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338B1 - 안전 타이어 - Google Patents

안전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338B1
KR101269338B1 KR1020130014687A KR20130014687A KR101269338B1 KR 101269338 B1 KR101269338 B1 KR 101269338B1 KR 1020130014687 A KR1020130014687 A KR 1020130014687A KR 20130014687 A KR20130014687 A KR 20130014687A KR 101269338 B1 KR101269338 B1 KR 101269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hambers
wheel
suppor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호
Original Assignee
안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호 filed Critical 안창호
Priority to KR102013001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2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having multiple separate inflatable chambers
    • B60C5/2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having multiple separate inflatable chambers the chambers being ann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1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2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inflated or expanded in emergency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9/00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9/02Connection to r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 공간의 좌우로 각각 형성되고, 어느 하나가 펑크시 다른 하나가 독립적으로 공기압을 유지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챔버;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 사이에 휠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3 챔버; 및 상기 제 3 챔버가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로부터 격리되도록 상기 제 3 챔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각각의 끝단이 상기 휠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부착지지부의 양측에 도달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가 팽창시 상기 부착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휠에 장착시 상기 각각의 끝단이 상기 부착지지부의 양측에 접착제로 각각 부착되는 지지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는 상기 휠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주입통로를 통해서 공기를 각각 주입받고, 상기 제 3 챔버는 상기 휠에 마련되는 제 3 주입통로를 통해서 공기를 주입받아 팽창함으로써 상기 지지격벽 각각의 끝단이 상기 부착지지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안전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챔버가 펑크난 다른 챔버를 대신하여 안정적으로 공기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타이어 펑크시 안전 주행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며, 타이어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타이어{Safety tire}
본 발명은 안전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펑크시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차량의 안전한 주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타이어가 못 등과 같은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펑크가 발생하는 경우, 대형 차량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펑크에 대해 안전한 타이어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종래의 안전 타이어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7339호의 "펑크 대비용 타이어"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타이어의 외측 둘레면을 이루며, 노면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두꺼운 고무층으로 되어 있는 트레드와, 상기 트레드의 양측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는 부위인 쇼울더와, 타이어를 림에 장착시키는 비드부와, 상기 쇼울더와 비드부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굴신 운동을 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사이드 월로 이루어진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림의 둘레면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이 형성됨으로써, 타이어의 내부가 다수 개의 챔버를 이루므로 어느 일 측의 챔버에 펑크가 발생되어도 다른 측 챔버 내부의 공기압이 유지되어 운행 중인 차량의 전복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 타이어는 어느 하나의 챔버가 단독으로 공기압을 유지하는 경우 격벽만으로는 안정적인 공기압의 유지가 어렵고, 특히 차속이 높거나 승차인원이 많은 경우 또는 적재중량이 큰 경우, 공기압의 유지가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전 타이어는 타이어와 휠간의 복잡한 결합구조로 인하여 타이어의 탈착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챔버가 펑크난 다른 챔버를 대신하여 안정적으로 공기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타이어 펑크시 안전 주행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며, 타이어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타이어에 있어서, 내측 공간의 좌우로 각각 형성되고, 어느 하나가 펑크시 다른 하나가 독립적으로 공기압을 유지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챔버;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 사이에 휠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3 챔버; 및 상기 제 3 챔버가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로부터 격리되도록 상기 제 3 챔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각각의 끝단이 상기 휠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부착지지부의 양측에 도달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가 팽창시 상기 부착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휠에 장착시 상기 각각의 끝단이 상기 부착지지부의 양측에 접착제로 각각 부착되는 지지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는 상기 휠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주입통로를 통해서 공기를 각각 주입받고, 상기 제 3 챔버는 상기 휠에 마련되는 제 3 주입통로를 통해서 공기를 주입받아 팽창함으로써 상기 지지격벽 각각의 끝단이 상기 부착지지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안전 타이어가 제공된다.
상기 제 3 챔버는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에 비하여, 외주면의 트레드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챔버는 상기 제 1 또는 상기 제 2 챔버의 체적에 대하여 5~20%의 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격벽은 서로의 간격이 상기 부착지지부 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타이어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챔버가 펑크난 다른 챔버를 대신하여 안정적으로 공기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타이어 펑크시 안전 주행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며, 타이어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타이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타이어의 펑크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타이어를 휠로부터 분리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타이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타이어(10)는 제 1 및 제 2 챔버(11,12), 제 3 챔버(13) 및 지지격벽(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챔버(11,12)는 내측 공간의 좌우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휠(20)의 둘레를 따라 각각 형성되어 좌우로 배열되고, 어느 하나가 펑크시 다른 하나가 독립적으로 공기압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챔버(11,12)는 안전 타이어(10)의 내측 공간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됨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안전 타이어(10)의 내측 공간에서 우측과 좌측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챔버(11,12)는 휠(20)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주입통로(22,23)를 통해서 공기를 각각 주입받게 된다.
제 3 챔버(13)는 제 1 및 제 2 챔버(11,12) 사이에 휠(20)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챔버(11,1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공기압을 유지시 제 1 및 제 2 챔버(11,12) 간에 완충 지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휠(20)에 마련되는 제 3 주입통로(24)를 통해서 공기를 주입받게 된다.
제 3 챔버(13)는 제 1 및 제 2 챔버(11,12)에 비하여, 외주면의 트레드(15)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트레드(15)의 표면과 제 3 챔버(13)간의 이격거리(d1)가 트레드(15)의 표면과 제 1 또는 제 2 챔버(11,12)간의 이격거리(d2)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챔버(11,12)의 공간 확보를 유리하도록 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챔버(11,12)의 공기압 유지 및 확보에 유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트레드(15)의 내구성 증대에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제 3 챔버(13)는 제 1 또는 제 2 챔버(11,12)의 체적에 대하여 5~20%의 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3 챔버(13)는 이와 같은 범위의 체적을 가짐으로써 제 1 및 제 2 챔버(11,12)가 공기압 유지에 필요한 체적을 확보하도록 하면서도 후술하게 될 지지격벽(14) 끝단(14a)이 휠(20)의 부착지지부(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팽창압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지지격벽(14)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제 3 챔버(13)가 제 1 및 제 2 챔버(11,12)로부터 격리되도록 제 3 챔버(13)의 양측에, 즉 제 3 챔버(13)의 좌우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안전 타이어(10)의 내측 공간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끝단(14a)이 휠(2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부착지지부(21)의 양측에 도달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챔버(11,12)가 팽창시 각각의 끝단(14a)이 부착지지부(21)의 양측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고, 안전 타이어(10)가 휠(20)에 장착시 각각의 끝단(14a)이 부착지지부(21)의 양측에 접착제로 각각 부착되도록 한다.
지지격벽(14)은 제 3 챔버(13)가 제 3 주입통로(24)를 통해서 공기를 주입받아 팽창시, 각각의 끝단(14a)이 부착지지부(2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분리되도록 한다.
지지격벽(14)은 서로의 간격이 휠(20)의 부착지지부(21) 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V"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전 타이어(10)가 휠(20)의 외주면에 장착시, 지지격벽(14) 사이에 부착지지부(21)가 위치하기 위해 지지격벽(14) 중 어느 하나는 부착지지부(21)를 타고 넘어야 하는데, 이러한 지지격벽(14)의 형상으로 인해 어느 하나의 지지격벽(14)이 부착지지부(21)를 쉽게 타고 넘어 지지격벽(14)의 반대측 측면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지지격벽(14)은 직경방향, 즉 안전 타이어(10)나 휠(20)의 직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타이어(10)가 휠(20)의 외주면에 장착시, 어느 하나의 지지격벽(14)이 부착지지부(21)를 쉽게 타고 넘어가도록 하면서도 제 1 및 제 2 챔버(11,12)의 공기압에 의한 지지격벽(14)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타이어(10)는 노면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외측 둘레면에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지는 트레드(15)가 마련되고, 트레드(15)의 양측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주행 중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도록 쇼울더(18)가 형성되며, 코드지의 끝부분을 감아줌과 아울러 휠(20)에 장착되도록 하는 비드부(16)가 양측으로 개방된 부위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고, 쇼울더(18)와 비드부(16) 사이에 굴신 운동을 하도록 사이드월(1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트레드(15)는 안전 타이어(10) 내부의 카카스 및 벨트층을 보호하기 위해 절상, 충격 등에 강하고, 주행 및 사용 수명을 늘이기 위해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휠(20)은 상기한 부착지지부(21)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지지격벽(14) 각각의 끝단(14a)이 접착제로 부착되기 위한 면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데,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처럼 사각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사다리꼴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휠(20)은 외주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안전 타이어(10)의 비드부(16)가 내측에서 걸리도록 지지부(28)가 띠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데, 지지부(28)에는 안전 타이어(10)의 비드부(16)가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휠(20)은 제 1 내지 제 3 주입통로(22,23,24) 각각에 공기 주입 장치의 주입팁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노즐(25,26,27)이 각각 설치되되,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처럼 차량에 장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측에 삼각형태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노즐(25,26,27)은 공기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타이어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타이어(10)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챔버가 펑크난 다른 챔버를 대신하여 안정적으로 공기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타이어 펑크시 안전 주행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다.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제 2 챔버(12)가 펑크(P)시 나머지 제 1 챔버(11)가 공기압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챔버가 단독으로 공기압을 유지시, 이러한 챔버 측의 지지격벽(14)이 휠(20)의 부착지지부(21)에 밀착 지지됨과 아울러 다른 지지격벽(14)이 부착지지부(21)에 고정되됨으로써 이중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로 인해 차속이 높거나 승차인원이 많은 경우 또는 적재중량이 큰 경우라도 챔버 단독의 공기압 유지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타이어(10)를 휠(20)에 장착하기 위해서, 먼저, 안전 타이어(10)에서 휠(20)의 지지부(28)와 부착지지부(21)에 부착되기 위한 비드부(16) 각각과 지지격벽(14) 각각의 끝단(14a)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안전 타이어(10)를 휠(20)의 외주면에 장착하여 비드부(16) 각각과 지지격벽(14) 각각의 끝단(14a)이 지지부(28)와 부착지지부(21)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도록 한다.
접착제가 경화되기 위한 시간 경과후, 제 1 및 제 2 주입통로(22,23)를 통해서 제 1 및 제 2 챔버(11,12)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안전 타이어(10)를 휠(20)에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다. 한편, 제 3 챔버(13)에는 공기 주입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20)에 장착된 안전 타이어(10)를 분리시, 먼저 제 3 주입통로(24; 도 1에 도시)를 통해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제 3 챔버(13)를 팽창시켜서, 제 3 챔버(13)의 팽창압에 의해 지지격벽(14)의 끝단(14a)이 부착지지부(2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주입통로(22,23; 도 1에 도시)를 통해서 제 1 및 제 2 챔버(11,1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비드부(16)를 휠(20)의 지지부(28)로부터 분리시키면서 안전 타이어(10)를 휠(2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안전 타이어(10)를 휠(2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안전 타이어(10)를 휠(20)로부터 분리시 도 4 및 도 5의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 : 제 1 챔버 12 : 제 2 챔버
13 : 제 3 챔버 14 : 지지격벽
14a : 끝단 15 : 트레드
16 : 비드부 17 : 사이드월
18 : 쇼울더 20 : 휠
21 : 부착지지부 22 : 제 1 주입통로
23 : 제 2 주입통로 24 : 제 3 주입통로
25 : 제 1 노즐 26 : 제 2 노즐
27 : 제 3 노즐 28 : 지지부

Claims (4)

  1. 타이어에 있어서,
    내측 공간의 좌우로 각각 형성되고, 어느 하나가 펑크시 다른 하나가 독립적으로 공기압을 유지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챔버;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 사이에 휠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3 챔버;
    상기 제 3 챔버가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로부터 격리되도록 상기 제 3 챔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각각의 끝단이 상기 휠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부착지지부의 양측에 도달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가 팽창시 상기 부착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휠에 장착시 상기 각각의 끝단이 상기 부착지지부의 양측에 접착제로 각각 부착되는 지지격벽; 및
    상기 부착지지부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격벽 각각의 끝단이 접착제로 부착되기 위한 면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챔버 각각에 공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주입하는 제 1 내지 제 3 주입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주입통로 각각에 제 1 내지 제 3 노즐이 각각 설치되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는 상기 휠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주입통로를 통해서 공기를 각각 주입받고, 상기 제 3 챔버는 상기 휠에 마련되는 제 3 주입통로를 통해서 공기를 주입받아 팽창함으로써 상기 지지격벽 각각의 끝단이 상기 부착지지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안전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챔버는,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에 비하여, 외주면의 트레드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길도록 형성되는, 안전 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챔버는,
    상기 제 1 또는 상기 제 2 챔버의 체적에 대하여 5~20%의 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안전 타이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격벽은,
    서로의 간격이 상기 부착지지부 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안전 타이어.
KR1020130014687A 2013-02-08 2013-02-08 안전 타이어 KR101269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87A KR101269338B1 (ko) 2013-02-08 2013-02-08 안전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87A KR101269338B1 (ko) 2013-02-08 2013-02-08 안전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338B1 true KR101269338B1 (ko) 2013-05-29

Family

ID=4866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687A KR101269338B1 (ko) 2013-02-08 2013-02-08 안전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1670A (zh) * 2019-04-16 2019-08-06 东莞市珅辉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轮胎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1670A (zh) * 2019-04-16 2019-08-06 东莞市珅辉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轮胎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88406A (zh) 半充气轮胎及半充气轮胎的制造方法
ATE503640T1 (de) Fahrzeugluftreifen
WO2012048511A1 (zh) 多腔防爆轮胎及轮毂
KR101834926B1 (ko) 공기입 타이어의 사이드월 인서트
KR101269338B1 (ko) 안전 타이어
KR100908554B1 (ko) 내·외부 타이어를 갖는 차륜
CN207902040U (zh) 一种在爆胎后保持车身稳定的装置
KR100922287B1 (ko) 런플랫 기능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KR102080393B1 (ko) 공기입타이어
CN216184253U (zh) 车辆及其嵌入气囊式爆胎续行车轮
CN102745021B (zh) 防爆胎充气轮胎
KR101701384B1 (ko) 탈착식 에어 챔버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1277413B1 (ko) 안전 타이어 및 이에 사용되는 차량용 휠
CN208306268U (zh) 多气室防爆轮胎
WO2006060966A1 (fr) Pneu de securite anti-explosion a chambres multiples et dispositif de gonflage special
CN100464998C (zh) 能够提高亏气行驶性能的轿车用子午线充气轮胎
KR101667408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타이어
KR101840012B1 (ko) 자동차 바퀴
CN104149556A (zh) 一种防扎防爆复合轮胎
CN2883046Y (zh) 形成两腔或多腔的轮胎
JP5087289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及びランフラット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CN103381738A (zh) 防震缓冲防爆轮胎
CN104175814A (zh) 一种防扎防爆半实心轮胎
JP6381015B2 (ja) タイヤの構造
KR102463569B1 (ko) 방열을 위한 함몰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