jig for assembly, and enables welding / assembly in a state where the bumper beam is assembled to a specified mounting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는,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ⅰ)장착 플레이트와, ⅱ)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이 상호 결합되며 박스형으로 이루어지는 박스부와, ⅲ)상기 박스부를 상기 범퍼 빔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범퍼 빔에 끼워지며 고정되는 스테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bumper beam, i) a mounting plate, and ii) a first and a second panel respective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is provided, the first And a box portion having a second panel coupled to each other and formed into a box shape, and iii) a stay plat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anels for mounting the box portion to the bumper beam and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bumper beam.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박스부는 상호 결합되며 서브 어셈블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late and the box portion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made of a sub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서브 어셈블리는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범퍼 빔에 가조립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assembly is coupled to the stay plate, can be pre-assembled to the bumper beam through the stay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소정 길이의 제1 및 제2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late may b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slots of a predetermined length spaced in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 슬롯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스폿 용접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anel may include a flange which is fitted in the first and second slots, respectively, and spot welded to the mount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은 상호 겹쳐지며 스폿 용접되는 겹침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anels may include overlapping wings that overlap each other and spot wel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은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anel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which is slide coupled to the stay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y plate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rail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slidingly coup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은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anels may be welded to the stay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는 상기 범퍼 빔의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홀에 끼워지는 돌기부와, 상기 범퍼 핌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y plate is a projection that is fitted to at least one positioning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umper beam, and the bent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umper pim It may includ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는,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ⅰ)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패널이 구비되고 이들 패널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박스부를 포함하는 서브 어셈블리와, ⅱ)상기 서브 어셈블리를 상기 범퍼 빔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범퍼 빔에 끼워지며 가조립 되는 스테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rash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talled at both rear sides of the bumper beam, includes: i) a mounting plate and first and second panel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and the panels are mutually connected. A sub-assembly including a combined box portion, and ii) a stay plat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anels for mounting the sub-assembly to the bumper beam, fitted to the bumper beam, and pre-assemb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은 상호 겹쳐지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가조립된 상태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용접되고, 겹침 부위가 상호 용접되며 상기 박스부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the second panel is welded to the mounting plate, the overlapped portion is welded to each other in the state that overlap with each other and preassembled to the mounting plate Wealth can be construc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는 상기 범퍼 빔에 가조립된 상태로 상기 범퍼 빔에 용접 혹은 본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y plate may be welded or bonded to the bumper beam while being preassembled to the bumper beam.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조립 방법은,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크래쉬 박스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서, (a) 장착 플레이트와, 제1 및 제2 패널과, 스테이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과정과, (b)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을 장착하고, 이들 패널을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용접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겹치는 부위를 용접하여 박스부를 구성하는 과정과, (c) 상기 박스부를 스테이 플레이트에 장착하고, 상기 박스부와 스테이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과정과, (d)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를 상기 범퍼 빔에 가조립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assembling a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ssembling a crash box provided at both rear sides of a bumper beam, including (a) a mounting plate, first and second panels, and a stay plate. And (b) mounting the first and second panels on the mounting plate, welding the panels to the mounting plate, and welding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to form a box part. And (c) mounting the box part on the stay plate, welding the box part and the stay plate, and (d) preassembling the stay plate to the bumper bea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조립 방법은, 상기 (d) 과정 이후에,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를 상기 범퍼 빔에 용접 혹은 접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crash box assembl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d), the stay plate may be welded or bonded to the bumper beam.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조립 방법은,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서, (a) 장착 플레이트와, 제1 및 제2 패널과, 스테이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과정과, (b)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을 상호 겹쳐지게 장착하는 과정과, (c)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을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에 장착하는 과정과, (d)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를 상기 범퍼 빔에 가조립 하는 과정과, (e)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을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용접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겹치는 부위를 용접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패널과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를 용접하고,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를 상기 범퍼 빔에 용접 혹은 접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assembling a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ssembling a vehicle crash box installed at both rear sides of a bumper beam, including (a) a mounting plate, first and second panels, and a stay. Preparing a plate, (b) mounting the first and second panels on the mounting plate so as to overlap each other, (c) mounting the first and second panels on the stay plate, (d) prefabricating the stay plate to the bumper beam, (e) welding the first and second panels to the mounting plate, welding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and Welding the first and second panels and the stay plate, and welding or adhering the stay plate to the bumper bea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립을 위한 추가적인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범퍼 빔의 지정된 장착 위치에 가 조립된 상태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지그 투자비와 제작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공정수를 줄임과 동시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dditional jig for assembling, and can be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the bumper beam is assembled at a specified mounting position, thereby reducing jig investment cost and manufacturing cost, and reducing productivity while simultaneously reducing productivit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and to use the work space more efficiently.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가 적용된 차량용 범퍼빔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가 적용된 차량용 범퍼빔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These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vehicle bumpe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umper beam unit to which a crash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ppli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ash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bumper beam unit to which a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FIG.
7 and 8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and is shown by enlarging the thickness in order to clearly express various parts and regions. It wa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가 적용된 차량용 범퍼빔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bumper beam unit for a vehicle to which a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FIG. 4,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100)는 차량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고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범퍼에 적용될 수 있다. 4 to 6, the vehicle crash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bumper for absorbing a shock during a vehicle collision and minimizing deformation of a vehicle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크래쉬 박스(100)는 조립을 위한 추가적인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범퍼 빔(1)의 지정된 장착 위치에 가 조립된 상태로 용접/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vehicle crash box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jig for assembly, and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welded / assembled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to a designated mounting position of the bumper beam 1.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크래쉬 박스(100)는 기본적으로, 서브 어셈블리(10)와 스테이 플레이트(7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o this end, the vehicle crash box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subassembly 10 and a stay plate 70, which will be described by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어셈블리(10)는 범퍼 빔(1)에 조립될 수 있는 실질적인 크래쉬 박스체로서 이루어지며, 뒤에서 더욱 설명될 스테이 플레이트(70)에 결합되며, 그 스테이 플레이트(70)를 통해 범퍼 빔(1)에 가 조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assembly 10 is made of a substantially crash box body that can be assembled to the bumper beam 1 and is coupled to the stay plate 70, which will be described further below, and the stay plate 70. Can be assembled to the bumper beam (1).

이러한 서브 어셈블리(10)는 장착 플레이트(20)와 박스부(30)를 포함하며, 이들 장착 플레이트(20)와 박스부(30)가 상호 결합되며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bassembly 10 includes a mounting plate 20 and a box portion 30, and the mounting plate 20 and the box portion 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장착 플레이트(20)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의 양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제1 및 제2 슬롯(21, 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mounting plate 20 is formed of a square plate, and a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first and second slots 21 and 22 having predetermined length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have.

즉, 상기 제1 및 제2 슬롯(21, 22)은 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lots 21 and 22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ith a hole therebetween.

상기 박스부(30)는 장착 플레이트(20)에 결합되며 소정의 박스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 장착 플레이트(20)에 각각 결합되며, 겹쳐진 상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패널(31, 32)을 포함한다.The box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20 and is provided in a box shape to form a predetermined box space, each of which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20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overlapping state. And second panels 31 and 32.

상기에서, 제1 및 제2 패널(31, 32)은 대략 디귿(ㄷ)자의 단면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되는 패널로 이루어진다.In the above,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re made of panels which are press-molded into a cross-sectional shape of approximately Di '(c).

상기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일측 단부에는 장착 플레이트(20)의 제1 및 제2 슬롯(21, 22)에 각각 끼워지며 그 장착 플레이트(20)에 용접 접합될 수 있는 플랜지(33)이 형성된다.Flange which is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21, 22) of the mounting plate 20, respectively, at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32) and can be welded to the mounting plate (20) 33 is formed.

상기 플랜지(33)는 장착 플레이트(20)의 제1 및 제2 슬롯(21, 22)에 끼워지며 걸림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일측 단부에서 언급한 바 있는 박스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lange 33 fits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21 and 22 of the mounting plate 20 and is engaged, and is men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It may be formed to be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x space.

이 경우, 상기 각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플랜지(33)는 제1 및 제2 슬롯(21, 22)에 끼워지며 장착 플레이트(20)의 요홈부(24)에 안착되고, 스폿 용접을 통해 요홈부(24)에 접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anges 33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fit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21 and 22 and are seated in the recesses 24 of the mounting plate 20. It may be bonded to the recess 24 through spot welding.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패널(31, 32)은 패널면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겹침 날개(35)를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include overlap blades 35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surface, respectively.

상기 겹침 날개(35)는 패널면의 상하단에서 박스 공간의 내측 방향 즉, 플랜지(33)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겹침 날개(35)는 상호 겹쳐지며 스폿 용접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The overlap blades 35 are formed to be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x space, that i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lange 33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nel surface. The overlap blades 35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may overlap each other and may be joined by spot welding.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다른 일측 단부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스테이 플레이트(70)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37)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re formed with engaging projections 37 which can be slide-coupled to the stay plate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결합 돌기(37)는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다른 일측 단부에서 박스 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37 may be formed to be bent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box space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착 플레이트(20)에 제1 및 제2 패널(31, 32)로 이루어진 박스부(30)를 결합함으로써 장착 플레이트(20)와 박스부(30)가 상호 결합된 서브 어셈블리(10)를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late 20 and the box portion 30 are mutually coupled by coupling the box portion 30 formed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to the mounting plate 20. The combined subassembly 10 can be constru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70)는 서브 어셈블리(10)를 범퍼 빔(1)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박스부(30)의 제1 및 제2 패널(31, 32)과 결합되고, 범퍼 빔(1)에 끼워지며 고정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y plate 70 is for stably mounting the subassembly 10 to the bumper beam 1, and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of the box part 30 are provided. And fit into the bumper beam 1 and can be fixed.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70)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그 구멍의 양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결합 레일(7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stay plate 70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coupling rails 7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결합 레일(71)은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결합 돌기(37)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부분으로, 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coupling rail 71 is a portion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s 37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re slidably coupled,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ith a hole therebetween.

여기서,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70)는 결합 레일(71)에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결합 돌기(37)가 결합된 상태로, 제1 및 제2 패널(31, 32)과 용접 접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ay plate 70 is coupled to the coupling rail 71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s 37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re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welded and jo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결합 돌기(37)와 스테이 플레이트(70)의 결합 레일(71)이 CO2 용접을 통해 상호 용접 접합되고,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겹침 날개(35)와 이에 대응하는 스테이 플레이트(70)의 구멍 가장자리 부분이 CO2 용접을 통해 상호 용접 접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37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nd the coupling rail 71 of the stay plate 70 are welded to each other through CO 2 welding. The overlap blades 35 of the two panels 31 and 32 and the corresponding hole edge portions of the stay plates 70 can be welded to each other through CO 2 welding.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서브 어셈블리(10)는 장착 플레이트(20)와 박스부(30)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스테이 플레이트(70)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That is, the sub-assembly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elded to the stay plate 70 while the mounting plate 20 and the box part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70)는 서브 어셈블리(10)가 결합된 상태로 범퍼 빔(1)의 양측에 가조립 되는 바, 이를 위해 돌기부(81)와 절곡부(83)를 형성하고 있다.Meanwhile, the stay plate 70 is temporarily assembled to both sides of the bumper beam 1 in a state in which the subassembly 10 is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forming the protrusions 81 and the bent portions 83.

상기 돌기부(81)는 스테이 플레이트(70)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한 쌍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범퍼 빔(1)의 상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 결정홀(3)에 끼워지며 결합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81 are formed to protrude in pairs at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tay plate 70, and may be fitted into and coupled to the pair of positioning holes 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mper beam 1. .

그리고, 상기 절곡부(83)는 스테이 플레이트(70)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스테이 플레이트(70)의 하단 가장자리 부분에서 범퍼 빔(1)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The bent portion 83 is formed at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stay plate 70 and is bent toward the bumper beam 1 at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stay plate 70.

상기 절곡부(83)는 범퍼 빔(1)의 하부면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는 부위로, 돌기부(81)가 위치 결정홀(3)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테이 플레이트(70)를 범퍼 빔(1) 측으로 밀게 되면, 범퍼 빔(1)의 하부면 모서리 부분을 감싸며 결합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83 is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umper beam 1, and the stay plate 70 moves toward the bumper beam 1 with the protrusion 81 fit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3. When pushed, it can be combined to wrap around the lower edge of the bumper beam (1).

즉,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70)는 돌기부(81)가 위치 결정홀(3)에 끼워진 상태에서 범퍼 빔(1)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그 돌기부(81)가 위치 결정홀(3)을 통해 범퍼 빔(1)의 내측면을 지지하며 절곡부(83)가 범퍼 빔(1)의 하부면 모서리 부분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umper beam 1 in the state where the protrusion 81 is fit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3, the stay plate 70 is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ing hole 3. The inner surface of the bumper beam 1 may be supported, and the bent portion 83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umper beam 1.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브 어셈블리(10)가 스테이 플레이트(70)에 결합된 상태로, 돌기부(81) 및 절곡부(83)를 통해 스테이 플레이트(70)를 범퍼 빔(1)에 가조립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assembly 10 is coupled to the stay plate 70, and pre-assembled the stay plate 70 to the bumper beam 1 through the protrusion 81 and the bent portion 83. can do.

여기서,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70)는 서브 어셈블리(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범퍼 빔(1)에 용접 혹은 본딩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Here, the stay plate 70 may be bonded to the bumper beam 1 by welding or bonding in a state in which the subassembly 10 is couple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100)의 조립 방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ssembling the vehicle crash box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assembly process of a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착 플레이트(20)의 제1 및 제2 슬롯(21, 22)에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플랜지(33)를 끼운다.6 to 8, first of al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33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in the first and second slots 21 and 22 of the mounting plate 20 is shown. Insert it.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플랜지(33)는 제1 및 제2 슬롯(21, 22)에 끼워지며 장착 플레이트(20)의 요홈부(24)에 안착되고, 이들 패널(31, 32)의 겹침 날개(35)는 상호 겹쳐지게 된다.Then, the flanges 33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fit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21 and 22 and are seated in the recesses 24 of the mounting plate 20. The overlap blades 35 of the panels 31 and 32 overlap each other.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폿 용접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플랜지(33)를 장착 플레이트(20)의 요홈부(24)에 접합하고,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겹침 날개(35)를 스폿 용접을 통해 접합한다.In this st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33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is joined to the recess 24 of the mounting plate 20 through spot welding, and the first And the overlapping blades 35 of the second panels 31 and 32 are joined by spot weld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패널(31, 32)로 이루어진 박스부(30)가 장착 플레이트(20)에 결합된 서브 어셈블리(10)를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x part 30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may configure the subassembly 10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20.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박스부(30)에 있어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결합 돌기(37)를 스테이 플레이트(70)는 결합 레일(71)에 슬라이드 결합한다.The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y plate 70 slides the coupling protrusion 37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in the box portion 30 to the coupling rail 71.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결합 돌기(37)와 스테이 플레이트(70)의 결합 레일(71)을 CO2 용접으로 접합하고, 1 및 제2 패널(31, 32)의 겹침 날개(35)와 이에 대응하는 스테이 플레이트(70)의 구멍 가장자리 부분을 CO2 용접으로 접합한다.Subsequent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37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nd the coupling rail 71 of the stay plate 70 are joined by CO 2 welding, and the first and second panels are connected. the opening edge portion of the stacking wings 35 and the stay plate 70 corresponding thereto (31, 32) are joined by CO 2 welding.

다음으로, 상기에서와 같은 스테이 플레이트(70)를 범퍼 빔(1)에 가조립 하는데, 이 과정에서는 스테이 플레이트(70)의 돌기부(81)를 범퍼 빔(1)의 위치 결정홀(3)에 끼우고, 스테이 플레이트(70)를 범퍼 빔(1) 측으로 밀어 그 범퍼 빔(1)의 하부면 모서리 부분에 스테이 플레이트(70)의 절곡부(83)를 결합한다.Next, the stay plate 70 as described above is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bumper beam 1, in which the projection 81 of the stay plate 70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3 of the bumper beam 1. Then, the stay plate 70 is pushed toward the bumper beam 1 to engage the bent portion 83 of the stay plate 70 at the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umper beam 1.

즉,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70)는 돌기부(81)가 위치 결정홀(3)에 끼워진 상태에서 범퍼 빔(1)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그 돌기부(81)가 위치 결정홀(3)을 통해 범퍼 빔(1)의 내측면을 지지하며 절곡부(83)가 범퍼 빔(1)의 하부면 모서리 부분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umper beam 1 in the state where the protrusion 81 is fit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3, the stay plate 70 is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ing hole 3. The inner surface of the bumper beam 1 may be supported, and the bent portion 83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umper beam 1.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서브 어셈블리(10)가 접합된 스테이 플레이트(70)를 범퍼 빔(1)에 가조립 한 상태에서, 스테이 플레이트(70)와 범퍼 빔(1)의 연결 부위를 용접 혹은 접착식으로 본딩을 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쉬 박스(100)의 조립이 완료된다.Lastly, in a state where the stay plate 70 to which the subassembly 10 is bonded is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bumper beam 1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tay plate 70 and the bumper beam 1 may be welded or bonded. When the bonding, the assembly of the crash box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이상에서는 장착 플레이트(20)에 제1 및 제2 패널(31, 32)을 장착하고, 스폿 용접으로서 장착 플레이트(20)에 박스부(30)가 접합된 서브 어셈블리(10)를 조립하며, 서브 어셈블리(10)와 스테이 플레이트(70)를 CO2 용접으로 접합한 상태에서 스테이 플레이트(70)를 범퍼 빔(1)에 가조립 하고, 스테이 플레이트(70)를 범퍼 빔(1)에 용접 혹은 본딩 방식으로 접합하는 예를 설명하였다.In the above, the 1st and 2nd panels 31 and 32 are attached to the mounting plate 20, the subassembly 10 which the box part 30 was joined to the mounting plate 20 by spot welding is assembled, and the sub In the state where the assembly 10 and the stay plate 70 are joined by CO 2 welding, the stay plate 70 is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bumper beam 1, and the stay plate 70 is welded or bonded to the bumper beam 1. An example of joining was described.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장착 플레이트(20)에 제1 및 제2 패널(31, 32)을 상호 겹쳐지게 장착하고, 제1 및 제2 패널(31, 32)을 스테이 플레이트(70)에 장착한 상태에서 스테이 플레이트(70)를 범퍼 빔(1)에 가조립 할 수도 있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re mounted on the mounting plate 20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re stayed in the stay plate 70. The stay plate 70 may be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bumper beam 1 in the state of mounting on the bumper beam 1.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장착 플레이트(20)와 제1 및 제2 패널(31, 32)을 스폿 용접하고, 제1 및 제2 패널(31, 32)의 겹치는 부위를 스폿 용접하며, 제1 및 제2 패널(31, 32)과 스테이 플레이트(70)를 CO2 용접하고, 스테이 플레이트(70)와 범퍼 빔(1)을 용접 혹은 접착하는 과정으로서 크래쉬 박스(100)를 조립할 수도 있다.The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ot welding the mounting plate 20 and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nd spot welding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re performed.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nd the stay plate 70 may be CO 2 welded, and the crash box 100 may be assembled by welding or bonding the stay plate 70 and the bumper beam 1 to each other. hav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플레이트(20)에 제1 및 제2 패널(31, 32)을 조립/용접하여 서브 어셈블리(10)를 구성하고, 서브 어셈블리(10)와 스테이 플레이트(70)를 용접한 후, 스테이 플레이트(70)를 범퍼 빔(1)에 가조립 한 상태에서 스테이 플레이트(70)와 범퍼 빔(1)을 용접하여 크래쉬 박스(100)를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b-assembly 10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 welding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to the mounting plate 20. After welding the stay plate 70, the crash plate 100 may be manufactured by welding the stay plate 70 and the bumper beam 1 in a state where the stay plate 70 is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bumper beam 1.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플레이트(20)에 제1 및 제2 패널(31, 32)을 조립하고, 제1 및 제2 패널(31, 32)에 스테이 플레이트(70)를 조립한 상태에서, 스테이 플레이트(70)를 범퍼 빔(1)에 가조립 한 후, 각 부품의 연결 부위를 용접하여 크래쉬 박스(100)를 제작할 수도 있다.As an alternati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are assembled to the mounting plate 20 and the stay plate 70 is mounted to the first and second panels 31 and 32. In the assembled state, the stay plate 70 may be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bumper beam 1, and then a connection box of each part may be welded to manufacture the crash box 10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조립을 위한 추가적인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범퍼 빔(1)의 지정된 장착 위치에 가 조립된 상태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지그 투자비와 제작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공정수를 줄임과 동시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in the assembled state in the designated mounting position of the bumper beam 1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jig for assemb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jig investment cost and manufacturing cost, process Reduce productivity while increasing productivity, and use your workspace more efficiently.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범퍼 빔 3... 위치 결정홀
10... 서브 어셈블리 20... 장착 플레이트
21... 제1 슬롯 22... 제2 슬롯
24... 요홈부 30... 박스부
31... 제1 패널 32... 제2 패널
33... 플랜지 35... 겹침 날개
37... 결합 돌기 70... 스테이 플레이트
71... 결합 레일 81... 돌기부
83... 절곡부
1 ... bumper beam 3 ... positioning hole
10 ... subassembly 20 ... mounting plate
21 ... 1st slot 22 ... 2nd slot
24 ... recess 30 ... box
31 ... first panel 32 ... second panel
33. Flange 35 ... Overlap wing
37 ... Engagement protrusion 70 ... Stay plate
71 ... coupling rail 81 ... projection
83 ... Bends

Claims (15)

범퍼 빔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로서,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상호 평행하게 이격 형성된 제1 및 제2 슬롯에 일측 단부의 플랜지가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겹침 날개가 상호 겹쳐지며 용접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플랜지가 상기 제1 및 제2 슬롯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용접되는 박스 형태의 박스부를 포함하는 서브 어셈블리; 및
상기 박스부를 상기 범퍼 빔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의 다른 일측 단부에 구비된 결합 돌기가 구멍 양측의 결합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범퍼 빔에 끼워지며 고정되는 스테이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A crash box for a vehicle installed on both rear sides of a bumper beam,
A mounting plate and first and second panels having flanges at one e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to the mounting plate, and overlapping blades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overlap each other. A sub-assembly including a box-shaped box portion welded to and welded to the mounting plate, the flanges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being fit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respectively; And
To mount the box portion to the bumper beam, a staying protrus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s is slidably coupled to the coupling rails on both sides of the hole, and is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bumper beam.
Vehicle crash box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은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에 용접 접합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and second panels are welded to the stay pl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 플레이트는,
상기 범퍼 빔의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홀에 끼워지는 돌기부와, 상기 범퍼 핌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절곡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y plate,
A protrusion fitted into at least one positioning hol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bumper beam, and a bent portion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umper pim.
Vehicle crash box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67936A 2011-07-08 2011-07-08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KR101270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936A KR101270940B1 (en) 2011-07-08 2011-07-08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936A KR101270940B1 (en) 2011-07-08 2011-07-08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98A KR20130006098A (en) 2013-01-16
KR101270940B1 true KR101270940B1 (en) 2013-06-11

Family

ID=4783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936A KR101270940B1 (en) 2011-07-08 2011-07-08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9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1781B2 (en) 2018-06-11 2020-03-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489B1 (en) * 2014-09-18 2016-02-1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KR101659951B1 (en) * 2014-12-05 2016-09-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Crash box for vehicle
KR101677117B1 (en) * 2014-12-18 2016-11-1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KR101836709B1 (en) 2016-10-04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rash box for vehicle
KR102124354B1 (en) * 2018-12-31 2020-06-1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Vehicle crash box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EP4049902A1 (en) * 2021-02-26 2022-08-3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Bumpe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1845A (en) 2007-09-05 2009-03-26 Honda Motor Co Ltd Vehicular crash box structure
KR20110037397A (en) * 2009-10-06 2011-04-1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1845A (en) 2007-09-05 2009-03-26 Honda Motor Co Ltd Vehicular crash box structure
KR20110037397A (en) * 2009-10-06 2011-04-1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1781B2 (en) 2018-06-11 2020-03-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884295B2 (en) 2018-06-11 2021-01-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69223B2 (en) 2018-06-11 2022-03-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98994B2 (en) 2018-06-11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98A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940B1 (en)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JP6772975B2 (en) Vehicle skeleton structure
US9539968B2 (en) Vehicle front section structure
US9663050B2 (en) Vehicle body front section structure
JP6178361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9290140B2 (en) Vehicle end section structure
WO2012035946A1 (en) Structure of front section of vehicle body
KR2015006509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and bumper beam unit manufrctured thereby
WO2007050967A2 (en) Bumper system
JP5692119B2 (en) Vehicle cowl structure
CN109421815B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1061380B1 (en) Car Bumper Stai
KR102002308B1 (en) Bumper beam for vehicles
KR101659951B1 (en) Crash box for vehicle
JP5942883B2 (en) Automotive exterior parts
KR101288359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KR101359966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KR101328396B1 (en)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CN108515930B (en) Longitudinal beam top end structure
KR101812950B1 (en) Automotive bumper beam unit
KR101603143B1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KR10155323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umper beam unit
KR101609325B1 (en) Crash box in vehicle bumper system
KR101903481B1 (en) Crash box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141454A (en)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