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143B1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3143B1 KR101603143B1 KR1020140174333A KR20140174333A KR101603143B1 KR 101603143 B1 KR101603143 B1 KR 101603143B1 KR 1020140174333 A KR1020140174333 A KR 1020140174333A KR 20140174333 A KR20140174333 A KR 20140174333A KR 101603143 B1 KR101603143 B1 KR 101603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mper
- bumper beam
- connection bracket
- vehicl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과 동시에 범퍼 빔 사이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하는 연결 브라켓을 통해 범퍼 빔과 스태이 간의 용접부 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는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 후 단부의 소정 부위에 배치되는 완충유닛이다. Generally, a bumper in a vehicle is designed to absorb a shock of a vehicl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another automobile or a fixed body, to secure the rider's safety, and at the same time, Is a buffer unit to be disposed.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automotive bumper unit.
도 1을 참조하면, 상기한 범퍼 유닛(100)은 범퍼 빔(101)이 차체 양측 사이드 멤버(111)에 범퍼 스태이 유닛(103)을 통하여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범퍼 빔(101)의 전방에 에너지 업소버(107)가 배치되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며, 범퍼 커버(109)가 상기 범퍼 빔(101)과 에너지 업소버(107)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조립 사시도이다.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umper staunch uni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종래의 범퍼 스태이 유닛(103)은 별도의 전방 플레이트(113)를 통하여 범퍼 빔(101)에 용접되고, 후방 플레이트(115)를 통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111)에 조립된다. 2, the conventional
여기서, 상기 전방 플레이트(113)는 상,하 측에 형성된 접합부(113a)를 통해, 상기 범퍼 빔(101)의 상,하 면의 일측에서 용접 접합된다. Here,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범퍼 스태이 유닛(103)은 차량의 저속 정면 충돌 시, 차체 구조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측면에서는 양호하나, 경사면이나 중앙 POLE 충돌 시에는 범퍼 빔(101)과 범퍼 스태이 유닛(103)의 용접부가 쉽게 분리되거나 범퍼 빔(101)의 파단현상이 발생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section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previous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끼움식 연결 브라켓을 범퍼 빔의 후면 중앙부에 삽입하여 범퍼 빔과 용접 후,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를 상기 연결 브라켓과 범퍼 빔을 함께 용접함으로써, 범퍼 빔과의 접합강도를 높여 용접부 분리 및 범퍼 빔의 파단현상을 방지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tting type connecting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and after welding with the bumper beam,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bumper beam are welded together with the inner and outer staples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bumper beam And to prevent a breakage of the bumper beam by separating the welded portion.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폐단면 범퍼 빔과 사이드 멤버를 상호 연결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에 있어서, 상기 폐단면 범퍼 빔의 중앙부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연결 브라켓; 절곡 성형된 판재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범퍼 빔의 후면과 상기 연결 브라켓의 일측에 각각 접합되는 인너 스태이; 절곡 성형된 판재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인너 스태이와 마주보게 연결되어 하나의 관재를 이루고, 상기 범퍼 빔의 후면과 상기 연결 브라켓의 타측에 각각 접합되는 아웃터 스태이; 및 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ular bumper staunch unit interconnecting a closed end bumper beam and a side member, the vehicle bumper unit comprising: a fitting portion that is fitt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losed end bumper beam; A connecting bracket including an exten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f a first direction; An inner structure formed in a shape of a bent plate member and bonded to a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and one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respectively; An outer stator formed in a shape of a bent plate member and connected to the inner stator so as to form a single pipe member and joi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And
상기 인너 및 아웃터 스태이의 후단에 접합되어 사이드 멤버에 연결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And a mounting plate joined to a rear end of the inner and outer stays and connected to the side members.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은 하나의 판재를 컷팅 성형하여, 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bracket may be a box-shaped box having a rear surface opened by cutting a single plate material.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폐단면 범퍼 빔의 중앙부에 끼워지는 높이로 형성되어 폐쇄된 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을 기준으로 상,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상측면 및 하측면과, 상기 전면을 기준으로 좌, 우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부 및 연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bracket may include upper and lower surfaces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and having a closed front surface formed at a height fit to the center of the closed end surface bumper beam, A left side surface and a right side surface extending from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and the fitting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are formed.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각각 상, 하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의 내측면에서 각각 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nded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long length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and may be wel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and outer stay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범퍼 빔의 중앙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 ,하측면과 범퍼 빔이 접촉되는 부분에 용접을 통해 2중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bracket may be doubly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mper beam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bracket is fitted to the center of the bumper beam.
또한, 상기 인너 스태이는 절곡 성형된 판재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드를 포함하는 제1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상, 하방향의 양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접합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member may include a first support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eads formed in the shape of a bent plate member and form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a first joining end formed by bend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surface outwardly.
또한, 상기 아웃터 스태이는 상기 인너 스태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 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드를 포함하는 제2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 상, 하방향의 양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접합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tance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inner stance, bu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ing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eads form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a second joining end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surface such that both ends in the downward direction are bent inwar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접합단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 간격 만큼 겹쳐지게 배치되어 용접 접합 방법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joint ends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form an empty space therein, and may be joined by a welding joint metho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surface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또한,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 사이의 빈 공간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id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tair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또한,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는 제1 및 제2 지지면의 전방 끝단이 용접을 통해 상기 연결 브라켓의 연장부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surfaces may be joined to the extens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through welding.
또한,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는 제1 및 제2 접합단의 전방 끝단이 용접을 통해 상기 범퍼 빔의 후면과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welding ends may be wel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또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를 통해 형성되는 내부의 빈 공간의 후단에 대응하는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양 측단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의 각각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끼움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mounting plate may have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a rear end of an inner empty space formed through the inner and outer stays and extending forward at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 And a fitting end is formed which is fitted to each inner side surface of the hea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폐단면 범퍼 빔의 중앙부에 끼움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연결 브라켓을 적용하여, 상기 연결 브라켓을 상기 범퍼 빔의 중앙부에 끼운 상태로, 상단과 하단을 각각 용접 접합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을 통해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의 내면 일측을 각각 용접 접합한 후,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의 외측 상, 하 단부를 범퍼 빔의 후면과 함께 용접 접합 하여, 전체적으로 범퍼 빔과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충돌 시, 용접부 분리현상 및 범퍼 빔의 파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bracket that can be mounted in a fitting manner is applied to a central portion of a closed end bumper beam,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welded to each other while the connection bracket is sandwich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mper beam, The outer and uppe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staples are welded together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to weld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staples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bracket, The strength of the bumper beam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separation of the welded portion and breakage of the bumper beam can be prevented.
또한, 용접부 접합강도의 향상으로 충돌 에너지의 흡수 및 분산 작동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chieve the absorption and dispersion operation of the impact energy by improving the joint strength of the welded portion.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In addition, effects obtained or predic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rectly or implicitly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to be predi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조립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automotive bumper unit.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umper staunch unit.
3 is a projection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6 is a view showing an assembling step of the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투영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조립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 assembly step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은 범퍼 빔(3)의 후방 양측과 양측 사이드 멤버(미도시)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연결 브라켓(10), 인너 스태이(20), 아웃터 스태이(30), 및 장착 플레이트(40)로 구성된다. 3 to 5, the vehicle
먼저, 상기 연결 브라켓(10)은 끼움부(11)와 연장부(13)로 구성된다. First, the
이러한 연결 브라켓(10)은 하나의 판재를 재단하여 컷팅 성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형상에 맞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연결 브라켓(10)은 상기 범퍼 빔(3)의 중앙부에 끼워지는 높이를 갖도록 전면(15a)을 형성한다.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범퍼 빔(3)은 상하로 상부 폐단면과 하부 폐단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 폐단면과 하부 폐단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구조이다. Here,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 빔(3)의 중앙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범퍼 빔(3)의 상,하부 폐단면 사이의 구간을 의미한다. The central part of the
상기 연결 브라켓(10)은 상기 전면(15a)을 기준으로 상,하 측으로 각각 연장된 상측면 및 하측면(15b, 15b')을 형성한다. The
그리고 상기 연결 브라켓(10)은 상기 전면(15a)을 기준으로 좌, 우 측으로 각각 연장된 좌측면 및 우측면(15c, 15c')을 형성한다. The
또한, 상기 좌,우측면(15c, 15c')은 차량의 전방에서 바라본 전면(15a)을 기준으로 나타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좌,우측면(15c, 15c')는 변경될 수 있다. The left and
이러한 전면(15a), 상,하측면(15b, 15b') 및 좌,우측면(15c, 15c')은 절곡되어 끼움부(11)와 연장부(13)로 구성되면서 상기 연결 브라켓(10)의 형상을 이룬다. The
여기서, 상기 끼움부(11)는 상기 범퍼 빔(3)의 중앙부에 끼워지는 부분이며, 상기 연장부(13)는 상기 끼움부(11)의 좌, 우측면(15c, 15c')에 각각 연장되어 상,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연장부(13)는 이하에서 설명할 인너 스태이(20)와 아웃터 스태이(30)의 내측면에서 각각 용접(W)을 통해 접합된다.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브라켓(10)은 상기 범퍼 빔(3)의 중앙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 하측면(15b, 15b')과 범퍼 빔(3)의 후면이 접촉되는 부분에 용접(W)을 통해 접합한다. The
즉, 상기 연결 브라켓(10)은 상기 범퍼 빔(3)의 중앙부에 끼워져 한번 고정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10)의 상, 하측면(15b, 15b')을 상기 범퍼 빔(3)에 용접(W)함으로 2중으로 접합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인너 스태이(20)는 절곡 성형된 판재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범퍼 빔(3)의 후면과 상기 연결 브라켓(10)의 일측에 각각 용접(W)을 통해 접합된다. The
이러한 인너 스태이(20)는 제1 지지면(21) 및 제1 접합단(23)으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제1 지지면(21)은 상기 인너 스태이(2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2개의 비드(BD)가 형성되는데, 상기 비드(BD)는 상기 제1 지지면(21)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오목하게 요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비드(BD)를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비드(BD)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beads BD are formed by way of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the beads BD may be varied if necessary.
이러한 제1 지지면(21)은 상기 범퍼 빔(3)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범퍼 빔(3)을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The
또한, 상기 제1 접합단(23)은 상기 제1 지지면(21)의 상, 하 방향의 양 단부가 차량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joining
그리고 상기 아웃터 스태이(30)는 상기 인너 스태이(20)와 마찬가지로, 절곡 성형된 판재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in the case of the
이러한 아웃터 스태이(30)는 제2 지지면(31) 및 제2 접합단(33)으로 이루어진다. The outer stays 30 include a
상기 제2 지지면(31)은 상기 제1 지지면(21)과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2개의 비드(BD)가 형성되는데, 상기 비드(BD)는 상기 제2 지지면(31)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오목하게 요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Like the
여기서, 제2 지지면(31)도 상기 범퍼 빔(3)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범퍼 빔(3)을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second supporting
또한, 상기 제2 접합단(33)은 상기 제2 지지면(31)의 상, 하 방향의 양 단부가 차량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The second joining
이러한 아웃터 스태이(30)는 상기 범퍼 빔(3)의 후면과 상기 연결 브라켓(10)의 타측에 각각 접합된다. The outer stays 30 are joi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인너 스태이(20)와 아웃터 스태이(30)는 제1 및 제2 접합단(23, 33)이 일정 간격 만큼 겹쳐지게 배치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The inner and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접합단(23, 33)은 단부가 용접(W)을 통하여 접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ends 23 and 33 may be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welding W.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면(21, 31)은 후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surfaces 21 and 31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oward the rear.
즉, 상기 인너 스태이(20)와 아웃터 스태이(30)에 의해 형성된 내부 빈 공간의 넓이가 후방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width of the inner hollow space formed by the inner and
이러한 인너 스태이(20)와 아웃터 스태이(30)는 제1 및 제2 지지면(21, 31)의 전방 끝단에 용접(W)을 통하여 상기 연결 브라켓(10)의 연장부(13)와 각각 접합된다. The
한편, 상기 장착 플레이트(40)는 상기 인너 및 아웃터 스태이(20, 30)의 후단에 접합되어 상기 사이드 멤버(미도시)에 조립된다. Meanwhile, the mounting
즉, 상기 장착 플레이트(40)는 상기 인너 스태이(20)와 아웃터 스태이(30)가 접합되어 형성된 내부의 빈 공간에 대응하는 중앙부에 관통홀(H)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H)의 양 측단에 전방으로 연장된 끼움단(41)을 형성하여, 상기 인너 스태이(20)와 아웃터 스태이(30)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W)된다. That is, the mounting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은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브라켓(10)이 상기 범퍼 빔(3)의 중앙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측면(15b)과 하측면(15b')에 범퍼 빔(3)과의 용접(W)을 통해 1차로 조립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bumper
그 후, 상기 인너 스태이(20)와 아웃터 스태이(30)를 일정 간격 겹치게 배치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브라켓(10)의 연장부(13)와 용접(W)한 후, 동시에, 상기 범퍼 빔(3)과 접합되는 상,하 방향의 양 측단을 용접(W)하여 2차로 조립된다. Thereafter,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은 폐단면 범퍼 빔(3)의 중앙부에 끼움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연결 브라켓(10)을 적용하여, 상기 연결 브라켓(10)을 상기 범퍼 빔(3)의 중앙부에 끼운 상태로 용접(W) 접합하고, 인너 스태이(20)와 아웃터 스태이(30)는 상기 연결 브라켓(10)의 연장부(13)와 상기 범퍼 빔(3)의 후단부에 이중으로 용접(W) 접합되어 전체적으로 범퍼 빔(3)과의 접합강도를 높이게 된다. Therefore, the vehicle bumper
이와 같이, 상기 범퍼 빔(3)과 범퍼 스태이 유닛(1)의 용접부 접합강도를 높임에 따라 차량의 충돌 시, 용접부 분리현상 및 범퍼 빔(3)의 파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increasing the welding strength of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 범퍼 스태이 유닛 3 ... 범퍼 빔
10 ... 연결 브라켓 11 ... 끼움부
13 ... 연장부 15a ... 전면
15b ... 상측면 15b' ... 하측면
15c ... 좌측면 15c' ... 우측면
20 ... 인너 스태이 21 ... 제1 지지면
23 ... 제1 접합단 30 ... 아웃터 스태이
31 ... 제2 지지면 33 ... 제2 접합단
40 ... 장착 플레이트 41 ... 끼움단
BD ... 비드 H ... 관통홀1 ...
10 ...
13 ...
15b ...
15c ...
20 ...
23 ... first
31 ... second supporting
40 ... mounting
BD ... bead H ... through hole
Claims (13)
상기 폐단면 범퍼 빔의 중앙부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연결 브라켓;
절곡 성형된 판재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범퍼 빔의 후면과 상기 연결 브라켓의 일측에 각각 접합되는 인너 스태이;
절곡 성형된 판재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인너 스태이와 마주보게 연결되어 하나의 관재를 이루고, 상기 범퍼 빔의 후면과 상기 연결 브라켓의 타측에 각각 접합되는 아웃터 스태이; 및
상기 인너 및 아웃터 스태이의 후단에 접합되어 사이드 멤버에 연결되는 장착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A vehicular bumper unit for interconnecting a closed end bumper beam and a side member,
A connecting bracket including a fitting portion to be fitt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closed end surface bumper beam and an extending portion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itting portion;
An inner structure formed in a shape of a bent plate member and bonded to a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and one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respectively;
An outer stator formed in a shape of a bent plate member and connected to the inner stator so as to form a single pipe member and joi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And
A mounting plate joined to a rear end of the inner and outer stays and connected to the side members;
And a bumper unit for a vehicle.
상기 연결 브라켓은
하나의 판재를 컷팅 성형하여, 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bracket
Wherein one of the plate members is cut to form a box-shaped rear face.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폐단면 범퍼 빔의 중앙부에 끼워지는 높이로 형성되어 폐쇄된 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을 기준으로 상, 하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상측면 및 하측면과, 상기 전면을 기준으로 좌, 우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부 및 연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bracket
And a closed front surface formed at a height to be fitt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closed end bumper beam,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and a left surface and a right surface extending respectively to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to form the fitting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Vehicle bumper sta- tus unit.
상기 연장부는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각각 상, 하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의 내측면에서 각각 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The extension
Wherein a length of each of the left side surface and the right side surface is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are welded to each other by welding.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범퍼 빔의 중앙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 하측면과 범퍼 빔이 접촉되는 부분에 용접을 통해 2중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on bracket
Where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mper beam are welded to each other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the bumper beam.
상기 인너 스태이는
절곡 성형된 판재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드를 포함하는 제1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상, 하방향의 양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접합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stator
And is formed into a shape of a bent plate member,
A first support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eads form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A first joint end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support surface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Wherein the bumper staunch unit comprises:
상기 아웃터 스태이는
상기 인너 스태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 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드를 포함하는 제2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 상, 하방향의 양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접합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uter stator
The inner shape is the same as the inner shape,
A second support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eads form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A second joining end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surface such that both ends in the downward direction are bent inward;
Wherein the bumper staunch unit comprises:
상기 제1 및 제2 접합단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 간격 만큼 겹쳐지게 배치되어 용접 접합 방법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ends
And are joined to each other by a weld joining metho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form an empty space in the inside of the bumper staunch unit.
상기 제1 및 제2 지지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surfaces
And the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 사이의 빈 공간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An empty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taples
And the area is gradually widen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는
제1 및 제2 지지면의 전방 끝단이 용접을 통해 상기 연결 브라켓의 연장부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ner and outer staples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surfaces are welded to the extens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는
제1 및 제2 접합단의 전방 끝단이 용접을 통해 상기 범퍼 빔의 후면과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ner and outer staples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welding ends are wel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를 통해 형성되는 내부의 빈 공간의 후단에 대응하는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양 측단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너 스태이와 아웃터 스태이의 각각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끼움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late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a rear end of an inner empty space formed through the inner and outer staples and is extended forward at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mper strak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4333A KR101603143B1 (en) | 2014-12-05 | 2014-12-05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4333A KR101603143B1 (en) | 2014-12-05 | 2014-12-05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3143B1 true KR101603143B1 (en) | 2016-03-14 |
Family
ID=5554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4333A KR101603143B1 (en) | 2014-12-05 | 2014-12-05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314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9142B1 (en) * | 2017-12-25 | 2018-07-16 | 변근섭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ing frame to join between bumper and body of vehicle |
KR102701585B1 (en) | 2024-05-23 | 2024-09-02 | 주식회사 엘리트산업 | Forming method of shock absorption grooves for vehicle bumper sta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1176U (en) * | 1996-10-18 | 1998-07-15 | 박병재 | Bumper Back Beam Mounting Structure of Automobile |
KR20040025038A (en) * | 2002-09-18 | 2004-03-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umper Structure for Increasing Impact Performance |
KR20080045913A (en) * | 2006-11-21 | 2008-05-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body structure for vehicle |
KR20140024658A (en) * | 2012-08-20 | 2014-03-03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2014
- 2014-12-05 KR KR1020140174333A patent/KR10160314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1176U (en) * | 1996-10-18 | 1998-07-15 | 박병재 | Bumper Back Beam Mounting Structure of Automobile |
KR20040025038A (en) * | 2002-09-18 | 2004-03-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umper Structure for Increasing Impact Performance |
KR20080045913A (en) * | 2006-11-21 | 2008-05-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body structure for vehicle |
KR20140024658A (en) * | 2012-08-20 | 2014-03-03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9142B1 (en) * | 2017-12-25 | 2018-07-16 | 변근섭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ing frame to join between bumper and body of vehicle |
KR102701585B1 (en) | 2024-05-23 | 2024-09-02 | 주식회사 엘리트산업 | Forming method of shock absorption grooves for vehicle bumper sta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5461B1 (en) |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 |
KR101713724B1 (en) |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 |
JP6228180B2 (en) | Body front structure | |
JP5581389B2 (en) | Body front structure | |
JP6526961B2 (en) | Battery mounted frame structure | |
JP6577978B2 (en) | Body structure | |
KR20160126194A (en) | Bumper back beam assembly for vehicle | |
KR101603143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
KR101637265B1 (en) | Sub-frame of vehicle | |
KR101659951B1 (en) | Crash box for vehicle | |
JP5950407B2 (en) | Body structure | |
JP2013256162A (en) | Vehicle front structure | |
KR101339278B1 (en) |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 |
KR101594489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
JP2009040299A (en) | Vehicle front part structure | |
KR101689573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JP2018199430A (en) |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 |
KR101328396B1 (en)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KR101495429B1 (en) | Engine cradle construction for automobile | |
KR101677117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
KR101755490B1 (en) | Exhaust gas processing device | |
KR101669014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KR20190029960A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KR102417326B1 (en) | Rear reinforcing structure of side sill unit | |
KR20180073278A (en) | Bumper stay unit for behl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