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039B1 - 소 공간용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 공간용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039B1
KR101269039B1 KR1020120021940A KR20120021940A KR101269039B1 KR 101269039 B1 KR101269039 B1 KR 101269039B1 KR 1020120021940 A KR1020120021940 A KR 1020120021940A KR 20120021940 A KR20120021940 A KR 20120021940A KR 101269039 B1 KR101269039 B1 KR 10126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plunger
fire
fire extinguish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스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스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스테코
Priority to KR102012002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강전 EPS실(Electrical Piping Shaft 또는 Electric Pipe Shaft) 또는 약전 TPS실(Telecommunication Pipe Shaft) 등과 같은 소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 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소화약제를 살포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소화약제 저장용기 내의 가압력(Pressurization)을 저압에서 고압으로 높이더라도 화재를 감지하는 스프링클러헤드에 고압에 의하여 무리하게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소화약제가 고압(10.0bar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된 소화약제 저장용기(11)와, 상기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설치되며 토출유로(12a) 및 토출구(12b)를 갖는 하우징(12)과, 상기 토출유로의 내부에 코일스프링(13)으로 탄력 설치되는 밸브(14)와, 상기 밸브(14)의 상부에 실린더(16)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로드(18)를 갖는 피스턴(17)으로 구성되는 작동장치(40)와, 상기 작동장치(40)의 상부에 형성된 밸브개방용 유로(15)와, 상기 밸브개방용 유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밸브개방용 유로를 개폐하는 플런저(20)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화재를 감지하는 스프링클러헤드(21)와, 상기 하우징의 토출유로 및 플런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도관(23)과, 상기 하우징(12)에 형성된 토출구(12b)에 다수개의 분사공(19a)을 갖는 노즐(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 공간용 소화장치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for small space}
본 발명은 건물의 강전 EPS실(Electrical Piping Shaft 또는 Electric Pipe Shaft) 또는 약전 TPS실(Telecommunication Pipe Shaft) 등과 같은 소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 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소화약제를 살포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소화약제 저장용기 내의 가압력(Pressurization)을 저압에서 고압으로 높이더라도 화재를 감지하는 스프링클러헤드에 고압의 가압력에 의한 과도한 하중(응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강전 EPS실은 건축물이나 다른 공작물을 건설할 경우 보통 설계도면에 표시되어 전기공사의 동력용 전선, 전등용 전선, 전열용 전선 등 여러 종류의 전기와 관련된 전선이 이 통로를 통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시공되는 통로를 의미하며, 약전 TPS실은 통신용 케이블, 자동제어용 케이블, 홈오토메이션 케이블 등 여러 종류의 통신 관련된 전선이 이 통로를 통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시공되는 통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EPS실 및 TPS실은 콘크리트 벽에 의해 구획된다.
그러나 이러한 EPS실 및 TPS실은 공간이 협소하여 소화장치의 설치가 곤란하여 화재 발생 시 굴뚝효과를 일으키게 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화재가 확산되도록 하는 원인으로 작용된다.
한편, 컴퓨터실, 배전반, 분전반 등과 같은 소 공간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소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 공간 소화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소화약제가 10bar의 가압력으로 채워지는 소화약제 저장탱크(1)의 상부에 토출유로(2a)를 갖는 하우징(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토출유로에는 밸브(3)가 코일스프링(4)을 압축시키면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의 상부에는 밸브의 개방량을 조절하는 조절구(5)가 설치되어 커버(6)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밸브(3)는 토출유로(2a)를 개방한 상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하우징(2)의 토출구(2b)에는 공지의 스프링클러헤드(7)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건물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하우징(2)에 나사 결합된 스프링클러헤드(7)에서 감열체(8)가 이탈되면 하우징(2)의 토출구(2b)가 개방되므로 10bar의 가압력으로 채워진 소화약제가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부에 채워지는 소화약제의 가압력이 10bar로 낮아 화재부위로 소화약제를 신속하고도 멀리 분사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근래에는 소화약제의 가압력을 고압(10.0bar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구조에서 소화약제의 가압력을 고압(10.0bar 이상)으로 높여 설치하면 외기의 온도가 올라가는 하절기에는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고압으로 가압된 소화약제의 기화에 따른 팽창으로 소화약제 저장용기 내의 압력이 가압력 압력에 약1.5배 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는데도 소화약제 저장용기 내의 상승된 가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스프링클러헤드에서 감열체가 이탈하는 치명적인 결함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소 공간에 설치되는 소화약제 저장용기 내의 소화약제 가압력을 고압(10.0bar 이상)으로 높인 상태에서도 소화약제 저장용기가 주위온도의 상승에 따라 그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더라도 그 가압력이 작용하는 플런저의 단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스프링클러헤드에 작용하는 하중(응력)을 최소화하여 스프링클러헤드에서 감열체가 이탈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토출구에 노즐을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소화약제를 사방으로 보다 멀리 분사하여 소화약제의 확산이 빨라지도록 함으로써 화재의 조기 진압이 가능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화장치가 설치되는 소 공간의 체적에 따라 소화약제 저장용기를 복수 개 설치하더라도, 별도의 기동용기 없이 한 개의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설치되어 감지기 역할을 하는 단 한 개의 스프링클러헤드가 화재를 감지함에 따라 별도의 스프링클러헤드를 장착하지 않은 복수개의 소화약제 저장용기들이 상호 원활하게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해지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소화약제가 고압(10.0bar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된 소화약제 저장용기와, 상기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설치되며 토출유로 및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토출유로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의 상부에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로드를 갖는 피스턴으로 구성되는 작동장치와, 상기 작동장치의 상부에 형성된 밸브개방용 유로와, 상기 밸브개방용 유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밸브개방용 유로를 개폐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화재를 감지하는 스프링클러헤드와, 상기 하우징의 토출유로 및 플런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도관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토출구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분사공을 갖는 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공간용 소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소화약제가 고압(10.0bar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된 소화약제 저장용기와, 상기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설치되며 토출유로 및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토출유로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의 상부에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로드를 갖는 피스턴으로 구성되는 작동장치와, 상기 작동장치의 상부에 형성된 밸브개방용 유로와, 상기 밸브개방용 유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밸브개방용 유로를 개폐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화재를 감지하는 스프링클러헤드와, 상기 하우징의 토출유로 및 플런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도관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토출구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분사공을 갖는 노즐과, 상기 플런저의 상부에 형성된 보조 밸브개방용 유로와, 상기 보조 밸브개방용 유로의 일 측에 연결된 엘보우와, 또 다른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밸브개방용 유로에 형성된 유로를 갖는 분기관과, 상기 엘보우와 분기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도관으로 구성하여 복수개의 소화약제 저장용기를 하나의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설치된 단 한 개의 스프링클러헤드가 화재를 감지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개의 소화약제 저장용기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주위 온도가 올라가는 하절기에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외부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고압으로 가압된 소화약제의 액상부 약제의 부피 팽창으로 소화약제 저장용기 내의 압력이 가압력의 약1.5배까지 상승하더라도, 그 압력이 연결도관의 일단에 작용할 때 일단은 작은 단면적을 갖고, 타단은 큰 단면적을 갖는 플런저를 구비함으로써 스프링클러헤드에 가해지는 하중(응력)을 감소시켜 주므로 스프링클러헤드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하우징의 토출구에 노즐을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소화 약제를 사방으로 보다 멀리 분사하여 소화약제의 확산이 빨라지도록 하므로 화재의 조기 진압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소화장치가 설치되는 소 공간의 체적에 따라 소화약제 저장용기를 복수 개 설치하더라도, 별도의 기동용기 없이 한 개의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설치되어 감지기 역할을 하는 단 한 개의 스프링클러헤드가 화재를 감지함에 따라 별도의 스프링클러헤드를 장착하지 않은 복수개의 소화약제 저장용기들이 상호 원활하게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소 공간 소화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도 2a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도
도 2b는 화재의 발생으로 스프링클러헤드에서 감열체가 이탈되어 노즐을 통해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내부에 소화약제가 고압(10.0bar 이상)의 가압력으로 채워지는 소화약제 저장용기(11)에는 토출유로(12a) 및 토출구(12b)를 갖는 하우징(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토출유로에는 코일스프링(13)에 의해 밸브(14)가 탄력 설치되어 정상적인 상태(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토출유로(12a)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밸브(14)의 상부에는 밸브개방용 유로(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상부에 바로 밸브개방용 유로(15)를 위치시켜도 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밸브개방용 유로(15)에 설치된 실린더(16)와, 상기 실린더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드(18)를 갖는 피스턴(17)으로 구성된 작동장치(40)를 설치하였는데, 이는 스프링클러헤드 작동 후 소화약제 저장용기(11) 내의 소화약제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20)가 이동되어 일단에 걸려 있는 압력이 밸브개방용 유로(15)로 전달되었을 때 단면적이 넓은 피스턴(17)이 힘을 증폭시켜 보다 신속하게 밸브(14)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2)에 형성된 토출구(12b)에는 복수 개의 분사공(19a)을 갖는 노즐(19)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토출구(12b)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약제를 사방으로 보다 빠르고 멀리 분사시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 개방용 유로(15)의 상부에 밸브개방용 유로(15)를 개폐하며 일단(소화약제의 가압력이 작용되는 측)은 단면적이 좁고 타단(스프링클러헤드 측)은 단면적이 넓은 플런저(20)가 좌, 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는 정상적인 상태(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화재를 감지하는 스프링클러헤드(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2)의 토출유로(12a) 및 플런저(20)의 일단 사이에는 연결도관(23)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 플런저(20)는 오링(30)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과 연결도관(23) 사이에는 유로를 폐쇄하는 개폐밸브(2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소화약제 저장용기(11) 내에 소화약제를 충진하기 위해 개폐밸브(24)를 잠근 다음 연결도관(23)을 분리한 후 개폐밸브(24)에 소화약제를 충진하기 위한 호스(도시는 생략함)를 연결함과 동시에 잠그었던 개폐밸브(24)를 개방하여 소화약제를 충진하고, 소화약제 저장용기(11) 내에 소화약제의 충진 및 가압이 완료되고 나면 개폐밸브(24)를 다시 잠그고 개폐밸브(24)에서 분리하였던 연결도관(23)을 연결한 다음 잠그었던 개폐밸브(24)를 개방하여 소화약제의 가압력이 플런저(20)에 작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개폐밸브(24)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볼 밸브를 적용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소화약제 저장용기(11)(11a)(11b)를 복수개 설치 시 플런저(20)에 의해 폐쇄된 밸브개방용 유로(15)의 상부에는 보조 밸브개방용 유로(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밸브개방용 유로(25)에는 엘보우(26)가 결합되어 있으며 또 다른 소화약제 저장용기(11a)(11b)의 밸브개방용 유로(15)에는 유로(27a)를 갖는 분기관(27)이 연결되어 있으며 엘보우(26)와 분기관(27)은 또 다른 연결도관(28)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관(27)의 상부에는 소화약제의 누기에 의하여 또 다른 소화약제 저장용기(11a)(11b)가 오 작동하지 않도록 작동압력 미만에서는 개방되어 압력을 배출시키고, 작동압력 이상에서는 압력을 차단시켜 하부에 구성된 피스톤(17)이 기동하도록 하는 차단밸브(31)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 최종(마지막) 지점에 위치하는 분기관(27)의 타단은 캡(29)으로 폐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 공간에 본 발명의 소공간 소화장치가 설치된 상태(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클러헤드(21)의 감열체(22)가 도 2a와 같이 어세이(Ass'y)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개폐밸브(24)는 개방되어 있어 소화약제 저장용기(11) 내에 충진된 소화약제의 가압력이 하우징(12)에 형성된 토출유로(12a) - 개폐밸브(24) - 연결도관(23)을 통해 플런저(20)의 일단에 작용되고 있지만, 소화약제의 압력이 작용되는 플런저(20)에 있어서, 그 압력이 일차적으로는 그 면적이 좁은 일단에 직접 작용하고, 면적이 넓은 타단에는 스프링클러헤드의 하면이 접촉되게 함(파스칼의 원리)으로써 스프링클러헤드에 가해지는 하중(응력)을 감소시켜 준다.
이 때, 하우징(12)에 설치된 밸브(14)는 코일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토출구(12b)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소화약제 저장용기(11)에 고압으로 가압된 소화약제가 토출구(12b)에 결합된 노즐(19)을 통해 분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플런저(20)의 일단에 접촉된 스프링클러헤드(21)의 감열체(22)가 도 2b와 같이 스프링클러헤드(21)에서 이탈하면 스프링클러헤드(21)의 감열체(22)에 의해 이동이 억제되어 있던 플런저(20)가 소화약제의 가압력에 의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밸브개방용 유로(15)를 개방시키게 되므로 상기 소화약제 가압력이 개방된 밸브개방용 유로(15)를 통해 작용되어 작동장치(40)인 실린더(16)의 상부에 위치된 피스턴(17)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턴(17)이 하강하면 상기 피스턴의 하부에 위치된 로드(18)가 코일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토출구(12b)를 폐쇄하고 있던 밸브(14)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토출구(12b)가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토출구(12b)가 개방되면 고압으로 가압되어 있던 소화약제가 토출구(12b) - 노즐(19)의 분사공(19a)을 통해 소화약제를 사방으로 보다 멀리 분사시키게 되므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화약제 저장용기(11)(11a)를 복수 개 설치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여 플런저(20)의 타단에 위치되게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21)의 감열체(22)가 도 2b와 같이 스프링클러헤드(21)에서 이탈하면 스프링클러헤드(21)의 감열체에 의해 이동이 억제되어 있던 플런저(20)가 소화약제의 가압력에 의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밸브개방용 유로(15) 및 보조 밸브개방용 유로(25)를 동시에 개방하게 되므로 실린더(16)의 상부에 위치된 피스턴(17)을 하강시킴과 동시에 또 다른 연결도관(28)을 통해 각각의 소화약제 저장용기(11a)의 밸브개방용 유로(15)에 소화약제의 가압력을 작용시키게 되므로 상기 소화약제 가압력이 개방된 밸브개방용 유로(15)를 통해 작용되어 피스턴(17)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피스턴(17)이 하강하면 상기 피스턴의 하부에 위치된 로드(18)가 코일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토출구(12b)를 폐쇄하고 있던 밸브(14)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토출구(12b)가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토출구(12b)가 개방되면 고압으로 가압되어 있던 소화약제가 토출구(12b) - 노즐(19)의 분사공(19a)을 통해 소화약제를 사방으로 보다 멀리 분사시키게 되므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11, 11a, 11b : 소화약제 저장용기 12 : 하우징
12a : 토출유로 12b : 토출구
14 : 밸브 15 : 밸브개방용 유로
16 : 실린더 17 : 피스턴
18 : 로드 19 : 노즐
20 : 플런저 21 : 스프링클러헤드
22 : 감열체 23, 28 : 연결도관
24 : 개폐밸브 25 : 보조 밸브개방용 유로
26 : 엘보우 27 : 분기관
29 : 캡 30 : 오링
31 : 차단밸브 40 : 작동장치

Claims (6)

  1. 내부에 소화약제가 고압(10.0bar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된 소화약제 저장용기(11)와, 상기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설치되며 토출유로(12a) 및 토출구(12b)를 갖는 하우징(12)과, 상기 토출유로의 내부에 코일스프링(13)으로 탄력 설치되는 밸브(14)와, 상기 밸브(14)의 상부에 실린더(16)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로드(18)를 갖는 피스턴(17)으로 구성되는 작동장치(40)와, 상기 작동장치(40)의 상부에 형성된 밸브개방용 유로(15)와, 상기 밸브개방용 유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밸브개방용 유로를 개폐하는 플런저(20)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화재를 감지하는 스프링클러헤드(21)와, 상기 하우징의 토출유로 및 플런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도관(23)과, 상기 하우징(12)에 형성된 토출구(12b)에 다수개의 분사공(19a)을 갖는 노즐(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공간용 소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방용 유로(15)를 개폐하는 플런저(20)는 그 일단의 단면적은 좁고, 그 타단의 단면적은 넓게 구성하여 감압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공간용 소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의 토출유로(12a)와 플런저(20)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도관(23)의 사이에는 소화약제의 충진 및 가압을 위해 개폐밸브(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공간용 소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24)는 볼 밸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공간용 소화장치.
  5. 내부에 소화약제가 고압(10.0bar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된 소화약제 저장용기(11)와, 상기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설치되며 토출유로(12a) 및 토출구(12b)를 갖는 하우징(12)과, 상기 토출유로의 내부에 코일스프링(13)으로 탄력 설치되는 밸브(14)와, 상기 밸브(14)의 상부에 실린더(16)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로드(18)를 갖는 피스턴(17)으로 구성되는 작동장치(40)와, 상기 작동장치(40)의 상부에 형성된 밸브개방용 유로(15)와, 상기 밸브개방용 유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밸브개방용 유로를 개폐하는 플런저(20)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화재를 감지하는 스프링클러헤드(21)와, 상기 하우징의 토출유로 및 플런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도관(23)과, 상기 하우징(12)에 형성된 토출구(12b)에 다수개의 분사공(19a)을 갖는 노즐(19)과, 상기 플런저(20)의 상부에 형성된 보조 밸브개방용 유로(25)와, 상기 보조 밸브개방용 유로의 일측에 연결된 엘보우(26)와, 또 다른 소화약제 저장용기(11a)(11b)의 밸브개방용 유로(15)에 형성된 유로(27a)를 갖는 분기관(27)과, 상기 엘보우와 분기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도관(28)으로 구성하여 복수개의 소화약제 저장용기(11)(11a)(11b)를 하나의 소화약제 저장용기(11)에 설치된 단 한 개의 스프링클러헤드(21)가 화재를 감지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개의 소화약제 저장용기(11)( 11a)(11b)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공간용 소화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7)의 일측에는 소화약제의 누기에 의하여 또 다른 소화약제 저장용기(11a)가 오 작동하지 않도록 작동압력 미만에서는 개방되어 압력을 배출시키고, 작동압력 이상에서는 압력을 차단시켜 하부에 구성된 피스턴(17)이 기동하도록 하는 차단밸브(31)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공간용 소화장치.
KR1020120021940A 2012-03-02 2012-03-02 소 공간용 소화장치 KR10126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940A KR101269039B1 (ko) 2012-03-02 2012-03-02 소 공간용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940A KR101269039B1 (ko) 2012-03-02 2012-03-02 소 공간용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039B1 true KR101269039B1 (ko) 2013-05-29

Family

ID=48667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940A KR101269039B1 (ko) 2012-03-02 2012-03-02 소 공간용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0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168B1 (ko) * 2015-03-19 2015-10-22 새솔기술방재 주식회사 소공간용 자동소화장치
KR101577789B1 (ko) 2014-11-17 2015-12-1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
WO2022214823A1 (en) * 2021-04-08 2022-10-13 Zenova Ltd A fire suppression system
RU217297U1 (ru) * 2021-12-27 2023-03-27 Николай Вадимович Сова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запорно-пусковым устройство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080A (ja) 2001-05-10 2002-11-22 Itachibori Mfg Co Ltd 流水検知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スプリンクラー設備
JP2007260249A (ja) 2006-03-29 2007-10-11 Nohmi Bosai Ltd 旋回方式散水銃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080A (ja) 2001-05-10 2002-11-22 Itachibori Mfg Co Ltd 流水検知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スプリンクラー設備
JP2007260249A (ja) 2006-03-29 2007-10-11 Nohmi Bosai Ltd 旋回方式散水銃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789B1 (ko) 2014-11-17 2015-12-1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
KR101562168B1 (ko) * 2015-03-19 2015-10-22 새솔기술방재 주식회사 소공간용 자동소화장치
WO2022214823A1 (en) * 2021-04-08 2022-10-13 Zenova Ltd A fire suppression system
GB2620531A (en) * 2021-04-08 2024-01-10 Zenova Ltd A fire suppression system
RU217297U1 (ru) * 2021-12-27 2023-03-27 Николай Вадимович Сова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запорно-пусковым устройством
RU219720U1 (ru) * 2021-12-27 2023-08-01 Николай Вадимович Сова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запорно-пусковым устройство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601Y1 (ko)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US10556139B2 (en) Network-type temperature-controlled hanging extinguishing system
KR101269039B1 (ko) 소 공간용 소화장치
KR10129504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WO2014001604A1 (en) Thermal expansion assembly for water mist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7975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2009371B1 (ko)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346695B1 (ko) 소 공간용 소화장치
KR101069939B1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200459249Y1 (ko)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CN205494763U (zh) 一种高压细水雾灭火系统分区控制阀组
KR101175309B1 (ko) 밸브조절식 소화기
KR200447990Y1 (ko) 자동확산 소화기
CN212789491U (zh) 一种撬装式加油站用的防爆消防装置
CN104383652A (zh) 一种电磁控制自取气启动方式的二氧化碳灭火系统
KR101384253B1 (ko) 소 공간용 소화장치
US20100181082A1 (en) System For Improving Water Delivery Time In Dry Pipe Sprinkler System
CN202342731U (zh) 自动灭火喷头
CN202724511U (zh) 油罐用柜式自动灭火装置
KR102078081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KR20080048810A (ko) 2유체 소화 분무장치의 수직형 개폐밸브
CN219700938U (zh) 一种灭火装置
CN114681853B (zh) 一种配管模块化的隔膜式雨淋阀组
CN215568236U (zh) 一种用于分区控制箱的高压细水雾低泄高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7