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183B1 -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183B1
KR101269183B1 KR1020120102064A KR20120102064A KR101269183B1 KR 101269183 B1 KR101269183 B1 KR 101269183B1 KR 1020120102064 A KR1020120102064 A KR 1020120102064A KR 20120102064 A KR20120102064 A KR 20120102064A KR 101269183 B1 KR101269183 B1 KR 101269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vehicle
touch screen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락범
강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120102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터치 입력과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차량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방향의 광각 영상을 참조 화면으로 표현함으로써 차량 주변의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차량 주차 시, 안전한 주차에 기여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Bird view image control method for navigator}
본 발명은 네비게이터의 영상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비게이터에서 구현되는 버드 뷰 영상에 대한 참조 영상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주차하거나 또는 복잡한 도로나 골목길을 주행 시, 차량 운전자는 백미러나 사이드 미러를 이용하여 주변 상황을 파악하는데 많은 애로점을 갖는다.
차량이 복잡한 도로나 골목길을 주행하거나, 이들 도로나 골목길에서 시야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은 타 차량이나 사람과 접촉을 발생시키거나 건물 및 기타 구조물과 추돌할 우려가 상존한다. 또한, 어두운 환경에서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가 극히 제한되므로 차량의 안전운전과 주차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일본의 차량 메이커인 닛산(nissan)은 PCT 출원 WO 2009 151053을 통해 차량에 복수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하나로 연결하여 부감영상을 생성하고, 부감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를 돕는 주차 지원 장치 및 주차 지원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부감 영상은 버드 아이 뷰(birds eye view) 또는 버드 뷰(birds view) 영상이라고도 지칭되며, 마치 새(bird)가 차량의 위에서 차량과 도로 주변을 조감하는 듯한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 운전자가 차량을 안전하게 주차하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WO 2009 151053은 부감 영상에 차량이 주차하는데 필요한 차량 이동 궤적을 표시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주차에 미숙하다 하더라도 차량을 온전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한편, WO2009 151053에서 제안되는 부감 영상을 차량 주차에 이용하는 경우, 차량과 매우 근거리에 대해서만 부감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운전자가 이러한 부감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을 주차할 때, 운전자는 부감 영상을 제공하는 네비게이터를 보고 차량을 주차하게 되므로, 백미러나 사이드미러를 바라보기 어려운 상태가 되며, 주로 부감 영상을 제공하는 네비게이터에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또는 기상상황이나 야간 운전일 때, 차량 운전자는 주변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을 주차하는 순간에 운전자는 주변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부감 영상을 이용하여 좁은 골목길을 서행하거나, 어두운 환경에서 차량을 운전해야 하거나, 또는 차량과 인파가 뒤섞여 있는 교통 상황에서, 단순히 차량에 대한 부감 영상을 화면에 표현하는 종래의 네비게이터로는 차량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주변 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운전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차량 운전자가 필요로하는 방향의 영상을 참조 화면으로 표현함으로써 차량 주변의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차량 주차 시, 안전한 주차에 기여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에 대한 이미지 및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차량에 대한 이미지 및 아이콘 중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버드 뷰 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메인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구획하여 상기 차량의 전, 후, 좌, 우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방향 영역의 영상을 상기 메인 영상의 표시 영역 중, 일 영역에서 참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드래그 입력이 발생 시, 상기 제1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위치를 향하는 벡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위치에 대응하는 방향 영역의 참조 영상을 상기 벡터가 지시하는 방향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 대한 이미지 및 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입력이 발생할 때, 상기 참조 영상은 클로우즈(close)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상기 메인 영상이 재생되고, 상기 제1위치가 사용자 선택될 때, 상기 버드 뷰 영상에 대한 참조 영상이 선택되고,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표시할 영역이 결정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운전자가 버드 뷰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골목길 주행, 야간 주행 및 악천후 주행을 하는 도중에도 차량을 중심으로 전후좌우 방향에 대한 광각 영상을 버드 뷰 영상에 함께 표현함으로써 주변 교통 정보를 획득하여 안전운전을 기함은 물론, 원하는 위치에 메인 영상과 참조 영상을 간단히 배열되어 디스플레이 되토록 함으로써 버드 뷰 영상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비게이터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과 도 4는 방향 영역 설정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버드 뷰 영상과 참조 영상이 터치스크린에 표현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을 구현하는 네비게이터의 외적 형태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메인 영상과 참조 영상에 대한 드래그 입력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버드 뷰(bird view) 영상은 차량 주변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을 하나로 연결하고, 연결된 영상에 대해 이미지 프로세싱을 하여 차량의 상측 방향에서 차량을 조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영상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버드 뷰 영상에 대해 추가적인 이해가 필요한 경우, PCT 출원 WO 2009 151053을 참조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광각 카메라는 화각(angle of view)이 80도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버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카메라는 광각 카메라이며, 화각은 120도 내지 190도일 수 있으며, 이보다 화각이 더 클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메인 영상은 버드 뷰 영상, 즉 메인 영상은 차량의 상측에서 차량을 조감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참조 영상은 버드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개별 카메라에서 촬상되는 광각 영상을 지칭할 수 있다. 버드 뷰 영상은 4개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에서 촬상된 광각 영상을 연결하여 파노라마 형식의 영상을 형성 후,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차량의 상측에서 바라보는 관점으로 형성되는 영상이며, 참조 영상은 각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비게이터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네비게이터는 카메라(51 52, 53, 54)와 연결되는 버드 뷰 영상 생성부(205), 제어부(210), 터치스크린(250) 및 GPS 수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51, 52, 53 및 54)는 각각 차량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배치되는 카메라(53, 54)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매립될 수 있으며, 전면 카메라(51)와 후면 카메라(52)는 각각 차량의 에어 흡입구 부근에 배치되거나 배기구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각 카메라(51 내지 54)는 화각이 120도 내지 190도에 이르는 광각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카메라(51 내지 54)는 차량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각 카메라(51 내지 54)가 촬상하는 촬상 범위는 차량의 주변, 즉 차량을 중심으로 360도 전체에 해당한다. 이때, 전면 카메라(51)와 좌측면 카메라(53) 및 우측면 카메라(54)의 촬상 범위는 일정부분 중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면 카메라(51)와 좌측면 카메라(53)의 촬상 영역은 상호 중첩 영역을 가지고, 전면 카메라(51)와 우측면 카메라(54)의 촬상 영역 또한 상호 중첩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후면 카메라(52) 또한 좌측면 카메라(53)와 우측면 카메라(54)와 중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중첩 영역은 각 카메라(51 내지 54)가 차량을 중심으로 360도 방향의 버드 뷰 영상을 생성할 때, 각 카메라(51 내지 54)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하나로 연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만일 중첩 영역이 없다면, 각 카메라(51 내지 54)에서 촬상된 영상신호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은 버드 뷰 영상에서 표현할 수 없다.
각 카메라(51 내지 5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버드 뷰 영상 생성부(205)와 연결되며, 버드 뷰 영상 생성부(205)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태의 영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버드 뷰 영상 생성부(205)는 각 카메라(51 내지 54)의 영상신호를 프레임별로 연결하여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중심으로 360도를 커버하는 버드 뷰 영상을 형성한다. 버드 뷰 영상은 각 카메라(51 내지 54)에서 촬상된 영상을 연결 후, 영상의 각 영역을 격자 형태의 좌표계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좌표계의 시점을 차량의 상측으로 설정하고, 연결된 이미지를 이에 맞게 변환하여 얻어질 수 있다.
버드 뷰 영상 생성부(205)는 하나의 싱글 칩(chip)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개별 칩의 집합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버드 뷰 영상 생성부(205)는 카메라(51 내지 54)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에 대해서는 샘플링(sampling)을 수행하여 영상 신호를 압축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250)은 차량의 목적지 정보, 목적지에 대한 전화번호, 지도상의 좌표정보 입력 및 경유지 정보를 입력하는데 이용되거나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50)은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251) 및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52)가 레이어(layer)를 이룰 때 터치스크린(250)이라 하며, 터치스크린(250)은 입력장치면서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장치로도 이용되는 특징을 갖는다.
제어부(210)는 전자 맵을 구비하며, 터치스크린(250)을 통해 전자 지도상의 좌표가 터치되거나, 전화번호, 주소 정보와 같은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터치스크린(250)에 디스플레이하며, 필요할 경우 음성으로 재생할 수도 있다. 경로 탐색을 위해 제어부(210)는 GPS 수신부(220)로부터 실시간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목적지 위치 및 차량과 목적지 사이의 거리와 경로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버드 뷰 영상 생성부(205)에서 생성된 버드 뷰 영상을 터치스크린(25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터치스크린(250)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터치 입력이 가해진 영역을 판단하고, 터치 입력이 가해진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51 내지 54 중 하나)의 영상을 참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버드 뷰 영상은 운전자가 버드 뷰 영상을 필요로 할 때, 예컨대 차량을 주차하거나, 차량이 좁은 도로나 골목길을 지나갈 때나, 야간 운전으로 차량 주변에 대한 시야 확보가 곤란한 경우 이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250)에는 버드 뷰 영상 호출을 위한 메뉴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이를 선택할 때 버드 뷰 영상은 터치스크린(25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버드 뷰 영상은 터치스크린(250)에서 영상을 표현 가능한 전 영역에 걸쳐 표현되거나 또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에서 일부를 카메라(51 내지 54)에서 촬상된 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당 후 남은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250)에는 차량을 상측에서 조망하는 관점의 버드 뷰 영상이 메인 영상으로서 터치스크린(250)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카메라(51 내지 54)에서 촬상된 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250)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두 영역으로 구획되어 하나는 버드 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영역은 카메라(51 내지 54)의 영상을 표현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250)의 터치 영역은 4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구획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250)의 터치 영역은 차량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은 터치스크린(250)이 직사각형일 때, 양쪽 대각선을 긋고, 양쪽 대각선이 교차되는 중심에 차량이 위치한다고 가정하여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 우측으로 구획할 수 있다. 운전자가 터치스크린(250)의 양쪽 대각선이 교차되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을 터치하면 제어부(210)는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카메라(53)에서 촬상되는 광각 영상을 터치스크린(250)의 일 영역에 참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250)은 버드 뷰 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210)는 프로세서(211), 플래시 메모리(212), 램(213), 입력부(215), 통신 인터페이스(216), 이미지 처리부(217) 및 음성 처리부(2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212)는 차량의 길안내를 위한 전자 맵, 제어부(210)에서 길 안내를 위해 구동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를 저장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212)는 운영체제나 제어 프로그램의 수납을 위해 네비게이터 내부에 마련되는 내장형과, 업데이트를 위해 네비게이터에서 장착 및 탈착 가능한 형태의 외장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플래시 메모리(212)는 별도로 구분하여 설명해야할 필요가 없는 경우, 내장형과 외장형 모두를 함께 지칭할 수 있다.
램(213)은 프로세서(211)가 운영체제 및 제어프로그램을 구동하는데 필요로 하는 임시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램(213)은 이미지 처리부(217)에서 영상 처리를 수행할 때 및 음성 처리부(218)에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때, 이미지 처리부(217)와 음성 처리부(218)에 신호 처리를 위한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6)는 제어부(210)를 GPS 수신부(220), 터치스크린(250), 버드 뷰 영상 생성부(205)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어부(210) 내부의 버스 구조에 맞추어 GPS 수신부(220)나 터치스크린(250)에서 제어부(210)로 제공되는 데이터의 형태를 변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1의 구성요소와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운전자의 메뉴 조작에 의해 네비게이터에서 버드 뷰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면, 제어부(210)는 버드 뷰 영상 생성부(205)로 버드 뷰 영상을 요청하고, 버드 뷰 영상 생성부(205)는 차량에 설치되는 각 카메라(51 내지 54)에서 촬상되는 광각 영상을 연결하여 파노라마 형태의 이미지를 구성하며,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차량의 상측에서 조감하는 형태의 버드 뷰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어부(2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버드 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터치스크린(250)의 터치 영역을 넷 또는 다섯으로 구획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50)에 디스플레이되는 버드 뷰 영상은 터치스크린(25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부에 차량에 대한 이미지나 아이콘을 표시하고, 차량의 주변에 대한 버드 뷰 영상을 표시하게 되는데, 이때, 차량의 이미지나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을 중심 영역으로 하고, 차량의 전진 방향은 전방, 그 반대 방향은 후방으로 설정하고, 이어서, 차량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방향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이미지나 아이콘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 후, 좌, 우에 대한 4개의 방향 영역을 설정하거나, 차량의 이미지나 아이콘이 위치하는 중심 영역을 부가하여 5개의 방향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301).
여기서 방향 영역은, 터치스크린(250)에서 터치 가능한 영역을 터치 스크린의 중심영역을 기준으로 전, 후, 좌 및 우로 구획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의 중심영역은 터치스크린의 화면 대각선들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 영역에는 차량이 위치한다고 가정될 수 있으며, 차량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10)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운전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S302). 판단 결과, 버드 뷰 영상이 터치스크린(25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가 4개(또는 5개)로 설정된 방향 영역 중 어느 영역인가를 판단한다(S303). 판단 결과, 운전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방향 영역에 대응하는 참조 영상을 할당하고 방향 영역 또는 방향 영역의 일부를 참조 영상에 할당하여 터치스크린(25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305).
예컨대, 터치스크린(250)에서 버드 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250)을 전, 후, 좌, 우 및 센터, 5개의 방향 영역으로 구획했다고 가정하면, 운전자가 좌측 방향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스크린(250)에 디스플레이되는 버드 뷰 영상의 재생 영역 중 일부를 좌측 카메라(52)에서 촬상되는 광각 영상에 할당하여 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250)에는 버드 뷰 영상과 광각 영상이 함께 재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25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반분하고, 반분된 디스플레이영역 중 하나는 버드 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다른 하나에는 광각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참조 영상은 차량의 전, 후, 좌, 우 어느 방향의 영상이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운전자가 방향 영역 중 우측 방향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250)에는 우측 방향의 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방향 영역 중 후방을 터치하면 차량의 후방에 대한 광각 영상이 터치스크린(25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10)는 중심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가를 판단한다(S306). 판단 결과, 차량의 이미지나 아이콘이 위치하는 중심 영역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버드 뷰 영상(메인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참조 영상을 클로우즈하고(S307), 터치스크린(250)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버드 뷰 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방향 영역 설정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250)의 터치 영역은 9개의 영역(S1 내지 S9)으로 분할되며, 터치스크린(250)이 직사각형이라고 가정할 때,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L1, L2)이 교차하는 교차점에는 S5 영역이 할당되고, S5 영역에는 차량 이미지(5)가 표시되고 있다.
터치 영역 중 S1 영역, S2 영역 및 S3 영역은 차량의 전방에 대한 방향 영역에 대응하고,
터치 영역 중 S1 영역, S4 영역 및 S7 영역은 차량에 대한 좌측 방향 영역에 대응하고,
터치 영역 중 S7 영역, S8 영역 및 S9 영역은 차량에 대한 후방 방향 영역에 대응하고,
터치 영역 중 S3 영역, S6 영역 및 S9 영역은 차량에 대한 우측 방향 영역에 대응한다.
여기서, S1 영역, S3 영역, S7 영역 및 S9 영역은 이웃하는 방향 영역과 겹치게 되나, 대각선 (L2)에 의해 S1 영역은 전방과 좌측의 방향 영역이 분할되고, S3 영역은 대각선(L1)에 의해 전방과 우측에 대한 방향 영역이 분할되고, S7 영역은 대각선(L1)에 의해 좌측과 후방의 방향 영역이 분할되며, S9 영역은 대각선 L2에 의해 우측과 후방에 대한 방향 영역이 분할될 수 있다. 통상, 운전자가 차량 이미지(5)를 기준으로 전방을 터치할 때, 정확히 S2 영역만을 터치하지는 않으며, S1 영역과 S3 영역의 일부를 전방으로 인식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방향 영역은 두 대각선(L1, L2)을 이용하여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영역을 A, B, C, D와 같이 4개로 구획한 것으로, 도 3의 중심 영역은 생략되고, 도면의 우측 하단에는 참조 영상을 종료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참조 영상의 오픈 또는 클로우즈를 처리하도록 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에서 두 대각선(L1, L2)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차량에 대한 이미지나 아이콘이 배치될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생략되었다.
도 5 내지 도 8은 버드 뷰 영상과 참조 영상이 터치스크린에 표현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출원인이 사업화를 위해 준비한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준비한 영상자료에 해당한다.
도 5내지 도 8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터치스크린(250)에서 메인 영상(버드 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250)의 방향 영역 중 전방에 대한 방향 영역이 터치될 때 디스플레이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에서 우측에는 메인 영상이 디스플레이고, 좌측에는 전방에 대한 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상(버드 뷰 영상)은 차량 주변에 대한 표현 범위가 좁고 제한되므로,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행인이나 장해물을 파악하기 위해 전방에 대한 광각 영상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전방에 대한 광각 영상은 운전자에게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도 5에는 참조 영상에 대해 Ref[FRONT] 라는 영문 표시가 함께 기재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대한 영상이 참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좌측에 대한 참조 영상과 메인 영상(버드 뷰 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터치스크린(250)에서 좌측에 대한 방향 영역이 터치될 때,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에는 참조 영상이 차량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의 것임을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식별자를 부여하고 있다. 부여된 식별자는 어느 누구라도, 참조 영상이 좌측 영상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식별자는 터치스크린(250)에 대해서는 방향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도 7은 후방에 대한 참조 영상과 메인 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운전자는 메인 영상(버드 뷰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을 후진시킬 때, 참조 영상을 참조하여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행인이나 장해물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은 우측에 대한 참조 영상과 메인 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을 구현하는 네비게이터의 외적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9의 (a)는 차량에 부착 및 탈착 가능한 외장형 네비게이터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차량이 출고될 때, 차량 내부에 부착되어 출고되는 내장형 네비게이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은 내장형 네비게이터 또는 외장형 네비게이터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메인 영상과 참조 영상에 대한 드래그 입력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250)에는 버드 뷰 영상이 메인 영상으로서 전체 화면에 표시되고 있다. 화면의 중심부에는 차량에 대한 이미지(5)가 위치하며, 운전자가 이 상태에서 P1 위치를 터치한 후, 터치한 상태에서 P2 위치로 드래그 입력을 가할 때, 제어부(210)는 최초 터치된 위치 P1과 드래그 입력이 종료되는 P2 위치를 연결하는 벡터(V1)를 생성할 수 있다.
P1 위치가 차량의 우측에 대한 방향 영역에 해당하므로, 터치스크린(250)에서 디스플레이할 참조 영상은 차량의 우측에 대응하는 광각 영상이된다.
이 상태에서 벡터(V1)는 참조 영상(차량의 우측에 대응하는 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영역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에 대한 우측의 광각 영상은 A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메인 영상은 A1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250)은 버드 뷰 영상이 메인 영상으로서 전체 화면에 표시되며(차량 이미지는 도시가 생략되었슴), 운전자가 P3 위치를 터치한 후, 터치한 상태에서 P4 위치로 드래그 입력을 가할 때, 제어부(210)는 차량의 좌측 광각 영상을 A4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영상(버드 뷰 영상)을 A3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P6 위치에 터치 입력을 가한 상태에서 P5 위치로 드래그 입력을 가하면, 차량의 우측 광각 영상이 A5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2의 참조 도면에서, 참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운전자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그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S1 ∼ S9 : 방향 영역 L1, L2 : 대각선

Claims (10)

  1. 차량에 대한 이미지 및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차량에 대한 이미지 및 아이콘 중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버드 뷰 영상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메인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구획하여 상기 차량의 전, 후, 좌, 우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방향 영역의 영상을 상기 메인 영상의 표시 영역 중, 일 영역에서 참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드래그 입력이 발생 시, 상기 제1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위치를 향하는 벡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위치에 대응하는 방향 영역의 참조 영상을 상기 벡터가 지시하는 방향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 대한 이미지 및 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입력이 발생할 때, 상기 참조 영상은 클로우즈(close)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디스플레이영역에서 상기 메인 영상이 재생되고,
    상기 제1위치가 사용자 선택될 때, 상기 버드 뷰 영상에 대한 참조 영상이 선택되고,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표시할 영역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센터에 사용자 터치 입력이 발생 시, 상기 터치스크린의 표시 영역을 상기 버드 뷰 영상으로 표현되는 메인 영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두 대각선을 이용하여 4개로 구획하여 상기 차량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전, 후, 좌, 우 네 방향에 대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두 대각선이 교차하는 중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영상은,
    일 영역에 상기 방향 영역에 대한 식별자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전방", "후방", "좌측", "우측" 및 이들 각각에 대한 영문 , 기호 및 방향 지시를 위한 도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영상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1방향으로 반분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참조 영상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1방향으로 반분한 영역 중 다른 하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영상은,
    상기 메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터치 후, 상기 참조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드래그 입력 시,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참조 영상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10. 삭제
KR1020120102064A 2012-09-14 2012-09-14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KR101269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064A KR101269183B1 (ko) 2012-09-14 2012-09-14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064A KR101269183B1 (ko) 2012-09-14 2012-09-14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183B1 true KR101269183B1 (ko) 2013-06-05

Family

ID=4886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064A KR101269183B1 (ko) 2012-09-14 2012-09-14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421A (ko) * 2015-12-30 2023-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125A (ja) 2001-10-03 2003-04-1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周辺視認装置
WO2009151053A1 (ja) 2008-06-10 2009-12-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JP2010147516A (ja) 2008-12-16 2010-07-01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周辺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125A (ja) 2001-10-03 2003-04-1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周辺視認装置
WO2009151053A1 (ja) 2008-06-10 2009-12-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JP2010147516A (ja) 2008-12-16 2010-07-01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周辺監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421A (ko) * 2015-12-30 2023-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654928B1 (ko) 2015-12-30 2024-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898B1 (ko) 차량 주변 감시 장치
EP2724896B1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JP4246195B2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WO2011118260A1 (ja) 車両周辺監視装置
US10930070B2 (en) Periphery monitoring device
JP2023503440A (ja) 対話型自動駐車方法及び機器
JP4910425B2 (ja)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JP4867512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724446B2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JP5825323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2014196009A (ja) 駐車支援装置、これに用いられる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88950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1899539A (zh) 交通信息提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车载终端
BR102020015119A2 (pt) Sistema de visão multicâmeras
US2021032711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ing a surroundings map of a vehicle, textured with image information, and vehicle comprising such an arrangement
JP201404807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269183B1 (ko) 네비게이터의 버드 뷰 영상 제어방법
JP5702476B2 (ja) 表示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709460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方法およ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JP2015152467A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762863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車両
WO2014109030A1 (ja) 虚像表示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781035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WO2011121788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表示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5182672A (ja) 虚像表示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