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789B1 -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 Google Patents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789B1
KR101270789B1 KR1020110069896A KR20110069896A KR101270789B1 KR 101270789 B1 KR101270789 B1 KR 101270789B1 KR 1020110069896 A KR1020110069896 A KR 1020110069896A KR 20110069896 A KR20110069896 A KR 20110069896A KR 101270789 B1 KR101270789 B1 KR 10127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ower head
shower
vibration
v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078A (ko
Inventor
유충춘
Original Assignee
유충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충춘 filed Critical 유충춘
Priority to KR102011006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7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61H2023/0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using hydrostatic pressure, e.g. high density fl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샤워헤드 내에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물의 흐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이 진동을 이용하여 샤워헤드를 신체에 접촉하여 마사지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지압돌기(110)가 돌출 형성되며, 물을 살수하는 다수의 살수홀(120)이 형성된 샤워헤드 캡(100)과; 일측이 급수관에 연통되고, 타측에 상기 샤워헤드 캡(100)이 조립되어, 그 내부로 물이 통과하는 손잡이(210)가 형성된 샤워헤드 케이싱(200)과;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 내부에 위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구형 중량체(320)가 원형의 유로 내에서 공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재(300)로 구성되어,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 없이 물의 흐름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는 샤워기를 통해 이를 신체에 접촉시켜 마사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구형 중량체가 자성을 가짐으로써 마사지 부위가 자기장과 함께 자화 육각수에 노출되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마사지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로 절환 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Vibrating shower device having a function of a massage}
본 발명은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샤워헤드 내에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물의 흐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이 진동을 이용하여 샤워헤드를 신체에 접촉하여 마사지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로써,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 없이 물의 흐름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는 샤워기를 통해 이를 신체에 접촉시켜 마사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구형 중량체가 자성을 가짐으로써 마사지 부위가 자기장과 함께 자화 육각수에 노출되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마사지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로 절환 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샤워헤드에 형성된 다수의 살수홀을 갖는 구조이며, 급수관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 그 내부를 통과한 물이 살수홀을 통해 연속적으로 분사하여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샤워기는 단순히 물을 뿌리는 구조에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샤워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261310호(등록일자 2002.01.09.)의 '샤워기용 진동 샤워기'는 샤워기를 통해 분사되는 샤워수를 통해 피부를 마사지 할 수 있는 샤워기를 제안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사지 샤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마사지 샤워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61310호에 개시된 종래의 마사지 샤워기는 샤워부스의 급수배관에 연결되는 소켓부재(30)와, 이 소켓부재(30)에 조립 고정되는 진동샤워기(13)와, 이 진동샤워기(13) 내에 조립되는 뚜껑(52) 및 회전판(51)과, 진동샤워기(13)의 개구부에 고정되는 헤드부(50)로 구성된다.
회전판(51)은 개방된 구멍(51a) 이외에 양측으로 나비형상의 부분차단판(51b)이 형성되고, 부분차단판(51b)과 일체 또는 부분 분리된 회전리브(51c)가 형성되어 헤드부(50)의 회전중심(50d)에 조립된다.
헤드부(50)는 전면에 다수의 샤워공(50b)이 삼각구도로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샤워기는 물이 공급되면, 뚜껑(52)과 헤드부(50)의 내주연과 사이에 형성된 안내홈(50c)을 통해 물이 이동한다. 이때, 안내홈(50c)은 사선으로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의 방향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판(51)의 회전리브(51c)의 일측면을 타격 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판(51)은 헤드부(50)의 회전중심(50d)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된 구멍(51a)을 통과하며 통과된 물은 헤드부(50)의 전면에 형성된 샤워공(50a)으로 배출된다.
이때, 헤드부(50)에서 배출되는 물은 삼각으로 형성된 샤워공(50b)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순차적으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사지 샤워기는 샤워 부스에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바디샤워에 적합한 것이며, 샤워헤드 자체가 진동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판(51)이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판(51)의 개방된 구멍(51a)을 통해 배출되는 샤워수가 삼각구조의 샤워공(50b)을 통해 단속적으로(on and off)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물줄기에 의하여 마사지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마사지 샤워기는 단속되는 물줄기에 의해 마사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사지 효과가 떨어지고, 그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단가가 높다는 등의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 없이 물의 흐름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는 샤워기를 통해 이를 신체에 접촉시켜 마사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구형 중량체가 자성을 가짐으로써 마사지 부위가 자기장과 함께 자화 육각수에 노출되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마사지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로 절환 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물을 살수하는 다수의 살수홀이 형성된 샤워헤드 캡과; 일측이 급수관에 연통되고, 타측에 상기 샤워헤드 캡이 조립되어, 그 내부로 물이 통과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샤워헤드 케이싱과;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구형 중량체가 원형의 유로 내에서 공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의 손잡이 내부에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특정 성분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가 마련되고; 상기 구형 중량체는 마그네틱 고무볼인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정면 및 배면과 함께 원주방향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유로, 제2유로, 그리고 제3유로와, 상기 배면에 소정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제1유로에 물을 원주방향으로 공급하는 진동 급수공과,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상기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유로부터의 물을 내보내는 진동 배수공과, 상기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바이패스 급수공과, 상기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유로부터의 물을 내보내는 바이패스 배수공으로 이루어진 진동 유닛과; 상기 제1유로 내에 위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공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형 중량체와;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을 개폐시키는 볼과; 상기 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와; 일측은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을 관통하여 레버가 형성되고, 그 타측은 상기 볼과 상기 탄성체를 수용하여 안내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개폐 암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 없이 물의 흐름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는 샤워기를 통해 이를 신체에 접촉시켜 마사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구형 중량체가 자성을 가짐으로써 마사지 부위가 자기장과 함께 자화 육각수에 노출되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마사지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로 절환 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마사지 샤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마사지 샤워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에 있어서 진동부재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에 있어서 진동부재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에 있어서 진동부재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에 있어서 진동부재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때, 도 7의 (a)는 진도모드를 도시하며, (b)는 일반모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압돌기(110)가 돌출 형성되며, 물을 살수하는 다수의 살수홀(120)이 형성된 샤워헤드 캡(100)과; 일측이 급수관에 연통되고, 타측에 상기 샤워헤드 캡(100)이 조립되어, 그 내부로 물이 통과하는 손잡이(210)가 형성된 샤워헤드 케이싱(200)과;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 내부에 위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구형 중량체(320)가 원형의 유로 내에서 공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재(3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는 크게 샤워헤드 캡(100), 샤워헤드 케이싱(200), 그리고 진동부재(3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샤워헤드 캡(100)에는 다수의 통공인 살수홀(120)이 형성되어 있어, 뒷면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 앞면을 통해 물이 살수된다.
그리고, 상기 샤워헤드 캡(100)의 앞면에는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 성형된 다수의 지압돌기(110)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 지압돌기(110)를 마사지 받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접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은 도 5와 같이 중공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내부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그 일측은 비교적 직경이 작아 물을 공급받기 위한 별도의 급수관(500)에 연통 설치되고, 그 타측은 비교적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샤워헤드 캡(100)이 조립됨으로써, 상기 급수관(50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샤워헤드 캡(100)을 통해 뿌리게 된다.
이때,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의 급수관(500) 연결부위 측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잡을 수 있는 적당한 굵기로 손잡이(21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 손잡이(210)를 통해 샤워헤드 케이싱(200)을 잡고 상기 지압돌기(110)가 형성된 샤워헤드 캡(100)을 마사지 받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진동부재(300)는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샤워헤드 캡(100) 측에 인접하게 마련된 것으로, 물의 흐름에 따라 구형 중량체(320)가 원형의 유로 내에서 안내되어 공전하게 되며, 이러한 상기 구형 중량체(320)의 공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 전체를 진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물이 흐르는 양을 조절함에 따라 원하는 크기의 진동을 얻을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재(300)와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 사이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하나 이상의 기밀링(220)을 두어,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으로 들어온 모든 물이 상기 진동부재(300)를 반드시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별도의 전원의 사용 없이 물의 흐름에 따라 상기 구형 중량체(320)가 공전하면서 진동부재(300)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샤워헤드 캡(100)의 지압돌기(110)를 마사지 받고자 하는 부위에 접촉시킴으로써, 마사지 기능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의 손잡이(210) 내부에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특정 성분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400)가 마련되고; 상기 구형 중량체(320)는 마그네틱 고무볼인 것이 양호하다.
즉,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은 중공체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샤워헤드 캡(100) 측에는 그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진동부재(300)가 위치하는 반면, 상기 손잡이(210) 내부에는 별도의 구성이 없으므로, 이 빈 공간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 필터(400)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400)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거나 혹은 수돗물에 소독제로 포함된 염소 등과 같은 특정 성분을 여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여과 성분에 제한이 되지는 않는다.
도 4에는 단순히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거름망 형태의 필터(400)를 도시하였고, 도 5에는 염소 등과 같은 특정 성분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400)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재(300) 내부에 마련된 구형 중량체(320)를 마그네틱 고무볼로 함으로써, 물의 흐름에 따라 상기 구형 중량체(320)가 상기 진동부재(300) 내부에서 공전할 때, 유로의 격벽에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의 발생을 예방하고, 특히 상기 구형 중량체(320)에서 방출되는 자기장을 사용자의 신체에 노출시키는 동시에 흐르는 물을 자화 육각수로 변화시킴으로써, 마사지 기능을 보조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300)는 물의 흐름에 따라 그 내부에 마련된 구형 중량체(320)가 원형 유로 내에서 공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구조를 적용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부재(300)가, 도 6 및 도 7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정면(301) 및 배면(302)과 함께 원주방향의 격벽(303)(304)에 의해 구획되어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유로(311), 제2유로(312), 그리고 제3유로(313)와, 상기 배면(302)에 소정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제1유로(311)에 물을 원주방향으로 공급하는 진동 급수공(314)과, 상기 제1유로(311)와 상기 제2유로(312)를 구획하는 격벽(303)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15)과, 상기 정면(301)에 형성되어 상기 제2유로(312)부터의 물을 내보내는 진동 배수공(316)과, 상기 배면(302)에 형성되어 상기 제3유로(313)에 물을 공급하는 바이패스 급수공(317)과, 상기 정면(301)에 형성되어 상기 제3유로(313)부터의 물을 내보내는 바이패스 배수공(318)으로 이루어진 진동 유닛(310)과; 상기 제1유로(311) 내에 위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공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형 중량체(320)와;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유닛(3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동부재(300)는 크게 진동 유닛(310), 구형 중량체(320), 그리고 개폐 유닛(330)을 포함하게 된다.
우선, 상기 진동 유닛(310)은 그 내부에 공간이 구획되어 있는 원반 형상의 구성요소로, 그 배면(302)으로부터 물이 들어왔다가 그 정면(301)을 통해 물이 나가게 되어, 상기 진동 유닛(310)의 정면은 상기 샤워헤드 캡(100)의 뒷면을 향하여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면(301)과 배면(302)의 사이 간격은 대략 상기 구형 중량체(320)가 그 내부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구형 중량체(320)의 직경 보다 다소 크게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 유닛(310)의 내부에는 원주방향의 격벽(303)(304)에 의해 구획되어 있어, 상기 진동 유닛(310)의 바깥쪽, 즉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3개의 유로인 제1유로(311), 제2유로(312), 그리고 제3유로(3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유로(311), 제2유로(312), 그리고 제3유로(313)는 모두 물이 통과하는 유로로써, 이 가운데 상기 제1유로(311) 내부에는 상기 구형 중량체(320)가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1유로(311)의 폭은 상기 구형 중량체(320)의 직경 보다 다소 넓게 형성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상기 구형 중량체(320)가 이 제1유로(311) 내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311) 내에 위치한 구형 중량체(32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면(302)에는 진동 급수공(314)이 소정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유로(311) 내부에 물을 원주방향으로 공급하여 상기 구형 중량체(32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진동 급수공(314)의 입구에 별도의 안내 날개 등을 부가하여 상기 진동 급수공(314)을 통해 물이 상기 제1유로(311)로 들어갈 때 원심력이 크게 발생토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유로(311)와 상기 제2유로(31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두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303)에는 다수의 통공(31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유로(311)로 들어온 물이 상기 제2유로(312)로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통공(315)은 방사상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는 4개의 통공(315)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진동 유닛(310)의 정면(301)에는 진동 배수공(31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유로(312)부터의 물을 상기 진동 유닛(310) 외부로 내보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 유닛(310)의 배면(302)에는 바이패스 급수공(317)이 형성되어 상기 제3유로(313)에 물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진동 유닛(310)의 정면(301)에는 바이패스 배수공(318)이 형성되어 상기 제3유로(313) 내부의 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1유로(311) 및 상기 제2유로(312)와 상기 진동 급수공(314), 통공(315), 그리고 진동 배수공(316)은 상기 구형 중량체(320)의 회전에 이용되는 구성이고, 상기 제3유로(313)와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 및 바이패스 배수공(318)은 상기 구형 중량체(320)를 회전시키지 않기 위한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진동 유닛(310)의 상기 제1유로(311) 내에는 구형 중량체(320)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유로(311)에 물의 흐름이 발생함에 따라 공전하게 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원천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 유닛(310)의 진동 급수공(314)에는 항상 물이 공급되는 반면,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에 물의 공급 여부에 따라 진동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이 폐쇄되어 모든 물이 오직 상기 진동 급수공(314)을 통해 상기 진동 유닛(310) 내부로 공급되는 경우(이후 간단히 '진동모드'라 한다)와,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이 개방되어 대략 절반의 물이 상기 진동 급수공(314)을 통해 상기 진동 유닛(310) 내부로 공급되는 동시에, 그 나머지 절반의 물이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을 통해 상기 진동 유닛(310) 내부로 공급되는 경우(이후 간단히 '일반모드'라 한다)가 있을 수 있다.
먼저, 전자와 같이 진동모드에서는 도 7의 (a)와 같이 상기 진동 급수공(314)에 모든 물이 공급될 경우 상기 구형 중량체(320)가 상기 제1유로(311) 내에서 회전하여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반면, 후자와 같이 일반모드에서는 도 7의 (b)와 같이 상기 진동 급수공(314)에 대략 절반 정도의 물이 공급될 경우 상기 구형 중량체(320)의 회전이 발생치 않거나 그 회전속도가 매우 느려져 진동이 발생치 않게 된다.
이러한 제어를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 유닛(330)이 마련되며, 상기 개폐 유닛(330)은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 외부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하여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있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330)은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을 개폐시키는 볼(331)과; 상기 볼(331)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32)와; 일측은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을 관통하여 레버(333a)가 형성되고, 그 타측은 상기 볼(331)과 상기 탄성체(332)를 수용하여 안내하는 홈부(333b)가 형성되어,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개폐 암(333)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폐 유닛(330)은 크게 볼(331), 탄성체(332), 그리고 개폐 암(333)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볼(331)은 직접적으로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을 막아 폐쇄시키기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332)는 코일 스프링 등의 요소로 상기 볼(331)을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 암(333)은 그 중단이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일측은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을 관통하여 레버(333a)가 외부에 위치하게 되고, 그 타측에는 홈부(33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 암(333)은 일체로 이루어져도 좋지만, 조립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홈부(333b)는 상기 볼(331)과 상기 탄성체(332)를 수용하며, 상기 볼(331)은 상기 탄성체(332)에 의하여 상기 홈부(333b)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개폐 암(333)의 레버(333a)를 한쪽으로 회동시키면 그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볼(331)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의 인근에는 상기 볼(331)이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을 폐쇄시키지 않았을 때 안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오목하게 착좌부(317a)를 두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착좌부(317a)를 형성하면 상기 볼(331)이 안착할 때 절도감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는 크게 두 가지 모드, 즉 진동모드와 일반모드로 동작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진동모드란 구형 중량체(320)의 공전에 의해 샤워헤드 케이싱(200) 및 샤워헤드 캡(100)과 함께 지압돌기(110)가 진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모드란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 및 샤워헤드 캡(100)이 진동하지 않고 일반적인 살수 기능만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진동모드로의 절환을 위해 사용자가 개폐 유닛(330)의 개폐 암(333)에 형성된 레버(333a)를 일측으로 밀면, 도 7의 (a)와 같이 상기 개폐 암(333)이 회동하면서 볼(331)이 바이패스 급수공(317) 위에 놓이게 되면서 절도감이 발생하며, 이후, 상기 볼(331)은 탄성체(332)에 의하여 홈부(333b)로부터 탄성 지지되어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급수관을 통해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 내부로 들어 온 물이 필터(400)를 거쳐 각종 이물질과 유해 성분이 여과된 후, 상기 진동 급수공(314)으로 모두 들어간다.
이때, 상기 진동 급수공(314)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진동 급수공(314)을 통해 진동 유닛(310) 내부로 들어오는 물은 제1유로(311)에서 원심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물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1유로(311) 내부에 위치한 구형 중량체(320)가 회전하게 되면서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진동모드에서의 진동은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에 조립된 샤워헤드 캡(100)의 지압돌기(11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진동 유닛(310)의 제1유로(311)에 들어온 물은 통공(315)을 통해 제2유로(312)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제2유로(312)로부터 진동 배수공(316)을 통해 상기 진동 유닛(310)으로부터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진동 유닛(310)을 통과한 물은 상기 샤워헤드 캡(100)의 살수홀(120)을 통해 사용자의 마사지 부위에 뿌려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진동모드로부터 일반모드의 절환을 위해 사용자가 개폐 유닛(330)의 개폐 암(333)에 형성된 레버(333a)를 반대측으로 밀면, 도 7의 (b)와 같이 상기 개폐 암(333)이 회동하면서 볼(331)이 바이패스 급수공(317)으로부터 빠져 나와 착좌부(317a) 위에 놓이게 되면서 절도감이 발생하며, 이후, 상기 볼(331)은 탄성체(332)에 의하여 홈부(333b)로부터 탄성 지지되며,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은 개방된 상태로 절환 된다.
이 상태에서 급수관을 통해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200) 내부로 들어 온 물이 필터(400)를 거친 후, 대략 절반 정도의 물이 상기 진동 급수공(314)으로 들어가며, 나머지 절반 정도의 물은 개방된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317)으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물의 일부는 진동 급수공(314)→제1유로(311)→통공(315)→제2유로(312)→진동 배수공(316)을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되며, 그 나머지 물은 바이패스 급수공(317)→제3유로(313)→바이패스 배수공(318)을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일반모드에서는 상기 제1유로(311) 내부에 위치한 구형 중량체(320)가 매우 느리게 회전하거나 혹은 회전하지 않게 되어 진동을 발생치 않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진동 유닛(310)을 통과한 물은 샤워헤드 케이싱(200)의 진동 없이 상기 샤워헤드 캡(100)의 살수홀(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뿌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는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 없이 물의 흐름에 따라 구형 중량체(320)가 회전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하여, 샤워기의 지압돌기(110)를 신체에 접촉시켜 마사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형 중량체가 자성을 가짐으로써 마사지 부위가 자기장과 함께 자화 육각수에 노출되어 건강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는 이점을 지닌다.
특히, 이러한 마사지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로 절환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손쉽게 진동 마시지 여부를 절환 제어하여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샤워헤드 캡 110 : 지압돌기
120 : 살수홀 200 : 샤워헤드 케이싱
210 : 손잡이 300 : 진동부재
301 : 정면 302 : 배면
303, 304 : 격벽 310 : 진동 유닛
311 : 제1유로 312 : 제2유로
313 : 제3유로 314 : 진동 급수공
315 : 통공 316 : 진동 배수공
317 : 바이패스 급수공 318 : 바이패스 배수공
320 : 구형 중량체 330 : 개폐 유닛
331 : 볼 332 : 탄성체
333 : 개폐 암 333a : 레버
333b : 홈부 400 : 필터
500 : 급수관

Claims (4)

  1. 다수의 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물을 살수하는 다수의 살수홀이 형성된 샤워헤드 캡과;
    일측이 급수관에 연통되고, 타측에 상기 샤워헤드 캡이 조립되어, 그 내부로 물이 통과하는 손잡이가 형성된 샤워헤드 케이싱과;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구형 중량체가 원형의 유로 내에서 공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의 손잡이 내부에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특정 성분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가 마련되고;
    상기 구형 중량체는 마그네틱 고무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정면 및 배면과 함께 원주방향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유로, 제2유로, 그리고 제3유로와, 상기 배면에 소정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제1유로에 물을 원주방향으로 공급하는 진동 급수공과,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상기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유로부터의 물을 내보내는 진동 배수공과, 상기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바이패스 급수공과, 상기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유로부터의 물을 내보내는 바이패스 배수공으로 이루어진 진동 유닛과;
    상기 제1유로 내에 위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공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형 중량체와;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바이패스 급수공을 개폐시키는 볼과;
    상기 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와;
    일측은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을 관통하여 레버가 형성되고, 그 타측은 상기 볼과 상기 탄성체를 수용하여 안내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샤워헤드 케이싱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개폐 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KR1020110069896A 2011-07-14 2011-07-14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KR101270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896A KR101270789B1 (ko) 2011-07-14 2011-07-14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896A KR101270789B1 (ko) 2011-07-14 2011-07-14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078A KR20130009078A (ko) 2013-01-23
KR101270789B1 true KR101270789B1 (ko) 2013-06-05

Family

ID=4783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896A KR101270789B1 (ko) 2011-07-14 2011-07-14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7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70B1 (ko) 2013-07-23 2015-11-24 김기철 샤워기
KR101826750B1 (ko) * 2016-04-05 2018-02-08 (주)이온폴리스 Led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진동 샤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2438B2 (en) * 2013-03-12 2015-09-15 Rosaline FRASER Combined head massager and spray hair washer
WO2024078725A1 (en) 2022-10-14 2024-04-18 Vibr. Gmbh Apparatus having a vibration function, in particular shower head having a vibration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310Y1 (ko) 1998-08-12 2002-05-13 재익 김 샤워기용진동샤워기
JP3136225U (ja) * 2007-08-07 2007-10-18 方文杰 水流制御式多功能振動マッサージシャワーヘッド
KR20090088711A (ko) * 2008-02-15 2009-08-20 변순남 샤워기 헤드
KR20110006505U (ko) * 2009-12-22 2011-06-29 영 근 송 지압기능을 갖춘 샤워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310Y1 (ko) 1998-08-12 2002-05-13 재익 김 샤워기용진동샤워기
JP3136225U (ja) * 2007-08-07 2007-10-18 方文杰 水流制御式多功能振動マッサージシャワーヘッド
KR20090088711A (ko) * 2008-02-15 2009-08-20 변순남 샤워기 헤드
KR20110006505U (ko) * 2009-12-22 2011-06-29 영 근 송 지압기능을 갖춘 샤워헤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70B1 (ko) 2013-07-23 2015-11-24 김기철 샤워기
KR101826750B1 (ko) * 2016-04-05 2018-02-08 (주)이온폴리스 Led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진동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078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8573B2 (en) Showerhead
KR101270789B1 (ko)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KR101826750B1 (ko) Led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진동 샤워기
KR100905629B1 (ko) 진동 충격 분사장치
JP2012135606A (ja) シャワー吐水装置
JP3816332B2 (ja) シャワーヘッド
WO2007064120A1 (en) Bidet having water purifier
CN110732417A (zh) 一种偏心式颗粒水出水结构
KR101142800B1 (ko) 마사지 기능을 갖는 진동 샤워기
JP2011173081A (ja) 吐水装置
JPH0857357A (ja) 泡沫器付シャワーヘッド
CN110314773B (zh) 一种振动出水花洒
WO2000011997A1 (fr) Dispositif de regulation d'eau savonneuse et savon utilise dans le dispositif
JPH0857356A (ja) シャワーヘッド
JP6341463B2 (ja) 吐水装置
KR200422983Y1 (ko) 가습량 가변형 가습기 분무노즐
JP2006271850A (ja) マッサージ装置及びシャワー装置
CN115318459A (zh) 一种带有脉冲水功能的花洒
JP2002291638A (ja) 洗浄装置
JP2003038378A (ja) 吐水装置
JP2017213154A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090050824A (ko) 향 분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