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902B1 - 감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볼을 구비한 줄자 - Google Patents

감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볼을 구비한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902B1
KR101269902B1 KR1020130008762A KR20130008762A KR101269902B1 KR 101269902 B1 KR101269902 B1 KR 101269902B1 KR 1020130008762 A KR1020130008762 A KR 1020130008762A KR 20130008762 A KR20130008762 A KR 20130008762A KR 101269902 B1 KR101269902 B1 KR 101269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obbin
casing
outsid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헌
최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to KR102013000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2Measuring wh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빈의 측판과 마주보는 케이싱의 측벽에 볼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 수용부에 상기 보빈의 감속을 위하여 구 형태의 볼이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볼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상기 보빈의 측판과 접촉되면서 구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볼을 구비한 줄자{TAPE MEASURE WITH BALL FOR SPEED CONTROL}
본 발명은 줄자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구 형태의 볼이 외부의 압력(사용자)에 의하여 보빈의 측벽과 접촉함으로써, 케이싱으로부터 인출된 후 복귀되는 블레이드의 속도를 정지 또는 감속 조절할 수 있는 줄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줄자는 케이싱 내부에 보빈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보빈에는 블레이드(blade)(혹은 테이프(tape)라 불리기도 함)의 일단이 감기며, 블레이드의 타단은 케이싱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슬롯을 통과하여 케이싱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또한 케이싱 외부로 노출된 블레이드의 타단에는 엔드 훅이 마련된다. 따라서 케이싱 외부로 노출된 블레이드를 인출하여 여러가지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측정 작업이 완료된 후 블레이드가 다시 보빈에 감기도록 하기 위하여, 보빈에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탄성체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체는 통상적으로 코일 형태로 감긴 판스프링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블레이드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블레이드는 점차적으로 가속되면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인출된 블레이드의 길이가 매우 길 경우 그 가속된 속도는 매우 높아, 그 줄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나 주변 사람들 및 줄자 자체에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위험은 블레이드의 타단에 마련된 엔드 훅에 의하여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종래의 기술로서, 미국 특허 US 3,889,897 "COILABLE TAPE MEASURING DEVICE HAVING A SELF-REGULATING SPEED CONTROL MECHANISM"(1975년 6월 17일 등록), 미국 특허 US 8,215,027 "TAPE MEASURE WITH SELF-REGULATING SPEED CONTROL MECHANISM"(2012년 7월 10일 등록), 미국 특허공개 US 2010/0299948 "TAPE MEASURE"(2010년 12월 2일 공개)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비교적 복잡한 구조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블레이드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미국 특허 US 3,889,897 "COILABLE TAPE MEASURING DEVICE HAVING A SELF-REGULATING SPEED CONTROL MECHANISM"(1975년 6월 17일 등록) 미국 특허 US 8,215,027 "TAPE MEASURE WITH SELF-REGULATING SPEED CONTROL MECHANISM"(2012년 7월 10일 등록) 미국 특허공개 US 2010/0299948 "TAPE MEASURE"(2010년 12월 2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극히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감속 과정에서 블레이드와의 접촉이 불필요하며 아울러 복귀되는 블레이드의 속도를 감속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줄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레이드가 한 쌍의 측판 사이에 감긴 보빈이 케이싱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보빈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체가 마련되는 줄자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측판과 마주보는 상기 케이싱의 측벽에 볼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 수용부에 상기 보빈의 감속을 위하여 구 형태의 볼이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볼 수용부는, 상기 볼의 직선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 형태로 형성된 이동안내부와, 상기 이동안내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볼의 외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볼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상기 보빈의 측판과 접촉되면서 구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볼의 일부는 외부에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볼이 상기 보빈의 측판과 접촉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볼의 일부가 상기 케이싱의 측벽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볼 수용부는 상기 보빈에 감긴 블레이드의 수평방향 연장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극히 간단한 구조를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항상 줄자를 손에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단순히 볼에 가해지는 힘을 조정함으로써 블레이드의 속도를 감속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블레이드의 정지 또는 감속 조절이 매우 간단하고 직감적이면서 사용자의 의도에 완벽하게 맞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줄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념 단면도,
도 4는 볼과 보빈의 측판과 케이싱의 측벽과의 관계를 보이는 개념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볼을 손으로 눌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줄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4는 볼과 보빈의 측판과 케이싱의 측벽과의 관계를 보이는 개념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볼을 손으로 눌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크게 슬롯(111)이 형성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에 회전가능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빈(120)과, 일단부가 보빈(120)에 감겨 슬롯(111)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블레이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빈(120)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판(121)이 마련되며, 한 쌍의 측판(121) 사이에 블레이드(130)의 일단부가 감긴다.
아울러 케이싱(110)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2)을 포함하며, 한 쌍의 측벽(112) 사이에 보빈(12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케이싱(110)의 측벽(112)은, 보빈(120)의 측판(121)과 마주보게 된다.
아울러 보빈(120)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14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종래의 줄자의 일반적인 구조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케이싱(110)의 측벽(112)에 볼 수용부(113)가 형성되며, 볼 수용부(113)에 구 형태의 볼(150)이 마련된다.
볼(150)은 보빈(120)의 감속을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볼 수용부(113) 내에서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다.
한편 볼(150)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보빈(120)의 측판(121)과 접촉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통상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은 손가락 혹은 손바닥으로 가하는 힘을 말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용부(113)는 이동안내부(113a)와 이탈방지부(113b)로 형성된다.
이동안내부(113a)는 볼(150)의 직선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통 형태의 이동안내부(113a)는 케이싱(110)의 측벽(112)의 연장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볼(150)은 이동안내부(113a)를 따라 직선상 이동이 가능하다.
이탈방지부(113b)는 이동안내부(113a)의 외측에 형성되어 볼(150)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및 도 5에서 이탈방지부(113b)는 이동안내부(113a)와 비교하여 그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이며, 구체적으로는 일종의 반구형 상태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부(113b)에 의하여 볼(150)은 언제나 케이싱(11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이탈방지부(113b)로서 본 실시예와 같은 형태가 아니라 다른 부재가 조립되어 볼(150)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케이싱(110)에 볼 수용부(113)를 형성하도록 하고, 볼 수용부(113)에 볼(150)이 마려되도록 하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블레이드(130)가 길게 인출된 후 복귀할 때 블레이드(130)의 속도가 점차 빨라지게 되면, 사용자는 손가락 혹은 손바닥을 이용하여 볼(150)을 누르면 블레이드(130)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손가락으로 볼(150)을 누르면(외부에서 힘을 가하는 상태), 볼(150)은 볼 수용부(113)의 이동안내부(113a)를 따라 보빈(120)의 측판(121)과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며, 볼(150)이 보빈(120)의 측판(121)과 접촉한 후에는 볼(150)이 보빈(1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은 볼(150)의 회전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므로 보빈(120)의 회전이 방해받게 되며, 결과적으로 블레이드(130)의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볼(150)에 힘을 가하는 구조이므로, 도 4의 상태에서 가급적 볼(150)의 일부가 케이싱(110)의 측벽(112)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볼(150)에 외력을 가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즉 적어도 볼(150)이 보빈(120)의 측판(121)과 접촉하지 않을 때에 볼(150)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볼 수용부(113)는 보빈(120)에 감긴 블레이드(130)의 수평방향 연장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볼(150)이 보빈(120)의 회전중심과 가급적 이격된 상태에서 측판(121)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볼(150)은 케이싱(110)의 좌우 측벽(112)에 3개씩 마련되어 총 6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오직 하나만이 마련될 수도 있다.
볼(150)은 가급적 경질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플라스틱 등의 다른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재질과 관련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볼(150)의 크기 또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볼(150)의 직경(D)과, 케이싱(110)의 측벽(112)의 두께(C), 케이싱(110)의 측벽(112)과 보빈(120)의 측판(121)과의 간격(F), 볼(150)의 외측방향으로의 최대 돌출 높이(P)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의 연구는 아래와 같은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숫자 단위 : mm)
볼의 직경
(D)
두께
(C)
간격
(F)
돌출 높이
(P)
4.0 ~ 8.0 2.0 ~ 4.0 0.1 ~ 1.0 1.0 ~ 3.0
8.0 ~ 12.0 4.0 ~ 6.0 1.0 ~ 2.0 1.0 ~ 4.0
한편 볼(150)과 보빈(120)의 측판(121)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보빈(120)의 측판(121)에 고무 등과 같은 쿠션을 가진 마찰강화부재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극히 간단한 구조를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항상 줄자를 손에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단순히 볼에 가해지는 힘을 조정함으로써 블레이드의 속도를 감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블레이드의 감속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케이싱 111 : 슬롯
112 : 측벽
113 : 볼 수용부 113a : 이동안내부
113b : 이탈방지부
120 : 보빈 121 : 측판
130 : 블레이드 140 : 탄성체
150 : 볼

Claims (4)

  1. 블레이드가 한 쌍의 측판 사이에 감긴 보빈이 케이싱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보빈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체가 마련되는 줄자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측판과 마주보는 상기 케이싱의 측벽에 볼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 수용부에 상기 보빈의 감속을 위하여 구 형태의 볼이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볼 수용부는, 상기 볼의 직선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 형태로 형성된 이동안내부와, 상기 이동안내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볼의 외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볼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상기 보빈의 측판과 접촉되면서 구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볼의 일부는 외부에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볼이 상기 보빈의 측판과 접촉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볼의 일부가 상기 케이싱의 측벽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수용부는 상기 보빈에 감긴 블레이드의 수평방향 연장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KR1020130008762A 2013-01-25 2013-01-25 감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볼을 구비한 줄자 KR101269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762A KR101269902B1 (ko) 2013-01-25 2013-01-25 감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볼을 구비한 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762A KR101269902B1 (ko) 2013-01-25 2013-01-25 감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볼을 구비한 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902B1 true KR101269902B1 (ko) 2013-05-31

Family

ID=4866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762A KR101269902B1 (ko) 2013-01-25 2013-01-25 감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볼을 구비한 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90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2023B2 (ja) 回転/押しボタン制御装置
JP5369341B2 (ja) 自動速度調節巻尺
US6276071B1 (en) Tape measure with tape braking control mechanism
JP2015512309A (ja) ガラス拭き装置
JP2008503688A5 (ko)
JP5504318B2 (ja) 手で握るためのグリップおよびそのようなグリップを有するリード装置
JP6715462B2 (ja) 移動ロボット
KR101765680B1 (ko) 이어폰용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
US9298206B2 (en) Operator control element with magnetic return
WO2021113493A3 (en) Exit device trim locking
KR960008298Y1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 제어징치
JP2015192853A (ja) 放射線発生用装置
JP2018531629A (ja) 制限されたダイを有する半径方向圧縮装置
JP2018050725A5 (ko)
KR101269902B1 (ko) 감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볼을 구비한 줄자
US6463670B1 (en) Tape measure
JP6760647B2 (ja) 固定装置
JP6055314B2 (ja) 給紙装置
JP2017222968A5 (ko)
KR100911212B1 (ko) 줄자
CN106792319B (zh) 一种绕线装置和耳机
TW201623079A (zh) 手動傳遞單元
CN208524919U (zh) 一种腔镜机器手带防退把手锁紧装置
JP6618791B2 (ja) ベルトラッパー
JP3202634U (ja) フィルム貼付装置の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